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7599B1 - 장신구의 잠금구조 - Google Patents

장신구의 잠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7599B1
KR101577599B1 KR1020140115931A KR20140115931A KR101577599B1 KR 101577599 B1 KR101577599 B1 KR 101577599B1 KR 1020140115931 A KR1020140115931 A KR 1020140115931A KR 20140115931 A KR20140115931 A KR 20140115931A KR 101577599 B1 KR101577599 B1 KR 101577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plate member
plate material
lower plat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5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형환
Original Assignee
장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형환 filed Critical 장형환
Priority to KR1020140115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75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7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7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1/00Watch chains; Ornamental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팔찌, 시계와 같은 장신구의 착용시 장신구가 착용자에게서 이탈하지 않도록 해주는 잠금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잠금력이 우수하면서도 잠금의 해제가 용이하고 장신구를 계속해서 사용하여도 잠금력이 떨어지지 않는다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장신구의 잠금구조는, 면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판형의 상판재와, 상기 상판재의 일단 하부에 위치한 제1핀홀부, 및 상판재의 타단 하부에 위치하여 상판재 하면과의 사이에서 걸림공간을 형성하는 고리부로 이루어지는 몸체부; 상기 상판재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일단부가 고리부의 단부에 걸쳐지는 판형의 하판재와, 상기 하판재의 타단 상부에 위치하고 제1핀홀부와 맞물리는 제2핀홀부, 및 상판재의 상부에 위치하되 관통공을 지나는 연결재에 의해 하판재에 연결되는 당김대로 이루어지는 회동부; 상기 제1·2핀홀부를 통과하여 몸체부와 회동부를 힌지결합해주는 결합핀; 상기 몸체부를 기준으로 회동부를 가압하여 하판재의 일단부가 고리부에 걸쳐진 상태를 유지해줌으로써 걸림공간이 폐쇄되도록 하는 스프링; 및 ㅁ자형으로 형성되어 한 변이 걸림공간에 걸쳐지는 걸림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장신구의 잠금구조{Clasp for accessory}
본 발명은 팔찌, 시계, 목걸이와 같은 장신구의 착용시 장신구가 착용자에게서 이탈하지 않도록 해주는 잠금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잠금력이 우수하면서도 잠금의 해제가 용이하고 장신구를 계속해서 사용하여도 잠금력이 떨어지지 않는 장신구의 잠금구조에 관한 것이다.
팔찌, 목걸이, 시계 등과 같이 신체의 일부분에 둘러서 착용하는 장신구의 경우, 장신구가 착용자에게서 이탈하지 않도록 해주는 잠금장치가 필요하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잠금장치의 한 예시로서, 하부판(1)의 일단부에 힌지축이 형성되어 상부판(2)의 일단부가 상부판에 힌지결합되고, 하부판의 타단부에 형성된 걸림턱(3)에 상부판 타단부의 걸림고리(4)가 끼워짐으로써 잠금된다. 그리고 걸림턱을 힌지축으로 하여 끈의 일단부가 잠금장치와 연결되고 하부판과 상부판 사이의 공간에 끈의 타단부가 걸리어 잠금장치와 연결된다. 이러한 잠금장치는 고급스러운 느낌을 가지면서도 구조가 단순하여 매우 널리 쓰이고 있기는 하지만 잠금과 해제를 반복함으로 인해 걸림고리의 끝부분이 마모되거나 절곡부위가 변형되어 잠금력이 약해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 도 2에 도시된 등록번호 10-0802100의 '체인형 장신구의 잠금장치'가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걸쇠(11)와 누름쇠(12)가 서로의 사이에 공간을 두고 힌지결합하는데, 걸쇠와 누름쇠 사이에 스프링(16)이 위치하여 누름쇠(12)를 누르면 잠금이 해제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스프링에 의해 잠금상태가 유지된다. 