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263Y1 - 장신구용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장신구용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263Y1
KR200493263Y1 KR2020200004164U KR20200004164U KR200493263Y1 KR 200493263 Y1 KR200493263 Y1 KR 200493263Y1 KR 2020200004164 U KR2020200004164 U KR 2020200004164U KR 20200004164 U KR20200004164 U KR 20200004164U KR 200493263 Y1 KR200493263 Y1 KR 2004932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decorative body
movable
operating
loc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41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철
Original Assignee
박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철 filed Critical 박영철
Priority to KR20202000041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2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2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26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57Fasteners locked by sliding or rotating of the male element of the fastener; Turn-button fasteners
    • A44C5/2061Fasteners locked by sliding or rotating of the male element of the fastener; Turn-button fasteners combined with spring mean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팔찌 등의 장신구를 착용하였을 때 이를 잠금하여 착용된 장신구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신구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장식본체의 일측 단부는 잠금개구가 구비된 잠금체를 형성하고, 타측단부는 가동장식체가 상부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 작동체를 형성하여, 상기 잠금체의 잠금개구에 작동체를 수평방방향으로 밀어 넣으면 장식본체의 양 단부가 연결되면서 가동장식체에 의해 자동 잠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는 장신구의 장식기능을 겸하면서 부품의 교체가 용이하여 관리가 용이하고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지게 한다.

Description

장신구용 잠금장치{LOCKING DEVECE FOR JEWELRY}
본 고안은 팔찌 등의 장신구를 착용하였을 때 이를 잠금하여 착용된 장신구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신구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장신구의 장식기능을 겸하면서 부품의 교체가 용이하여 관리가 용이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신구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장신구라 함은 의복이나 신체에 부착하거나 착용함으로써 자신이 외부에 아름답게 보여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치장물들을 의미한다.
장식구는 아주 오래된 고대에서부터 사용되어 온 것으로서 처음에는 주술적 수단이나 신분 등을 나타내는 수단으로부터 출발하였으나 시대의 흐름에 따라 개인의 아름다움을 꾸미기 위한 수단으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장식구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목걸이, 귀걸이, 반지, 팔찌 등이 있으며, 이들은 외관의 아름다움이 매우 중요한 선택의 기준이 되나, 그에 대한 사용성도 선택의 중요한 요소의 하나이다. 예컨대을 착용과 제거가 간편하고 신체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아 분실의 염려가 없어야 한다.
따라서 장신구에 대한 많은 잠금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이들 잠금장치는 주로 걸어주어 잠금하는 후크방식, 코일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여 걸림되면서 잠금되도록 하는 걸림방식, 별도의 잠금레버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후크방식과 잠금레버의 방식은 잠금장치가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이를 장신구의 미적 형상에 맞추는 것이 쉽지 않다. 또한 코일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한 잠금장치 역시 구조가 복잡하여 단면이 매우 작은 장신구에는 사용이 쉽지 않다.
예컨대 도 1은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409098호를 통해 개시된 잠금장치를 가지는 장식부재라는 고안이다.
상기한 등록번호 20-0409098호의 장금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돌기(23)와 스톱퍼(24)를 가지는 하부하우징(21)과 상기 고정돌기(23)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스프링(50)과 누름부(46)를 가지는 좌우측회동편(41,42)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상부하우징이 상기 하부하우징(21)과 결합하는 걸림장식(20)과; 일측에 돌출된 결합고정구(31)와 연이어 형성된 걸림턱(113)(32)을 가지는 결합장식(3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등록번호 20-0409098호의 잠금장치는, 스프링(50)의 탄성력에 의해 밀려진 좌우측회동편(41,42)이 스톱퍼(24)와 좌우측회동편(41,42)의 걸림돌기(122)(44)가 결합장식(30)의 걸림턱(113)(32)에 걸려짐에 따라 좌우측회동편(41,42)의 안쪽으로 밀려들어가지 않음과 동시에 걸림턱(113)(32)에 결합되어 결합고정구(31)가 빠지지 않고 잠금되도록 하고, 이러한 잠금상태를 해지할 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부(46)를 눌러 탄성력과 스톱퍼(24)에 의해 결합되어진 걸림턱(113)(32)에 걸려진 걸림돌기(122)(44)를 지렛대원리에 의해 벌어지게 함에 따라 상기 결합고정구(31)를 걸림장식(20)에서 빼낸다.
