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5869B1 - 장신구용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장신구용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5869B1
KR101925869B1 KR1020180037337A KR20180037337A KR101925869B1 KR 101925869 B1 KR101925869 B1 KR 101925869B1 KR 1020180037337 A KR1020180037337 A KR 1020180037337A KR 20180037337 A KR20180037337 A KR 20180037337A KR 101925869 B1 KR101925869 B1 KR 101925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nament
latch
latch plate
lock
compression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7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철
Original Assignee
이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철 filed Critical 이영철
Priority to KR1020180037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58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869B1/ko
Priority to PCT/KR2019/003434 priority patent/WO201919013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52Fasteners provided with at least one push-button acting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fastener and perpendicularly to the direction of the fastening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76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with the two ends of the strap or chain abutting each other or sliding in the main plane or a plane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se two end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5Necklace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두께를 얇게 하여 미적 아름다움을 돋보이게 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장신구용 체결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장신구용 체결장치는 상면에 잠금 홈이 형성되어 장신구의 일단에 결합된 걸림부; 상기 걸림부가 출입되는 출입개구가 일 측면에서 형성되고, 상기 출입개구로부터 상부개구로 연통된 공동이 형성되어 상기 장신구의 타단에 결합되는 잠금 하우징과; 일단 하부에는 걸쇠가 형성되고 타단 하부에는 스토퍼가 형성되며 중심 영역에는 현수(懸垂)된 힌지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개구를 통해 상기 잠금 하우징에 힌지 결합된 래치 플레이트와;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래치 플레이트의 일 측 저면을 상부로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공동 내부에 설치된 원뿔형 압축 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걸림부가 상기 출입개구에 삽입될 때 상기 래치 플레이트의 걸쇠가 상기 잠금 홈에 걸어져 상기 장신구의 양단을 체결하고, 상기 래치 플레이트의 일 측 상면이 눌러져 상기 원뿔형 압축 스프링이 압축되었을 때 상기 걸쇠가 상기 잠금 홈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장신구의 양단이 분리된다.

Description

장신구용 체결장치{Fastener for ornaments}
본 발명은 장신구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누름 조작에 의해 장신구를 신속하게 착용하거나 쉽게 벗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두께를 얇게 하여 미적 아름다움을 돋보이게 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장신구용 체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신구는 몸치장을 하는 데 쓰는 물건으로, 반지, 귀고리, 노리개, 목걸이, 팔찌, 비녀, 브로치, 넥타이핀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이러한 장신구는 착용자의 지위, 신분 표시와 함께 미적 요구의 만족, 아름답게 보이고 싶다는 인간의 본능에 의해 지속적으로 발전하여 왔다. 이와 같은 장신구 중 목걸이, 팔찌 등은 원통 형상을 목 부위나 팔목에 착용하는 것으로 금, 은 등의 귀금속으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목걸이, 팔찌 등은 미적 아름다움을 추구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상과 모양으로 제작된 체인을 체결하여 몸에 착용하는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 목걸이, 팔찌 등의 장신구가 체인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으로 제작되는 경우, 양 끝단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장치가 구비되어야 하며, 이러한 장신구의 체결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발전되어 있다.
종래의 기술로서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13335호(2005. 2. 4. 공개)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구조'(이하 '특허문헌 1'이라 칭함) 및 특허 제1569111호(2015년 11월 9일 등록) '착탈이 용이한 장신구용 체결장치'(이하 '특허문헌 2'라 칭함)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위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체결장치는 판형상의 금속 일부를 뒤로 꺾어 접철시켜 탄성을 가지도록 하고, 그 사이에 코일 스프링을 삽입하여 탄성 걸림부를 형성한 후 이 탄성 걸림부가 결합부재의 삽입홈에 끼워져 결합되었을 때 상기 코일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결합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어져 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체결장치는 탄성 걸림부에 탄성을 더욱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한 스프링의 내경과 외경의 크기가 동일한 원통형 코일 스프링(cylindrical coiled spring)을 사용하기 때문에, 스프링이 최대로 압축되었을 때의 최대입체높이(max solid height)가 스프링 재료의 지름의 합이 되어 탄성 걸림부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탄성 걸림부를 금속판재를 접어 형성하였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탄성 걸림부의 소손이 발행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체결장치는 위 특허문헌 1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장신구의 일 측에 결합되는 체결부를 간소화하고 장신구의 타 측에 결합되는 걸림부의 구성을 개선하였으나, 걸림부에 2개의 압축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고 체결부에 형성된 걸림고리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조절구를 회전시켜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상기 조절구가 걸림부 몸체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옷자락 등에 조절부가 걸려 인체에서 벗어질 염려가 있었다.
