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0901Y1 - 장신구용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장신구용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0901Y1
KR200210901Y1 KR2020000021680U KR20000021680U KR200210901Y1 KR 200210901 Y1 KR200210901 Y1 KR 200210901Y1 KR 2020000021680 U KR2020000021680 U KR 2020000021680U KR 20000021680 U KR20000021680 U KR 20000021680U KR 200210901 Y1 KR200210901 Y1 KR 2002109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jewelry
insertion hole
fastening device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16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명빈
Original Assignee
임명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명빈 filed Critical 임명빈
Priority to KR20200000216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09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09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0901Y1/ko

Link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신구용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목걸이나 팔찌등의 장신구 양단에 암, 수가 결합되고, 이들의 결합에 의해 장신구가 신체에 착용되어지도록 하는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며, 그 끝단 내주면에 중심측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원형의 삽입구멍을 갖는 몸체와; 상기 장신구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고, 몸체의 삽입구멍에 삽입될 때 완전삽입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장신구와 결합된 측부에 제한돌기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삽입구멍으로 삽입될 때 탄력적으로 삽입되기 위한 탄성편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한돌기가 형성된 선상의 탄성편 부분에 삽입구멍의 걸림턱에 걸려지도록 하는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체결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몸체에 걸이구가 결합될 때 걸이구의 특정한 방향성이 배제되어 결합행위가 보다 편리하게 수행되도록 하므로써, 소비자로 하여금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켜 판매증진의 효과를 얻게 된다.

