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9098Y1 - 잠금장치를 가지는 장식부재 - Google Patents

잠금장치를 가지는 장식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9098Y1
KR200409098Y1 KR2020050033861U KR20050033861U KR200409098Y1 KR 200409098 Y1 KR200409098 Y1 KR 200409098Y1 KR 2020050033861 U KR2020050033861 U KR 2020050033861U KR 20050033861 U KR20050033861 U KR 20050033861U KR 200409098 Y1 KR200409098 Y1 KR 2004090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decorative member
spring
coupl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38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희
Original Assignee
김용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희 filed Critical 김용희
Priority to KR20200500338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90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90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90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57Fasteners locked by sliding or rotating of the male element of the fastener; Turn-button fasteners
    • A44C5/2061Fasteners locked by sliding or rotating of the male element of the fastener; Turn-button fasteners combined with sp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0/00General types of fasteners
    • A44D2200/10Details of construction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팔찌 및 목걸이등의 장식부에 연결되는 장식부재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내설된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고 양측의 걸림돌기가 걸림턱과 결합하여 견고한 결합과 함께 탈착의 용이성을 가지는 잠금장치를 가지는 장식부재에 관한 것으로, 고정돌기와 스톱퍼를 가지는 하우징과 스프링과 누름부를 가지는 좌우측회동편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결합하는 걸림장식과 일측에 돌출된 결합고정구와 연이어 형성된 걸림턱을 가지는 결합장식으로 구성되며, 상기 좌우측회동편은 상기 고정돌기와 결합되는 회동공을 가지며, 상기 결합장식의 걸림턱과 탈착결합되는 걸림돌기를 가지며, 상기 좌우측회동편사이에 설치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를 가지는 것으로 구성되어, 양측의 누름부를 이용한 잠금장치로 인하여 정확한 인입으로 인한 탈착의 용이성과 결합된 후에 빠지지는 않은 견고성 등이 월등히 높은 효과가 있으며, 목걸이, 팔찌 및 펜던트등의 장식부와 연결되는 장식부재로서 사용되어 여러 목적의 장식부재로서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잠금장치를 가지는 장식부재{Decorating element having in the locking devic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식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식부재를 결합한 결합절개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식부재의 결합시를 나타내는 일부절개평면도,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식부재의 탈착시를 나타내는 일부절개평면도,
도 3c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식부재의 분리시를 나타내는 일부절개평면도이다.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장식부재 20 : 걸림장식
21 : 하부하우징 22 : 하우징기둥
23 : 고정돌기 24 : 스톱퍼
30 : 결합장식 31 : 결합고정구
32 : 걸림턱 41 : 좌측회동편
42 : 우측회동편 43 : 회동공
44 : 걸림돌기 45 : 회동가이드
46 : 누름부 50 : 스프링
51 : 탄성핀
본 고안은 팔찌 및 목걸이등의 장식부에 연결되는 장식부재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내설된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고 양측의 걸림돌기가 걸림턱과 결합하여 견고한 결합과 함께 탈착의 용이성을 가지는 잠금장치를 가지는 장식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신구는 목걸이, 귀걸이, 반지, 팔찌, 펜던트등 여러 가지 형태로 존재하여 왔고 사용되어져 왔다. 그러나 상기 중에 목걸이, 펜던트나 팔찌등은 장식부재가 일반적으로 다양한 형태 및 기능으로 존재하여 왔으며, 특히 본 고안의 종래기술로는 누름부를 가지는 장식부재내지는 링크형태의 체결구를 가지는 장식부재등이 일반적인 형태로 행해져 왔다.
그러나, 누름부를 가지는 장식부재는 금속이 가지는 탠션을 이용하여 탄발력에 의해 끼움부가 삽착되고 탈리되는 것으로 상기 끼움부가 돌출형태의 돌기 및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편이 돌출되어 사용자의 옷이나 머리카락등에 끼여 사용에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링크형태의 체결구 역시 접혀지는 링크형태로 인하여 옷이나 머리카락등이 끼어져 사용에 불편이 따르며, 체결되는 장식부재가 접혀지는 관계로 쉽게 탈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프링에 의해 회동되는 좌우측회동편과 스톱퍼를 내설하고 인입되는 결합고정구를 가이드하며 손쉽게 탈착이 가능한 잠금장치를 가지는 장식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예는 고정돌기와 스톱퍼를 가지는 하우징과 스프링과 누름부를 가지는 좌우측회동편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결합하는 걸림장식과 일측에 돌출된 결합고정구와 연이어 형성된 걸림턱을 가지는 결합장식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우측회동편은 상기 고정돌기와 결합되는 회동공을 가지며, 상기 결합장식의 걸림턱과 탈착결합되는 걸림돌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우측회동편사이에 설치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식부재의 분해사시도로서, 도 1를 참조하면, 본 발고안에 따른 장식부재는 결합고정구와 고정돌기와 스프링에 의해 회동되는 회동편을 가지는 장신구의 장식부재에 있어서, 고정돌기(23)와 스톱퍼(24)를 가지는 하부하우징(21)과 상기 고정돌기(23)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스프링(50)과 누름부(46)를 가지는 좌우측회동편(41,42)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상부하우징(도시하지 않음)이 상기 하부하우징(21)과 결합하는 걸림장식(20)과; 일측에 돌출된 결합고정구(31)와 연이어 형성된 걸림턱(32)을 가지는 결합장식(30)으로 구성된다.