이에 의해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잠금장치에서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 잠금과 해제를 반복하더라도 잠금력이 약해지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잠금장치에 있어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누름쇠(12)는 사용자의 신체와 접하는 부분에 위치하기 때문에 팔찌, 시계와 같이 신체의 일부분에 꼭 맞게 착용하는 장신구에 적용하는 경우 누름쇠(12)를 누르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장신구를 오래 사용하더라도 잠금력이 감소하지 않고, 장신구의 사용자가 잠금 및 해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신구의 잠금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장신구의 해제장치가 쉽게 드러나지 않도록 하여 착용자 이외의 사람이 쉽게 잠금 해제를 할 수 없도록 한 장신구의 잠금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면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판형의 상판재와, 상기 상판재의 일단 하부에 위치한 제1핀홀부, 및 상판재의 타단 하부에 위치하여 상판재 하면과의 사이에서 걸림공간을 형성하는 고리부로 이루어지는 몸체부; 상기 상판재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일단부가 고리부의 단부에 걸쳐지는 판형의 하판재와, 상기 하판재의 타단 상부에 위치하고 제1핀홀부와 맞물리는 제2핀홀부, 및 상판재의 상부에 위치하되 관통공을 지나는 연결재에 의해 하판재에 연결되는 당김대로 이루어지는 회동부; 상기 제1·2핀홀부를 통과하여 몸체부와 회동부를 힌지결합해주는 결합핀; 상기 몸체부를 기준으로 회동부를 가압하여 하판재의 일단부가 고리부에 걸쳐진 상태를 유지해줌으로써 걸림공간이 폐쇄되도록 하는 스프링; 및 ㅁ자형으로 형성되어 한 변이 걸림공간에 걸쳐지는 걸림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잠금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고리부의 단부는 경사지게 형성되고, 하판재의 일단부는 고리부의 단부와 맞물리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잠금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스프링은, 강선이 ㄴ자 형상을 가지도록 절곡되어 두 개의 직선부와 상기 두 직선부를 연결하는 절곡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절곡부에는 강선이 수회 감기어 형성된 고정홀이 구비되어 있어 결합핀이 상기 고정홀을 통과하게 됨으로써 스프링이 몸체부 및 회동부에 결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잠금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스프링은 결합핀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잠금구조가 제공된다. 이 경우, 각 스프링에서 같은 위치에 있는 한 직선부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당김대의 고리부 방향 단부와 상판재 사이에는 당김대의 일부가 절취되어 형성된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잠금구조가 제공된다. 이 경우, 상기 당김대는 관통공에 끼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장신구의 잠금구조는 잠금의 해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잠금 및 해제를 디수회 반복하더라도 잠금력이 저하되지 않는다.
상기 잠금구조에서 잠금 해제의 역할을 하는 당김대는 장신구 착용자가 잠금의 해제를 하는 것은 용이하게 하는 반면, 타인이 당김대를 잠금 해제장치로 인식하지는 못하게 하여 장신구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잠금구조를 구성하는 당김대가 잠금구조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게 관통공에 끼워져 형성되는 경우에는 예상치 못한 외부 힘에 의해 잠금이 해제될 가능성이 거의 없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장신구의 잠금구조이다.
도 2는 종래기술로서 '체인형 장신구의 잠금장치'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잠금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잠금구조가 잠금되어 있는 경우와 잠금 해제되어 있는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잠금구조에 사용되는 스프링의 여러 가지 실시예이다.