Description

장신구용 체결장치{UNION APPARATUS FOR PERSONAL ORNAMENTS}
본 고안은 장신구용 체결장치(이하, 체결장치라 칭함)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목걸이나 팔찌 등의 장신구 양단에 결합되는 암, 수의 체결구 구조를 방향성에 관계없이 결합될 수 있도록 개선하여 이들의 결합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걸이나 팔찌 등의 장신구는 적정길이를 갖는 끈 형태로 제작되어 양 끝단을 상호 체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양 끝단에 나누어져 장착된 체결장치를 갖는다.
상기 체결장치는 장신구의 원 목적이 보다 미려한 장식효과를 갖도록 하는 것에 있기 때문에 장신구의 모양과 더불어 고급화된 것들이 많이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근래의 실정은 실제적인 금이나 은으로 제작되는 고급 장신구로 갈 수록 더욱 고급화된 미감을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기존의 단순한 고리형태의 체결장치에서 탈피되어 소정의 무늬 또는 모양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적정 체적의 몸체에 걸이구가 결합되는 체결장치가 제안되도록 하였다.
상기된 종래의 체결장치를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체결장치(1)는 장신구(A)의 일 끝단에 결합되며, 외면에 상기된 소정의 무늬 또는 모양(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하기 위해 적정 체적을 갖는 몸체(10)와, 상기 장신구(A)의 타측 끝단에 결합되며, 상기 몸체(1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에 의해 장신구(A)가 신체에 착용된 상태에서 장신구(A)가 체결되도록 하는 걸이구(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0)에는 걸이구(20) 측 면에 걸이구(20)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구멍(11)이 형성되고, 걸이구(20)가 삽입된 후 걸려져 체결력을 갖도록 하는 걸림턱(12)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구(20)에는 몸체(10)의 삽입구멍(11)과 일치되는 폭으로 형성되어 삽입구멍(11)에 삽입된 후, 걸림턱(12)에 상측의 걸림단()이 결려져 이탈됨을 방지하는 탄성 걸림편(21)이 형성된다.
상기 부호 22는 체결장치의 체결후 탄성 걸림편을 가압하여 걸이구의 탄성 걸림편이 걸림턱에서 이탈되도록 하므로써 체결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레버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장신구는 걸이구가 넓적한 판체의 형태로 형성되고, 걸이구가 끼워지기 위한 몸체의 삽입구멍이 이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이들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걸이구의 삽입방향과 삽입구멍의 형태를 일치시킨 후 수행해야만 한다.
이와 행위는 목걸이와 팔찌 등의 장신구를 착용할 경우에 착용자가 직접 육안으로 결합상태를 확인하고 수행하기에 상당히 번거로운 단점을 수반하게 되는데, 이에 그치지 않고 착용자의 목 둘레와 거의 유사한 길이로 착용되어지는 목걸이의 경우에는 결합상태를 확인 불가능 하여 상당한 불편함을 거친 후 착용되어지거나, 타인의 도움을 받아 착용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특히, 상기 장신구가 팔찌의 경우에는 착용자가 한쪽 손목에 팔찌를 대고 다른쪽 한 손으로만 이들을 결합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불편한 문제점은 더욱 가중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상기 몸체에 걸이구가 결합될 때 걸이구의 전, 후, 좌, 우 방향성에 관계없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장신구용 체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장신구용 체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장신구용 체결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장신구용 체결장치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체결장치 30: 몸체
31: 삽입구멍 32: 걸림턱
40: 걸이구 41: 탄성편
42: 제한돌기 43: 걸림홈
상기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은 목걸이나 팔찌등의 장신구 양단에 암, 수가 결합되고, 이들의 결합에 의해 장신구가 신체에 착용되어지도록 하는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며, 그 끝단 내주면에 중심측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원형의 삽입구멍을 갖는 몸체와; 상기 장신구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고, 몸체의 삽입구멍에 삽입될 때 완전삽입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장신구와 결합된 측부에 제한돌기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삽입구멍으로 삽입될 때 탄력적으로 삽입되기 위한 탄성편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한돌기가 형성된 선상의 탄성편 부분에 삽입구멍의 걸림턱에 걸려지도록 하는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된 특징이 적용되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체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체결장치를 결합한 후 종 단면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체결장치(2)는 목걸이나 팔찌등의 장신구(A) 양단에 통체형의 몸체(30)와, 걸이구(40)가 각각 결합되어진 기본 구성을 갖는다.
상기 몸체(30)는 걸이구(40)와 체결되는 측단면에 적어도 걸이구(40)의 폭보다 넓은 삽입구멍(31)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구멍(31)은 몸체(30)의 끝단 내주에서 중심측으로 돌출형성된 걸림턱(32)에 의해 형성되며, 그 형태가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삽입구멍(31)의 형태는 반드시 원형에 국한되지는 않으며, 제작자의 독특한 취향에 따라 적어도 정 5각형 이상의 정 다각형으로 형성해도 무방하지만 가공상의 편의를 위해 원형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 걸이구(40)는 도면상 그 하단부가 상측으로 절곡되어 몸체(30)의 삽입구멍(31)에 삽입될 때 탄성작용을 하도록 하는 탄성편(41)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30)의 삽입구멍(31)으로 삽입될 때 몸체(30) 내에 완전히 삽입됨을 방지하기 위해 장신구(A)와 결합되는 일측단부 외측에 제한돌기(42)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편(41)의 상단부에는 걸이구(40)가 몸체(30)의 삽입구멍(31)에 삽입되었을 때 삽입구멍(31)의 걸림턱(32)에 걸려지도록 하기 위한 걸림홈(43)이 형성되는데, 상기 걸림홈(43)은 대략 제한돌기(42)가 형성된 수평선상에 형성되도록 하여 걸이구(40)가 몸체(30) 내에서 유동됨을 최대한 방지한다.
또한, 상기 탄성편(41)에는 걸림홈(43)에서 상측으로 더 연장하여 착용자가 탄성편(41)을 손으로 누르기 용이하도록 한 버튼부(44)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체결장치(2)는 몸체(30)의 삽입구멍(31)에 걸이구(40)를 밀어끼우기만 하면 간단히 체결되는데, 상기 걸이구(40)를 밀어끼울 때 도 3의 일점쇄선의 원내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탄성편(41)은 삽입구멍(31) 내에서 탄력적인 작용으로 삽입될 수 있게 되며, 이와 같이 삽입되는 도중 탄성편(41)의 걸림홈(43)이 삽입구멍(31)의 걸림턱(32) 걸려지게 되면 상기 제한돌기(42)도 몸체(30)에 접촉되어 삽입이 정지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가 장신구(40)를 신체에 착용한 상태가 되며, 상기 삽입구멍(31)의 형태가 원형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걸이구(40)는 전, 후, 좌, 우의 방향성에 관계없이 삽입이 가능해지게 되며, 도 1에서 도시된 종래 체결장치 몸체의 직사각의 형태에 비해 그 삽입폭도 훨씬 넓어져 삽입행위가 용이해지게 된다.
상기된 상태와 반대로 착용자가 상기 버튼부(44)를 눌러 상기 삽입구멍(31)의 걸림턱(32)에서 걸림홈(43)을 이탈시킨 후, 걸이구(40)를 몸체(30)에서 빼내면 착용자는 상기된 장신구(A)를 신체에서 이탈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본 고안은, 몸체에 걸이구가 결합될 때 걸이구의 특정한 방향성이 배제되어 결합행위가 보다 편리하게 수행되도록 하므로써, 소비자로 하여금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켜 판매증진의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1)

