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7781B1 - 결합구조가 개선된 장신구용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결합구조가 개선된 장신구용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7781B1
KR102617781B1 KR1020210156732A KR20210156732A KR102617781B1 KR 102617781 B1 KR102617781 B1 KR 102617781B1 KR 1020210156732 A KR1020210156732 A KR 1020210156732A KR 20210156732 A KR20210156732 A KR 20210156732A KR 102617781 B1 KR102617781 B1 KR 102617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body
fastening
opening
connecting portion
coup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6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0784A (ko
Inventor
김상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광주얼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광주얼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광주얼리
Priority to KR1020210156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7781B1/ko
Publication of KR20230070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0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7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77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185Attachment of fasteners to straps or chain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구조가 개선된 장신구용 잠금장치는 장신구의 일단에 배치되고, 평판으로 이루어진 연결부가 상부로 접철된 형태로 형성되어 탄성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방향으로 벌어지는 제1체결본체; 장신구의 타단에 배치되고, 일단에 상기 연결부의 상면이 가압되어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와 연결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 상부로 관통된 안내홀이 형성되는 삽입부 및 상기 개구부와 삽입부 사이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가 벌어지면서 고정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제2체결본체; 및 하부가 상기 삽입부에 배치되며 상부가 상기 안내홀에 관통되어 상기 삽입부의 상측으로 상단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체결본체와 제2체결본체 결합시, 상기 제1체결본체의 연결부가 상기 개구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가압부재에 의해 가압되어 접철된 뒤, 상기 삽입부에서 상기 연결부가 상기 결합부재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걸림턱에 고정되어 결합되고, 상기 제1체결본체와 제2체결본체 해체시, 상기 결합부재의 상단이 가압되면서 상기 연결부가 상기 결합부재의 하단에 의해 가압되어 접철되고, 상기 제1체결본체가 상기 개구부로부터 이탈되어 해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결합구조가 개선된 장신구용 잠금장치{Locking device for ornaments with improved coupling structure}
본 발명은 목걸이, 팔찌, 발찌 등의 장신구 착용시 양단을 체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걸이, 팔찌, 발찌 등과 같은 장신구로 사용되는 체인은 대부분이 체인의 양단에 별도의 잠금장치를 이용하여 서로 분리된 체인을 연결고정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잠금장치는 장신구를 착용하기 위해 간편하게 탈착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종래에 사용되었던 체인의 잠금장치는 대부분이 그 연결구조가 소형체인의 양 측단에 볼트와 너트를 설치하여 체인을 서로 나사로 연결하는 구조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체인의 잠금장치 구조는, 그 외형이 커질 뿐만 아니라 나사를 돌려 체인을 서로 연결해야 하므로 체인의 연결조작이 불편하였다. 그리고 착용중에 신체와의 마찰로 인해 회전되어 나사가 풀리면서 체인이 분리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장신구를 분실할 염려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09-0001831호 '장신구의 체인 연결구'에 소형체인이 연결되는 연결고리를 간편하고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슬라이더와 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슬라이더를 하우징에 삽입하는 과정으로 간편하게 연결되고 쉽게 분리하였다.
그러나 장신구의 체인 연결구는 연결구의 상부로 노출되는 노브를 눌러주면 노브와 일체로 구성된 연결편이 하부로 눌러지면서 하우징의 걸림턱을 벗어나 분리되는 구조로 장신구의 빈번한 탈착으로 사용자에 의해 연결편이 직접적으로 눌려지면서 탄성력을 쉽게 상실하여 더 이상 걸림턱에 걸려 고정 결합되지 못하였다.
