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1329B1 - 장신구 연결 구조체 - Google Patents

장신구 연결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1329B1
KR101511329B1 KR20150013917A KR20150013917A KR101511329B1 KR 101511329 B1 KR101511329 B1 KR 101511329B1 KR 20150013917 A KR20150013917 A KR 20150013917A KR 20150013917 A KR20150013917 A KR 20150013917A KR 101511329 B1 KR101511329 B1 KR 101511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vertical bar
lever
elastic member
pend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50013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이식
임건호
Original Assignee
오선인터내셔날(주)
민이식
임건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선인터내셔날(주), 민이식, 임건호 filed Critical 오선인터내셔날(주)
Priority to KR20150013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13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1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1329B1/ko
Priority to PCT/KR2016/000942 priority patent/WO201612222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44C25/001Penda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2Link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0/00General types of fasteners
    • A44D2200/10Details of construction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장신구 연결 구조체는, 상부면과 하부면 일측에 서로 대응되게 뚫린 제1 관통홀(12)이 형성되면서 상부면과 하부면 타측면에 엇갈리게 뚫린 제2 및 제3 관통홀(14)(16)이 형성되어 다양한 형상을 가진 펜던트(P)와 고정되는 몸체(10)와; 길이가 다르게 역유(U)자로 구부러진 긴 쪽 제1 수직봉(22)이 상기 제1 관통홀(12)에 삽입 관통되고 짧은 쪽 제2 수직봉(24)이 상기 제2 관통홀(14)에 삽입 또는 분리되면서 줄(S)과 연결되는 연결고리부(20)와; 상기 연결고리부(20)의 긴 쪽 하단에 힌지핀(32)을 매개로 회동가능케 결합되면서 상기 몸체(10)의 하부에 설치되는 레버(30)와; 상기 제1 관통홀(12)의 내부에서 제1 수직봉(22)의 외주에 설치되어 연결고리부(20)가 하부측으로 이동하도록 탄성을 가하는 제1 탄발부재(40)와: 및 상기 제3 관통홀(16)의 내부 상단과 상기 레버(30)의 길이단 중간에 연결되어 레버(30)가 몸체(10)의 하면에 수평으로 눕혀져 밀착되도록 탄성으로 가하는 제2 탄발부재(4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되어 있으므로, 체결구의 크기 및 모양에 관계없이 줄(S)로부터 펜던트(P)를 용이하게 분리 및 교체하거나 분실 우려없이 안전하게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장신구 연결 구조체{Connection structure of personal ornaments}
본 발명은 장신구 연결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목걸이나 팔찌, 발찌 등의 줄로부터 펜던트를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는 장신구 연결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성들은 자신의 외모를 돋보이게 하기 위하여 금, 은 등의 귀금속으로 이루어진 목걸이, 팔찌, 발찌 등의 각종 장신구를 몸에 착용하게 된다.
