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3464A - 펜던트형 장신구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펜던트형 장신구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3464A
KR20160143464A KR1020150080240A KR20150080240A KR20160143464A KR 20160143464 A KR20160143464 A KR 20160143464A KR 1020150080240 A KR1020150080240 A KR 1020150080240A KR 20150080240 A KR20150080240 A KR 20150080240A KR 20160143464 A KR20160143464 A KR 20160143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present
locking
female
fasten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0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기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구티에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구티에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구티에르
Priority to KR1020150080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3464A/ko
Publication of KR20160143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34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44C25/001Penda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0/00General types of fasteners
    • A44D2200/10Details of construction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걸이나 팔찌 등과 같은 장신구의 양 단부를 체결하기 위한 기능성 장신구 체결구로서, 단부 간의 체결과 분리가 매우 용이하고, 잔 고장을 방지할 수 있고, 줄의 꼬임을 발생시키지 않아 머리카락이나 살이 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펜던트형 장신구 체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일단부에 연결구가 구비되고 타단부에 체결구가 구비되는 수 체결부재; 타단부에 연결구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구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암 체결부재; 및 상기 암 체결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암 체결부재에 수 체결부재를 록킹/언록킹시키는 록킹 수단을 포함하는 장신구용 체결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펜던트형 장신구 체결장치{PENDANT TYPE-COUPLE DEVICE FOR ACCESSORIES}
본 발명은 목걸이나 팔찌 등과 같은 장신구의 양 단부를 체결하기 위한 기능성 장신구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부 간의 체결과 분리가 매우 용이하고, 잔 고장을 방지할 수 있고, 줄의 꼬임을 발생시키지 않아 머리카락이나 살이 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펜던트로도 기능할 수 있는 펜던트형 장신구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팔찌, 발찌, 목걸이 등의 링형 장신구를 착용할 때는 장신줄을 팔목이나 발목, 목 등의 신체부위에 두른 후장신줄 양단의 체결단부를 상호 체결하게 된다.
종래에 있어서 링형 장신구의 체결단부 체결 분리구조는 일측 체결단부에 스프링으로 탄성지지되는 이동핀을 통해 체결구멍이 개방 또는 폐쇄되는 작동고리를 설치하고, 타측 체결단부에 삽입구멍을 갖는 고정편을 설치한 형태의 것이나 일측 체결단부에 암나사관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타측 체결단부에 수나사축을 설치한 형태의 것 등이 주로 사용되었다.
종래의 링형 장신구 체결단부 체결 분리구조들에 있어서 전자의 것은 한 쪽 손으로 이동핀을 잡아당겨 일측 체결단부 작동고리의 체결구멍을 개방한 후 타측 체결단부의 고정편을 작동고리의 체결구멍 내로 삽입한 다음 이동핀을 잡아당 기는 작용력을 제거하여 체결구멍을 밀폐하면 작동고리와 고정편을 결속할 수 있게 되며, 체결상태에서 다시 이동핀을 잡아당겨 체결구멍을 개방하면 고정편을 작동고리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지만 체결 또는 분리과정에서 작은 크기의 이동편을 잡아당기기가 쉽지 않을 뿐 아니라 고정고리의 체결구멍 내에 고정편을 정확하게 삽입하거나 고정고리 내에서 고정편을 인출하기가 어려운 등 전체적으로 체결작업 및 분리작업이 용이하지 않게 됨은 물론 이동핀 등의 고장의 우려가 많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그리고 후자의 것은 일측 체결단부의 암나사관을 회전시켜 타측 체결단부의 수나사축와 결합함으로써 체결단부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지만 이 또한 암나사관에 작은 크기의 수나사축의 선단부를 삽입하고 암나사관을 수차례 회전시켜야 하는 체결작업이나 분리작업이 매우 번거롭게 될 뿐 아니라 체결부위에 외부 충격 등이 가해지게 되면 나사결합이 쉽게 풀리게 되어 링형 장신구를 분실할 우려가 많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또한, 종래의 장신구 체결구조는 줄의 꼬임이 발생하는 경우, 머리카락이나 살이 집히게 되어 사용상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9-0033363호(1999.08.05) (문헌 2)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8-0025044호(1998.07.25) (문헌 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10901호(2000.11.08)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단부 간의 체결과 분리가 매우 용이하고, 잔 고장을 방지할 수 있고, 줄의 꼬임을 발생시키지 않아 머리카락이나 살이 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펜던트로도 기능할 수 있는 펜던트형 장신구 체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일단부에 연결구가 구비되고 타단부에 체결구가 구비되는 수 체결부재; 타단부에 연결구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구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암 체결부재; 및 상기 암 체결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암 체결부재에 수 체결부재를 록킹/언록킹시키는 록킹 수단을 포함하는 장신구용 체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 체결부재와 암 체결부재의 연결구는 고리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수 체결부재의 체결구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그 걸림턱의 단부는 원추 형태 또는 단면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암 체결부재는 일측에 록킹 수단이 설치되는 설치 장홈이 형성되며, 상기 록킹 수단은 중앙 하부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수 