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6171U - 장신구용 연결구 - Google Patents

장신구용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6171U
KR20090006171U KR2020070020288U KR20070020288U KR20090006171U KR 20090006171 U KR20090006171 U KR 20090006171U KR 2020070020288 U KR2020070020288 U KR 2020070020288U KR 20070020288 U KR20070020288 U KR 20070020288U KR 20090006171 U KR20090006171 U KR 2009000617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nament
ornaments
upper body
connector
low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202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광수
Original Assignee
손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광수 filed Critical 손광수
Priority to KR20200700202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6171U/ko
Publication of KR200900061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17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185Attachment of fasteners to straps or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52Fasteners provided with at least one push-button acting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fastener and perpendicularly to the direction of the fastening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71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with the two ends of the strap or chain overlapping each other and fastened by an action perpendicularly to the main plane of these two end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목걸이나 팔찌와 같은 장신구용 줄의 일단에 연결된 장신구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그 크기를 최소화하면서 장신구용 줄을 간단하고 편리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 장신구용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목걸이 또는 팔찌를 이루는 장신구용 줄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장신구용 줄의 일측을 연결하거나 연결을 해제시키는 장신구용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용 연결구가 누름부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이 하방으로 절곡된 상부몸체; 일단이 상기 상부몸체의 타단과 대응되도록 상방으로 절곡되어 장 신구용 줄이 연결되는 연결공간부를 형성하며 타단에 상기 장신구용 줄의 일단에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된 하부몸체;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의 중앙영역을 상호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 및 상기 누름부의 하부영역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의 절곡된 단부를 상호 접촉시키도록 상기 상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연결구의 크기를 최소화하면서 장신구용 줄을 간단하고 편리하게 연결할 수 있다.
목걸이, 팔찌, 장신구용 연결구

