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9837Y1 - 치장용 줄 연결고리의 착탈구조 - Google Patents

치장용 줄 연결고리의 착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9837Y1
KR200179837Y1 KR2019990024413U KR19990024413U KR200179837Y1 KR 200179837 Y1 KR200179837 Y1 KR 200179837Y1 KR 2019990024413 U KR2019990024413 U KR 2019990024413U KR 19990024413 U KR19990024413 U KR 19990024413U KR 200179837 Y1 KR200179837 Y1 KR 2001798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member
cover
coupling
connecting r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44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경식
Original Assignee
한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경식 filed Critical 한경식
Priority to KR20199900244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98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98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98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1/00Watch chains; Ornamental chains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치장용 줄 연결고리의 착탈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신체의 치장용품으로 착용되는 치장용품의 줄 연결고리 양측 단부에서 일측에는 제1연결부재를 결합하고, 타측에는 제2연결부재를 결합하여 제1연결부재에 제2연결부재를 결합하고자 할때에는 자연스럽게 결합을 할 수 있고, 분해를 하고자 할때에는 손쉽게 분해할 수는 있으나 강제적으로는 분해가 잘되지 않도록 이중 안전장치를 설치하여 치장용품의 분실을 방지하고 고가의 치장용품에 널리 사용하고자 하는 치장용 줄 연결고리의 착탈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장용 줄 연결고리의 착탈구조{Removable Structure of a Connecting Link for Personal Adornment}
본 고안은 치장용 줄 연결고리의 착탈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신체의 치장용품으로 착용되는 치장용품의 줄 연결고리 양측 단부에서 일측에는 제1연결부재를 결합하고, 타측에는 제2연결부재를 결합하여 제1연결부재에 제2연결부재를 결합하고자 할때에는 자연스럽게 결합을 할 수 있고, 분해를 하고자 할때에는 손쉽게 분해할 수는 있으나 강제적으로는 분해가 잘되지 않도록 이중 안전장치를 설치하여 치장용품의 분실을 방지하고 고가의 치장용품에 널리 사용하고자 하는 치장용 줄연결고리의 착탈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바와 같은 종래의 지장용 줄 연결고안의 착탈구조는 치장용품의 연결용 줄의 일측에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10)의 내측에는 고정핀(11)을 설치하고, 외측에는 보조 연결고리 걸림구(12)를 설치하며, 제2연결부재(20)에는 경사면(21)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22)에 결합공(23)과 누름부(24)를 일체로 설치하고, 외측에는 보조 연결고리(25)를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있다.
상기와 같은 치장용 연결고리의 착탈구조를 결합 하고자 할때에는 도 2에 도시한바와 같이 제1연결부재(10)의 끼움부의 입구(13)에 제2연결부재(20)의 경사면 (21)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22)를 밀어넣으면 경사면(21)에 의하여 자연 스럽게 미끄러지면서 결합이 되면서 제1연결부재(10)의 내측에 설치된 고정핀(11)이 제2연결부재(20)에서 탄성부재(22)의 외측 단부에 있는 결합공(23)에 의하여 결합을 한 후 제2연결 부재(20)의 외측에 설치된 보조 연결고리(25)를 제1연결부재(10)의 보조 연결고리 걸림구(12)에 결합을 하기에는 손 쉬우나 제1연결부재(10)와 제2연결부재(20)를 분해하고자 할때에는 도 3에 도시한바와 같이 제2연결부재(20)의 누름부(24)를 살짝 누른면 경사면(21)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22)가 압착을 할때 탄성부재(22)의 결합공(23)에서 