또한, 체인 연결구의 연결편이 탄성력을 잃으면서 노브가 상부로 돌출되지 않아 사용자의 가압력이 전달되지 않게 되고, 하우징으로부터 슬라이더가 고정된 상태에서 분리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09-0001831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결부가 사용자에 의해 직접적으로 눌려지지 않고 결합부재에 의해 가압되면서 분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결부의 탄성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손으로 누구나 쉽게 착탈할 수 있으며 이중으로 결합되어 결합력이 향상되는 결합구조가 개선된 장신구용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구조가 개선된 장신구용 잠금장치는 장신구의 일단에 배치되고, 평판으로 이루어진 연결부가 상부로 접철된 형태로 형성되어 탄성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방향으로 벌어지는 제1체결본체; 장신구의 타단에 배치되고, 일단에 상기 연결부의 상면이 가압되어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와 연결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 상부로 관통된 안내홀이 형성되는 삽입부 및 상기 개구부와 삽입부 사이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가 벌어지면서 고정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제2체결본체; 및 하부가 상기 삽입부에 배치되며 상부가 상기 안내홀에 관통되어 상기 삽입부의 상측으로 상단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체결본체와 제2체결본체 결합시, 상기 제1체결본체의 연결부가 상기 개구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결합부재에 의해 가압되어 접철된 뒤, 상기 삽입부에서 상기 연결부가 상기 결합부재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걸림턱에 고정되어 결합되고, 상기 제1체결본체와 제2체결본체 해체시, 상기 결합부재의 상단이 가압되면서 상기 연결부가 상기 결합부재의 하단에 의해 가압되어 접철되고, 상기 제1체결본체가 상기 개구부로부터 이탈되어 해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2체결본체의 상기 삽입부에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단이 상기 안내홀을 관통하며, 하단이 상기 제1체결본체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상단에 하단이 결합되고, 제2체결본체의 상기 삽입부 상측으로 상단이 돌출되도록 형성된 해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체결본체는, 상기 삽입부의 상면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하향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체결 후 상기 제1체결본체가 설정높이(h)만큼 벌어져 상기 걸림부에 일단이 걸림에 따라 체결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체결본체는, 상기 개구부의 하부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본체의 하면이 지지되어 상기 삽입부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체결본체는, 상기 삽입부의 안내홀 하면에 설정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안착홈;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는,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안착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에 위치되는 가압블럭;과 상기 가압블럭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안내홀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내홀에서 상하로 이동되는 이동블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의 가압블럭 높이(a)와 체결 후 상기 제1체결본체 설정높이(h)의 합이 상기 제2체결본체의 삽입부 높이(H)와 동일하며, 상기 가압부의 이동블럭 높이(b)가 상기 제2체결본체의 안내홀 깊이(c)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1체결본체와 제2체결본체가 체결된 후 상기 이동블럭이 상기 제2체결본체의 상부로 이동되어 상기 해체부가 상기 제2체결본체의 상면에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체결본체는, 전방에 힌지결합되어 중앙에 체결공이 형성되고 굴곡진 고리형상의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체결본체는, 전방에 구형이 돌출되어 상기 체결부재의 체결공에 삽입되는 체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체결본체와 제2체결본체를 2중으로 체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구조가 개선된 장신구용 잠금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될 수 있도록 장신구의 양단이 제1,2체결본체에 의해 결합되고, 해체시 연결부가 결합부재의 하단에 의해 가압되어 접철되면서 제1,2체결본체가 손쉽게 해체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재가 가압부와 해체부로 분리되어 연결부가 사용자에 의해 간접적으로 가압되면서 탄성력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교체주기가 연장되면서 잠금장치의 교체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제1,2체결본체가 결합된 후 가압이 해제된 상태에서 제1체결본체가 본연의 높이로 탄성 복원되면서 제2체결본체의 걸림부에 걸려 결합이 유지되며, 고정된 상태에서 제1체결본체가 제2체결본체로부터 이탈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1체결본체가 제2체결본체에 결합시 안착부에 의해 하면이 지지된 상태에서 삽입부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정확한 위치로 바로 삽입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제1체결본체를 안정된 자세로 체2체결본체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1,2체결본체가 결합된 후 연결부가 가압부를 상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해체부를 손쉽게 가압할 수 있도록 돌출되는 결합구조로 결합 및 해체가 용이하며 누구나 쉽게 장신구를 착용할 수 있다.