종래의 장신구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 은 등의 귀금속이 줄(1)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줄(1)을 신체의 소정 부위에 링형상으로 결합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줄(1)의 양단을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체결구(3)가 고정되며, 그 줄(1)에는 장식의 효과를 배가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형상을 갖는 펜던트(5)가 연결고리(7)를 매개로 걸리도록 결합되어 진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장신구는 금, 은 등의 귀금속으로 이루어진 고가(高價)일 경우 줄(1)의 양단과 체결구(3)의 이음새가 벌어지지 않도록 용접에 의해 고정되고, 펜던트(5)를 연결하는 연결고리(5a)가 상기 체결구(3)를 통해 분리되지 않도록 끼움홀을 작게 형성하는 구조로 생산되기 때문에 줄(1)로부터 펜던트(5)를 교체하거나 또는 분리하여 줄(1) 자체로만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체결구의 크기 및 모양에 관계없이 줄로부터 펜던트를 용이하게 분리 및 교체하거나 분실 우려없이 안전하게 결합할 수 있는 장신구 연결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 연결 구조체는, 상부면과 하부면 일측에 서로 대응되게 뚫린 제1 관통홀이 형성되면서 상부면과 하부면 타측면에 엇갈리게 뚫린 제2 및 제3 관통홀이 형성되어 다양한 형상을 가진 펜던트와 고정되는 몸체와; 길이가 다르게 역유(U)자로 구부러진 긴 쪽 제1 수직봉이 상기 제1 관통홀에 삽입 관통되고 짧은 쪽 제2 수직봉이 상기 제2 관통홀에 삽입 또는 분리되면서 줄과 연결되는 연결고리부와; 상기 연결고리부의 긴 쪽 하단에 힌지핀을 매개로 회동가능케 결합되면서 상기 몸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레버와; 상기 제1 관통홀의 내부에서 제1 수직봉의 외주에 설치되어 연결고리부가 하부측으로 이동하도록 탄성을 가하는 제1 탄발부재와: 및 상기 제3 관통홀의 내부 상단과 상기 레버의 길이단 중간에 연결되어 레버가 몸체의 하면에 수평으로 눕혀져 밀착되도록 탄성으로 가하는 제2 탄발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1 수직봉의 하단으로부터 일정 높이에는 상기 제1 탄성부재의 하단이 밀착되도록 상기 제1 관통홀의 내부에 수용되는 단턱이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레버는, 그 일측단이 상기 제1 수직봉의 하단과 요철 모양으로 겹쳐져 힌지핀에 의해 회동가능케 결합되고, 그 길이단 중간이 상기 제2 탄발부재의 하단과 걸리도록 걸림홀이 형성되며, 그 타측단에 레버를 밀어서 회전시키도록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1 탄발부재는 압축형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상단이 상기 제1 수직봉의 외주에 끼워진 채로 제1 관통홀의 내부 상단에 걸리고 그 하단이 제1 수직봉의 외주 하단측 단턱에 걸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2 탄발부재는 인장형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상단이 상기 제3 관통홀의 상단에 걸리고 하단이 레버의 길이단 중간에 걸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장신구 연결 구조체는, 연결고리부의 제2 수직봉과 몸체의 제2 관통홀과의 통로가 폐쇄되도록 제1 탄발부재의 팽창력에 의해 제1 수직봉이 항상 하강되어 1차 잠김 상태를 유지하고, 레버가 몸체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수평을 유지하면서 제1 수직봉과 직각을 이루도록 제2 탄발부재의 수축력에 의해 당겨져 2차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연결고리부의 상부를 강한 힘으로 당기더라도 제2 수직봉과 제2 관통홀과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음과 동시에 개방되지 않게 되므로 펜던트가 줄로부터 분리되어 분실되는 염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다양한 형상을 가진 펜던트와 고정되는 장신구의 연결 구조체가 간단한 조작에 의해 목걸이나 팔찌, 발찌 등의 줄로부터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기 때문에 금, 은 등의 귀금속으로 이루어진 고가(高價)의 장신구를 나이, 직업, 옷차림, 계절, 모임 장소나 여행 목적 등 패션 변화에 따라 다양한 스타일의 펜던트로 교체하여 가면서 패션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장신구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연결 