제1연결부재(10)의 고정핀(11)이 이탈을 하게되면 이때 제1연결 부재(10)와 제2연결부재(20)를 분해를 하면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연결고리의 착탈구조에서는 결합은 손쉬우나 분해를 하고자 할때에는 매우 번잡스럽고 또한, 제2연결부재(20)에 설치된 경사면(21)과 누름부(24)가 일체 형성된 탄성부재(22)로 구성되어 자주 결합,분해를 하게되면 탄성부재(22)가 연성의 재질인 경우는 일측의 경사면(21a)과 타측 경사면(21b)의 거리간격(26)이 좁아지면서 탄성 복원력이 저하되어 누름부(24)을 자주 외측으로 벌어지게 하여 탄성복원력을 지탱 하도록 하면서 일정한 거리간격(26)을 유지 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치장품의 줄을 연결하는 링형으로 구성된 연결고리의 착탈구조는 일측에는 링내부에 탄성 스프링과 누름돌기를 결합하고, 타측에는 연결고리를 설치하여 링 내부에 연결고리를 결합,분해 하고자 할때에는 누름돌기를 스프링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링의 공간부로 연결고리를 결합하거나 분해 하기에는 손쉬워서 고가품인 치장용품이 분실되는 염려가 있으며 단순한 결합구조로 널리 사용되고 고가품의 치장용품으로 사용하기에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해소하고자 안출 한것으로 신체의 치장용품으로 착용되는 치장용품 줄 연결고리의 양측 단부에서 일측에는 제1연결부재(10)를 결합하고, 타측에는 제2연결부재(20)를 결합하여 제1연결부재(10)에 제2연결부재(20)를 결합,분해 하고자 할때에는 손쉽고 자연스럽게 결합,분해를 할 수 있도록 제1연결부재(10)의 프레임(30)과 덮개(40)의 입구(70) 내부에 가이드 리브(31)와 결속돌기(41)를 설치하고, 제2연결부재(20)의 전면에 설치된 결합부재 (51)의 상면을 경사면(52)으로 형성하고, 저면에는 슬라이드공(53)과 단부에는 결속홈(54)을 형성하며 외측에서 제2연결부재(20)의 설치된 보조연결고리(55)를 제1연결부재(10)의 보조연결고리 고정핀(45)에 의하여 결합,분해를 할 수 있도록된 것으로 결합은 손쉬우나 강제적으로는 분해가 잘되지 않도록 이중 안전장치인를 설치하여 치장용품의 분실을 방지하고 고가의 치장용품에 널리 사용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치장용 줄 연결고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치장용 줄 연결고리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치장용 줄 연결고리를 분해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치장용 줄 연결고리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치장용 줄 연결고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치장용 줄 연결고리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치장용 줄 연결고리의 결합상태에서 분해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치장용 줄 연결고리에서 도5의 A -A선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치장용 연결고리에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치장용 줄 연결고리를 치장용품에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1연결부재 20 : 제2연결부재 30 : 프레임
31 : 가이드 리브 32 : 복원스프링
33 : 제1힌지부 연결부재 34 : 유입공 41 : 결속돌기
42 : 개폐용 고리 43 : 제2힌지부 연결부재 44 : 유입공
45 : 보조연결고리 고정핀 46 : 치장용 줄 연결고리
51 : 결합부재 52 : 경사면
53 : 슬라이드공 54 : 결속홈
55 : 보조연결고리 56 : 치장용 줄 연결고리 60 : 고정핀
70 : 입구 100 : 연결고리 본체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의 치장용 줄 연결고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치장용 줄 연결고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치장용 줄 연결고리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치장용 줄 연결고리의 결합상태에서 분해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치장용 줄 연결고리에서 도5의 A -A선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치장용 연결고리에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치장용 줄 연결고리를 치장용품에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고안은 