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0951B1 - 장신구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장신구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0951B1
KR100880951B1 KR1020080009960A KR20080009960A KR100880951B1 KR 100880951 B1 KR100880951 B1 KR 100880951B1 KR 1020080009960 A KR1020080009960 A KR 1020080009960A KR 20080009960 A KR20080009960 A KR 20080009960A KR 100880951 B1 KR100880951 B1 KR 100880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button
receiving
hol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9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수
이창오
Original Assignee
이창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오 filed Critical 이창오
Priority to KR1020080009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09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0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0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2Link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0/00General types of fasteners
    • A44D2200/10Details of construction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걸이, 팔찌, 발찌와 같이 장식줄을 가진 장신구를 서로 연결할 때 사용하기에 편리하고 미감을 높힐 수 있도록 한 장신구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장치는 일정한 수용공간을 가지고, 그 수용공간의 상단이 개방되며, 측면 일단에는 삽입부를 수용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며, 측면 타단에는 장신구줄이 연결되며, 정면 중앙에는 힌지부를 위한 2개의 외부힌지홀이 형성되며, 수용공간 하단에는 삽입부의 원활한 이동을 돕기 위한 볼록한 레일이 형성된 수용부; 하단에는 상기 삽입부에 걸 수 있는 요자(凹字) 걸쇠, 중앙에는 상기 수용부의 힌지홀에 대응된 내부힌지홀, 상단에는 사용자가 누를 수 있도록 볼록하게 형성된 버튼부; 상단에는 턱이 생기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양측면을 깍아서 상기 요자(凹字) 걸쇠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철자(凸字)걸쇠가 형성되고, 저면에는 상기 볼록한 레일에 대응된 오목한 홈이 형성된 삽입부; 외부힌지홀, 내부힌지홀에 힌지핀이 끼워져 상기 버튼부가 일정 각도로 회동하도록 한 힌지부; 기역자형 스프링 일단이 상기 수용부 하단에 위치하도록 하고, 타단이 상기 버튼부 저면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버튼부를 눌렀다가 손을 떼면 원 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장신구연결장치

Description

장신구연결장치{accessories coupling device}
본 발명은 장신구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목걸이, 팔찌, 발찌와 같이 장식줄을 가진 장신구를 서로 연결할 때 사용하기에 편리하고 미감을 높힐 수 있도록 한 장신구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장신구 연결장치를 살펴본다.
1999년 12월 17일자로 출원된 실용신안 "목걸이체결구조(20-1999-0028622호)"가 개시된 바 있다.
공보에 따르면, "목걸이 체결구조에 있어서, 일측으로 길게 개방된 수납부가 형성되고 일단에 장식줄의 일단이 결합되는 고정핀이 구비되며 타단에 상기 수납부와 연결된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중앙부분에 결합구멍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수납부에 삽입되고 중앙에 힌지구멍이 형성되며 일단에 걸림턱이 형성되며 타단에 상기 수납부 외측으로 돌출되는 누름부가 구비되는 버튼과, 상기 몸체의 결합구멍과 버튼의 힌지구멍에 삽입되는 힌지핀과, 상기 버튼의 누름부와 몸체의 수납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누름부를 수납부 외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인장스프링과, 일 단에 상기 몸체의 관통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버튼의 걸림턱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는 후크가 구비되고 타단에 장식줄의 타단이 결합되는 고정핀이 구비되는 체결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2006년03월18일자로 출원된 실용신안 "목걸이 체결구조(20-2006-0007295호)"가 개시된 바 있다.
