KR102495490B1 - 장신구 연결체 - Google Patents

장신구 연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5490B1
KR102495490B1 KR1020220053885A KR20220053885A KR102495490B1 KR 102495490 B1 KR102495490 B1 KR 102495490B1 KR 1020220053885 A KR1020220053885 A KR 1020220053885A KR 20220053885 A KR20220053885 A KR 20220053885A KR 102495490 B1 KR102495490 B1 KR 102495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locking
rotation
pai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3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준수
남효정
Original Assignee
장준수
남효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준수, 남효정 filed Critical 장준수
Priority to KR1020220053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54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42Fasteners provided with a turnable clamping lever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5Necklace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상호 연이어 사슬형태로 연결되는 복수의 단위사슬을 상호 연결시키기 위한 장신구 연결체는 복수의 단위사슬 중 인접한 2개의 단위사슬에 형성되는 봉 형상의 지지연결부, 일단에 지지연결부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회전수용부를 갖는 연결본체, 연결본체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회전되어 회전수용부에 걸리는 걸림부를 갖는 걸림본체 및 연결본체와 걸림본체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장신구 연결체{Trinkets Connector}
본 발명은 장신구 연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신구 연결체에 관한 것이다.
장신구 중 목걸이와 팔찌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에 걸어서 치장을 하는 것은 줄과 같은 형상의 말단을 상호 연결하여 고리 형상을 만든다. 목걸이, 팔찌 등은 미적 아름다움을 추구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상과 모양으로 제작된 체인을 체결하여 몸에 착용하는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 목걸이, 팔찌 등의 장신구가 체인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으로 제작되는 경우, 양 끝단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장치가 구비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체결장치는 고리 형상으로 마련되어 연결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고리 형상의 체결장치는 결합과 해제가 어려운 불편함이 있으며, 결합후에 미적으로 미려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결합과 해제가 용이하며, 결합후에도 미적으로 미려할 수 있는 장신구 연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상호 연이어 사슬형태로 연결되는 복수의 단위사슬을 상호 연결시키기 위한 장신구 연결체는, 상기 복수의 단위사슬 중 인접한 2개의 단위사슬에 형성되는 봉 형상의 지지연결부; 일단에 상기 지지연결부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회전수용부를 갖는 연결본체; 상기 연결본체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회전되어 상기 회전수용부에 걸리는 걸림부를 갖는 걸림본체; 및 상기 연결본체와 상기 걸림본체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연결부를 포함한다. 한 쌍의 지지연결부를 연결본체와 걸림본체로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으므로 결합과 해제가 용이하며, 기존의 연결고리가 없고 단위사슬에 직접 연결본체와 걸림본체가 결합되므로 단위사슬의 연결과 유사한 이물감이 없는 연결이 이루어지면서 판상으로 마련되어 결합후에도 다양한 디자인을 부가할 수 있고 미려한 장신구를 형성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연결부는, 상기 복수의 단위사슬 중 다른 하나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연결본체와 상기 걸림본체를 수용하는 함몰부; 및 상기 함몰부의 일영역에 형성된 상기 연결본체와 상기 걸림본체가 걸리기 위한 봉형상의 연결봉를 포함하면 연결본체와 걸림본체가 함몰부에 수용되면서 상호 이물감 없이 결합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가 상기 회전수용부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걸리본체는 상기 함몰부의 함몰영역 내측에 접촉하면 연결본체와 걸림본체가 연결된 이후에도 외형이 미려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걸림본체는 굴곡진 형상으로 탄성을 가지면 연결본체와 걸림본체가 연결되는 경우와 해제하는 경우에도 쉽게 잠금과 해제를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쌍의 지지연결부를 연결본체와 걸림본체로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으므로 결합과 해제가 용이하며, 기존의 연결고리가 없고 단위사슬에 직접 연결본체와 걸림본체가 결합되므로 단위사슬의 연결과 유사한 이물감이 없는 연결이 이루어지면서 판상으로 마련되어 결합후에도 다양한 디자인을 부가할 수 있고 미려한 장신구를 형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연결체의 예시도이다.
도 2는 장신구 연결체의 잠금 및 해제 동작도이다.
도 3은 변형 가능한 장신구 연결체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도3의 장신구 연결체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변형 가능한 장신구 연결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장신구 연결체의 동작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장신구 연결체(1)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연결체(1)의 예시도이다.
장신구 연결체(1)는 지지연결부(10), 연결본체(20), 걸림본체(30) 및 회전연결부(40)를 포함한다.
지지연결부(10)는 복수의 단위사슬(2) 중 인접한 2개의 단위사슬에 형성되는 봉 형상을 갖는다. 지지연결부(10)는 함몰부(11) 및 연결봉(12)을 갖는다.