신체의 치장용품으로 착용하는 치장용품의 줄 연결고리에서 연결부재의 착탈구조를 제1연결부재(10)와 제2연결부재(20)를 결합과 분해를 손쉽게 하면서 강제적으로 분해 하고자 할때에는 분해가 잘되지 않도록 이중 안전장치를 설치하여 연결고리 본체(100)에서 프레임(30)의 내부 중앙에 가이드 리브(31)를 형성하여 후방에서 복원스프링(32)의 일측 제1지지대(32a)를 결합할 수 있는 구멍(32c)을 형성하고, 덮개(40)의 내측 전면에는 결속돌기(41)를 설치하고 후방에는 복원 스프링(32)의 제2지지대(32b)를 결합하며 상부에는 개폐용 고리(42)를 설치하여 프레임 (30)의 후방에 설치된 제1힌지부 연결부재(33)와 덮개(40)의 후방에 설치된 제2힌지부 연결부재(43)를 결합하여 고정용 핀(60)으로 제1힌지부 연결부재(33)의 유입공(34)과 제2힌지부 연결부재(43)의 유입공(44)으로 결합하여 제1연결부재(10)의 프레임(30)과 덮개(40)의 입구(70) 내부에 가이드 리브(31)와 결속돌기(41)를 설치하고, 제2연결부재(20)의 전면에 설치된 결합부재(51)의 상면을 경사면(52)으로 형성하고, 저면에는 슬라이드공(53)과 단부에 결속홈(54)을 형성하며 외측에는 제2연결 부재(20)에 설치된 보조 연결고리(55)로 제1연결고리(10)의 덮개(40) 일측에 설치된 보조연결고리 고정핀(45)에 결합하여 이중 안전장치가 설치되어 결합,분해가 손쉬우며 강제적으로 분해는 않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46은 치장품의 줄을 제1연결부재(10)에 연결하는 치장용 줄 연결고리, 56은 치장품의 줄을 제2연결부재(20)에 연결하는 치장용 줄 연결고리, 80은 치장품, 90은 치장품 연결용 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고가품인 치장품(80)이 결합된 치장품 연결용 줄(90)을 본 고안의 제1연결부재(10) 단부에 설치된 치장용 줄 연결고리(46)와 제2연결부재(20)의 단부에 설치된 치장용 줄 연결고리(56)에 연결하고 연결고리의 착탈 구조를 결합, 분해하고자 할때 이중 안전장치를 손쉽고 편리하게 사용 하고자 하는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한바와 같이 제1연결부재(10)의 단부에 설치된 치장용 줄 연결고리(46)에 일측의 치장품 연결용 줄(90)을 연결하고 제2연결부재(20)의 단부에 설치된 치장용 줄 연결고리(56)에 타측의 치장품 연결용 줄(90)을 연결한후 제1연결부재(10)에 제2연결부재(20)을 결합 하고자 할때에는 제1연결부재(10)의 프레임(30)과 덮개(40)가 결합된 입구(70)의 방향으로 제2연결부재(20)의 전면에 설치된 결합부재(51)를 밀어 넣으면 결합부재(51)의 단부가 상,하로 라운드지고 상면이 경사면(52)으로 형성되며 저면에 형성된 슬라이드공(53)은 프레임(30)의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 리브(31)를 타고 슬라이드 되면서 제1연결부재(10)의 내측으로 결합이 되면서 완전히 결합이 되면 덮개(40)의 내측 전면에 설치된 결속돌기(41)는 결합부재(51)의 단부에 설치된 결속홈(54)의 방향으로 결합되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되는 것으로 외측에 설치된 보조 연결고리(55)를 보조 연결고리 고정핀(45)에 결합을 하면 이중으로 안정장치가 완료 되는 것이다.
이때, 제1연결부재(10)의 프레임(30)과 덮개(40)가 서로 복원스프링(32)의 복원력에 의하여 당겨지는 복원력은 후방에 결합된 복원 스프링(32)의 일측 제1지지대(32a)는 가이드 리브(31)의 후방에 형성된 스프링삽입 구멍(32c)에 결합되고, 타측의 제2지지대 (32b)는 덮개(40)의 내측에 결합되어 서로 당기는 복원력에 의하여 프레임(30)과 덮개(40)를 당겨지게 되어 이중 안전장치로 고가품의 치장품을 안전하게 치장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치장품을 이중 안전장치에 의하여 결합을 한후 분해를 하고자 할때에는 작동관계를 알면 손쉽게 분해를 할 수가 있으나 강제적으로 분해를 하고자 할때에는 이중 안전장치에 의하여 분해가 잘되지 않는 것으로 손쉽고 편리하게 분해를 하는 작동순서는 다음과 같다.
도 6과 같이 치장품을 연결한 연결고리를 결합한후 분해를 하고자 할때에는 먼저, 제1연결부재(10)의 덮개(40) 일측에 설치된 보조 연결고리 고정핀(45)에서 제2연결부재(20)에 설치된 보조 연결고리(55)를 개폐하고, 도 7에 도시한바와 같이 덮개(40)의 상부에 설치된 개폐용 고리(42)를 살짝 개폐 시키면 이때 덮개(40)의 내측에 설치된 결속돌기(41)가 결합부재(51)의 단부에 결합된 결속홈(54)에서 이탈이 되면 제2연결부재(2)를 제1연결부재(10)의 내측에서 빼어내면 손쉽게 분해가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1연결부재(10)의 내측에서 제2연결부재(20)를 이탈을 시킨후 덮개(40)의 상부에 설치된 개폐용고리(41)를 놓으면 후방에 설치된 복원 스프링 (32)에 의하여 프레임(30)과 덮개(40)가 원상복귀 되어지는 것이다.