무엇보다도 위 특허문헌 1 과 2는 원통형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목 또는 팔목에 착용되는 체인 등의 장신구가 얇은 박막 형상으로 제작되는 경우, 체결장치의 두께가 장신구의 두께보다 훨씬 두텁게 되어 미적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장신구를 제작할 수 없었다.
10-2005-0013335 A1(2005. 4. 4. 공개) 10-1569111 B1(2015. 11. 09. 등록)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얇은 두께로 제작하여 간단한 동작에 의해 신체의 특정 부위에 착용하거나 벗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장신구용 체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뿔형 압축 스프링(conical compression spring)을 사용하여 체결본체를 박막 형태로 얇게 제작하여 장신구의 미감(美感)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장신구용 체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얇은 두께로 형성되며 체결 본체의 측부에 형성된 출입구에 잠금부의 일 측으로 돌출된 잠금 로드(lock rod)를 삽입하는 동작에 의해 체결되도록 하고, 상기 체결본체의 일 측 상부를 압입하는 동작에 의해 분리되도록 하여 한 손으로 신체에 용이하게 착용하고 벗을 수 있는 장신구용 체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면에 잠금 홈이 형성되어 장신구의 일단에 결합된 걸림부; 상기 걸림부가 출입되는 출입개구가 일 측면에서 형성되고, 상기 출입개구로부터 상부개구로 연통된 공동(cavity)이 형성되어 상기 장신구의 타단에 결합되는 잠금 하우징과; 상면에 잠금 홈이 형성되어 장신구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출입 개구로 출입되는 걸림부; 일단 하부에는 걸쇠가 형성되고 타단 하부에는 스토퍼가 형성되며 중심 영역에는 현수(懸垂)된 힌지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개구를 통해 상기 잠금 하우징에 힌지 결합된 래치 플레이트(latch plate)와;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래치 플레이트의 일 측 저면을 상부로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공동 내부에 설치된 원뿔형 압축 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걸림부가 상기 출입개구에 삽입될 때 상기 래치 플레이트의 걸쇠가 상기 잠금 홈에 걸어져 상기 장신구의 양단을 체결하고, 상기 래치 플레이트의 일 측 상면이 눌러져 상기 원뿔형 압축 스프링이 압축되었을 때 상기 걸쇠가 상기 잠금 홈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장신구의 양단이 분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장신구의 일단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서 돌출되며 상면에 잠금홈이 형성되어 상기 잠금 하우징의 출입개구로 출입되는 잠금 로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뿔형 압축 스프링은 상기 잠금 하우징의 내부 공동 바닥에서 원형으로 돌출 형성된 원형 돌기에 외경이 삽입되고, 내경은 상기 플레이트의 일 측 저면에 형성된 고정홈에 접촉되도록 설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잠금 로드의 단부와 상기 걸쇠의 단부에는 대향 경사면이 각각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른 장신구용 체결 장치는 간단한 누름 조작에 의해 장신구를 신속하게 착용하거나 쉽게 벗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원뿔형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장신구의 일단에 결합된 걸림부에 형성된 잠금 홈에 걸쇠를 걸어 래치 하는 래치 플레이트를 잠금 하우징의 내부에서 탄성 지지함으로써 체결장치의 두께를 얇게 제작할 수 있어 장신구의 미적 아름다움을 돋보이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장신구용 체결장치의 조립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장신구용 체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원뿔 압축 스프링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장신구용 체결장치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
도 6은 도 1의 장신구용 체결장치에 체인이 연결된 실제 제품의 사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장신구용 체결장치(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신구(60)의 양 단부를 체결하거나 분리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장신구용 체결장치(1)는 장신구(60)의 양 단부에 각각 연결된 걸림부(10)와 체결부(15)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부(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 등과 같은 장신구(60)의 일단에 연결되는 연결부 1(11)과 상기 연결부 1(11)의 측면에서 돌출되며 상면에 잠금 홈(13)이 형성되고 끝 부분에 경사면(14)이 형성된 잠금 로드(lock rod)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잠금 홈(13)은 일정한 폭을 가지되 그 일 측이 경사져 있고 타 측은 수직한 방향으로 파여져 형성되어 있다.
