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6294B1 - 이중 걸이 구조를 활용한 악세사리 체결구 - Google Patents

이중 걸이 구조를 활용한 악세사리 체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6294B1
KR102666294B1 KR1020230122004A KR20230122004A KR102666294B1 KR 102666294 B1 KR102666294 B1 KR 102666294B1 KR 1020230122004 A KR1020230122004 A KR 1020230122004A KR 20230122004 A KR20230122004 A KR 20230122004A KR 102666294 B1 KR102666294 B1 KR 102666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tongue
coupled
hook
suppor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2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느로인터내셔널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느로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느로인터내셔널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6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62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57Fasteners locked by sliding or rotating of the male element of the fastener; Turn-button fasteners
    • A44C5/2061Fasteners locked by sliding or rotating of the male element of the fastener; Turn-button fasteners combined with sp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5Neckla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19Hook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42Fasteners provided with a turnable clamping lever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47Fasteners provided with a V-shaped spring-tongue male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3/00Fastening by use of magnets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걸이 구조를 활용한 악세사리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석이 부착된 장식줄의 일단과 타단을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장식줄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1 걸고리가 후단 외면에 형성되고, 상면에 개구되어 삽입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전단에 삽입공이 형성된 본체; 상기 장식줄의 타단에 결합되며, 일측에는 상기 본체의 삽입공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텅이 형성된 버클부;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에 삽입되며 힌지부에 의해 결합되어 회전되며, 일단에는 상기 텅에 결합되는 후크가 돌출 형성된 걸림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중 걸이 구조를 활용한 악세사리 체결구{Accessory fastener utilizing a double hanging structure}
본 발명은 악세사리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목걸이, 팔찌 등 장신구에 구비될 수 있도록 한 이중 걸이 구조를 활용한 악세사리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름다움을 추구하고 자신의 개성을 나타나기 위해서 사용하는 장신구에는 귀걸이, 반지, 목걸이 등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며, 이와 같은 장신구 중 목걸이는 디자인도 중요하지만 목걸이를 체결하는 수단이 사용하기에 편리하며 전체적인 목걸이와 조화를 이루어 미관상에도 아름다워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목걸이는 대부분 목걸이의 양단에 구비된 체결구를 결착시키는 것이 공지된 바 있었다.
즉, 목걸이 줄의 일단에는 끼움핀을 갖는 체결구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끼움공이 형성된 체결고리가 형성된 것이었다.
이러한 종래 체결구조는 손을 뒤쪽으로 하여 육안으로 식별이 되지 않는 상태에서 결착시켜야 하기 때문에 목걸이 결착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외관상 미려하지 못하여 장신구의 심미감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한국실용신안출원 20-1999-0028622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목걸이, 팔찌 등 장신구의 체결과 분리가 용이하고, 외관상 체결구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으며, 체결 동작이 정확하고 체결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이중 걸이 구조를 활용한 악세사리 체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석이 부착된 장식줄의 일단과 타단을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장식줄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1 걸고리가 후단 외면에 형성되고, 상면에 개구되어 삽입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전단에 삽입공이 형성된 본체; 상기 장식줄의 타단에 결합되며, 일측에는 상기 본체의 삽입공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텅이 형성된 버클부;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에 삽입되며 힌지부에 의해 결합되어 회전되며, 일단에는 상기 텅에 결합되는 후크가 돌출 형성된 걸림부;를 포함하는 이중 걸이 구조를 활용한 악세사리 체결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수용공간의 내측 저면에 호형안착홈이 형성된 하부단턱이 형성되고, 양측벽에 핀홀이 형성되며, 텅의 하부면이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받침부가 내측 저면의 상면에 돌출되어 평평하게 형성되고, 받침부와 통하며 삽입공의 하부에 형성되는 단턱이 형성되며, 하부단턱의 타측에는 걸림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클부는 상기 텅이 본체의 받침부에 접하도록 삽입공을 삽입되도록 소정 길이로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텅의 