공보에 따르면, "목걸이 체결구조는 일측으로 길게 개방된 수납부(18)가 구비되고 타단의 상기 수납부(16) 와 연결된 관통구멍(12)이 형성되며 중앙부분에 결합구멍(14)이 형성된 몸체(13)와, 상기몸체(13)의 수납부(16)에 삽입되고 중앙에 힌지구멍(18)이 형성되며 일단에 걸림기둥(19)이 형성되며 타단의 상기수납부(16) 외측으로 돌출되는 누름부(20)가 구비되는 버튼(21)과, 상기몸체(13)의 결합구멍(14)과 버튼(21)의 힌지구멍(18)에 삽입되는 힌지핀(25)과, 상기버튼(17)의 누름부(20)와 몸체(13)의 수납부(16)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누름부(20)를 수납부(16) 외측으로 탄성지지하는 비틀림스프링(17)과, 일단에 몸체(13)의 관통구멍(12)에 삽입되어 상기버튼(21)의 걸림기둥(19)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는 걸림구멍(11)가 구비되는 체결구(2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장신구 연결장치는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목걸이나 팔찌와 같이 사용자가 보지 않고도 착탈할 수 있는 편리한 구조로 설계되어 있지 않아서, 관통구멍에 후크를 끼울때 눈으로 보면서 잘 맞춰서 삽입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예를 들어, 목걸이에 적용된 경우에 사용자는 손을 목 뒤로 한 후 착탈하기 때문에 후크가 뒤집힌 상태에서도 관통구멍에 끼울 때 사용자가 뒤집힌 상태라는 감을 잡을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원형스프링을 구비하였기 때문에 탄성이 작아서 고정상태가 견고하지 못한 단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탄성력을 높혀서 고정상태가 견고하도록 설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연결장치 자체가 길게 설계되었기 때문에 기능보다 미감을 더 중요시하는 장신구의 디자인범위를 축소시키거나 훼손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넷째, 비틀림 스프링을 사용한 종래 기술은 착탈시 장신구 특유의 미감을 살릴 수 있도록 한 마감구조가 아닐 뿐만 아니라, 걸림구멍에 걸림기둥을 끼우는 방식이므로 사용한지 얼마되지 않아서 결합상태에서 흔들리고, 쉽게 마모되는 등의 내구성이 좋지 못한 단점이 있다.
더욱이, 장신구분야에서는 처음부터 끝까지 모두 수작업에 의해서 세공하기 때문에 대한민국의 경우, 작업생산성이 취약하여 갈수록 높아지는 인건비용을 상쇄시킬 수 있는 특화된 부품의 개발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기도 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보지 않고도 감각적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하고, 탄성력을 높혀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장신구 특유의 미감을 줄 수 있는 구조로 설계하며, 내구성을 증대시킨 장신구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정한 수용공간을 가지고, 그 수용공간의 상단이 개방되며, 측면 일단에는 삽입부를 수용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며, 측면 타단에는 장신구줄이 연결되며, 정면 중앙에는 힌지부를 위한 2개의 외부힌지홀이 형성되며, 수용공간 하단에는 삽입부의 원활한 이동을 돕기 위한 볼록한 레일이 형성된 수용부; 하단에는 상기 삽입부에 걸 수 있는 요자(凹字) 걸쇠, 중앙에는 상기 수용부의 힌지홀에 대응된 내부힌지홀, 상단에는 사용자가 누를 수 있도록 볼록하게 형성된 버튼부; 상단에는 턱이 생기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양측면을 깍아서 상기 요자(凹字) 걸쇠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철자(凸字)걸쇠가 형성되고, 저면에는 상기 볼록한 레일에 대응된 오목한 홈이 형성된 삽입부; 외부힌지홀, 내부힌지홀에 힌지핀이 끼워져 상기 버튼부가 일정 각도로 회동하도록 한 힌지부; 기역자형 스프링 일단이 상기 수용부 하단에 위치하도록 하고, 타단이 상기 버튼부 저면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버튼부를 눌렀다가 손을 떼면 원 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기역자형 스프링을 상기 힌지부의 양측면에 각각 하나씩 배치하여 전체적으로 2개의 기역자형 스프링이 구비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수용부 하단에 형성된 볼록한 레일은 입구에서 안쪽으로 들어갈수록 높아지다가 일정 높이를 유지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사용자가 눈으로 보지 않고도 직감에 의해 착탈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기역자형 스프링에 의한 견고한 결합을 가지도록 하여 품질을 높힐 수가 있고, 연결장치가 길게 설계되지 않아서 장신구 특유의 디자인범위를 더욱더 증대시켜 미감을 높힐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더욱이, 장신구 분야에서 특화된 부품을 제공함으로써 세공업체의 분업화를 기함으로써 제품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간접적인 장점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 1 실시예
제 1 실시예는 사각(rectangle) 형상으로 구현된 장신구연결장치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연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장신구연결장치(10)는 대략 수용부(12), 버튼부(14), 삽입부(16), 힌지부(18), 기역자형 스프링(20)으로 이루어진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연결장치를 더욱더 자세히 살펴본다.
1)수용부
수용부(12)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고, 그 수용공간의 상단이 개방되며, 측면 일단에는 상기 삽입부(16)를 수용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며, 측면 타단에는 장신구줄(미도시)이 연결되며, 정면 중앙에는 상기 힌지부(18)를 위한 2개의 외부 힌지홀(12b)이 형성되며, 수용공간 하단에는 상기 삽입부(16)의 원활한 이동을 돕기 위한 볼록한 레일(12a)이 형성된다.