체결부(15)는 크게 잠금 하우징(20)과 상기 잠금 하우징(20)의 상부 개구(23)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핀(Hinge pin)(50)에 의해 결합된 래치 플레이트(30) 및 상기 잠금 하우징(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래치 플레이트(30)의 일 측을 상부로 탄성지지 하는 원뿔형 압축 스프링(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잠금 하우징(20)은 일 측면에 형성된 출입개구(22)로부터 상부개구(23)로 연통된 공동(cavity)(24)이 형성되어 상기 장신구의 타단에 연결되는 연결부 2(2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잠금 하우징(20)의 중앙 전면과 후면에는 힌지 핀(50)이 끼워는 핀 구멍(25)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 형성된 공동(24)의 바닥면에는 원형 돌기(26)가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잠금 하우징(20)의 내부에 형성된 공동(24)의 형상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귿자 형상을 갖는다. 즉, 잠금 하우징(20)은 일 측면과 상부는 개구된 공동(24)이 그 내부에 형성되고 타 측은 막힌 형상이다.
상기 잠금 하우징(20)의 상부 개구(23)에는 래치 플레이트(latch plate)(30)가 도 3과 도 5의 (a) 및 (b)와 같이 삽입된 후 힌지 핀(50)에 의해 공동(24)의 내부에 안착결합되어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래치 플레이트(30)는 판 형상의 플레이트(31)를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31)의 일단 하부에는 걸쇠(32)가 돌출 형성되고 타단 하부에는 스토퍼(33)가 형성되며, 일단과 타탄 사이의 중앙에는 힌지(34)가 현수(懸垂)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레이트(31)의 일단 하부로 돌출된 걸쇠(32)의 일 측면에는 상기 잠금 로드(12)의 단부에 형성된 경사면(14)의 대응 경사면(37)이 형성되며, 다른 측면은 수직하게 형성된 면을 갖는다. 또한, 상기 래치 플레이트(30)의 일 측 저면에는 원형상의 파여진 고정홈(3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잠금 하우징(20)의 바닥면에 형성된 원형 돌기(26)와 래치 플레이트(30)의 고정홈(36)의 사이에는 원뿔형 압축 스프링(40)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잠금 하우징(20)의 원형 돌기(26)에 원뿔형 압축 스프링(40)의 외경(41)이 끼워진 후 원뿔형 압축 스프링(40)의 상부측인 내경(42)이 플레이트(31)의 저면에 형성된 고정홈(36)에 위치되면, 잠금 하우징(20)의 상부 개구(23)를 통해 그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잠금 하우징(20)에 힌지 핀(50)에 의해 힌지 결합된 플레이트(31)가 반복적으로 좌우로 회동하더라도 원뿔형 압축 스프링(40)은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 원뿔형 압축 스프링(40)은 도 4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경(41)에서 상부인 내경(42)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뿔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으로, 자유길이(43)에 비하여 압축되었을 때의 최대입체높이(44)가 매우 낮은 것이 특징이다. 도 4에서 (a), (b) 및 (c)는 원뿔형 압축 스프링(40)의 자유길이상태(43)의 정면, 압축되었을 때 최대입체높이(44)를 나타낸 정면 및 평면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원뿔형 압축 스프링(40)의 재료 직경이 0.4mm이라 가정한 상태에서, 도 4의 (a)와 같은 자유길이(43)를 갖는 원뿔형 압축 스프링(40)의 상부를 압입하여 누르면 도 4의 (b)와 약 0.4~0.5mm의 최대입체높이(44)로 압축됨으로써 잠금 하우징(20)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만약, 원뿔형 압축 스프링(40) 대신에 일반적인 스프링 재료의 지름이 0.4mm의 강선으로 제작된 원통형 코일 압축 스프링을 사용할 경우, 최대 입체높이는 "0.4mm × T(여기서 T는 강선의 감겨진 회수)"로 높아진다. 예를 들어, 0.4mm강선을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9회 감아 스프링을 제작할 경우, 원뿔형 압축 스프링(40)의 최대입체높이(44)는 약 0.4mm~0.5mm이나 원통형 코일 압축 스프링의 경우 최대 높이는 '0.4mm × 9 = 3.6mm'로 9배나 높게 압축된다.