한편, 도 8에 도시한바와 같이 프레임(30)의 내부에 설치된 가이드 리브(31)와 덮개(40)의 내측 전면에 설치된 결속돌기(41)를 상,하부 방향으로 설치할 수도 있지만, 다른 실시예로 도 9에 도시한바와 같이 프레임(30)의 내부와 내측 전면에 가이드 리브(31)와 결속돌기(41)를 반으로 각각 설치하고, 덮개(40)의 내부와 내측 전면에도 가이드 리브(31)와 결속돌기(41)를 반으로 각각 설치하여 프레임(30)과 덮개(40)를 결합시 일체로 구성 되도록 형성하여 제2연결부재(20)의 전면에 설치된 결합부재(51)를 결합하여 단부에 설치된 결속홈(54)에서 결합이 용이 하도록 구성되어 이중 안전장치가 설치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신체의 치장용품 또는 악세사리용품으로 착용할 수 있는 목걸리, 팔찌,시계줄,핸드폰줄등 기타의 치장품 연결용 줄 단부에 연결하여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를 결합하고 분해하고자 할때 고가용품으로 사용되는 제품에서 결합과 분해를 손쉽게 하면서 강제적으로 분해 하고자 할때에는 보조 연결고리를 개폐한후 제1연결부재에서 제2연결부재를 분해하고자 할때 손쉽게 분해 할 수 없도록 덮개의 내측에 설치된 결속돌기와 결합부재의 결속홈에 의하여 이중 안전장치 구조를 설치하여 고가용품으로 사용되는 치장용 줄 연결고리에 사용하기에는 매우 신규하고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신체의 치장용품으로 착용하는 치장용품의 줄 연결고리에서 연결부재의 결합과 분해가 손쉽고 자유로우며 강제적으로는 분해가 않되도록 이중 안전장치를 설치한 치장용 줄연결고리 착탈구조에 있어서,
    연결고리 본체에서 내부 중앙에 가이드 리브를 형성하여 후방에서 복원스프링의 일측 제1지지대를 결합할 수 있는 구멍과 제1힌지부 연결부재가 구성된 프레임과; 내측 전면에는 결속돌기를 설치하고 후방에는 복원 스프링의 타측 제2지지대를 결합하고, 제2힌지부 연결부재가 구성되며 상부에는 개폐용 고리가 설치된 덮개와; 상기 프레임과 덮개를 결합시 입구의 내부와 내측 전면에 가이드 리브와 결속돌기가 설치된 제1연결부재; 전면에 설치된 결합부재의 상면을 경사면으로 형성하고, 저면에는 슬라이드공과 단부에 결속홈을 형성한 제2연결부재; 상기 제2연결부재의 외측에 설치된 보조 연결고리로 제1연결고리의 덮개 일측에 설치된 보조연결고리 고정핀에 결합하여 이중 안전장치가 설치되어 결합,분해가 손쉬우며 강제적으로는 분해가 않되로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장용줄 연결고리의 착탈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내부와 내측 전면에 가이드 리브와 결속돌기를 반으로 각각설치하고, 덮개의 내부와 내측 전면에도 가이드 리브와 결속돌기를 반으로 각각 설치하여 프레임과 덮개를 결합시 일체로 구성 되도록 형성하여 제2연결부재의 전면에 설치된 결합부재를 결합하여 단부에 설치된 결속홈에서 결합이 용이 하도록 구성되어 이중 안전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장용 줄 연결고리 착탈구조.
KR2019990024413U 1999-11-09 1999-11-09 치장용 줄 연결고리의 착탈구조 KR2001798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4413U KR200179837Y1 (ko) 1999-11-09 1999-11-09 치장용 줄 연결고리의 착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4413U KR200179837Y1 (ko) 1999-11-09 1999-11-09 치장용 줄 연결고리의 착탈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9837Y1 true KR200179837Y1 (ko) 2000-04-15

Family

ID=19595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4413U KR200179837Y1 (ko) 1999-11-09 1999-11-09 치장용 줄 연결고리의 착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983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951B1 (ko) * 2008-01-31 2009-02-04 이창오 장신구연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951B1 (ko) * 2008-01-31 2009-02-04 이창오 장신구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8984A (en) Magnetic jewelry closure with clip
US20060236509A1 (en) Magnetically Clasping Clothing Fastener for Presenting an Adornment
KR200179837Y1 (ko) 치장용 줄 연결고리의 착탈구조
KR102077916B1 (ko) 초기 걸림기능이 내재된 장신구의 연결구조
KR102389838B1 (ko) 양방향 잠금형 팔찌 체결구
US6170127B1 (en) Ornament hanger ring of necklace
KR200275820Y1 (ko) 장신용 줄 연결고리의 착탈구조
KR101680244B1 (ko) 장신구용 결합장치
KR102221140B1 (ko) 해제 방지 기능을 갖는 팔찌용 체결구
KR200392447Y1 (ko) 장신구 연결구
KR200430563Y1 (ko) 휴대기기 또는 펜단트를 부착할 수 있는 연결부재가 장착된목걸이줄
EP1916921A1 (en) Interchangeable jewellery insert and item for receiving the insert
KR101991792B1 (ko) 장신구의 체결장치
JP2000199117A (ja) バンド
KR102061046B1 (ko) 쥬얼리 팔찌용 체결구
KR200409098Y1 (ko) 잠금장치를 가지는 장식부재
JP3125296U (ja) カフスボタン
KR200284298Y1 (ko) 장신용 체인 연결고리
KR102666294B1 (ko) 이중 걸이 구조를 활용한 악세사리 체결구
KR200183193Y1 (ko) 목걸이 체결구조
KR101914552B1 (ko) 장신구용 결합장치
US2313397A (en) Safety cord clasp
KR100531179B1 (ko) 장신구용 액세서리 걸이구
KR101806030B1 (ko) 잠금장치를 가지는 장식부재
KR200391085Y1 (ko) 귀고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1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