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4292A - 초기 걸림기능이 내재된 장신구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초기 걸림기능이 내재된 장신구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4292A
KR20190134292A KR1020180059752A KR20180059752A KR20190134292A KR 20190134292 A KR20190134292 A KR 20190134292A KR 1020180059752 A KR1020180059752 A KR 1020180059752A KR 20180059752 A KR20180059752 A KR 20180059752A KR 20190134292 A KR20190134292 A KR 20190134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locking
jewelry
fixed shaft
decor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7916B1 (ko
Inventor
김원구
Original Assignee
(주)렉스다이아몬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렉스다이아몬드 filed Critical (주)렉스다이아몬드
Priority to KR1020180059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7916B1/ko
Publication of KR20190134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4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19Hooks

Abstract

본 발명은 초기 걸림기능이 내재된 장신구의 연결구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고 측면에는 장방형 가이드 홈이 마련되며 일측 바닥면에는 회동축이 마련된 바디와, 이 바디의 일단에 마련되는 걸고리와, 바디와 걸고리 사이의 바디 일측면에 마련되는 고정축으로 이루어진 제1 장식부와; 제1 장식부의 회동축상에 토오션 스프링을 통해 축 지지되어 좌,우로 탄성 지지되는 바디와, 이 바디의 일측으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제1 장식부의 가이드 홈 외측으로 돌출되는 회동바아로 이루어진 걸림해제부와; 중심부에 걸림 해제부의 일측에 탄력 걸림되는 걸림 훅크가 마련되고, 일단에는 제1 장식부의 고정축을 감싸는 형태의 걸림편이 마련되며, 걸림편과 대향되는 타단에는 걸고리가 마련된 제2 장식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제1,2 장식부가 결합 및 분리되는 과정에서 고정축과 걸림편이 상호 걸림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한손으로도 상호 분리될 우려없이 결합이 가능하며, 분리시에도 걸림 기능이 유지되어 낙하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외부 충격이 상호간의 걸림 부위에 가해져도 전혀 이탈이 발생되지 않아 파손 및 손실의 우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초기 걸림기능이 내재된 장신구의 연결구조{structure for connecting an accessories}
본 발명은 장신구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식부간의 결합 및 분리시 이탈에 의한 파손 및 낙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초기 걸림기능이 내재된 장신구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팔찌나 목걸이와 같은 장신구는 착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추어 걸기 편하도록 연결수단을 구비한다.
특히, 팔찌의 경우 팔목을 강하게 조이거나 느슨하게 흘러내리지 않도록 적절한 길이 조절이 필요하다.
이러한 장신구 연결수단은 착용시 결합의 견실성과 착탈의 편의성에 더하여 외력에 의하여 임의로 분리되지 않는 안전성을 갖추어야 한다.
장신구의 연결수단과 관련되어 참조할 수 있는 공지 기술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86198호(선행기술문헌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802100호(선행기술문헌 2) 등이 알려져 있다.
선행기술문헌 1은 몸체의 후방쪽 상하부에 각각 고정홈이 형성된 걸쇠와, 상기 걸쇠의 바닥 몸체를 수용하는 공간을 가짐과 더불어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체결 몸체가 구비되고, 후크를 상하방향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된 누름돌기가 형성된 죔쇠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연결구의 탈착이 원활하여 사용상의 편의를 주고, 연결구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를 기대한다.
선행기술문헌 2는 일단의 힌지와 타단의 갈고리 사이에 양단힌지를 가지는 걸쇠; 상기 걸쇠의 힌지에 삽입되는 힌지핀을 가진 연결쇠; 일단과 중앙힌지 사이에 요홈이 형성된 누름쇠; 상기 걸쇠의 갈고리에 걸리는 걸림핀을 가진 걸림쇠; 상기 누름쇠의 중앙힌지 사이에 위치하며, 원상회복에 필요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누름쇠가 인체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장신구의 잠금상태가 쉽게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문헌 1에 의하면 누름돌기가 신체의 외측으로 노출되므로 불측의 외력이 작용하면 임의로 분리되기 쉽고, 선행기술문헌 2에 의하면 분리와 결합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걸림편과 걸쇠의 갈고리에 손상을 초래하여 미관을 저하시킬 우려가 크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특허출원 10-2013-0154201호에는 개선된 장신구의 탄성식 연결기구가 제안되어 있다.