도 6은 상기 잠금구조를 구성하는 당김대와 상판재 사이에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잠금구조를 구성하는 당김대가 관통공에 끼워져 형성되는 경우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팔찌, 시계, 목걸이와 같은 줄 형상의 장신구에 사용되어 줄의 양끝을 연결함으로써 장신구가 착용자에게서 이탈하지 않도록 해주는 잠금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3에는 상기 잠금구조(1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장신구의 잠금구조(100)는, 크게 몸체부(110), 회동부(120), 결합핀(130), 스프링(140) 및 걸림부재(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상기 잠금구조의 각 구성 및 구성들간의 관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 의한 잠금구조의 하면 즉, 회동부(120)를 구성하는 하판재(121)의 하면은 장신구 착용자의 신체와 접하게 되고, 상면 즉, 몸체부(1110)를 구성하는 상판재(111)의 상면은 착용자의 신체 반대편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몸체부(110)는, 면의 중앙에 관통공(111a)이 형성되어 있는 판형의 상판재(111), 상기 상판재(111)의 일단 하부에 위치하며 핀홀(112a)을 구비한 제1핀홀부(112), 및 상판재(111)의 타단 하부에 위치하여 상판재(111) 하면과의 사이에서 걸림공간(S)을 형성하는 고리부(113)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부(110)는 잠금구조의 주요한 틀을 이루는 구성으로서, 몸체부(110)를 구성하는 각 부분들의 형상 및 기능은 다른 구성과 결합하는 데 있어 특징이 있으므로 다른 구성들을 설명하면서 함께 설명한다.
몸체부(110)의 상판재(111) 아래 위치하는 회동부(120)는, 일단부가 고리부(113)의 단부에 걸쳐지는 판형의 하판재(121)와, 상기 하판재(121)의 타단 상부에 위치하고 제1핀홀부(112)와 맞물리는 제2핀홀부(122), 및 상판재(111)의 상부에 위치하되 관통공(111a)을 지나는 연결재(123)에 의해 하판재(121)에 연결되는 당김대(124)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판재(121)는 상판재(111)의 하면과 간격을 두고 위치하되 일단부가 고리부(113)의 단부에 걸쳐져 더 이상 아래로 회전하지 않게 됨으로써 상판재(111) 하면과 고리부(113) 사이에 형성되는 걸림공간(S)을 폐쇄하게 된다. 그리고 제2핀홀부(122)는 몸체부(110)의 제1핀홀부(112) 핀홀(112a)의 입면상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핀홀(122a)이 형성되어 있어 회동부(120)가 제1·2핀홀부(112, 122)를 통과하는 결합핀(130)에 의하여 몸체부(110)에 힌지결합할 수 있도록 해주는 동시에, 걸림공간(S)의 반대편 공간을 폐쇄한다.
도 4의 (a)에는 상기 걸림공간(S)이 폐쇄되어 잠금구조가 잠금 상태에 있는 경우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의 (b)에는 상기 걸림공간(S)이 개방되어 잠금구조의 잠금이 해제되어 있는 상태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당김대(124)는 상기 하판재(121)가 상판재(111)와 이루는 각도를 바꾸어 본 발명에 의한 잠금구조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도 2에 도시된 종래기술에 있어 잠금장치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누름쇠를 누르기가 어려워 잠금을 해제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던 반면, 본 발명의 잠금구조에서는 상기 회동부(120)의 당김대(124)가 상판재(111)의 상부, 즉 착용자의 신체 반대편에 형성되기 때문에 당김대(124)에 쉽게 접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각적으로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여 잠금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상기 당김대(124)에는 장식적인 효과를 주어 장신구의 미감을 향상시키고 착용자 이외의 사람이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장치로 쉽게 인식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장신구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당김대(124) 및 연결재(123)는 회동부(120)가 회동함에 따라 함께 움직이는 것이므로 연결재(123)가 관통하게 되는 관통공(111a)은 회동부(120)의 회동에 방해되지 되지 않도록 장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판형으로 형성되는 상판재(111) 및 하판재(121)에는 외력에 대한 강성을 향상시켜줄 수 있도록 그 테두리에 보강리브(R)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리부(113)의 단부는 경사지게 형성되고, 하판재(121)의 일단부는 고리부(113)의 단부와 맞물리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했던 바와 같이 하판재(121)의 일단부는 고리부(113)의 단부에 걸쳐져 걸림공간(S)을 폐쇄하게 되는데, 하판재(121)의 일단부와 고리부(113)의 단부를 경사지게 형성하는 경우 하판재(121)의 하면과 고리부(113) 하면 사이에 단차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장신구의 착용감과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판재(121)의 일단부와 고리부(113)의 단부를 경사지게 형성하는 대신, 도 4의 (c)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서로 맞물리는 형상의 단턱을 형성킬 수도 있다.