상부에는 후크가 결합되도록 후크홈이 형성되고, 상기 버클부의 타단부에는 장식줄의 타단이 결합되도록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에는 걸림핀이 가로질러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장식줄의 타단에는 버클부의 끼움홈으로 삽입되어 걸림핀에 걸려져 연결되는 제2 걸고리가 일단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받침부는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제1 자성체가 매립되고, 상기 텅에는 제2 자성체가 매립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받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버클부의 텅과 탈착가능하도록 하며, 받침부는 일단에 축핀이 결합되어 본체의 측면에 관통되어 힌지 결합되고, 받침부의 양측에 돌기가 형성되고, 본체의 측면 내측에는 돌기홈이 각기 형성되어 받침부의 돌기가 돌기홈에 결합되어 고정력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 버클부 및 걸림부는 상부에 보석이 결합되는 보석고정부;를 포함하고, 보석고정부는 보석이 안착되도록 수평의 링형상으로 된 시트와, 상기 시트의 외주연에 원주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복수개의 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텅을 미는 힘을 발휘하는 보조스프링;을 포함하고, 보조스프링은 호형안착홈이 형성된 하부단턱의 일단에 돌출된 끼움핀에 일단이 끼움결합되고 타단은 텅의 전방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걸이, 팔찌 등 장신구의 체결과 분리가 용이하고, 외관상 체결구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식줄의 양단부의 체결 동작이 정확하여 체결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걸이 구조를 활용한 악세사리 체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걸이 구조를 활용한 악세사리 체결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걸이 구조를 활용한 악세사리 체결구를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걸이 구조를 활용한 악세사리 체결구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걸이 구조를 활용한 악세사리 체결구에서 본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걸이 구조를 활용한 악세사리 체결구에서 본체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상기 도 6의 정단면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걸이 구조를 활용한 악세사리 체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걸이 구조를 활용한 악세사리 체결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걸이 구조를 활용한 악세사리 체결구를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걸이 구조를 활용한 악세사리 체결구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걸이 구조를 활용한 악세사리 체결구에서 본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걸이 구조를 활용한 악세사리 체결구에서 본체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상기 도 6의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걸이 구조를 활용한 악세사리 체결구는, 보석이 부착된 장식줄(2)의 일단과 타단을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A)를 포함한다.
연결부(A)는,
장식줄(2)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1 걸고리(110)가 후단 외면에 형성되고, 상면에 개구되어 삽입부(120)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수용공간(130)이 형성되며, 전단에 삽입공(140)이 형성된 본체(100);
장식줄(2)의 타단에 결합되며, 일측에는 상기 본체(100)의 삽입공(140)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텅(220)이 형성된 버클부(200);
본체(100)의 수용공간(130)에 삽입되며 힌지(310) 결합되어 회전되며, 일단에는 상기 텅(220)에 결합되는 후크(320)가 돌출 형성된 걸림부(30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0)는 장식줄(2)이 전체적으로 목 또는 팔목에 감기도록 착용되는 것이므로 목 또는 팔목의 곡률을 고려하여 호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본체(100)는 수용공간(130)의 내측 저면에 호형안착홈(162)이 형성된 하부단턱(164)이 형성된다.
본체(100)의 양측벽에 핀홀(161)이 형성되되 핀홀(161)은 호형안착홈(162)의 중심에 형성되고, 걸림부(300)의 힌지(310)와 일치된 후 핀(165)이 힌지(310)와 핀홀(161)을 관통하여 결합됨으로써 걸림부(300)의 회전 작동이 가능해진다.
아울러 본체(100)는 버클부(200)의 텅(220)의 하부면이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받침부(160)에 내측 저면의 상면에 돌출되어 평평하게 형성되며, 받침부(160)와 통하며 삽입공(140)의 하부에 형성되는 단턱(150)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본체(100)는 하부단턱(164)의 타측에 탄성체(170)가 수직으로 장착된다. 탄성체(170)의 상부는 걸림부(300)의 저면에 지지됨으로써 걸림부(300)를 탄성 지지하게 된다.
버클부(200)는 텅(220)이 본체(100)의 받침부(160)에 접하도록 삽입공(140)을 삽입되도록 소정 길이로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텅(220)의 상부에는 후크(320)가 결합되도록 후크홈(222)이 형성된다.
후크홈(222)은 한개 또는 여러개 형성될 수 있어 텅(220)이 본체(100)에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하거나 후크(320)가 여러개의 후크홈(222)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텅(220)의 결합되는 위치 설정이 가능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텅(220)의 길이를 이용하여 장식줄(2)의 길이 조절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버클부(200)의 타단부에는 장식줄(2)의 타단이 결합되도록 끼움홈(230)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230)에는 걸림핀(165)이 가로질러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대응하여 장식줄(2)의 타단, 즉 2번째 체인(2-2)에는 버클부(200)의 끼움홈(230)으로 삽입되어 걸림핀(165)에 걸려져 연결되는 제2 걸고리(2-21)가 일단에 형성된다.