그런데 등록번호 20-0409098호의 잠금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많은 부속품이 복합한 결합관계를 가지면서 설치되는 것이어서 고장이 나기 쉽고, 또한 이들의 설치를 위한 큰 공간이 요구되어 장신구와는 별도로 상,하부하우징이 구비되어야 하나, 이러한 큰 부피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양측으로 반드시 돌출되어야 하는 누름부는 미적 감각을 중시하는 장신구의 아름다움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KR 20-0409098 Y1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들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조가 단순하여 고장의 우려가 없고, 잠금장치를 위한 별도의 하우징 없이 장금장치 자체가 장신구의 디자인요소로 사용되어 장신구의 미적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신구용 잠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장식본체의 양 단부가 잠금되는 장신구로서, 상기 장식본체의 일측 단부는 잠금개구가 구비된 잠금체를 형성하고, 타측단부는 가동장식체가 상부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 작동체를 형성하여, 상기 잠금체의 잠금개구에 작동체를 수평방방향으로 밀어 넣으면 장식본체의 양 단부가 연결되면서 가동장식체에 의해 자동 잠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잠금장치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작동체에 길이방향으로 상부가 개방된 작동공간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가동장식체를 작동공간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동장식체의 후단부를 작동체에 힌지 결합시킴으로써 가동장식체의 선단부가 작동체의 상부로 출몰하면서 잠금 및 해지 작동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작동공간부에는 무가압상태에서 가동장식체의 선단부가 작동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가 되도록 판스프링으로 하여금 가동장식체의 저면을 지지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은, 선단부의 가압단부만이 가동장식체의 저면에 접하게 할 수도 있고, S자 단면의 형상으로 구성시켜 상부로 볼록한 상면가압부를 더 형성시키고 상면가압부와 가압단부가 함께 가동장식체의 저면에 접하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상면가압부와 가압단부 사이에 하면가압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하면가압부로 하여금작동공간부의 바닥면에 접하게 구성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잠금체에 하향 돌출된 잠금돌기를 구비시키고, 가동장식체의 선단부에 상기 잠금돌기가 삽입되는 잠금홈을 구비시켜 이들에 의해 잠금 및 해지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체의 선단부에 걸림턱을 구비시키고, 가동장식체의 선단부에 걸림돌기를 구비시켜, 걸림돌기가 걸림턱에 걸림되게 함으로써 가동장식체의 상향 돌출정도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체의 선단부에 양측으로 테이퍼진 삽입첨두를 구비시키고, 잠금체에 상기 삽입첨두가 좌우 끼임되게 함으로써 잠금된 상태에서 작동체가 좌우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한 쌍의 흔들림방지대가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잠금장치의 구성이 장신구를 디자인하는 요소로 이루어져 있고, 잠금 및 해지의 작동을 위한 탄성구조가 판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어 잠금장치의 단면 크기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므로, 잠금장치에 의해 장신구의 미적 외관이 저해될 여지가 전혀 없고, 잠금장치의 수단이 외부에서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타인이 장신구의 잠금상태를 쉽게 해지할 수 없어 이용의 안전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고안의 잠금장치는 구조가 매우 단순하여 쉽게 고장이 생기지 않을뿐더러, 판스프링에 의한 다지지점을 구성시켜 잠금 및 해지 작동과정 중에 발생하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는 바 내구성이 대폭 향상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장신구 잠금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잠금장치의 작동관계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잠금장치가 구비된 장신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작동체에 관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작동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판스프링 설치에 관한 각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 가동장식체의 돌출정도 제한 수단에 관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잠금체에 관한 절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 잠금장치의 작동에 관한 설명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잠금장치가 구비된 장신구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4 내지 7은 장신구의 잠금장치를 구성하는 장식본체(100)의 일측 단부인 작동체(110)에 관하여 각 도시한 것이며, 도 8은 장식본체(100)의 타측 단부인 잠금체(140)에 관하여 도시한 것이고, 도 9은 상기 잠금장치의 작동관계를 각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의 잠금장치가 구비되는 장신구는 장식본체(100)의 양 단부가 상호 잠금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서, 팔찌나 발찌와 같은 장신구에서와 같이 양 단부가 연결되면서 잠금되게 함으로써 신체로부터 장신구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잠금수단이 디자인의 한 요소가 됨으로써, 장신구의 미관이 잠금장치에 의해 저해되지 않고, 아울러 타인이 잠금장치를 쉽게 인식할 수 없게 하여 착용의 안전성을 증대시킨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의 잠금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본체(100)의 일측 단부에 잠금개구(141)가 구비된 잠금체(140)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 상기 잠금개구(141)에 삽입되는 작동체(110)가 형성된다. 즉 본 고안의 잠금장치는 잠금개구(141)에 작동체(110)를 밀어 넣으면 장식본체(100)의 양 단부가 연결되면서 자동의 잠금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작동체(110)에는 가동장식체(120)가 설치되는 바, 상기 가동장식체(120)로 하여금 작동체(110)에 대응하는 길이부재의 형상을 가지게 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잠금 및 해제를 위한 수단과 디자인 요소를 겸하게 한다.