또한, 제1,2체결본체가 2중으로 결합되어 실수로 장신구가 풀리지 않도록 하여 분실의 염려가 없으며, 하나가 결합기능을 상실하더라도 잠금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구조가 개선된 장신구용 잠금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구조가 개선된 장신구용 잠금장치에 대한 조립 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구조가 개선된 장신구용 잠금장치에 대한 조립 전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구조가 개선된 장신구용 잠금장치에 대한 조립 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조나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가 사용자에 의해 직접적으로 눌려지지 않고 결합부재에 의해 가압되면서 분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결부의 탄성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손으로 누구나 쉽게 착탈할 수 있으며 이중으로 결합되어 결합력이 향상되는 결합구조가 개선된 장신구용 잠금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간략하게 '잠금장치'로 호칭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구조가 개선된 장신구용 잠금장치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구조가 개선된 장신구용 잠금장치에 대한 조립 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과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는 제1,2체결본체가 장신구의 양단에 설치되어 서로 결합되면서 연결되는 구조로 목걸이, 팔찌, 발찌 등에 설치되도록 갖추어진다.
이와 같은 잠금장치는 장신구의 일단에 설치되어 삽입되는 제1체결본체(100), 장신구의 타단에 설치되어 삽입공간을 제공하며 제1체결본체(100)가 걸림고정되게 하는 제2체결본체(200), 제1,2체결본체(100,200)의 결합상태가 유지되게 하고 해체시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결합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체결본체(100)는 장신구의 양단이 연결되도록 제2체결본체(200) 내에 삽입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1체결본체(100)는 장신구의 일단에 배치되고, 설정폭을 가지는 평판으로 이루어진 연결부(110)가 타측으로 수평지게 연장되어 갖추어진다. 그리고 연결부(110)는 상부로 접철된 형태로 형성되어 탄성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방향으로 벌어진다.
상세히, 제1체결본체(100)의 연결부(110)는 상단으로 접철되어 설정높이(h)만큼 벌어지도록 갖추어진다. 이때, 연결부(110)는 제2체결본체(200)에 삽입되면서 완전히 접하게 되고, 제2체결본체(200)와 결합된 후 다시 설정높이(h)만큼 벌어진 상태로 고정된다. 여기서 연결부(110)는 타단에서 접철되어 일단이 벌어지는 구조로, 제2체결본체(200)에 삽입시 접철지점이 먼저 인입되면서 일단이 오므려져 접하게 된다.
그리고 제1체결본체(10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쉽도록 임의의 형태로 연결부(110)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단에 보석과 같은 장식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체결본체(100)는 전면에 체결부재(120)가 설치될 수 있도록 갖추어지며, 2중 체결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체결부재(120)는 제1체결본체(100)의 전방에 힌지결합되어 중앙에 체결공이 형성되고, 굴곡진 고리형상으로 갖추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구조가 개선된 장신구용 잠금장치에 대한 조립 전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구조가 개선된 장신구용 잠금장치에 대한 조립 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과 4를 참조하면, 제2체결본체(200)는 제1체결본체(100)의 연결부(110)가 삽입되어 걸림고정될 수 있도록 갖추어지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제2체결본체(200)는 장신구의 타단에 배치되고, 내부가 비어있는 직육면체로 이루어져 일단에 연결부의 상면이 가압되어 삽입되도록 개구부(210)가 형성된다. 여기서 개구부(210)의 높이가 연결부(110)의 타단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제2체결본체(20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제2체결본체(200)는 개구부(210)와 연결되어 내부에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일측 상부로 관통된 안내홀(221)이 형성되는 삽입부(220)가 갖추어진다. 여기서 삽입부(220)는 상면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하향 기울어지게 형성되며, 제1체결본체(100)의 연결부(110)가 체결 전 벌어진 형태와 대응되도록 갖추어진다. 또한, 삽입부(220)는 하면에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어 연결부(110)가 매끄럽게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이 유도되며, 제1,2체결본체(100,200)를 결합시 마찰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체결본체(200)는 삽입부(220)의 안내홀(221) 하면에 설정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안착홈(222)이 갖추어진다. 