2)버튼부
버튼부(14)의 하단에는 상기 삽입부(16)에 걸 수 있는 요자(凹字) 걸쇠(14a), 중앙에는 상기 수용부(12)의 힌지홀(12b)에 대응된 내부힌지홀(14b), 상단에는 사용자가 누르기에 편리하도록 볼록하게 형성된다.
3)삽입부
삽입부(16)의 상단에는 턱이 형성되어 있고, 그 양측면을 깍아서 상기 요자(凹字) 걸쇠(14a)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철자(凸字)걸쇠(16a)가 형성되고, 저면에는 상기 볼록한 레일에 대응된 오목한 홈이 형성된다.
4)힌지부
상기 외부힌지홀(12b), 상기 내부힌지홀(14b)에 힌지핀(18a)이 끼워져 상기 버튼부(14)가 일정 각도로 회동하도록 한다.
5)기역자형 스프링
상기 기역자형 스프링(20)의 일단이 상기 수용부(12) 하단에 위치하도록 하고, 타단이 상기 버튼부(14) 저면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버튼부(14)를 눌렀다가 손을 떼면 원 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진 장신구연결장치를 조립하면, 도 1과 같은 외관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연결장치를 사용자가 외부에서 눌렀을 경우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연결장치를 사용자가 외부에서 누르지 않았을 경우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즉, 사용자가 버튼부(14)를 누르면 힌지부의 회동범위 내에서 상기 버튼부(14)의 좌측 부분이 내려가고 우측부분이 들려지므로 우측부분에 형성된 요자(凹字)걸쇠(14a)가 올라가며, 기역자형스프링(20)은 최저각도를 이루면서 탄성력이 발생된다.
이 상태에서 삽입부(16)를 상기 수용부(12)에 끝까지 삽입시키면 삽입부(16) 저면의 오목한 홈이 수용부(12) 저면의 볼록한 레일(12a)을 따라 수용되고, 사용자가 버튼부(14)를 누르지 않으면 기역자형스프링(20)에 발생된 탄성력으로 인해 버튼부(14)의 좌측부분이 올라가고 우측부분이 내려가므로 상기 버튼부(14)의 요자(凹字)걸쇠(14a)가 상기 삽입부(16)의 철자(凸字)걸쇠(16a)와 서로 맞물리게 된다.
이러한 상기 버튼부(14)와 상기 삽입부(16)의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요철(凹凸)결합으로 인해 상기 버튼부(14)를 사용자가 누르기 전까지 이탈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용부(12)의 외부 타단에는 장신구의 일단을 연결시키고, 상기 삽입부(16)의 외부 일단에는 장신구의 타단을 연결시키면, 목걸이, 팔찌, 발찌의 줄을 편리하게 잠그거나 풀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수용부(12)의 외부 타단과 상기 삽입부(16)의 외부 일단에 목걸이, 팔찌, 발찌의 줄을 연결시키는 방법은 납땜, 고리를 이용하여 거는 형태 등과 같이 종래에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여도 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제 2 실시예
제 2 실시예는 보트(boat) 형상으로 구현된 장신구연결장치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연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장신구연결장치(30)는 대략 수용부(32), 버튼부(34), 삽입부(36), 힌지부(38), 기역자형 스프링(40)으로 이루어진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연결장치를 자세히 살펴본다.
1)수용부
수용부(32)는 일정한 수용공간을 가지고, 그 수용공간의 상단이 개방되며, 측면 일단에는 상기 삽입부(36)를 수용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며, 측면 타단에는 장신구줄(미도시)이 연결되며, 정면 중앙에는 상기 힌지부(38)를 위한 2개의 외부힌지홀(32b)이 형성되며, 수용공간 하단에는 상기 삽입부(36)의 원활한 이동을 돕기 위한 볼록한 레일(32a)이 형성된다.
2)버튼부
버튼부(34)의 하단에는 상기 삽입부(36)에 걸 수 있는 요자(凹字) 걸쇠(34a), 중앙에는 상기 수용부(32)의 힌지홀(32b)에 대응된 내부힌지홀(34b), 상단에는 사용자가 누를 수 있도록 볼록하게 형성된다.
3)삽입부
삽입부(36)의 상단에는 턱이 생기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양측면을 깍아서 상기 요자(凹字) 걸쇠(34a)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철자(凸字)걸쇠(36a)가 형성되고, 저면에는 상기 볼록한 레일에 대응된 오목한 홈이 형성된다.