함몰부(11)는 복수의 단위사슬(2) 중 다른 하나에 함몰 형성되어 후술할 연결본체(20)와 걸림본체(30)를 수용하는 형상을 갖는다.
연결봉(12)은 함몰부(12)의 일영역에 형성되어 연결본체(20)와 걸림본체(30)가 걸리기 위한 봉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연결본체(20)는 일단에 지지연결부(10)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회전수용부(21)를 갖고 판상으로 이루어진다.
걸림본체(30)는 연결본체(20)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회전되어 회전수용부(21)의 외측에 걸리는 걸림부(31)를 갖는다. 걸림부(31)는 회전수용부(21)에 끼임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형상과 크기를 갖는다.
회전연결부(40)는 연결본체(20)와 걸림본체(3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여기서, 걸림부(31)가 회전수용부(21)에 걸린 상태에서 걸림본체(30)는 함몰부의 함몰영역 내측에 접촉하여 외부의 시선으로부터 꽉차는 형상이 되도록 한다. 이에 단위사슬(2)의 연결부분이 이물감이 없어진다.
걸림본체(30)는 굴곡진 형상으로 탄성을 갖는다. 이에 걸림부(31)가 회전수용부(21)에 걸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눌러 튀어 오르게 하며 걸림부(31)가 걸림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장신구 연결체(1)의 잠금 및 해제 동작도이다.
도 2(a) 좌우측의 단위사슬(2)에 형성된 함몰부(11)에 연결봉(12)이 형성되어 있고, 연결본체(20)와 걸림본체(30)가 회전연결부(4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도 2(b) 좌우측의 단위사슬(2)을 이동시켜 상호 접촉되도록 접근시킨다. 이에 양측의 연결봉(12)이 접근된 상태가 되며, 좌우측의 단위사슬(2)이 접근되어 이물감이 감소하였다.
도 2(c) 사용자가 연결본체(20)와 걸림본체(30)를 이동시켜 양측의 연결봉(12)이 연결본체(20)와 걸림본체(30) 사이에 배치되도록 한 후 회전수용부(21)가 일측의 연결봉(12)을 물림 수용되도록 결합시킨다. 이 후 사용자 손으로 걸림본체(30)를 회전시켜 걸림부(31)가 회전수용부(21)의 외측에 끼임 결합되면서 걸리도록 한다. 이에 깔끔하게 걸림본체(30)가 함몰부(11)의 함몰 내측에 접촉되면서 이물감 없이 좌우측의 단위사슬(2)을 연결시킨다.
도 2(d) 사용자가 걸림본체(3)의 중앙영역을 누르면 탄성을 갖는 걸림본체(30)가 튀어 오르면서 걸림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도 3은 변형 가능한 장신구 연결체(1)의 예시도이다.
장신구 연결체(1)는 상호 연이어 사슬형태로 연결되는 복수의 단위사슬, 복수의 단위사슬의 일측말단과 타측 말단에 결합되어 상호 연결시키기 위한 지지고리(3-1)를 갖는 한 쌍의 연결고리(3)를 연결한다.
여기서, 한 쌍의 연결고리(3)는 지지연결부(10)로 대체될 수 있으며 적용될 수 있다.
장신구 연결체(1)는 연결본체(110), 연결수용부(120), 연결가드(130) 및 해제방지부(140)를 포함한다.
연결본체(110)는 적어도 굴곡진 평판형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연결본체(110)는 평판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굴곡진 형상으로 마련되어 목걸이나 팔찌의 굴곡형상과 어울리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본체(110)의 굴곡진 평판형상에는 다양한 무늬가 새겨질 수도 있다. 연결본체(110)의 굴곡진 평판형상에는 또 다른 장식이 부착될 수도 있다.
연결수용부(120)는 연결본체(110)의 양말단 영역의 적어도 굴곡진 평판형상 내측으로부터 돌출되어 고리형상을 갖고 지지고리(3-1)의 일영역을 물림 수용한다. 연결수용부(120)는 고리형상의 말단의 간격이 지지고리(3-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억지끼움결합이 되면서 물림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연결수용부(120)는 연결본체(1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연결수용부(120)의 돌출방향의 말단부를 있는 연결선은 한 쌍의 연결가드(130)의 연장방향의 말단부를 잇는 연결선보다 연결본체(110)에서 더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사용자의 피부를 가압하지 않게 될 수 있다.