즉, 도 1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장식체인(10)의 절단부 양단을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기구에 있어서: 상기 장식체인(10)의 일단에 결합되고, 체결구(25)를 지니는 숫형몸체(20); 상기 장식체인(10)의 타단에 결합되고, 체결구(25)의 결합을 위한 측면개구(32)에 인접하여 내면개구(31)를 지니는 암형몸체(30); 및 상기 암형몸체(30)의 내면개구(31)에 힌지축(41)과 스프링(47)을 개재하여 수용되고, 상기 체결구(25)에 맞물리는 체결돌기(45)를 지니는 누름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누름대(40)의 스프링(47)은 암형몸체(30)와 누름대(40) 사이에 긴밀하게 안착되도록 양단으로 절곡편(48)을 구비하며, 상기 누름대(40)는 체결돌기(45)에 인접한 위치에 충격흡수를 위한 완충편(4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같은 종래 연결기구는, 팔찌나 목걸이의 절단부 양단에 각각 고정되는 탄성식 연결기구가 상호몸체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결합과 분리 기능을 수행하여 미관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탄성식 연결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치명적인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다.
즉, 종래 연결기구의 경우에는 그 결합방식의 서로 대면한 상태에서 결합 및 분리하는 타입이기 때문에 초기 결합시 사용자가 한손으로 결합시키기 곤란한 문제점이 야기되어 결합과정에서 낙하하여 손상이 발생될 우려가 야기된다.
또한 분리 과정에서도 상호 탄력적으로 분리되기 때문에 상술한 낙하에 의한 파손의 우려가 야기된다.
즉, 상호간에 걸림기능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결합 및 분리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다.
또한 이와같은 문제점외에도 착용 상태에서 외부충격등에 의해 눌림부가 손쉽게 눌려 장신구의 이탈이 발생되고 이에따른 낙하의 의한 파손이나 손실이 발생되는 치명적인 문제점도 내재되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호 결합되는 장식부간에 일단 걸림 기능을 마련함으로써 초기 결합 및 분리시 탄성력에 상호간의 이탈이 방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낙하에 의한 장신구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외부 충격이 상호간의 걸림부위에 가해져도 상호간의 이탈이 발생되지 않는 초기 걸림기능이 내재된 장신구의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초기 걸림기능이 내재된 장신구의 연결구조는, 상부가 개방되고 측면에는 장방형 가이드 홈이 마련되며 일측 바닥면에는 회동축이 마련된 바디와, 이 바디의 일단에 마련되는 걸고리와, 바디와 걸고리 사이의 바디 일측면에 마련되는 고정축으로 이루어진 제1 장식부와; 상기 제1 장식부의 회동축상에 토오션 스프링을 통해 축 지지되어 좌,우로 탄성 지지되는 바디와, 이 바디의 일측으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제1 장식부의 가이드 홈 외측으로 돌출되는 회동바아로 이루어진 걸림해제부와; 중심부에 걸림 해제부의 일측에 탄력 걸림되는 걸림 훅크가 마련되고, 일단에는 제1 장식부의 고정축을 감싸는 형태의 걸림편이 마련되며, 걸고리와 대향되는 타단에는 걸고리가 마련된 제2 장식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 장식부의 바디 타측 측면에는 고정축이 마련되고, 이 고정축상에는 제2 장식부를 결합 방향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토오션 스프링이 더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 장식부의 개방된 바디 외측에는 토오션 스프링 및 걸림해제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판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이탈 방지판상에는 제2 장식부의 걸림훅크가 제1 장식부 내부로 안내될 수 있도록 안내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 장식부의 외측으로 노출된 걸림 해제부의 회동바아의 단부에는 사용자의 접촉력이 향상되도록 복수의 돌기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2 