  1. 목걸이나 팔찌등의 장신구 양단에 암, 수가 결합되고, 이들의 결합에 의해 장신구가 신체에 착용되어지도록 하는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A)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며, 그 끝단 내주면에 중심측으로 돌출된 걸림턱(32)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원형의 삽입구멍(31)을 갖는 몸체(30)와;
    상기 장신구(A)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고, 몸체(30)의 삽입구멍(31)에 삽입될 때 완전삽입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장신구(A)와 결합된 측부에 제한돌기(42)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몸체(30)의 삽입구멍(31)으로 삽입될 때 탄력적으로 삽입되기 위한 탄성편(41)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한돌기(42)가 형성된 선상의 탄성편(41) 부분에 삽입구멍(31)의 걸림턱(32)에 걸려지도록 하는 걸림홈(4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체결장치.
KR2020000021680U 2000-07-29 2000-07-29 장신구용 체결장치 KR2002109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680U KR200210901Y1 (ko) 2000-07-29 2000-07-29 장신구용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680U KR200210901Y1 (ko) 2000-07-29 2000-07-29 장신구용 체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0901Y1 true KR200210901Y1 (ko) 2001-01-15

Family

ID=73086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1680U KR200210901Y1 (ko) 2000-07-29 2000-07-29 장신구용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090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390Y1 (ko) 2013-01-14 2014-02-27 김용남 액세서리 연결고리
KR20160143464A (ko) 2015-06-06 2016-12-14 주식회사 구티에르 펜던트형 장신구 체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390Y1 (ko) 2013-01-14 2014-02-27 김용남 액세서리 연결고리
KR20160143464A (ko) 2015-06-06 2016-12-14 주식회사 구티에르 펜던트형 장신구 체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56620S1 (en) Item of jewelry for use as a pendant, earring, ring, brooch, bracelet, hair pin, cuff link or tiepin
KR100802100B1 (ko) 체인형 장신구의 잠금장치
KR100943245B1 (ko) 귀걸이 고정구
KR200210901Y1 (ko) 장신구용 체결장치
KR101330153B1 (ko) 끈 형상의 액세서리 체결구
CN210169218U (zh) 一种连接扣
KR101991792B1 (ko) 장신구의 체결장치
KR200457609Y1 (ko) 장신구용 체결구
KR200427099Y1 (ko) 악세사리 줄 체결구
KR101924512B1 (ko) 장신구용 연결구
KR200392495Y1 (ko) 기능성 고무제 장신구
KR20090006171U (ko) 장신구용 연결구
KR200331806Y1 (ko)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구조
KR200417928Y1 (ko) 목걸이식 액세서리
KR200438201Y1 (ko) 귀걸이용 걸이구
CN214483531U (zh) 扣坠及链饰
KR100845208B1 (ko) 장신구 연결장치
CN216961693U (zh) 一种饰品连接扣及饰品链
KR100700202B1 (ko) 클립형 체결장치
KR200344401Y1 (ko) 장신구용 벨트의 버클
KR200205279Y1 (ko) 팔지 걸이구
KR200210218Y1 (ko) 장신구용 체결장치
KR200260669Y1 (ko) 귀고리
KR200227741Y1 (ko) 장식부재용 체결구
JP3104061U (ja) 装飾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