가동장식체(120)에 의한 장식본체(100) 양단부의 잠금 및 해지는, 가동장식체(120)가 작동체(110)의 상부로 출몰하는 작동 관계속에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잠금체(140)의 잠금개구(141)에 작동체(110)를 밀어 넣으면 가동장식체(120)의 선단부가 작동체(110)의 상부로 돌출되면서 장식본체(100)의 양 단부를 연결 및 자동 잠금되게 하고, 착용자가 가동장식체(120)를 가압하면 작동체(110)의 상부로 돌출되었던 가동장식체(120)의 선단부가 작동체(110)의 내부로 하강하여 작동체(110)와 잠금체(140) 사이가 해지상태가 되게 한다. 도 4는 이에 관한 구성의 일 실시예의 구조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이를 분해하여 도시한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의 작동체(110)에는 길이방향으로 상부가 개방된 작동공간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공간부(111)에 가동장식체(120)가 삽입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작동체(110) 상부로 출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작동공간부(111)에 삽입된 설치된 가동장식체(120)는 후단부가 작동체(110)에 힌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가동장식체(120)는 작동체(110)에 힌지 결합된 후단부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되는 바, 이에 의해 선단부가 작동체(110)의 상부로 출몰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잠금체(140)의 잠금개구(141)에 작동체(110)를 밀어 넣으면 작동체(110)가 잠금체(140) 내부에서 자동 잠금되어 야 하는 바, 상기 가동장식체(120)는 무가압상태, 즉 착용자가 가동장식체(120)를 가압하지 않은 일반적인 상태에서는 그 선단부가 작동체(1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작동공간부(111)에 판스프링(130)을 설치하고, 상기 판스프링(130)으로 하여금 가동장식체(120)의 저면을 지지하게 한다.
통상적으로 탄성력을 이용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 1, 2에서와 같이 코일스프링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코일스프링은 입체적 형상 때문에 큰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며, 이는 매우 작은 장신구의 외관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판스프링(130)은 상기한 코일스프링과는 달리, 긴 막대형상의 작동체(110)에 대응하여 길게 설치할 수 있어 작동체(110) 부위에 대한 외관을 저해하지 않게 할 뿐 아니라, 탄성구조를 단순화시킨다. 이와 더불어 상기 판스프링(130)은 단면의 형상변화를 통해 지지점을 다수 개 형성시킬 수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응력을 전체적으로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게 되고, 이에 의해 반복되는 잠금의 해지작동에 의해 탄성력이 쉽게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게 함으로써 잠금장치의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킨다.
도 6은 작동공간부(111) 내에 상기한 판스프링(130)이 설치된 각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들 각 판스프링(130)의 후단은 고정단부(131)를 형성하여 작동공간부(111) 저면에 구비된 스프링고정홈(112)에 삽입 고정된다.
그 중 도 6의 (a)는 지지점을 하나 만 형성시킨 것으로서, 판스프링(130)의 선단부에 가압단부(132)를 형성시켜 가동장식체(120)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한 것으로서, 가동장식체(120)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도 6의 (b)와 (c)는 지지점을 다수 개 형성시켜 가동장식체(120)의 저면을 분산하여 지지하도록 한 것으로서, 가동장식체(120)의 길이가 긴 경우에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6의 (b)와 (c)에서와 같이, 판스프링(130)이 가동장식체(120) 저면에 접하는 가압단부(132)와 상면가압부(133)가 형성되도록 S자 단면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장식본체(100)의 양 단부가 잠금되는 과정 중 또는 착용자가 신체에서 장신구를 제거하기 위하여 가동장식체(120)를 눌러줌으로써 가동장식체(120)와 판스프링(130) 사이에 발생하는 응력이 가압단부(132)와 상면가압부(133)에 분산되므로 가동장식체(120)와 판스프링(130)이 길게 형성되더라도 소성변형이 쉽게 발생하지 않게 된다.