장식부의 훅크편상에는 걸림 해제부의 부드럽게 탄력 걸림되도록 경사면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걸림해제부의 회동바아의 측면에는 훅크편과의 결합시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퍼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제1,2 장식부가 결합 및 분리되는 과정에서 고정축과 걸림편이 상호 걸림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한손으로도 상호 분리될 우려없이 결합이 가능하며, 분리시에도 걸림 기능이 유지되어 낙하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외부 충격이 상호간의 걸림 부위에 가해져도 전혀 이탈이 발생되지 않아 파손 및 손실의 우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장신구용 연결기구의 사시도.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초기 걸림기능이 내재된 장신구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먼저,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초기 걸림기능이 내재된 장신구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초기 걸림기능이 내재된 장신구의 연결구조는, 크게 제1 장식부(00)와 걸림해제부(200) 그리고 제2 장식부(300)로 대별된다.
먼저 제1 장식부(100)는 상부가 개방된 상태이며 측면에는 장방형의 가이드 홈(111)이 형성되고 일측 바닥면에는 회동축(112)이 마련된 바디(110)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 바디(110)의 일단에는 장식 체인등이 결합되는 걸고리(120)가 마련되며, 걸고리(120)와 바디(110) 사이에는 가로 방향으로 고정축(130)이 마련된다.
걸림해제부(200)는 상술한 제1 장식부(100)의 회동축(112)상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특히 토오션 스프링(210)을 통해 회동축(112)상에 축 지지됨으로써 좌,우 방향으로 탄력지지되는 바디(220)를 구비한다.
그리고 이 바디(220)의 일단으로 부터는 제1 장식부(100)의 바디(110)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111) 외부로 노출되도록 회동바아(230)가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 홈(111) 외측으로 노출된 회동바아(230)의 단부에는 사용자의 접촉력이 향상되도록 복수의 돌기(232)가 더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제2 장식부(300)는 상술한 제1 장식부(100)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중심부에는 상술한 걸림해제부(200)의 일측면에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걸림훅크(310)가 마련되며, 일단에는 제1 장식부(100)의 고정축(130)을 감싸는 형태로 소정곡률로 경사진 걸림편(320)이 마련된다.
즉, 이 걸림편(320)과 고정축(130)은 결합 및 분리시 상호간이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2 장식부(300)의 걸림훅크(310)상에는 걸림 해제부(200)와 부드럽게 탄력 걸림되도록 경사면(311)이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걸림편(320)과 대향되는 타측에는 제1 장식부(100)의 걸고리(120)와 대응되는 걸고리(330)가 마련된다.
이때 상술한 제1 장식부(100)의 바디(110) 타측 측면에는 고정축(113)을 더 마련하고, 이 고정축(113)상에는 제2 장식부(300)를 결합 방향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탄력 지지하기 위한 즉, 상,하 방향으로 탄력성을 부여하기 위한 토오션 스프링(TS)을 더 마련함이 제1,2 장식부(100,300)의 신속한 분리를 위하여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술한 제1 장식부(100)의 개방된 바디(110) 외측에는 각 부품들 즉, 토오션 스프링(TS,210), 걸림해제부(200)등의 부품들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판(400)이 위치된다.
또한 상술한 이탈 방지판(400)상에는 제2 장식부(300)의 걸림훅크(310)가 제1 장식부(100) 내부로 안내될 수 있도록 안내홈(410)이 마련된다.