4)힌지부
상기 외부힌지홀(32b), 상기 내부힌지홀(34b)에 힌지핀(38a)이 끼워져 상기 버튼부(34)가 일정 각도로 회동하도록 한다.
5)기역자형 스프링
상기 기역자형 스프링(40)의 일단이 상기 수용부(32) 하단에 위치하도록 하고, 타단이 상기 버튼부(34) 저면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버튼부(34)를 눌렀다가 손을 떼면 원 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진 장신구연결장치를 조립하면, 도 5와 같은 외관을 가지게 되고,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버튼부(34)와 상기 삽입부(36)의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요철(凹凸)결합으로 인해 상기 버튼부(34)를 사용자가 누르기 전까지 이탈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용부(32)의 외부 타단에는 장신구의 일단을 연결시키고, 상기 삽입부(36)의 외부 일단에는 장신구의 타단을 연결시키면, 목걸이, 팔찌, 발찌의 줄을 편리하게 잠그거나 풀 수 있게 된다.
제 3 실시예
제 3 실시예는 타원(oval) 형상으로 구현된 장신구연결장치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연결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로서, 장신구연결장치(50)는 대략 수용부(52), 버튼부(54), 삽입부(56), 힌지부(58), 기역자형 스프링(60)으로 이루어진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연결장치를 자세히 살펴본다.
1)수용부
수용부(52)는 일정한 수용공간을 가지고, 그 수용공간의 상단이 개방되며, 측면 일단에는 상기 삽입부(56)를 수용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며, 측면 타단에는 장신구줄(미도시)이 연결되며, 정면 중앙에는 상기 힌지부(58)를 위한 2개의 외부힌지홀(52b)이 형성되며, 수용공간 하단에는 상기 삽입부(56)의 원활한 이동을 돕기 위한 볼록한 레일(52a)이 형성된다.
2)버튼부
버튼부(54)의 하단에는 상기 삽입부(56)에 걸 수 있는 요자(凹字) 걸쇠(54a), 중앙에는 상기 수용부(52)의 힌지홀(52b)에 대응된 내부힌지홀(54b), 상단에는 사용자가 누를 수 있도록 볼록하게 형성된다.
3)삽입부
삽입부(56)의 상단에는 턱이 생기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양측면을 깍아서 상기 요자(凹字) 걸쇠(54a)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철자(凸字)걸쇠(56a)가 형성되고, 저면에는 상기 볼록한 레일에 대응된 오목한 홈이 형성된다.
4)힌지부
상기 외부힌지홀(52b), 상기 내부힌지홀(54b)에 힌지핀(58a)이 끼워져 상기 버튼부(54)가 일정 각도로 회동하도록 한다.
5)기역자형 스프링
상기 기역자형 스프링(60)의 일단이 상기 수용부(52) 하단에 위치하도록 하고, 타단이 상기 버튼부(54) 저면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버튼부(54)를 눌렀다가 손을 떼면 원 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진 장신구연결장치를 조립하면, 도 9와 같은 외관을 가지게 되고,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 11 및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버튼부(54)와 상기 삽입부(56)의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요철(凹凸)결합으로 인해 상기 버튼부(54)를 사용자가 누르기 전 까지 이탈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용부(52)의 외부 타단에는 장신구의 일단을 연결시키고, 상기 삽입부(56)의 외부 일단에는 장신구의 타단을 연결시키면, 목걸이, 팔찌, 발찌의 줄을 편리하게 잠그거나 풀 수 있게 된다.
한편,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의 수용부 하단에 형성된 볼록한 레일은 도 1, 도 5, 도 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입구에서 안쪽으로 들어갈수록 높아지다가 일정 높이를 유지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삽입부의 삽입이 원활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연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연결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연결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연결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연결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연결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연결장치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연결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연결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Claims (3)

  1. 수용부(12), 버튼부(14), 삽입부(16), 힌지부(18), 기역자형 스프링(20)으로 이루어진 장신구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12)는 일정한 수용공간을 가지고, 그 수용공간의 상단이 개방되며, 측면 일단에는 상기 삽입부(16)를 수용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며, 측면 타단에는 장신구줄(미도시)이 연결되며, 정면 중앙에는 상기 힌지부(18)를 위한 2개의 외부힌지홀(12b)이 형성되며, 수용공간 하단에는 상기 삽입부(16)의 원활한 이동을 돕기 위한 볼록한 레일(12a)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부(14) 하단에는 상기 삽입부(16)에 걸 수 있는 요자(凹字) 걸쇠(14a), 중앙에는 상기 수용부(12)의 힌지홀(12b)에 대응된 내부힌지홀(14b), 상단에는 사용자가 누를 수 있도록 볼록하게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16) 상단에는 턱이 생기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양측면을 깍아서 상기 요자(凹字) 걸쇠(14a)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철자(凸字)걸쇠(16a)가 형성되고, 저면에는 상기 볼록한 레일(12a)에 대응된 오목한 홈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부(18)는 상기 외부힌지홀(12b), 상기 내부힌지홀(14b)에 힌지핀(18a)이 끼워져 상기 버튼부(14)가 일정 각도로 회동하도록 하며,
    상기 기역자형 스프링(20) 일단이 상기 수용부(12) 하단에 위치하도록 하고, 타단이 상기 버튼부(14) 저면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버튼부(14)를 눌렀다가 손을 떼면 원 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며,
    상기 수용부 하단에 형성된 볼록한 레일은 입구에서 안쪽으로 들어갈수록 높아지다가 일정 높이를 유지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장신구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역자형 스프링을 상기 힌지부의 양측면에 각각 하나씩 배치하여 전체적으로 2개의 기역자형 스프링이 구비된 장신구연결장치.