아울러 2번째 체인(2-2)의 일측에는 상기 제2 걸고리(2-11)에 대칭되어 홈(2-22)이 형성되고, 홈(2-22)을 가로질러 바(2-23)가 형성됨으로써 연속적으로 3번째 체인(2-3)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본체(100)의 받침부(160)는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제1 자성체(M1)가 매립되고, 상기 텅(220)에는 제2 자성체(M2)가 매립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텅(220)이 본체(100)에 삽입되어 받침부(160)에 얹혀지면 제1,2 자성체(M1,M2)가 자착됨으로써 텅(220)의 결합력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A")에 따르면, 본체(100)의 받침부(16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버클부(200)의 텅(220)과 탈착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받침부(160)는 일단에 축핀(165)이 결합되어 본체(100)의 측면에 관통되어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받침부(160)는 축핀(165)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본체(100)의 하부를 개폐시킬 수 있다.
또한 받침부(160)의 양측에 돌기(165)가 형성되고, 본체(100)의 측면 내측에는 돌기홈(103)이 각기 형성됨으로써 받침부(160)를 본체(100)의 하부에 닫아 폐쇄시켰을때 받침부(160)의 돌기(165)가 돌기홈(103)에 결합되어 일시적으로 고정력을 갖도록 한다.
이렇게 받침부(160)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체(100)의 내부에 대한 소제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고, 또한 걸림부(300)를 해제 작동시키지 않더라도 버클부(200)의 분리가 가능해질 수 있어 급한 경우 분리 조작이 가능해진다.
한편 전술한 본체(100), 버클부(200), 걸림부(300) 각각은 상부에 보석이 결합되는 보석고정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석고정부(400)는 보석을 안착하고 외주면을 지지함으로써 견고하고 고정된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보석이 안착되도록 수평의 링형상으로 된 시트(420)와, 상기 시트(420)의 외주연에 원주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복수개의 클립(4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석의 하부를 시트(420)에 안착한 후 복수개의 클립(440)을 절곡시켜 보석에 밀착되도록 하여 고정력을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A')에 따르면, 본체(100)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텅(220)을 미는 힘을 발휘하는 보조스프링(190);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스프링(190)은 호형안착홈(162)이 형성된 하부단턱(164)의 일단에 돌출된 끼움핀(192)에 일단이 끼움결합되고 타단은 텅(220)의 전방에 형성된 삽입홈(223)에 삽입되도록 한다.
텅(220)의 전방은 하부면에 소정 길이와 깊이를 갖도록 절개하여 삽입홈(223)이 형성되고, 삽입홈(223)의 내측면에는 보조스프링(190)의 타단이 끼워지는 돌기(165)가 형성된다.
따라서 보조스프링(190)이 본체(100)의 받침부(160)에 수평으로 배치되고, 텅(220)을 본체(100)의 내부에 끼워넣으면 보조스프링(190)의 타단이 삽입홈(223)에 삽입되면서 압축된다.
이후 걸림부(300)의 후크(320)가 텅(220)의 후크홈(222)에 결합되어 잠금상태가 되고, 보조스프링(190)은 압축된 상태이므로 텅(220)을 밀어내려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걸림부(300)를 해제작동시켜 후크(320)가 후크홈(222)에서 이탈되면 보조스프링(190)이 신장되면서 텅(220)을 외부로 밀어내므로 버클부(200)의 분리가 보다 쉽게 실행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2 : 장식줄 100 : 본체
110 ; 제1 걸고리 120 : 삽입부
130 : 수용공간 140 : 삽입공
200 : 버클부 220 ; 텅
222 : 후크홈 230 : 끼움홈
300 : 걸림부 310 : 힌지
320 : 후크 400 : 보석고정부

Claims (3)

  1. 보석이 부착된 장식줄의 일단과 타단을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장식줄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1 걸고리가 후단 외면에 형성되고, 상면에 개구되어 삽입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전단에 삽입공이 형성된 본체;
    상기 장식줄의 타단에 결합되며, 일측에는 상기 본체의 삽입공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텅이 형성된 버클부;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에 삽입되며 힌지부에 의해 결합되어 회전되며, 일단에는 상기 텅에 결합되는 후크가 돌출 형성된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는
    수용공간의 내측 저면에 호형안착홈이 형성된 하부단턱이 형성되고, 양측벽에 핀홀이 형성되며, 텅의 하부면이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받침부가 내측 저면의 상면에 돌출되어 평평하게 형성되고, 받침부와 통하며 삽입공의 하부에 형성되는 단턱이 형성되며, 하부단턱의 타측에는 걸림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가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버클부는