구조체를 도시한 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연결 구조체의 잠김상태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 연결 구조체의 풀림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장신구 연결 구조체는, 상부면과 하부면 일측에 서로 대응되게 뚫린 제1 관통홀(12)이 형성되면서 상부면과 하부면 타측면에 엇갈리게 뚫린 제2 및 제3 관통홀(14)(16)이 형성되어 다양한 형상을 가진 펜던트(P)와 고정되는 몸체(10)와; 길이가 다르게 역유(U)자로 구부러진 긴 쪽 제1 수직봉(22)이 상기 제1 관통홀(12)에 삽입 관통되고 짧은 쪽 제2 수직봉(24)이 상기 제2 관통홀(14)에 삽입 또는 분리되면서 줄(S)과 연결되는 연결고리부(20)와; 상기 연결고리부(20)의 긴 쪽 하단에 힌지핀(32)을 매개로 회동가능케 결합되면서 상기 몸체(10)의 하부에 설치되는 레버(30)와; 상기 제1 관통홀(12)의 내부에서 제1 수직봉(22)의 외주에 설치되어 연결고리부(20)가 하부측으로 이동하도록 탄성을 가하는 제1 탄발부재(40)와: 및 상기 제3 관통홀(16)의 내부 상단과 상기 레버(30)의 길이단 중간에 연결되어 레버(30)가 몸체(10)의 하면에 수평으로 눕혀져 밀착되도록 탄성으로 가하는 제2 탄발부재(42)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몸체(10)의 둘레측 일면에는 상기 펜던트(P)가 용접에 의해 용이하게 부착되도록 평탄면(10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수직봉(22)의 하단으로부터 일정 높이 외주에는 상기 제1 탄성부재(40)의 하단이 밀착되도록 상기 제1 관통홀(12)의 내부에 수용되는 단턱(22a)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레버(30)는, 그 일측단이 상기 제1 수직봉(22)의 하단과 요철 모양으로 겹쳐져 힌지핀(32)에 의해 회동가능케 결합되고, 그 길이단 중간에 상기 제2 탄발부재(42)의 하단과 걸리도록 걸림홀(30a)이 형성되며, 그 타측단에 사용자가 레버(30)를 용이하게 밀어서 회전시키도록 볼 모양의 손잡이(30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탄발부재(40)는 압축형 코일스프링 모양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상단이 상기 제1 수직봉(22)의 외주에 끼워진 채로 제1 관통홀(12)의 내부 상단에 걸리고 그 하단이 제1 수직봉(22)의 외주 하단측 단턱(22a)에 걸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 탄발부재(42)는 인장형 코일스프링 모양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상단이 상기 제3 관통홀(16)의 상단에 걸리고 하단이 레버(30)의 걸림홀(30a)에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장신구 연결 구조체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장신구 연결 구조체를 이용하여 기존에 널리 사용되는 줄(S)에 걸어서 연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3과 같은 상태에서 한 손으로 몸체(10)를 잡고서 다른 손으로 몸체(10)의 하부측 레버(30)의 손잡이(30b)를 하부로 잡아 당기면, 이 레버(30)는 연결고리부(20)측 제1 수직봉(22)의 하부와 연결된 힌지핀(32)을 회전 중심으로 수직되게 세워지면서 제1 수직봉(22)와 동일한 수직선상에 놓이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잡고 있는 레버(30)를 몸체(10)의 하부측 제1 관통홀(12) 속으로 밀어 올리면, 제1 수직봉(22)의 하단에 돌설된 단턱(22a)이 제1 탄발부재(40)의 압축시키면서 제1 수직봉(22)을 상승시키게 되고, 제1 수직봉(22)은 그 상단과 일체로 연결되어 나란히 마주보고 있는 짧은 쪽 제2 수직봉(24)을 동시 상승시킴으로써 제2 수직봉(24)의 하단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0)의 제2 관통홀(14)로부터 분리되어 몸체(10)의 상부면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그 사이로 줄(S)이 통과될 수 있도록 통로를 개방하게 된다.
그리고, 몸체(10)의 상부면 돌출된 제1 수직봉(22)과 제2 수직봉(24)의 사이에 줄(S)이 끼워진 후 잡고 있던 레버(30)를 놓으면, 제1 탄발부재(40)의 팽창력에 의해 제1 수직봉(22)의 단턱(22a)을 밀게 되고, 이로 인해 제1 수직봉(22)은 원래 위치로 하강되면서 그 상부와 일체로 연결된 제2 수직봉(24)을 동시 하강시키게 됨으로써 제2 수직봉(24)의 하부는 다시 제2 관통홀(14)속으로 삽입되면서 통로를 폐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수직봉(22)과 제2 수직봉(24)의 사이에 끼워진 줄(S)이 연결고리부(20)에 연결된다.