이데 더하여 상술한 걸림해제부(200)의 회동바아(230)의 측면에는 걸림훅크(310)과의 결합시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퍼(231)가 더 마련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초기걸림기능이 내재된 장신구의 연결구조는, 제1 장식부(100)와 제2 장식부(300)가 상호 결합될때 제1 장식부(100)의 고정축(130)상에 제2 장식부(300)의 걸림편(320)이 일차적으로 걸림 상태에서 걸림훅크(310)가 걸림해제부(200)상에 탄력적으로 결합되어 상호간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가 한손으로 결합 작업을 수행하여도 고정축(130)과 걸림편(320)간의 결합에 의해 상호간의 이탈이 방지된채 수행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안정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분리시에는 걸림해제부(200)의 회동바아(230)를 연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호간의 분리가 손쉽게 이루어진다.
즉, 제2 장식부(00)는 토오션 스프링(TS)에 의해 결합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탄력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분리가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또한 결합과 동일하게 고정축(130)과 걸림편(320)의 걸림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이탈에 의한 낙하 및 파손의 우려를 방지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또한 걸림해제부(200)의 회동바아(230)의 연동에 의해 상호간의 분리가 이루어지게되는 것으로서, 종래 장신구의 연결구조에서 외부 충격이 가해질때 장신구의 분리가 손쉽게 이루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제1 장식부 110 : 바디
111 : 장방형 가이드 홈 112 : 회동축
120,330 : 걸고리 130 : 고정축
200 : 걸림해제부 210, TS : 토오션 스프링
220 : 바디 230 : 회동바아
231 : 스톱퍼 300 : 제2 장식부
310 : 걸림훅크 311 : 경사면
400 : 이탈 방지판 410 : 안내홈

Claims (7)

  1. 상부가 개방되고 측면에는 장방형 가이드 홈이 마련되며 일측 바닥면에는 회동축이 마련된 바디와, 이 바디의 일단에 마련되는 걸고리와, 바디와 걸고리 사이의 바디 일측면에 마련되는 고정축으로 이루어진 제1 장식부와;
    상기 제1 장식부의 회동축상에 토오션 스프링을 통해 축 지지되어 좌,우로 탄성 지지되는 바디와, 이 바디의 일측으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제1 장식부의 가이드 홈 외측으로 돌출되는 회동바아로 이루어진 걸림해제부와;
    중심부에 걸림 해제부의 일측에 탄력 걸림되는 걸림 훅크가 마련되고, 일단에는 제1 장식부의 고정축을 감싸는 형태의 걸림편이 마련되며, 걸림편과 대향되는 타단에는 걸고리가 마련된 제2 장식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걸림기능이 내재된 장신구의 연결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식부의 바디 타측 측면에는 고정축이 마련되고, 이 고정축상에는 제2 장식부를 결합 방향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토오션 스프링이 더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걸림기능이 내재된 장신구의 연결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식부의 개방된 바디 외측에는 토오션 스프링 및 걸림해제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판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걸림기능이 내재된 장신구의 연결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판상에는 제2 장식부의 걸림훅크가 제1 장식부 내부로 안내될 수 있도록 안내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걸림기능이 내재된 장신구의 연결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식부의 외측으로 노출된 걸림 해제부의 회동바아의 단부에는 사용자의 접촉력이 향상되도록 복수의 돌기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걸림기능이 내재된 장신구의 연결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식부의 걸림훅크상에는 걸림 해제부의 부드럽게 탄력 걸림되도록 경사면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걸림기능이 내재된 장신구의 연결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해제부의 회동바아의 측면에는 걸림훅크와의 결합시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퍼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기 걸림기능이 내재된 장신구의 연결구조.