연결가드(130)는 연결본체(110)의 양측 말단 영역으로부터 연결본체(110)의 적어도 굴곡진 평판형상보다 더 굴곡지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연결가드(130)는 외측의 굴곡진 형상보다 더 굴곡지도록 평판의 판면각도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연결가드(130)의 양 말단은 둥그런 형상을 가지고 사용자의 피부에 자극을 두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해제방지부(140)는 한 쌍의 연결수용부(120) 말단영역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지지고리(3-1)의 일영역을 물림 수용한 상태에서 지지고리(3-1)의 물림 수용결합이 해제되지 않도록 한다. 해제방지부(140)는 걸림부(141), 회전연결부(142) 및 연결링크(143)을 포함한다.
걸림부(141)는 한 쌍의 연결수용부(120)가 지지고리(3-1)의 일영역을 물림 수용한 상태에서 회전되어 한 쌍의 연결고리(120)의 고리형상 내측에 걸리도록 형성된다. 걸림부(141)는 회전 가능한 회전연결부(142)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연결링크(143)가 회전연결부(142)에 의해 굴절되면 회전연결부(142)가 한 쌍의 연결고리(120)의 고리형상 내측에 걸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회전연결부(142)는 연결링크(143)와 연결수용부(120)가 상호 굴절되도록 상대 회전시킬 수 있다.
연결링크(143)는 연결본체(11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결합되어 연결될 수도 있다. 연결링크(143)는 연결본체(110)와 연결수용부(120)를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한 쌍의 연결고리(3)는 고리형상으로 연결하기 전의 줄형상의 양 말단에 마련되며 장신구 연결체(1)를 이용하여 연결되어 고리형상을 이룬다.
한 쌍의 연결고리(3) 각각은 지지고리(3-1), 고리본체(3-2) 및 걸림홈(3-3)을 가질 수 있다.
고리본체(3-2)는 "ㄷ"자 고리형상을 갖고, 지지고리(3-1)는 고리본체(3-2)의 고리형상을 연결하여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구성이다. 걸림홈(3-3)은 "ㄷ"자 고리형상 내측의 고리본체(2-2)에 형성된다.
여기서, 지지고리(3-1)는 연결봉(13)과 유사한 구성이며, 고리본체(3-2)는 단위사슬(2)과 유사한 구성이고, 걸림홈(3-3)은 단위사슬(2)에 형성되어 한 쌍의 연결고리(3)가 없는 경우에도 도 3의 변형 가능한 장신구 연결체(1)는 한 쌍의 연결봉(13)을 연결할 수 있다.
도 4는 도3의 장신구 연결체(1)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변형 가능한 장신구 연결체(1)의 단면도이다.
도5는 장신구 연결체(1)의 연결본체(110)의 양말단으로부터 더 굴곡지도록 연장되는 연결가드(130)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장신구 연결체(1)의 동작도이다.
연결본체(110)와 한 쌍의 연결링크(143)의 일단은 한 쌍의 회전연결부(142)에 의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한 쌍의 연결링크(143)의 타단은 한 쌍의 회전연결부(142)와 동일한 구성으로 마련된 한 쌍의 걸림부(141)에 의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 6 (a) 연결본체(110)와 한 쌍의 연결링크(143)의 일단은 한 쌍의 회전연결부(142)에 의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한 쌍의 연결링크(143)의 타단은 한 쌍의 회전연결부(142)와 동일한 구성으로 마련된 한 쌍의 걸림부1(41)에 의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한 쌍의 연결고리(3)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도 6 (b) 사용자가 한 쌍의 연결수용부(120)를 이동시켜 한 쌍의 연결고리(3)의 지지고리(3-1)를 물림 수용하도록 한다.
도 6 (c) 한 쌍의 연결수용부(120)가 한 쌍의 지지고리(3-1)를 물림 수용한 상태에서 연결본체(110)를 하방으로 누르면 한 쌍의 회전연결부(142)와 한 쌍의 걸림부(141)를 중심으로 한 쌍의 회전링크(143)와 한 쌍의 연결수용부(120)가 상대 회전되면서 한 쌍의 걸림부(141)가 고정본체(3-2)에 형성된 걸림홈(3-3)에 걸리게 되면서 안정적으로 한 쌍의 연결고리(3)를 연결한다.
상기의 실시 예 이외의 변형 가능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한 쌍의 걸림부(141)가 고리본체(3-2) 고리형상 내측에 형성된 걸림홈(3-3)에 걸린 상태에서 한 쌍의 회전링크(143)와 한 쌍의 연결수용부(120)가 상대 회전되지 않도록 잠금부를 더 가질 수 있다. 잠금부는 연결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되어 잠금위치와 해제위치 간을 이동할 수 있다.