또, 제1 수직봉(22)의 하부와 힌지핀(32)을 매개로 결합된 레버(30)는 그 길이단 중간과 제3 관통홀(16)의 내부 상단에 연결된 제2 탄발부재(42)의 수축력에 의해 당겨지면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래 위치로 수평으로 눕혀지면서 몸체(10)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진다.
즉, 본 발명의 장신구 연결 구조체는 연결고리부(20)의 제2 수직봉(24)과 몸체(10)의 제2 관통홀(14)과의 통로가 폐쇄되도록 제1 탄발부재(40)의 팽창력에 의해 제1 수직봉(22)이 항상 하강되어 1차 잠김 상태를 유지하고, 레버(30)가 몸체(10)의 하부면에 밀착되어 수평을 유지하면서 제1 수직봉(22)과 직각을 이루도록 제2 탄발부재(42)의 수축력에 의해 당겨져 2차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연결고리부(20)의 상부를 강한 힘으로 당기더라도 제2 수직봉(24)과 제2 관통홀(14)과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음과 동시에 개방되지 않게 되므로 펜던트(P)가 줄(S)로부터 분리되어 분실되는 염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다양한 형상을 가진 펜던트(P)와 고정되는 장신구의 연결 구조체가 간단한 조작에 의해 목걸이나 팔찌, 발찌 등의 줄(S)로부터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기 때문에 금, 은 등의 귀금속으로 이루어진 고가(高價)의 장신구를 나이, 직업, 옷차림, 계절, 모임 장소나 여행 목적 등 패션 변화에 따라 다양한 스타일의 펜던트(P)로 교체하여 가면서 패션을 연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 몸체 10a : 평탄면
12 : 제1 관통홀 14 : 제2 관통홀
16 : 제3 관통홀 20 : 연결고리부
22 : 제1 수직봉 22a : 단턱
24 : 제2 수직봉 30 : 레버
30a : 걸림홀 30b : 손잡이
32 : 힌지핀 40 : 제1 탄발부재
42 : 제2 탄발부재 P : 펜던트
S : 줄

Claims (5)

  1. 상부면과 하부면 일측에 서로 대응되게 뚫린 제1 관통홀(12)이 형성되면서 상부면과 하부면 타측면에 엇갈리게 뚫린 제2 및 제3 관통홀(14)(16)이 형성되어 다양한 형상을 가진 펜던트(P)와 고정되는 몸체(10)와; 길이가 다르게 역유(U)자로 구부러진 긴 쪽 제1 수직봉(22)이 상기 제1 관통홀(12)에 삽입 관통되고 짧은 쪽 제2 수직봉(24)이 상기 제2 관통홀(14)에 삽입 또는 분리되면서 줄(S)과 연결되는 연결고리부(20)와; 상기 연결고리부(20)의 긴 쪽 하단에 힌지핀(32)을 매개로 회동가능케 결합되면서 상기 몸체(10)의 하부에 설치되는 레버(30)와; 상기 제1 관통홀(12)의 내부에서 제1 수직봉(22)의 외주에 설치되어 연결고리부(20)가 하부측으로 이동하도록 탄성을 가하는 제1 탄발부재(40)와: 및 상기 제3 관통홀(16)의 내부 상단과 상기 레버(30)의 길이단 중간에 연결되어 레버(30)가 몸체(10)의 하면에 수평으로 눕혀져 밀착되도록 탄성으로 가하는 제2 탄발부재(4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연결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봉(22)의 하단으로부터 일정 높이에는 상기 제1 탄성부재(40)의 하단이 밀착되도록 상기 제1 관통홀(12)의 내부에 수용되는 단턱(22a)이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연결 구조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30)는, 그 일측단이 상기 제1 수직봉(22)의 하단과 요철 모양으로 겹쳐져 힌지핀(32)에 의해 회동가능케 결합되고, 그 길이단 중간이 상기 제2 탄발부재(42)의 하단과 걸리도록 걸림홀(30a)이 형성되며, 그 타측단에 레버(30)를 밀어서 회전시키도록 손잡이(30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연결 구조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탄발부재(40)는 압축형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상단이 상기 제1 수직봉(22)의 외주에 끼워진 채로 제1 관통홀(12)의 내부 상단에 걸리고 그 하단이 제1 수직봉(22)의 외주 하단측 단턱(22a)에 걸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연결 구조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탄발부재(42)는 인장형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상단이 상기 제3 관통홀(16)의 상단에 걸리고 하단이 레버(30)의 길이단 중간에 걸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연결 구조체.