도 1과 같이 걸림부(10)의 잠금 로드(12)가 체결부(15)의 잠금 하우징(20)의 출입개구(22)에 넣어진 상태의 단면은 도 3과 같다. 이와 같은 상태는 잠금 하우징(20)내 공동(24)의 일 측에 설치된 원뿔형 압축 스프링(40)이 래치 플레이트(30)를 자유길이로 윗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플레이트(31)의 타단에 형성된 스토퍼(33)가 잠금 하우징(20)의 공동(24)의 내측에 걸어진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잠금 하우징(20)의 상부 개구(23)에 힌지 결합된 래치 플레이트(30)는 평행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도 1과 같이 걸림부(10)가 체결부(15)의 잠금 하우징(20)의 출입개구(22)에 삽입된 상태는 도 3과 같이 걸림부(10)의 잠금 로드(12)에 형성된 잠금홈(13)에 플레이트(31)의 저부에 돌출된 걸쇠(32)가 삽입되어 걸어진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위와 같은 잠금 상태에서, 사용자가 잠금 하우징(20)의 상부 개구(23)에 결합된 래치 플레이트(30)의 우측 상면을 누르면, 스프링(40)은 도 4(b)와 같이 최대입체높이로 압출되어 도 5의 (A)와 같이 플레이트(31)가 힌지핀(50)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플레이트(31)의 일단부에 형성된 걸쇠(32)가 걸림부(10)의 잠금로드(12)에 형성된 잠금홈(13)으로부터 이탈되어 분리된다.
도 5의 (a)와 같이 플레이트(31)의 일 측 상면을 압입한 상태에서, 잠금 하우징(20)의 출입개구(22)에 넣어진 걸림부(10)를 잡아당기면 도 5의 (b)와 같이 걸림부(10)가 체결부(15)로부터 자연스럽게 분리된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장신구용 체결장치(1)는 단성력이 우수한 원뿔형 압축 스프링(40)을 이용하여 걸쇠(32)가 형성된 플레이트(31)를 상부로 탄성지지 함으로써 잠금 하우징(20)의 출입개구(22)에 넣어지는 걸림부(10)의 잠금로드(12)에 형성된 잠금홈(13)과 상기 걸쇠(32)의 걸림 상태를 강력하게 할 수 있어 별도의 보조 잠금 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도 6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장신구용 체결장치(1)로 체인으로 구성된 장신구(60)의 양단에 걸림부(10)와 체결부(15)를 각각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제품의 사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체인 형상으로 만들어진 장신구(60)의 두께와 거의 같도록 장신구용 체결장치(1)를 만들 수 있어서, 장신구(60)의 미적 아름다움을 가일층 높일 수 있다.
1 체결장치
10 걸림부
11 연결부 1 12 잠금 로드(lock rod)
13 잠금홈(lock groove) 14 경사면
15 체결부
20 잠금 하우징
21 연결부 2 22 출입개구
23 상부개구 24 공동
25 핀구멍 26 원형돌기
30 래치플레이트
31 플레이트 32 걸쇠
33 스토퍼 34 힌지
35 핀구멍 36 고정홈
37 경사면
40 원뿔형 압축 스프링
41 외경 42 내경
43 자유길이 44 최대입체높이
50 힌지핀
60 장신구

Claims (4)

  1. 장신구의 양단을 체결하거나 분리하는 장신구용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면에 잠금 홈이 형성되어 장신구의 일단에 결합된 걸림부;
    상기 걸림부가 출입되는 출입개구가 일 측면에서 형성되고, 상기 출입개구로부터 상부개구로 연통된 공동이 형성되어 상기 장신구의 타단에 결합되는 잠금 하우징과;
    일단 하부에는 걸쇠가 형성되고 타단 하부에는 스토퍼가 형성되며, 상기 일단과 타단의 중앙에는 힌지가 현수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개구를 통해 상기 잠금 하우징의 공동 내부로 삽입된 후 상기 힌지가 핀에 의해 상기 잠금 하우징에 회동 가능토록 결합된 래치 플레이트와;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래치 플레이트의 일 측 저면을 자유 길이로 탄성 지지하고, 상기 상기 래치 플레이트의 일 측 상면이 눌려졌을 때 최대입체높이가 스프링 재료의 지름 합으로 압축되도록 상기 공동 내부에 설치된 원뿔형 압축 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걸림부가 상기 출입개구에 삽입될 때 상기 래치 플레이트의 걸쇠가 상기 잠금 홈에 걸어져 상기 장신구의 양단을 체결하고, 상기 래치 플레이트의 일 측 상면이 눌러져 상기 원뿔형 압축 스프링이 압축되었을 때 상기 걸쇠가 상기 잠금 홈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장신구의 양단이 분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체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장신구의 일단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서 돌출되며 상면에 잠금홈이 형성되어 상기 잠금 하우징의 출입개구로 출입되는 잠금 로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체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잠금 로드의 단부와 상기 걸쇠의 단부에는 대향 경사면이 각각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체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원뿔형 압축 스프링은 상기 잠금 하우징의 내부 공동 바닥에서 원형으로 돌출 형성된 원형 돌기에 외경이 삽입되고, 내경은 상기 플레이트의 일 측 저면에 형성된 고정홈에 접촉되도록 설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체결장치.