이 잠금부는 연결본체(110)를 사용자가 회전시켜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 잠금부는 연결본체(110)에 지지되어 잠금위치와 해제위치 간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잠금장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단위사슬(2)이 상호 접근하여 접촉할 수 있으나 지지연결부(10)는 단위사슬(2) 두께방향으로 갈수록 2개의 단위사슬(2)이 멀어지도록 하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단위사슬(2)이 상호 각도를 가지고 자연스럽게 굽어질 수 있다.
상기의 장신구 연결체(1)로 인하여, 한 쌍의 연결고리(3)의 지지고리(3-1)를 한 쌍의 연결수용부(120)로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으므로 결합과 해제가 용이하며, 연결본체(110)가 판상으로 마련되어 결합후에도 다양한 디자인을 부가할 수 있고 미려한 장신구를 형성시킬 수 있다.
1: 장신구 연결체 2: 단위사슬
3: 연결고리 3-1: 지지고리
3-2: 고리본체 3-3: 걸림홈
10: 지지연결부 11: 함몰부
12: 연결봉
20: 연결본체 21: 회전수용부
30: 걸림본체 31: 걸림부
40: 회전연결부
110: 연결본체 120: 연결수용부
130: 연결가드 140: 해제방지부
141: 걸림부 142: 회전연결부
143: 회전링크

Claims (4)

  1. 상호 연이어 사슬형태로 연결되는 복수의 단위사슬을 상호 연결시키기 위한 장신구 연결체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사슬 중 인접한 2개의 단위사슬에 형성되는 지지연결부;
    일단에 상기 지지연결부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회전수용부를 갖는 연결본체;
    상기 연결본체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회전되어 상기 회전수용부에 걸리는 걸림부를 갖는 걸림본체; 및
    상기 연결본체와 상기 걸림본체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연결부는,
    상기 단위사슬의 단부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연결본체와 상기 걸림본체를 수용하는 함몰부; 및
    상기 함몰부의 일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본체와 상기 걸림본체가 걸리기 위한 봉형상의 연결봉;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가 상기 회전수용부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걸림본체가 상기 함몰부의 함몰영역 내측에 접촉됨으로써, 외부에서 볼때 상기 걸림본체가 함몰영역 전체를 덮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연결체.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본체는 굴곡진 형상으로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연결체.
KR1020220053885A 2022-04-30 2022-04-30 장신구 연결체 KR102495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3885A KR102495490B1 (ko) 2022-04-30 2022-04-30 장신구 연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3885A KR102495490B1 (ko) 2022-04-30 2022-04-30 장신구 연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5490B1 true KR102495490B1 (ko) 2023-02-06

Family

ID=85224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3885A KR102495490B1 (ko) 2022-04-30 2022-04-30 장신구 연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549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6009A (ja) * 1999-04-15 2000-10-24 Yoshiaki Kanamori 装身具
KR102389838B1 (ko) * 2021-11-17 2022-04-21 이성우 양방향 잠금형 팔찌 체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6009A (ja) * 1999-04-15 2000-10-24 Yoshiaki Kanamori 装身具
KR102389838B1 (ko) * 2021-11-17 2022-04-21 이성우 양방향 잠금형 팔찌 체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6185B1 (ko) 귀걸이
USD556620S1 (en) Item of jewelry for use as a pendant, earring, ring, brooch, bracelet, hair pin, cuff link or tiepin
USD531078S1 (en) Item of jewelry for use as a pendant, earring, ring, brooch, bracelet, hair pin, cuff link or tie pin
US20110314867A1 (en) Earring
KR100802100B1 (ko) 체인형 장신구의 잠금장치
US4855972A (en) Watch case for tennis bracelet
KR102495490B1 (ko) 장신구 연결체
US5979184A (en) Convertible jewelry article
US6014871A (en) Jewelry system
AU2017319777B2 (en) An interchangeable jewelry linking system and clasps thereof
KR102458422B1 (ko) 투-타입 연출이 가능한 링 귀걸이
JP3177051U (ja) チェーンを利用したアクセサリーカップリング
KR101991792B1 (ko) 장신구의 체결장치
CN102300483B (zh) 装饰品用卡扣
KR101784252B1 (ko) 회전 장신구
AU761519B2 (en) Openable finger-ring
US20090056378A1 (en) Customizable bracelet
KR102519844B1 (ko) 트위스트 목걸이
CN217743375U (zh) 一种外设圈体结构的弹簧扣
KR200320834Y1 (ko) 귀걸이의 체결구조
KR200450580Y1 (ko) 장신구
CN213664030U (zh) 一种可调节尺寸的链式首饰
CN209995500U (zh) 手镯
KR200344401Y1 (ko) 장신구용 벨트의 버클
KR200328329Y1 (ko) 팔찌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