이때, 안착홈(222)은 결합부재(300)의 하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갖추어져, 결합부재(300)가 상승이동시 이동거리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제2체결본체(200)의 안착홈(222)은 결합부재(300)가 제위치에서 벗어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체결본체(200)는 개구부(210)와 삽입부(220) 사이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연결부(110)가 삽입된 상태에서 본래의 설정높이(h)로 벌어지면서 고정되게 하는 걸림부(230)가 갖추어진다. 이때, 걸림부(230)는 체결 후 제1체결본체(100)가 설정높이(h)만큼 벌어져 연결부(110)의 상부 일단이 걸리면서 체결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걸림부(230)는 매끄러운 곡면이 아닌 직각으로 단차지게 형성되게 함으로써 삽입부(220)로 삽입된 연결부(110)가 걸림부(230)를 벗어나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제2체결본체(200)는 개구부(210)의 하부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1체결본체(100)의 하면이 지지되어 삽입부(220)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안착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240)는 연결부(110)의 폭보다 더 넓게 형성되어 연결부(110)가 안정된 자세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안착부(240)는 사용자가 제1,2체결본체(100,200)를 결합시 연결부(110)가 삽입부(220)의 정확한 지점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유도하여 결합지점을 벗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2체결본체(200)는 전방에 구형의 체결돌기(250)가 돌출되어 체결부재(120)의 체결공에 삽입되도록 갖추어진다. 이와 같은 체결돌기(250)는 체결부재(120)의 가압에 의해 체결공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체결부재(120)를 분리하지 않으면 고정이 해제되지 않도록 한다. 제1,2체결본체(100,200)가 2중으로 결합되어 실수로 장신구가 풀리지 않도록 하여 분실의 염려가 없으며, 하나가 결합기능을 상실하더라도 잠금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결합부재(300)는 제1,2체결본체(100,200)의 결합이 유지되도록 하며, 해체시 연결부(110)를 가압하여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결합부재(300)는 하부가 삽입부(220)에 배치되며, 상부가 안내홀(221)에 관통되어 삽입부(220)의 상측으로 상단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부재(300)는 안내홀(221)을 통해 결합 및 해체되는 과정에 따라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갖추어진다.
상세히, 결합부재(300)는 연결부(110)의 상면에 밀착되거나 가압하는 가압부(310)와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해체부(3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부재(300)가 가압부(310)와 해체부(320)로 분리되어 연결부(110)가 사용자에 의해 간접적으로 가압되면서 탄성력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교체주기가 연장되면서 잠금장치의 교체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가압부(310)는 제2체결본체(200)의 삽입부(220)에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가압부(310)는 상단이 안내홀(221)을 관통하며 하단이 제1체결본체(100)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갖추어진다.
또한, 가압부(310)는 하부에 배치되는 가압블럭(311)과 상부에 배치되는 이동블럭(312)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가압블럭(311)은 안착홈(22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안착홈(222)에 위치되며, 결합부재(300)의 상승이동 높이를 제한하여 제위치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가압블럭(311)은 연결부(110)의 상면에 밀착되어 해체시 해체부(320)로부터 가압력을 전달받아 연결부(110)의 상면을 누르게 된다. 이때, 가압부(310)의 가압블럭 높이(a)와 체결 후 제1체결본체 설정높이(h)의 합이 제2체결본체(200)의 삽입부 높이(H)와 동일하게 갖추어져, 제1체결본체(100)의 연결부(110)가 가압블럭(311)을 상방향으로 밀면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동블럭(312)은 가압블럭(311)의 상부에 배치되며, 안내홀(22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안내홀(221)에서 상하로 이동된다. 이때, 이동블럭(312)은 상면이 외부로 돌출되어 해체부(320)의 중앙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일체로 결합된다. 이러한 이동블럭(312)은 제1,2체결본체(100, 200)가 결합시 연결부(110)의 탄성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동되며, 제1,2체결본체(100, 200)가 해체시 해체부(320)의 가압에 의해 하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이동블럭은 높이(b)가 제2체결본체(200)의 안내홀 깊이(c)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1체결본체(100)와 제2체결본체(200)가 체결된 후 이동블럭(312)이 제2체결본체(200)의 상부로 이동되어 해체부(320)가 제2체결본체(20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 이로인해 해체부(320)는 임의의 높이에서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어 제2체결본체(200)의 상면으로 밀착되도록 이동된다.