상기 걸림장식(20)은 상부(도시하지 않음), 하부 하우징(21)으로 구성되며, 하부하우징(21)에는 고정돌기(23)와 두 개의 스톱퍼(24)를 가지며, 상기 상부하우징(도시하지 않음)과 결합 및 상기 결합장식(30)의 결합고정구(31)가 인입되어 결합될 때 가이드역할을 하는 하우징 기둥(22)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 하우징(도시하지 않음)은 상기 하부 하우징(21)과는 대향되고 긴밀하게 설치된다.
상기 좌우측회동편(41,42)은 상기 고정돌기(23)와 결합되는 회동공(43)과 누름부(46)을 가지며, 상기 결합장식(30)의 걸림턱(32)과 탈착결합되는 걸림돌기(44)를 가지고 있다.
상기 회동공(43)은 좌우측회동편(41,42)의 내측에 형성된 회동가이드(45) 중앙부에 위치하며, 상기 걸림돌기(44)는 좌우측회동편(41,42)의 끝단에 위치하며 상기 결합장식(30)의 걸림턱(32)과 탈착결합된다.
상기 고정돌기(23)는 하우징기둥(22)과는 대향된 위치와 중앙선에 설치되며, 좌우측회동편(41,42)과 스프링(5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설치된다. 이때 좌우측회동편(41,42)의 회동공(43)은 고정돌기(23)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지고 스프링(50)은 좌우측회동편(41,42)사이에 설치되어진다.
상기 스프링(50)은 탄성핀(51)의 탄성력에 의해 좌우측회동편(41,42)의 일측을 밀어내게 되며, 밀려지는 좌우측회동편(41,42)의 걸림돌기(44)는 내설된 스톱퍼(24)에 의해 안쪽으로 밀려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스톱퍼(24)는 상기 고정돌기(23)와는 대향된 위치에 설치되며, 좌우측 회동편(41,42)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50)의 탄성력에 의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식부재를 결합한 결합절개사시도로서,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부하우징을 절개한 상태의 결합된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걸림장식(20)의 좌우측회동편(41,42)에 형성된 걸림돌기(44)가 결합장식(30)의 걸림턱(32)과 결합된 것으로 상기 하우징 기둥(22)은 인입된 결합고정구(31)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순차적으로 적층된 좌우측회동편(41,42)과 스프링(50)에 의해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며, 스프링(50)에 의해 벌어져서 상기 좌우측회동편(41,42)의 걸림돌기(44)가 안쪽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24)가 좌우측회동편(41,42)내쪽에 설치된다.
상기 구성에 따른 잠금장치를 가지는 장식부재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3a, 3b, 3c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식부재의 결합, 탈착, 분리시를 나타내는 일부절개평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3a에서 스프링(50)의 탄성력에 의해 밀려진 좌우측회동편(41,42)이 스톱퍼(24)와 좌우측회동편(41,42)의 걸림돌기(44)가 결합장식(30)의 걸림턱(32)에 걸려짐에 따라 좌우측회동편(41,42)의 안쪽으로 밀려들어가지 않음과 동시에 걸림턱(32)에 결합되어 결합고정구(31)가 빠지지 않고 결합된다.