Description

장신구용 연결구{Fixer for accessary}
본 고안은 목걸이나 팔찌와 같은 장신구용 줄의 일단에 연결된 장신구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그 크기를 최소화하면서 장신구용 줄을 간단하고 편리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 장신구용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걸이나 팔찌와 같이 신체에 걸 수 있도록 된 장신구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장신구용 줄과, 장신구용 줄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 연결구와 구속편으로 이루어진다.
통상의 상기 연결구는 장신구용 줄의 일단에 탄성레버를 통해 입구가 개폐되는 링(Ring)이나 고리(Hook)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속편은 상기 연결구의 링이나 고리에 걸리는 홈이나 관통공을 가진다. 이러한 연결구는 장신구의 디자인이나 착용감을 고려하여 그 크기를 최소화하여 제작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장신구용 연결구는 크기가 매우 작은 관계로 조작이 매우 어렵다. 특히 팔찌와 같은 경우에는 한 손으로 장신구용 줄을 잡은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만 연결구를 조작하여야 하므로 조작하기가 더욱 어렵다.
또한, 상기 연결구는 반드시 구속편을 통해 장신구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장신구를 이용한 다양한 연출을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크기를 최소화하면서도 조작이 쉽고 구속편을 구비하지 않고도 장신구 줄과 자유롭게 연결되어 다양한 연출이 가능해지는 장신구용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목걸이 또는 팔찌를 이루는 장신구용 줄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장신구용 줄의 일측을 연결하는 장신구용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용 연결구가 누름부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이 하방으로 절곡된 상부몸체와, 일단이 상기 상부몸체의 타단과 대응되도록 상방으로 절곡되어 장신구용 줄이 연결되는 연결공간부를 형성하며 타단에 상기 장신구용 줄의 일단에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된 하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의 중앙영역을 상호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와, 상기 누름부의 하부영역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의 절곡된 단부를 상호 접촉시키도록 상기 상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는 상기 상부몸체에 형성된 제1관과, 상기 제1관이 삽입가능하도록 하부몸체에 형성된 제2관과, 상기 제1관 및 제2관에 개재되는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몸체의 연결공간부에는 장신구용 줄과의 연결력을 향상시키 기 위한 고정돌기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신구용 줄은 상기 고정돌기에 물리는 연결공이 형성된 단위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구는 몸체의 후단이 누름부로 이루어지고 이 누름부의 하부영역에 탄성부가 위치되도록 하면서 누름부의 전방에 힌지부를 배치함으로써, 연결구의 크기를 작게 하면서도 누름동작이 안정되고 확실하게 이루어지므로 한 손만으로도 매우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몸체와 하부몸체 사이에 장신구용 줄이 연결되는 연결공간부가 형성되므로 종래와는 달리 구속편 없이도 장신구용 줄과 연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위치에 상관없이 장신구용 줄에 자유롭게 연결할 수 있으므로 이를 이용한 장신구의 다양한 연출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장신구용 연결구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본 고안을 구성하는 누름부가 눌러진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목걸이 또는 팔찌를 이루는 장신구용 줄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장신구용 줄의 일측을 연결하거나 연결을 해제시 키는 장신구용 연결구(1)로서, 상부몸체(10)와, 상부몸체(10)에 대응되는 하부몸체(20)와,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20)를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30)와,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20)를 탄성지지하면서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20)의 일단을 상호 접촉되도록 하는 탄성부(40)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몸체(10)는 누름부(11)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이 하방으로 절곡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누름부(11)는 손가락으로 누르기 용이하도록 상부몸체(10)의 상면을 움푹 패인 형태로 형성하거나 손톱 끝으로 누르기 용이하도록 상부몸체(10)의 일단 상부를 돌출되게 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누름부(11)는 손가락과 손톱 끝으로 누르기 용이하도록 완만한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심미감을 증대시키도록 제작한 것을 도시하였다.
그리고 상부몸체(10)의 하방으로 절곡된 부분(이하, 상부턱(13))과 후술할 하부몸체(20)의 절곡된 부분(이하, 하부턱(23))의 사이는 후술할 장신구용 줄(5)의 단위체(50)와 연결되는 연결공간부(A)가 된다.
하부몸체(20)는 상부몸체(10)와 대응되는 형태로 제작되면서 상부몸체(10)의 하부에 위치한다. 하부몸체(20)의 일단은 상부몸체(10)의 상부턱(13)과 대응되도록 상방으로 절곡된 하부턱(23)을 가지며, 타단에는 장신구용 줄(5)과 연결되는 연결부(21)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턱(23)은 상부몸체(10)의 상부턱(13)과 함께 장신구용 줄(5)이 연결되는 연결공간부(A)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21)는 후술할 장신구용 줄(5)의 단위체(50)의 형상과 동 일한 형상으로 하부몸체(21)와 일체로 이루어지면서 장신구용 줄(5)과 장신구용 연결구(3)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하부몸체(20)의 하부턱(23)에 인접한 곳에는 고정돌기(25)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고정돌기(25)는 상부몸체(10)의 상부턱(13)과 하부몸체(20)의 하부턱(23)이 이루는 연결공간부(A)에 장신구용 줄(5)이 연결될 경우 그 연결을 안정시켜 장신구용 줄(5)이 장신구용 연결구(3)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장신구용 줄(5)은 상기 고정돌기(25)와의 연결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고정돌기(25)가 삽입되는 연결공(53)을 갖는 단위체들로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공(53)의 상면에는 연결돌기(51)를 다수 형성하여 전술한 장신구용 연결구(3)와의 연결시 마찰력을 증대시키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연결돌기와 연결공(53)은 연결을 위한 기능뿐만 아니라 장신구로서의 심미감을 주는 기능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20)는 그 중앙부가 힌지(30)에 의해서 결합되어 상호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30)로 결합된 중앙영역을 중심으로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20)의 양 단부는 시소(See Saw) 형태로 이동할 수 있는 자유도를 갖게 된다.
여기서, 상부몸체(10)의 누름부(11) 하부영역에는 상부몸체(10)와 하부몸체(20)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40)가 설치되어 상부몸체(10)의 상부턱(13)과 하부 몸체(20)의 하부턱(23)은 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탄성부(40)는 상부몸체(10)에 형성된 제1관(41)과, 제1관(41)이 삽입가능하도록 하부몸체(20)에 형성된 제2관(43)과, 제1관(41) 및 제2관(43)에 개재되는 압축스프링(45)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관(41)은 원기둥 내부가 빈 형태의 관으로서 상부몸체(10)와 일체로 제작되고, 제2관(43)은 제1관(41)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1관(41)보다 큰 원기둥 내부가 빈 형태의 관으로서 하부몸체(2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압축스프링(45)은 제1관(41)의 빈 공간과 제2관(43)의 빈 공간 사이에 개재되며 제1관(41)의 상부와 제2관(43)의 하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압축스프링(45)은 상부몸체(10)의 상부턱(13)과 하부몸체(20)의 하부턱(23)이 상호 밀착접촉되도록 적당한 탄성계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가 상부몸체(10)의 누름부(11) 영역을 손가락으로 눌러잡을 경우 압축스프링(45)은 충분히 압축되면서 상부턱(13)과 하부턱(23)을 이격시켜 연결공간부(A)를 개방시키도록 탄성계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전술한 압축스프링 대신 스펀지나 고무 등의 탄성체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장신구용 연결구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신구용 연결구(3)의 누름부(11)를 손이나 손가락으로 간단하게 눌러잡는 방식으로 연결공간부(A)에 장신구용 줄(5)의 단위체(50)에 간단하게 연결하거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종래와 같이 매우 작은 크기의 탄성레버를 조작하는 대신 연결구(3) 몸체를 눌러 조작하게 되므로 종래 연결방식보다 빠르고 간편할 뿐만 아니라 손이나 손톱에 무리가 없이 안정된 상태로 조작할 수 있게 되며 한 손으로도 충분히 조작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장신구용 연결구가 장신구용 줄과 결합되어 팔찌로 사용된 사용상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장신구용 연결구가 장신용 줄과 연결되어 목걸이로 사용된 사용상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장신구용 연결구는 동일한 귀금속 줄에 대하여 그 연결위치를 달리해 가면서 팔찌 또는 목걸이로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다.
또한, 도 7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장식용 연결구(1)는 단부에 구속편(8)이 연결된 통상의 장신구용 줄(5)에 적용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그 연결과 연결의 해제가 무리없이 이루어진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본 고안을 구성하는 누름부가 눌러진 상태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장신구용 연결구가 장신구용 줄과 결합되어 팔찌로 사용된 사용상태도; 그리고
도 6은 본 고안의 장신구용 연결구가 장신용 줄과 연결되어 목걸이로 사용된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장신구용 연결구가 장신구용 줄의 단부에 연결된 구속편에 연결되도록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장신구용 연결구 5 : 장신구용 줄
10 : 상부몸체 11 : 누름부
13 : 상부턱 20 : 하부몸체
21 : 연결부 23 : 하부턱
25 : 고정돌기 30 : 힌지
40 : 탄성부 41 : 제1관
43 : 제2관 45 : 압축스프링
50 : 단위체 51 : 연결돌기
53 : 연결공 A : 연결공간부