상기 스프링(140)은 몸체부(110)를 기준으로 회동부(120)를 가압한다.
상기 하판재(121)의 일단부가 고리부(113)의 단부에 걸쳐져 하판재(121)의 일단부가 고리부(113) 단부 아래의 위치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는 한편, 하판재(121)의 일단부가 고리부(113) 단부 위의 위치 즉, 걸림공간(S) 내로 회전하여 걸림공간(S)이 개방되는 것은 상기 스프링(140)이 몸체부(110)의 상판재(111)를 기준으로 회동부(120)의 하판재(121)를 가압함으로써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당김대(124)를 통해 스프링(140)이 가지는 압축력 이상의 힘을 가하여 하판재(121)를 위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만 걸림공간(S)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하여 장신구의 착용중에 잠금구조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잠금구조를 잠금 및 해제할 때에는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구성들끼리 서로 맞닿는 부분이 마모되거나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잠금 및 해제를 반복하더라도 잠금력이 저하되지 않는다.
상기 스프링(140)은, 강선이 ㄴ자 형상을 가지도록 절곡되어 두 개의 직선부(141)와 두 직선부(141)를 연결하는 절곡부(142)로 이루어지고, 두 직선부(141)의 벌어지는 힘에 의해 몸체부(110)가 회동부(120)를 가압하게 된다. 이에 의해 회동부(120)의 하판재(121)는 회전하지 않고 고리부(113)에 걸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곡부(142)에는 강선이 수회 감기어 형성된 고정홀(142a)이 구비되어 있어 결합핀(130)이 상기 고정홀(142a)을 통과하게 됨으로써 스프링(140)이 몸체부(110) 및 회동부(120)에 결합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140)은, 결합핀(130)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의 (a)에는 쌍으로 형성된 결합핀(130)이 도시되어 있다. 쌍으로 형성되는 스프링(140)은 상기 잠금구조의 잠금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몸체부(110) 및 회동부(120)에 결합핀(130)의 길이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고 안정적인 힘을 가하게 된다.
스프링(140)이 쌍으로 형성되는 경우, 도 5의 (b)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각 스프링(140)에서 같은 위치에 있는 한 직선부(141)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각 스프링(140)의 직선부(141)가 연결되어 두 스프링(140)이 일체적으로 형성되면 연결부에 의해 스프링(140)이 자립할 수 있게 되므로 회동부(120)가 회동함으로 인해 스프링(140)이 틀어질 가능성이 거의 없고, 잠금구조를 이루는 구성부를 조립하는 작업이 용이해지게 된다.
몸체부(110)의 걸림공간(S)에는 ㅁ자형으로 형성되는 걸림부재(150)의 한 변이 걸쳐진다.
몸체부(110) 등이 장신구 줄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것이라면, 상기 걸림부재(150)는 장신구 줄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있어 잠금의 해제시 몸체부(110) 등과 결합하거나 분리된다.
상기 몸체부(110) 및 걸림부재(150)에는 장신구의 줄 끝부분과의 연결을 위한 연결고리(L)를 더 구비될 수 있다. 몸체부(110)에 형성되는 연결고리(L)는 제1핀홀부(112)에 접합될 수도 있으나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별도의 연결턱(114)을 형성함으로써 몸체부(110)에 연결고리(L)가 보다 안정적으로 접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당김대(124)의 고리부(113) 방향 단부와 상판재(111) 사이에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삽입홈(G)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G)은 당김대(124)의 일부가 절취되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G)은 장신구 착용자의 손톱 끝이 들어갈 수 있도록 한 공간으로서 착용자가 잠금 해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당김대(124)와 상판재(111) 사이에 삽입홈(G)이 형성되는 경우, 당김대(124)는 관통공(111a)에 끼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는 이러한 경우의 잠금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상판재(111)의 관통공(111a)을 크게 형성하고 이에 맞게 당김대(124)를 형성하여 관통공(111a)에 끼우게 되면 상판재(111)의 상면과 당김대(124)의 상면이 거의 동일한 높이 상에 위치할 수 있어 잠금구조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당김대(124) 상면에 로고를 새기는 등 다양한 디자인의 잠금구조를 시도할 수 있다. 그리고 하판재(121)의 당김대(124)가 상판재(111) 상면 위로 거의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예상치 못한 외부 힘에 의해 잠금이 해제될 가능성이 거의 없다.