KR1020180059752A 2018-05-25 2018-05-25 초기 걸림기능이 내재된 장신구의 연결구조 KR102077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752A KR102077916B1 (ko) 2018-05-25 2018-05-25 초기 걸림기능이 내재된 장신구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752A KR102077916B1 (ko) 2018-05-25 2018-05-25 초기 걸림기능이 내재된 장신구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292A true KR20190134292A (ko) 2019-12-04
KR102077916B1 KR102077916B1 (ko) 2020-02-14

Family

ID=69004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752A KR102077916B1 (ko) 2018-05-25 2018-05-25 초기 걸림기능이 내재된 장신구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79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3045A (ko) * 2020-11-26 2022-06-03 (주)렉스다이아몬드 장신구의 탄성잠금 장식 기구
KR20220073044A (ko) * 2020-11-26 2022-06-03 (주)렉스다이아몬드 장신구의 원터치 장식 기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820Y2 (ja) * 1978-04-13 1985-04-12 ニチアス株式会社 発泡合成樹脂用成形型
EP0369024A1 (en) * 1988-05-27 1990-05-23 Citizen Watch Co. Ltd. Inner lock metal of watch band
EP0427634A1 (fr) * 1989-11-10 1991-05-15 Hermes Fermeture de lien souple tel qu'un bracelet ou une ceinture
KR101569111B1 (ko) * 2015-03-03 2015-11-13 (주)렉스다이아몬드 착탈이 용이한 장신구용 체결장치
KR101577599B1 (ko) * 2014-09-02 2015-12-15 장형환 장신구의 잠금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10820B2 (ja) 2012-11-21 2016-10-19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用外装保護チューブ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820Y2 (ja) * 1978-04-13 1985-04-12 ニチアス株式会社 発泡合成樹脂用成形型
EP0369024A1 (en) * 1988-05-27 1990-05-23 Citizen Watch Co. Ltd. Inner lock metal of watch band
EP0427634A1 (fr) * 1989-11-10 1991-05-15 Hermes Fermeture de lien souple tel qu'un bracelet ou une ceinture
KR101577599B1 (ko) * 2014-09-02 2015-12-15 장형환 장신구의 잠금구조
KR101569111B1 (ko) * 2015-03-03 2015-11-13 (주)렉스다이아몬드 착탈이 용이한 장신구용 체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3045A (ko) * 2020-11-26 2022-06-03 (주)렉스다이아몬드 장신구의 탄성잠금 장식 기구
KR20220073044A (ko) * 2020-11-26 2022-06-03 (주)렉스다이아몬드 장신구의 원터치 장식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7916B1 (ko) 2020-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1069B1 (en) Bracelet connector
KR101426023B1 (ko) 장신구의 탄성식 연결기구
US2986792A (en) Clasp
KR100802100B1 (ko) 체인형 장신구의 잠금장치
KR102077916B1 (ko) 초기 걸림기능이 내재된 장신구의 연결구조
JP5433296B2 (ja) アクセサリ用のクラスプ
KR101556116B1 (ko) 장신구의 체결구조
KR100880951B1 (ko) 장신구연결장치
KR101680244B1 (ko) 장신구용 결합장치
US6595025B2 (en) Jewelry piece
US6170127B1 (en) Ornament hanger ring of necklace
KR102221140B1 (ko) 해제 방지 기능을 갖는 팔찌용 체결구
KR200483882Y1 (ko) 장신구용 체결구
KR20100008650A (ko) 장신구의 고정장치
CN116056603A (zh) 用于首饰的紧固装置
KR101991792B1 (ko) 장신구의 체결장치
KR102010763B1 (ko) 스톤 비드를 이용한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유닛
JP2002101924A (ja) 特に腕時計のリストバンドに使用可能な2つのフレキシブル・ストランドを固定するための留め具
KR200275820Y1 (ko) 장신용 줄 연결고리의 착탈구조
KR200482524Y1 (ko) 팔찌 및 손목시계 잠금 장식의 체결구조
US8201417B1 (en) Jewelry mount with safety catch
KR101981298B1 (ko) 장신구용 체결장치
KR200457609Y1 (ko) 장신구용 체결구
KR102617781B1 (ko) 결합구조가 개선된 장신구용 잠금장치
US20240049842A1 (en) Str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