더욱이 도 6의 (c)에서와 같이 가압단부(132)와 상면가압부(133) 사이에 작동공간부(111)의 바닥면에 접하는 하면가압부(134)를 형성시키게 되면, 상기 하면가압부(134)는 판스프링(130) 후단의 고정단부(131)가 부담하는 하중의 일부를 분담하게 되므로 판스프링(130)의 두께를 더욱 얇게 구성시킬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판스프링(130) 등의 탄성지지수단에 의해 저면이 지지되는 가동장식체(120)의 선단부 상면에는 잠금홈(121)이 구비되어, 가동장식체(120)의 잠금 작동시에 후술하는 잠금체(140)의 잠금돌기(142)에 삽입된다.
한편, 가동장식체(120)는 후단부가 작동체(110)에 힌지 결합된 상태에서 선단부가 상부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인바, 가동장식체(120)의 지나친 상부로의 회동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장식체(120)의 선단부에 걸림돌기(122)를 구비시키고, 이에 대응하여 작동체(110)의 선단부에도 걸림턱(113)을 구비시켜, 걸림돌기(122)가 걸림턱(113)에 걸림됨으로써 가동장식체(120)의 상부로의 회동, 즉 가동장식체(120)의 상향 돌출정도를 제한한다.
상기 잠금체(140)는, 잠금개구(141)를 통해 선단부가 상향 돌출된 상태로 설치된 가동장식체(120)와 작동체(110)를 수용하면서 잠금 작동을 하는 것인바, 이러한 잠금 작동을 위한 잠금돌기(142)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체(140) 내부에 하향 돌출되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잠금체(140) 내부에는 상호 이격된 한 쌍의 흔들림방지대(143)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도 9는 지금까지 설명한 작동체(110)와 잠금체(140) 사이의 잠금 및 해지 작동을 통해 장식본체(100)의 양 단부가 연결되거나 분리되는 관계를 설명한 것이다.
잠금체(140)의 잠금개구(141)에 작동체(110)를 밀어 넣게 되면,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130)에 의해 지지되어 작동체(110)의 상부로 돌출된 가동장식체(120)의 선단부가 눌려진 상태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가동장식체(120)의 잠금홈(121)이 잠금체(140)의 잠금돌기(142)에 위치하게 되면, 가동장식체(120)가 판스프링(130)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상부로 회동하면서 잠금홈(121)에 잠금돌기(142)가 삽입된다. 이로써 장식본체(100)의 양 단부가 연결되면서 자동 잠금된다.
이때 잠금개구(141)에 대한 작동체(110)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가동장식체(120)의 잠금홈(121) 전방은 하향 테이퍼진 진입면(123)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작동체(110)의 선단부에 양측으로 테이퍼진 삽입첨두(114)를 구비시키고, 상기한 잠금과정 중에 삽입첨두(114)가 한 쌍의 흔달림방지대 사이에 좌우 끼임되게 함으로써 작동체(110)가 잠금된 상태에서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잠금상태의 해지는,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장식체(120)를 눌러주어 잠금홈(121)으로부터 잠금돌기(142)를 이탈시키 상태에서 작동체(110)를 잠금체(140)로부터 빼내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 예는 본 고안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장식본체 110; 작동체
111; 작동공간부 112; 스프링고정홈
113; 걸림턱 114; 삽입첨두
120; 가동장식체 121; 잠금홈
122; 걸림돌기 123; 진입면
130; 판스프링 131; 고정단부
132; 가압단부 133; 상면가압부
134; 하면가압부 140; 잠금체
141; 잠금개구 142; 잠금돌기
143; 흔들림방지대

Claims (8)

  1. 장식본체(100)의 양 단부가 잠금되는 장신구용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식본체(100)의 일측 단부는 잠금개구(141)가 구비된 잠금체(140)를 형성하고, 타측단부는 가동장식체(120)가 상부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 작동체(110)를 형성하여, 상기 잠금체(140)의 잠금개구(141)에 작동체(110)를 수평방향으로 밀어 넣으면 장식본체(100)의 양 단부가 연결되면서 가동장식체(120)에 의해 자동 잠금되는 것으로서,
    상기 작동체(110)에는 길이방향으로 상부가 개방된 작동공간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가동장식체(120)는 작동공간부(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후단부가 작동체(110)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선단부가 작동체(110)의 상부로 출몰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작동공간부(111)에는 무가압상태에서 가동장식체(120)의 선단부가 작동체(1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가 되도록 가동장식체(120)의 저면을 지지하는 판스프링(130)이 설치되고,