상판재(111)의 상면과 당김대(124)의 상면이 거의 동일한 높이 상에 위치하더라도 당김대(124)를 관통공(111a)보다 약간 작게 만들어 당김대(124)와 상판재(111) 사이에 삽입홈(G)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잠금 해제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게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잠금구조 110 : 몸체부
111 : 상판재 111a : 관통공
112 : 제1핀홀부 113 : 고리부
120 : 회동부 121 : 하판재
122 : 제2핀홀부 123 : 연결재
124 : 당김대 130 : 결합핀
140 : 스프링 141 : 직선부
142 : 절곡부 142a : 고정홀
150 : 걸림부재
G : 삽입홈 S : 걸림공간

Claims (7)

  1. 면 중앙에 관통공(111a)이 형성된 판형의 상판재(111)와, 상기 상판재(111)의 일단 하부에 위치한 제1핀홀부(112), 및 상판재(111)의 타단 하부에 위치하여 상판재(111) 하면과의 사이에서 걸림공간(S)을 형성하는 고리부(113)로 이루어지는 몸체부(110);
    상기 상판재(111)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일단부가 고리부(113)의 단부에 걸쳐지는 판형의 하판재(121)와, 상기 하판재(121)의 타단 상부에 위치하고 제1핀홀부(112)와 맞물리는 제2핀홀부(122), 및 상판재(111)의 상부에 위치하되 관통공(111a)을 지나는 연결재(123)에 의해 하판재(121)에 연결되는 당김대(124)로 이루어지는 회동부(120);
    상기 제1·2핀홀부(112, 122)를 통과하여 몸체부(110)와 회동부(120)를 힌지결합해주는 결합핀(130);
    상기 몸체부(110)를 기준으로 회동부(120)를 가압하여 하판재(121)의 일단부가 고리부(113)에 걸쳐진 상태를 유지해줌으로써 걸림공간(S)이 폐쇄되도록 하는 스프링(140); 및
    ㅁ자형으로 형성되어 한 변이 걸림공간(S)에 걸쳐지는 걸림부재(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당김대(124)의 고리부(113) 방향 단부와 상판재(111) 사이에는 당김대(124)의 일부가 절취되어 형성된 삽입홈(G)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잠금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113)의 단부는 경사지게 형성되고, 하판재(121)의 일단부는 고리부(113)의 단부와 맞물리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잠금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140)은, 강선이 ㄴ자 형상을 가지도록 절곡되어 두 개의 직선부(141)와 상기 두 직선부(141)를 연결하는 절곡부(142)로 이루어지되, 상기 절곡부(142)에는 강선이 수회 감기어 형성된 고정홀(142a)이 구비되어 있어 결합핀(130)이 상기 고정홀(142a)을 통과하게 됨으로써 스프링(140)이 몸체부(110) 및 회동부(120)에 결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잠금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140)은, 결합핀(130)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잠금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각 스프링(140)에서 같은 위치에 있는 한 직선부(141)는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잠금구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대(124)는 관통공(111a)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잠금구조.