    상기 텅이 본체의 받침부에 접하도록 삽입공을 삽입되도록 소정 길이로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텅의 상부에는 후크가 결합되도록 후크홈이 형성되고,
    상기 버클부의 타단부에는 장식줄의 타단이 결합되도록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에는 걸림핀이 가로질러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장식줄의 타단에는 버클부의 끼움홈으로 삽입되어 걸림핀에 걸려져 연결되는 제2 걸고리가 일단에 형성된 것이고,
    상기 본체의 받침부는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제1 자성체가 매립되고, 상기 텅에는 제2 자성체가 매립되어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본체의 받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버클부의 텅과 탈착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받침부는 일단에 축핀이 결합되어 본체의 측면에 관통되어 힌지 결합되고,
    받침부의 양측에 돌기가 형성되고, 본체의 측면 내측에는 돌기홈이 각기 형성되어 받침부의 돌기가 돌기홈에 결합되어 고정력을 갖도록 한 것이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텅을 미는 힘을 발휘하는 보조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스프링은 호형안착홈이 형성된 하부단턱의 일단에 돌출된 끼움핀에 일단이 끼움결합되고 타단은 텅의 전방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걸이 구조를 활용한 악세사리 체결구.
  2. 삭제
  3. 삭제
KR1020230122004A 2023-09-13 이중 걸이 구조를 활용한 악세사리 체결구 KR102666294B1 (k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6294B1 true KR102666294B1 (ko) 2024-05-16

Family

I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25021A (ja) * 2009-07-03 2011-02-10 Masahiro Hoshino アクセサリ用クラスプ
KR101549948B1 (ko) * 2015-04-06 2015-09-03 (주)렉스다이아몬드 착탈이 용이한 장신구용 체결장치
KR101925869B1 (ko) * 2018-03-30 2019-02-26 이영철 장신구용 체결장치
KR200492761Y1 (ko) * 2020-04-14 2020-12-04 김동구 장신구 체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25021A (ja) * 2009-07-03 2011-02-10 Masahiro Hoshino アクセサリ用クラスプ
KR101549948B1 (ko) * 2015-04-06 2015-09-03 (주)렉스다이아몬드 착탈이 용이한 장신구용 체결장치
KR101925869B1 (ko) * 2018-03-30 2019-02-26 이영철 장신구용 체결장치
KR200492761Y1 (ko) * 2020-04-14 2020-12-04 김동구 장신구 체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2212B2 (en) Finger rings with interchangeable or movable settings and attachable charms
US5197168A (en) Magnetic jewelry closures with wire safety clasp
US7654110B2 (en) Split piece of jewelry
US6422036B1 (en) Jewelry clasp
US9364051B2 (en) Decorative system with fasteners and interchangeable connectors
US3983716A (en) Jewelry lock with at least one hitch for suspending pieces of jewelry
US20060236509A1 (en) Magnetically Clasping Clothing Fastener for Presenting an Adornment
CN110366696B (zh) 用于眼镜的镜腿装饰物套件
US5950815A (en) Universal frame for mounting earrings and other jewelry
US6810685B2 (en) Jewelry fastener assembly
US20100257898A1 (en) Magnetic Jewelry Clasp and Interchangeable Pendant System
US20040177647A1 (en) Body member encircling jewelry with exchangeable ornament setting
US6898950B2 (en) Set of jewelry
KR102666294B1 (ko) 이중 걸이 구조를 활용한 악세사리 체결구
US7481075B2 (en) Jewelry piece with a replaceable-exchangeable setting and attachment mechanism and setting apparatus therefor
US3543535A (en) Jewelry article base combined with detachable ornament mounting
US605318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jewelry to hair
KR100880951B1 (ko) 장신구연결장치
DK1916921T3 (en) Interchangeable jewelry effort and element for taking action
JPH09224724A (ja) 指 輪
US7155782B2 (en) Reversible fastener
US8201417B1 (en) Jewelry mount with safety catch
CN207136431U (zh) 用于饰件的连接件
WO2015123649A1 (en) Lanyard system
US20140363227A1 (en) Article, Interchangeable Component, And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