도 3b는 탄성력에 의해 밀려진 좌우측회동편(41,42)을 걸림돌기(44)가 상기 좌우측회동편(41,42)을 A방향으로 누름부(46)를 눌러 탄성력과 스톱퍼(24)에 의해 결합되어진 걸림턱(32)에 걸려진 걸림돌기(44)를 지렛대원리에 의해 벌어지게 함에 따라 상기 결합고정구(31)를 걸림장식(20)에서 빼내어 B방향으로 탈착시킨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3c는 분리되고 난 다음의 결합장식(30)과 걸림장식(20)을 나타낸 것으로 걸림장식(20)의 좌우측회동편(41,42)은 스프링(50)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금 걸림돌기(44)쪽이 안쪽으로 밀려지게 되며, 밀려진 좌우측회동편(41,42)의 걸림돌기(44)는 스톱퍼(24)에 의해 밀려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는 반대로 결합장식(30)의 결합고정구(31)를 삽입할때에는 결합고정구(31)의 앞부분이 마름모형상의 이루어져 결합고정구(31)의 앞부분이 하우징기둥(22)의 가이드를 따라 걸림돌기(44)를 밀어내면서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잠금장치를 가지는 장식부재는 기밀하게 적층되어 결합된 양측의 누름부를 이용한 잠금장치로 인하여 정확한 인입으로 인한 탈착의 용이성과 결합된 후에 빠지지는 않은 견고성등이 월등히 높은 효과가 있으며, 목걸이, 팔찌 및 펜던트등의 장식부와 연결되는 장식부재로서 사용되어 여러 목적의 장식부재로서의 산업이용가능성이 높은 효과가 있으며, 하우징자체에 모든 잠금장치가 내설되어 옷이나 머리카락등의 이물질이 끼이는 것이 방지되어 사용함에 있어 편리하다는 잇점이 있다.
위의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잠금장치를 가지는 장식부재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분야에 기술을 가진 자라면,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외에도 여러 가지 형 태로 변형할 수 있을 것이며,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벗어남 없이 본 고안에 따른 잠금장치를 가지는 장식부재를 변형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결합고정구와 고정돌기와 스프링에 의해 회동되는 회동편을 가지는 장신구의 장식부재에 있어서,
    고정돌기(23)와 스톱퍼(24)를 가지는 하부하우징(21)과 상기 고정돌기(23)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스프링(50)과 누름부(46)를 가지는 좌우측회동편(41,42)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상부하우징(도시하지 않음)이 상기 하부하우징(21)과 결합하는 걸림장식(20)과; 일측에 돌출된 결합고정구(31)와 연이어 형성된 걸림턱(32)을 가지는 결합장식(30)으로 구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를 가지는 장식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회동편(41,42)은 상기 고정돌기(23)와 결합되는 회동공(43)을 가지며, 상기 결합장식(30)의 걸림턱(32)과 탈착결합되는 걸림돌기(44)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를 가지는 장식부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회동편(41,42)사이에 설치된 스프링(50)의 탄성력에 의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24)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를 가지는 장식부재
KR2020050033861U 2005-11-30 2005-11-30 잠금장치를 가지는 장식부재 KR2004090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3861U KR200409098Y1 (ko) 2005-11-30 2005-11-30 잠금장치를 가지는 장식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3861U KR200409098Y1 (ko) 2005-11-30 2005-11-30 잠금장치를 가지는 장식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9098Y1 true KR200409098Y1 (ko) 2006-02-20

Family

ID=41759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3861U KR200409098Y1 (ko) 2005-11-30 2005-11-30 잠금장치를 가지는 장식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909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208B1 (ko) 2008-01-31 2008-07-10 이창오 장신구 연결장치
KR200493263Y1 (ko) 2020-11-18 2021-03-02 박영철 장신구용 잠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208B1 (ko) 2008-01-31 2008-07-10 이창오 장신구 연결장치
KR200493263Y1 (ko) 2020-11-18 2021-03-02 박영철 장신구용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91209B2 (en) Clasp for a wristband
US5440900A (en) Add-on jewelry item for flexible jewelry chains
JPH10127321A (ja) 装身具用止め金具
US4539731A (en) Button-cover
KR200409098Y1 (ko) 잠금장치를 가지는 장식부재
GB2089880A (en) Bracelet clasp
US7225638B2 (en) Convertible jewelry mounting
JP3043338B1 (ja) 首飾りの装飾物固定環
KR200483882Y1 (ko) 장신구용 체결구
DK1916921T3 (en) Interchangeable jewelry effort and element for taking action
KR20190134292A (ko) 초기 걸림기능이 내재된 장신구의 연결구조
US20220087367A1 (en) Shoelace decoration
JP3129475U (ja) 吊下げ式装身具
KR20090001831U (ko) 장신구의 체인 연결구
US2391635A (en) Earring
JPH09224724A (ja) 指 輪
KR200275820Y1 (ko) 장신용 줄 연결고리의 착탈구조
EP0253771B1 (fr) Fermoir pour parure
KR200292025Y1 (ko) 귀걸이의 힌지구조
JPH09299117A (ja) 装身具の止め金具
KR200413046Y1 (ko) 보조잠금장치를 가진 장식부재
KR102061046B1 (ko) 쥬얼리 팔찌용 체결구
KR101806030B1 (ko) 잠금장치를 가지는 장식부재
KR102666294B1 (ko) 이중 걸이 구조를 활용한 악세사리 체결구
WO2018068142A1 (en) Cufflink base, cufflink,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