KR20150013917A 2015-01-29 2015-01-29 장신구 연결 구조체 KR101511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13917A KR101511329B1 (ko) 2015-01-29 2015-01-29 장신구 연결 구조체
PCT/KR2016/000942 WO2016122229A1 (ko) 2015-01-29 2016-01-28 장신구 연결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13917A KR101511329B1 (ko) 2015-01-29 2015-01-29 장신구 연결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1329B1 true KR101511329B1 (ko) 2015-04-14

Family

ID=53034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50013917A KR101511329B1 (ko) 2015-01-29 2015-01-29 장신구 연결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13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3744B1 (ko) 2016-01-15 2017-06-05 오선인터내셔날(주) 장신구 연결 구조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974Y1 (ko) 2002-02-09 2002-05-09 이원우 액세서리용 단속연결구
US20080083100A1 (en) 2005-09-22 2008-04-10 Rick Beed Retractable hook system and method
KR20090022782A (ko) * 2007-08-31 2009-03-04 박수현 장식 연결구
KR101305966B1 (ko) 2013-03-29 2013-09-12 이성환 가방 장식용 자물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974Y1 (ko) 2002-02-09 2002-05-09 이원우 액세서리용 단속연결구
US20080083100A1 (en) 2005-09-22 2008-04-10 Rick Beed Retractable hook system and method
KR20090022782A (ko) * 2007-08-31 2009-03-04 박수현 장식 연결구
KR101305966B1 (ko) 2013-03-29 2013-09-12 이성환 가방 장식용 자물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3744B1 (ko) 2016-01-15 2017-06-05 오선인터내셔날(주) 장신구 연결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7507B2 (en) Necklaces and bracelets with keepers
USD556620S1 (en) Item of jewelry for use as a pendant, earring, ring, brooch, bracelet, hair pin, cuff link or tiepin
US6901771B2 (en) Jewel and personal ornament
KR101147189B1 (ko) 귀걸이
US5410784A (en) Interchangeable clasp
US11980262B2 (en) Jewelry piece with a spring closure for an interchangeable ornament
KR100802100B1 (ko) 체인형 장신구의 잠금장치
KR101577599B1 (ko) 장신구의 잠금구조
KR101511329B1 (ko) 장신구 연결 구조체
KR200492761Y1 (ko) 장신구 체결장치
CN101005774B (zh) 珠宝夹
KR101925869B1 (ko) 장신구용 체결장치
KR200392447Y1 (ko) 장신구 연결구
KR200269199Y1 (ko) 장신구의 연결구조
KR101743744B1 (ko) 장신구 연결 구조체
KR20090006171U (ko) 장신구용 연결구
KR200331806Y1 (ko)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구조
KR101924512B1 (ko) 장신구용 연결구
KR200321292Y1 (ko) 커플 목걸이용 이중 펜던트
KR100531179B1 (ko) 장신구용 액세서리 걸이구
KR20120008345U (ko) 목걸이의 장식용 연결장치
KR102419854B1 (ko) 원터치로 탈부착이 가능한 액세서리용 연결구
KR200491074Y1 (ko) 장식체인
KR101981298B1 (ko) 장신구용 체결장치
KR102186623B1 (ko) 장신구 연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