Claims (4)

  1. 목걸이 또는 팔찌를 이루는 장신구용 줄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장신구용 줄의 일측을 연결하거나 연결을 해제시키는 장신구용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용 연결구는
    누름부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이 하방으로 절곡된 상부몸체;
    일단이 상기 상부몸체의 타단과 대응되도록 상방으로 절곡되어 장신구용 줄이 연결되는 연결공간부를 형성하며 타단에 상기 장신구용 줄의 일단에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된 하부몸체;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의 중앙영역을 상호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 및
    상기 누름부의 하부영역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의 절곡된 단부를 상호 접촉시키도록 상기 상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연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상부몸체에 형성된 제1관;
    상기 제1관이 삽입가능하도록 하부몸체에 형성된 제2관; 및
    상기 제1관 및 제2관에 개재되는 압축스프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연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의 연결공간부에는 장신구용 줄과의 연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고정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연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용 줄은 상기 고정돌기에 물리는 연결공이 형성된 단위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연결구.
KR2020070020288U 2007-12-18 2007-12-18 장신구용 연결구 KR2009000617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288U KR20090006171U (ko) 2007-12-18 2007-12-18 장신구용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288U KR20090006171U (ko) 2007-12-18 2007-12-18 장신구용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171U true KR20090006171U (ko) 2009-06-23

Family

ID=41290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0288U KR20090006171U (ko) 2007-12-18 2007-12-18 장신구용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6171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134Y1 (ko) * 2011-04-04 2013-02-05 유영기 다용도 장신구
KR200484352Y1 (ko) * 2017-03-10 2017-09-12 김선기 과일수거용 바구니
KR102384911B1 (ko) * 2021-10-27 2022-04-08 권경희 목걸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134Y1 (ko) * 2011-04-04 2013-02-05 유영기 다용도 장신구
KR200484352Y1 (ko) * 2017-03-10 2017-09-12 김선기 과일수거용 바구니
KR102384911B1 (ko) * 2021-10-27 2022-04-08 권경희 목걸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7189B1 (ko) 귀걸이
USD556620S1 (en) Item of jewelry for use as a pendant, earring, ring, brooch, bracelet, hair pin, cuff link or tiepin
KR101426023B1 (ko) 장신구의 탄성식 연결기구
KR20090006171U (ko) 장신구용 연결구
KR100761985B1 (ko) 착탈식장신구
KR200471390Y1 (ko) 액세서리 연결고리
US20110239417A1 (en) Box-Shaped Ornamented Locking Device for Decorations
KR101925869B1 (ko) 장신구용 체결장치
KR200392447Y1 (ko) 장신구 연결구
US9516929B1 (en) Fastening structure of jewellery
KR101680244B1 (ko) 장신구용 결합장치
KR200275820Y1 (ko) 장신용 줄 연결고리의 착탈구조
KR101991792B1 (ko) 장신구의 체결장치
KR101511329B1 (ko) 장신구 연결 구조체
JP2541549Y2 (ja) ネックレス、腕輪、その他の装身具及び服飾品用留め金
KR200210901Y1 (ko) 장신구용 체결장치
JP3094034U (ja) 装身具用連結構造
KR101071385B1 (ko) 귀걸이 및 그의 록킹 장치
KR200493263Y1 (ko) 장신구용 잠금장치
CN211961132U (zh) 一种项链饰品
KR200186198Y1 (ko) 귀금속 장신구용 연결구
KR101113143B1 (ko) 귀걸이
KR101240693B1 (ko) 손발톱용 장신구
KR200350725Y1 (ko) 목걸이
KR200205271Y1 (ko) 악세사리 체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