    상기 작동체(110)의 선단부에는 양측으로 테이퍼진 삽입첨두(114)가 구비되고, 잠금체(140)에는 상기 삽입첨두(114)가 좌우 끼임됨으로써 작동체(110)가 좌우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한 쌍의 흔들림방지대(143)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잠금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130)은 가동장식체(120) 저면에 접하는 가압단부(132)와 상면가압부(133)가 형성되도록 S자 단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잠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단부(132)와 상면가압부(133) 사이에는 작동공간부(111)의 바닥면에 접하는 하면가압부(13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잠금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체(140)에는 하향 돌출된 잠금돌기(142)가 구비되고, 가동장식체(120)의 선단부에는 상기 잠금돌기(142)가 삽입되는 잠금홈(121)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잠금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체(110)의 선단부에는 걸림턱(113)이 구비되고, 가동장식체(120)의 선단부에는 걸림돌기(122)가 구비되어, 걸림돌기(122)가 걸림턱(113)에 걸림됨으로써 가동장식체(120)의 상향 돌출정도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잠금장치.
  8. 삭제
KR2020200004164U 2020-11-18 2020-11-18 장신구용 잠금장치 KR2004932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164U KR200493263Y1 (ko) 2020-11-18 2020-11-18 장신구용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164U KR200493263Y1 (ko) 2020-11-18 2020-11-18 장신구용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263Y1 true KR200493263Y1 (ko) 2021-03-02

Family

ID=74870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4164U KR200493263Y1 (ko) 2020-11-18 2020-11-18 장신구용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263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9098Y1 (ko) 2005-11-30 2006-02-20 김용희 잠금장치를 가지는 장식부재
KR20070073692A (ko) * 2007-04-20 2007-07-10 이창수 착탈식장신구
KR101556116B1 (ko) * 2014-11-05 2015-09-30 정순희 장신구의 체결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9098Y1 (ko) 2005-11-30 2006-02-20 김용희 잠금장치를 가지는 장식부재
KR20070073692A (ko) * 2007-04-20 2007-07-10 이창수 착탈식장신구
KR101556116B1 (ko) * 2014-11-05 2015-09-30 정순희 장신구의 체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7189B1 (ko) 귀걸이
KR100802100B1 (ko) 체인형 장신구의 잠금장치
KR200493263Y1 (ko) 장신구용 잠금장치
WO2019190135A1 (ko) 장신구용 체결장치
US6170127B1 (en) Ornament hanger ring of necklace
KR200415394Y1 (ko) 액세서리
KR200392447Y1 (ko) 장신구 연결구
CN208243061U (zh) 一种方便组合的饰件
CN211154128U (zh) 一种具有多种搭配方式的首饰扣件装置
WO2009153286A1 (en) Jewelry setting for detachable ornament and jewelry comprising such setting
KR101440097B1 (ko) 장신구 탈착구조
KR20090006171U (ko) 장신구용 연결구
KR200269199Y1 (ko) 장신구의 연결구조
KR102228160B1 (ko) 장신구 줄 체결구
KR101126304B1 (ko) 원터치타입 귀걸이 장식
KR102419854B1 (ko) 원터치로 탈부착이 가능한 액세서리용 연결구
RU2720894C1 (ru) Замок
KR20240054655A (ko) 장신구 체결장치
KR102617781B1 (ko) 결합구조가 개선된 장신구용 잠금장치
KR200353293Y1 (ko) 팔찌 자동 잠금장식
KR100531179B1 (ko) 장신구용 액세서리 걸이구
KR200457609Y1 (ko) 장신구용 체결구
KR20120008345U (ko) 목걸이의 장식용 연결장치
KR200357797Y1 (ko) 다기능 장신구
KR101806030B1 (ko) 잠금장치를 가지는 장식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