해체부(320)는 가압부(310)의 상단에 하단이 결합되고, 제2체결본체(200)의 삽입부(220) 상측으로 상단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특히, 해체부(320)는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이동블럭(312)의 상단과 결합되며, 상부면에 세로길이 방향으로 홈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톱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갖추어진다. 이때, 해체부(320)의 형상에 의해 사용자가 쉽고 정확한 위치에서 손톱을 홈에 걸어 가압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손의 크기에 관계없이 누구나 쉽게 해체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제1체결본체(100) 및 제2체결본체(200)가 서로 체결되고, 해체부(320)가 제2체결본체(20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해체부(320)의 상면은 인접한 위치에서 제2 체결본체(200)에 형성되는 돌출부(260)의 상면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수평선상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잠금장치는 제1체결본체(100)와 제2체결본체(200)를 결합시 연결부(110)가 개구부(210)로 삽입되면서 가압부(310)에 의해 가압되어 접철된 뒤, 연결부(110)가 삽입부(220)에서 가압부(310)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면서 걸림턱에 고정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제1체결본체(100)와 제2체결본체(200)를 해체시 해체부(320)의 상단이 가압되면서 연결부(110)가 가압부(310)의 하단에 의해 가압되어 접철되고, 제1체결본체(100)가 개구부(210)로부터 이탈되어 해체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제1체결본체
h : 체결 후 제1체결본체의 설정높이
110 : 연결부
120 : 체결부재
200 : 제2체결본체
210 : 개구부
220 : 삽입부
H : 삽입부의 높이
221 : 안내홀
c : 안내홀의 깊이
222 : 안착홈
230 : 걸림부
240 : 안착부
250 : 체결돌기
300 : 결합부재
310 : 가압부
311 : 가압블럭
a : 가압블럭의 높이
312 : 이동블럭
b : 이동블럭의 높이
320 : 해체부

Claims (7)

  1. 장신구의 일단에 배치되고, 평판으로 이루어진 연결부가 상부로 접철된 형태로 형성되어 탄성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방향을 향해 설정높이(h)만큼 벌어지는 제1체결본체;
    상기 장신구의 타단에 배치되고, 일단에 상기 연결부의 상면이 가압되어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와 연결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 상부로 관통된 안내홀이 형성되는 삽입부, 상기 안내홀의 하면에 설정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안착홈 및 상기 개구부와 삽입부 사이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가 벌어지면서 고정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제2체결본체 및
    상기 삽입부에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단이 상기 안내홀을 관통하며, 하단이 상기 제1체결본체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의 상단에 하단이 결합되고, 상기 삽입부의 상측으로 상단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해체부를 포함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안착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에 위치되는 가압블럭 및 상기 가압블럭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안내홀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내홀에서 상하로 이동되는 이동블럭을 포함하며,
    상기 제1체결본체 및 제2체결본체의 결합시,
    상기 제1체결본체의 연결부가 상기 개구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결합부재에 의해 가압되어 접철된 뒤, 상기 삽입부에서 상기 연결부가 상기 결합부재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걸림턱에 고정되어 결합되고,
    상기 삽입부의 상면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하향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가 상기 설정높이(h)만큼 벌어져 상기 걸림부에 일단이 걸림에 따라 체결을 유지시키며,
    상기 가압블럭의 높이(a) 및 상기 설정높이(h)의 합은 상기 삽입부의 높이(H)와 동일하며,
    상기 이동블럭의 높이(b)가 상기 안내홀의 깊이(c)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1체결본체와 제2체결본체가 체결된 후 상기 이동블럭이 상기 제2체결본체의 상부로 이동되어 상기 해체부가 상기 제2체결본체의 상면에서 이격되며,
    상기 제1체결본체와 제2체결본체가 체결된 후에 상기 제2체결본체의 상면에서 이격된 상기 해체부의 상면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제2체결본체에 형성되는 돌출부의 상면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수평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체결본체 및 제2체결본체의 해체시,
    상기 결합부재의 상단이 가압되면서 상기 연결부가 상기 결합부재의 하단에 의해 가압되어 접철되고, 상기 제1체결본체가 상기 개구부로부터 이탈되어 해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구조가 개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구조가 개선된 장신구용 잠금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체결본체는,
    상기 개구부의 하부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본체의 하면이 지지되어 상기 삽입부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구조가 개선된 장신구용 잠금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본체는,
    전방에 힌지결합되어 중앙에 체결공이 형성되고 굴곡진 고리형상의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체결본체는,
    전방에 구형이 돌출되어 상기 체결부재의 체결공에 삽입되는 체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체결본체와 제2체결본체를 2중으로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구조가 개선된 장신구용 잠금장치.