KR1020140115931A 2014-09-02 2014-09-02 장신구의 잠금구조 KR101577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931A KR101577599B1 (ko) 2014-09-02 2014-09-02 장신구의 잠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931A KR101577599B1 (ko) 2014-09-02 2014-09-02 장신구의 잠금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7599B1 true KR101577599B1 (ko) 2015-12-15

Family

ID=55021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5931A KR101577599B1 (ko) 2014-09-02 2014-09-02 장신구의 잠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759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9723A (ko) * 2017-01-02 2018-07-11 박기숙 팔찌용 체결구조
KR102040249B1 (ko) 2019-04-08 2019-11-27 사염찬 복수의 잠금장치가 개별적으로 개폐되도록 구비된 분실 방지용 팔찌 체결구
KR20190134292A (ko) * 2018-05-25 2019-12-04 (주)렉스다이아몬드 초기 걸림기능이 내재된 장신구의 연결구조
KR102365825B1 (ko) * 2021-10-07 2022-02-23 안은경 양측에 인장 보강부가 형성되는 팔찌 연결구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팔찌 연결구
KR20220073044A (ko) 2020-11-26 2022-06-03 (주)렉스다이아몬드 장신구의 원터치 장식 기구
KR20220073045A (ko) 2020-11-26 2022-06-03 (주)렉스다이아몬드 장신구의 탄성잠금 장식 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100B1 (ko) 2007-11-08 2008-02-11 이창수 체인형 장신구의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100B1 (ko) 2007-11-08 2008-02-11 이창수 체인형 장신구의 잠금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9723A (ko) * 2017-01-02 2018-07-11 박기숙 팔찌용 체결구조
KR20190134292A (ko) * 2018-05-25 2019-12-04 (주)렉스다이아몬드 초기 걸림기능이 내재된 장신구의 연결구조
KR102077916B1 (ko) 2018-05-25 2020-02-14 (주)렉스다이아몬드 초기 걸림기능이 내재된 장신구의 연결구조
KR102040249B1 (ko) 2019-04-08 2019-11-27 사염찬 복수의 잠금장치가 개별적으로 개폐되도록 구비된 분실 방지용 팔찌 체결구
KR20220073044A (ko) 2020-11-26 2022-06-03 (주)렉스다이아몬드 장신구의 원터치 장식 기구
KR20220073045A (ko) 2020-11-26 2022-06-03 (주)렉스다이아몬드 장신구의 탄성잠금 장식 기구
KR102365825B1 (ko) * 2021-10-07 2022-02-23 안은경 양측에 인장 보강부가 형성되는 팔찌 연결구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팔찌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7599B1 (ko) 장신구의 잠금구조
US20160270490A1 (en) Locking mechanism for jewelry
KR100802100B1 (ko) 체인형 장신구의 잠금장치
KR101535640B1 (ko) 체결이 용이한 장신구용 결합장치
KR101556116B1 (ko) 장신구의 체결구조
US5379611A (en) Jewelry converter apparatus
US7093332B1 (en) Locking toggle assembly for jewelry
CN101005774B (zh) 珠宝夹
KR100880951B1 (ko) 장신구연결장치
US6804868B2 (en) Swivel locking clasp
US1892350A (en) Clasping device for bracelets
KR20190134292A (ko) 초기 걸림기능이 내재된 장신구의 연결구조
US10076164B2 (en) Jewelry catch
KR101680244B1 (ko) 장신구용 결합장치
KR101991792B1 (ko) 장신구의 체결장치
IT201800004167A1 (it) Dispositivo di chiusura a sgancio rapido per monili
JP2007301174A (ja) 装身具用留め具
KR101511329B1 (ko) 장신구 연결 구조체
US9848677B2 (en) Jewelry clasp
KR101507282B1 (ko) 장신구용 연결 잠금장치
JP2016202616A (ja) クラスプ
KR20240054655A (ko) 장신구 체결장치
JP2016221179A (ja) 接続構造並びにこれを適用した装身具
CN111902063A (zh) 表防盗装置和表带组合以及用于该组合的装置
CN217743376U (zh) 一种按压式弹簧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