  3. 삭제
KR1020080009960A 2008-01-31 2008-01-31 장신구연결장치 KR100880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960A KR100880951B1 (ko) 2008-01-31 2008-01-31 장신구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960A KR100880951B1 (ko) 2008-01-31 2008-01-31 장신구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0951B1 true KR100880951B1 (ko) 2009-02-04

Family

ID=40680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9960A KR100880951B1 (ko) 2008-01-31 2008-01-31 장신구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095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218Y1 (ko) 2013-05-03 2013-07-30 김희학 장신구
KR200492761Y1 (ko) 2020-04-14 2020-12-04 김동구 장신구 체결장치
KR102258284B1 (ko) * 2020-08-18 2021-05-28 윤형욱 탈착형 네일 악세서리 모듈
KR200494853Y1 (ko) * 2021-08-06 2022-01-10 김정식 부침요리용 뒤집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837Y1 (ko) * 1999-11-09 2000-04-15 한경식 치장용 줄 연결고리의 착탈구조
KR200417916Y1 (ko) * 2006-03-18 2006-06-02 이재흥 목걸이 체결구조
KR100802100B1 (ko) 2007-11-08 2008-02-11 이창수 체인형 장신구의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837Y1 (ko) * 1999-11-09 2000-04-15 한경식 치장용 줄 연결고리의 착탈구조
KR200417916Y1 (ko) * 2006-03-18 2006-06-02 이재흥 목걸이 체결구조
KR100802100B1 (ko) 2007-11-08 2008-02-11 이창수 체인형 장신구의 잠금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218Y1 (ko) 2013-05-03 2013-07-30 김희학 장신구
KR200492761Y1 (ko) 2020-04-14 2020-12-04 김동구 장신구 체결장치
KR102258284B1 (ko) * 2020-08-18 2021-05-28 윤형욱 탈착형 네일 악세서리 모듈
KR200494853Y1 (ko) * 2021-08-06 2022-01-10 김정식 부침요리용 뒤집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7189B1 (ko) 귀걸이
KR101426023B1 (ko) 장신구의 탄성식 연결기구
KR100802100B1 (ko) 체인형 장신구의 잠금장치
US6328188B1 (en) Adjustable linkage for a watchband
US5410784A (en) Interchangeable clasp
KR100880951B1 (ko) 장신구연결장치
KR101577599B1 (ko) 장신구의 잠금구조
US6898950B2 (en) Set of jewelry
JP5433296B2 (ja) アクセサリ用のクラスプ
US6272836B1 (en) Adjustable linkage for a watchband
US7117567B1 (en) Two-part connecting zipper pull
KR102077916B1 (ko) 초기 걸림기능이 내재된 장신구의 연결구조
US8833103B2 (en) Hoop earring locker
KR101991792B1 (ko) 장신구의 체결장치
CN208243061U (zh) 一种方便组合的饰件
US20140363227A1 (en) Article, Interchangeable Component, And System
KR100845208B1 (ko) 장신구 연결장치
JP5148226B2 (ja) 装飾品用駒および装飾品
KR101924512B1 (ko) 장신구용 연결구
KR102666294B1 (ko) 이중 걸이 구조를 활용한 악세사리 체결구
KR200467928Y1 (ko) 장신구 모듈
KR200210901Y1 (ko) 장신구용 체결장치
KR100528978B1 (ko) 체결용 버클
KR101806030B1 (ko) 잠금장치를 가지는 장식부재
US20240049842A1 (en) Str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