KR1020210156732A 2021-11-15 2021-11-15 결합구조가 개선된 장신구용 잠금장치 KR102617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6732A KR102617781B1 (ko) 2021-11-15 2021-11-15 결합구조가 개선된 장신구용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6732A KR102617781B1 (ko) 2021-11-15 2021-11-15 결합구조가 개선된 장신구용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0784A KR20230070784A (ko) 2023-05-23
KR102617781B1 true KR102617781B1 (ko) 2023-12-27

Family

ID=86544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6732A KR102617781B1 (ko) 2021-11-15 2021-11-15 결합구조가 개선된 장신구용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778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1030A (ja) * 2005-06-10 2006-12-21 Kawahara Yasuo 装身具用止め金具
KR200450670Y1 (ko) * 2010-04-01 2010-10-21 (주)세원큐빅 장식구용 박스형 잠금 장식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831U (ko) 2007-08-22 2009-02-26 (주)예찬주얼리 장신구의 체인 연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1030A (ja) * 2005-06-10 2006-12-21 Kawahara Yasuo 装身具用止め金具
KR200450670Y1 (ko) * 2010-04-01 2010-10-21 (주)세원큐빅 장식구용 박스형 잠금 장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0784A (ko) 202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83505A (en) Quick-fixing device for a watchband
KR101147189B1 (ko) 귀걸이
KR101426023B1 (ko) 장신구의 탄성식 연결기구
KR100802100B1 (ko) 체인형 장신구의 잠금장치
US20210386164A1 (en) Interchangeable Head for Jewelry
KR101556116B1 (ko) 장신구의 체결구조
US6679921B2 (en) Shuttle lock prosthetic connector
KR102617781B1 (ko) 결합구조가 개선된 장신구용 잠금장치
JP5433296B2 (ja) アクセサリ用のクラスプ
KR200471390Y1 (ko) 액세서리 연결고리
KR100943245B1 (ko) 귀걸이 고정구
KR102077916B1 (ko) 초기 걸림기능이 내재된 장신구의 연결구조
KR20130053565A (ko) 분실방지용 체결구를 갖는 팔찌
KR100880951B1 (ko) 장신구연결장치
KR200483882Y1 (ko) 장신구용 체결구
KR102197754B1 (ko) 2단 잠금 구조를 갖는 팔찌용 체결구
CN210169218U (zh) 一种连接扣
KR101680244B1 (ko) 장신구용 결합장치
KR102038947B1 (ko) 탄성 회동에 의해 간편하게 탈착 가능한 팔찌용 체결구
KR100744580B1 (ko) 장신구용 체결고리
KR20090001831U (ko) 장신구의 체인 연결구
KR200482524Y1 (ko) 팔찌 및 손목시계 잠금 장식의 체결구조
CN116056603A (zh) 用于首饰的紧固装置
KR102221140B1 (ko) 해제 방지 기능을 갖는 팔찌용 체결구
KR102010763B1 (ko) 스톤 비드를 이용한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