KR1020180037337A 2018-03-30 2018-03-30 장신구용 체결장치 KR101925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337A KR101925869B1 (ko) 2018-03-30 2018-03-30 장신구용 체결장치
PCT/KR2019/003434 WO2019190135A1 (ko) 2018-03-30 2019-03-25 장신구용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337A KR101925869B1 (ko) 2018-03-30 2018-03-30 장신구용 체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5869B1 true KR101925869B1 (ko) 2019-02-26

Family

ID=65562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7337A KR101925869B1 (ko) 2018-03-30 2018-03-30 장신구용 체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25869B1 (ko)
WO (1) WO201919013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8947B1 (ko) * 2019-07-18 2019-10-31 백효정 탄성 회동에 의해 간편하게 탈착 가능한 팔찌용 체결구
RU221868U1 (ru) * 2023-10-12 2023-11-28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Грант" Ювелирный замок
KR20240054655A (ko) 2022-10-19 2024-04-26 김동구 장신구 체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3335A (ko) 2003-07-28 2005-02-04 정학봉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구조
KR20070075410A (ko) * 2007-06-27 2007-07-18 최충식 발열체 및 고정구를 갖는 헤어롤
KR101569111B1 (ko) 2015-03-03 2015-11-13 (주)렉스다이아몬드 착탈이 용이한 장신구용 체결장치
KR101621939B1 (ko) * 2014-11-27 2016-05-18 주식회사 골드지기 악세사리 밴드 체결구 및 이를 갖는 악세사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100B1 (ko) * 2007-11-08 2008-02-11 이창수 체인형 장신구의 잠금장치
KR20100112867A (ko) * 2009-04-10 2010-10-20 백경학 원터치 로킹장치
KR101425027B1 (ko) * 2014-03-17 2014-08-01 주식회사 피엠씨엔에프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착탈식 버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3335A (ko) 2003-07-28 2005-02-04 정학봉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구조
KR20070075410A (ko) * 2007-06-27 2007-07-18 최충식 발열체 및 고정구를 갖는 헤어롤
KR101621939B1 (ko) * 2014-11-27 2016-05-18 주식회사 골드지기 악세사리 밴드 체결구 및 이를 갖는 악세사리
KR101569111B1 (ko) 2015-03-03 2015-11-13 (주)렉스다이아몬드 착탈이 용이한 장신구용 체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8947B1 (ko) * 2019-07-18 2019-10-31 백효정 탄성 회동에 의해 간편하게 탈착 가능한 팔찌용 체결구
KR20240054655A (ko) 2022-10-19 2024-04-26 김동구 장신구 체결장치
KR102666294B1 (ko) * 2023-09-13 2024-05-16 주식회사 아느로인터내셔널 이중 걸이 구조를 활용한 악세사리 체결구
RU221868U1 (ru) * 2023-10-12 2023-11-28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Грант" Ювелирный замо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90135A1 (ko) 2019-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7487B1 (en) Interchangeable jewelry item
US9364051B2 (en) Decorative system with fasteners and interchangeable connectors
US5410784A (en) Interchangeable clasp
US4803852A (en) Earring device for suspending a variety of charms or the like
KR101925869B1 (ko) 장신구용 체결장치
US20220295952A1 (en) Jewelry piece with a spring closure for an interchangeable ornament
US6804977B1 (en) Necklace and bracelet pendant-clasp
US11109653B2 (en) Jewelry ornament with clasp mechanism
US4562704A (en) Jewelry clasp
US6898950B2 (en) Set of jewelry
US11304484B2 (en) Closure mechanism for jewelry
US5379611A (en) Jewelry converter apparatus
US6662598B2 (en) Body ornament
US7536757B2 (en) Clip for jewellery
US20230059895A1 (en) Adjuster for changing a length of a jewelry string loop
DK1916921T3 (en) Interchangeable jewelry effort and element for taking action
KR20240054655A (ko) 장신구 체결장치
US20170231334A1 (en) Jewelry Clasp
KR200331806Y1 (ko)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구조
RU216580U1 (ru) Замок-застежка для ювелирного украшения
KR200493263Y1 (ko) 장신구용 잠금장치
US5651275A (en) Spring bail
US20120279026A1 (en) Ornament lock with wide opening ornament clasp
US20230276910A1 (en) Clasp mechanism to enable concealment and use by those with limited dexterity
KR200321292Y1 (ko) 커플 목걸이용 이중 펜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