체결부재의 걸림턱에 록킹/언록킹되는 록킹 돌기가 일단부 하측에 형성되는 록킹 노브와, 상기 암 체결부재를 관통하고 상기 록킹 노브의 힌지축에 결합되는 회전 샤프트, 및 상기 록킹 노브를 탄성 지지하기 위한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장신구용 체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 체결부재와 암 체결부재는 내면 및 외면 단면 형태가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 체결부재와 암 체결부재의 외면 단면 형태는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수 체결부재와 암 체결부재의 내면 단면 형태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암 체결부재 및 수 체결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는 소정 형태의 디자인을 갖도록 구성되거나 외면에 장식물이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 체결부재 및 암 체결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는 액세서리나 장신구가 연결될 수 있도록 보조 연결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펜던트형 장신구 체결장치는 단부 간의 체결과 분리가 매우 용이하고, 잔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줄의 꼬임을 발생시키지 않아 머리카락이나 살이 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펜던트로도 기능할 수 있어 기본 체결 기능에 더하여 액세서리 기능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펜던트형 장신구 체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펜던트형 장신구 체결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펜던트형 장신구 체결장치의 체결 전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a)는 체결 전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체결 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펜던트형 장신구 체결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펜던트형 장신구 체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펜던트형 장신구 체결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펜던트형 장신구 체결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펜던트형 장신구 체결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펜던트형 장신구 체결장치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펜던트형 장신구 체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펜던트형 장신구 체결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펜던트형 장신구 체결장치의 체결 전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a)는 체결 전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체결 후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펜던트형 장신구 체결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펜던트형 장신구 체결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에 연결구(110)가 구비되고 타단부에 체결구(120)가 구비되는 수 체결부재(100); 일단부에 연결구(210)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구(12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암 체결부재(200); 및 상기 암 체결부재(200)에 구비되어 상기 암 체결부재(200)에 수 체결부재(100)를 록킹/언록킹시키는 록킹 수단(300)을 포함한다.
상기 수 체결부재(100)는 전체적으로 원형 단면 형태를 가지며, 그의 연결구(110)는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체결장치가 채용되는 장신구의 줄 등에 결합될 수 있는 형태라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수 체결부재(100)의 체결구(120)는 전체적으로 연결구의 단면 직경보다 적은 단면 직경을 갖고 연장되고, 그 중간부에 걸림턱(121)이 형성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수 체결부재(100)의 걸림턱(121)은 후술하는 록킹 수단(300)의 록킹 돌기가 록킹 및 언록킹되게 형성되며, 수 체결부재(100)의 타단부는 원추 형태 또는 단면 삼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암 체결부재(200)는 상기 수 체결부재(100)의 체결구(120)에 상응하는 내경을 갖는 원통 형태를 갖고 형성되며, 상기 암 체결부재(200)는 일측에 록킹 수단(300)이 설치되는 설치 장홈(20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암 체결부재(200)의 연결구(210)는 상기한 수 체결부재(100)의 연결구(110)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암 체결부재(200)의 연결구(210) 또한 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체결장치가 채용되는 장신구의 줄 등에 결합될 수 있는 형태라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록킹 수단(300)은 중앙 하부의 힌지축(301)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수 체결부재(100)의 걸림턱(121)에 록킹/언록킹되는 록킹 돌기(301)가 일단부 하측에 형성되는 록킹 노브(310), 상기 암 체결부재(200)를 관통하고 상기 록킹 노브(310)의 힌지축(301)에 결합되는 회전 샤프트(320); 및 상기 록킹 노브(310)의 록킹 돌기(301)가 형성되는 반대 편의 록킹 노브(310)를 탄성 지지하기 위한 탄성 부재(330)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암 체결부재(200)와 수 체결부재(300)가 소정 크기의 바디를 갖고 형성되어 장신구의 상당한 부분을 차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 체결부재(100) 또는 암 체결부재(200)의 외형이 소정의 디자인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고, 그 수 체결부재(100) 또는 암 체결부재(200)의 외면에 보석 등의 장식물이 구비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액세서리나 장신구가 연결될 수 있도록 수 체결부재(100) 또는 암 체결부재(200)에 보조 연결구(40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장신구 체결장치는 그 자체가 어느 정도 부피를 차지고 있어 소정 디자인으로 구현 또는 별도의 장식물이 부착되거나 연결되는 경우, 목걸이의 경우 목 뒤쪽에서 화려함을 더 어필할 수 있고 팔찌나 발찌의 경우에도 체결장치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하나의 장신구나 펜던트로서의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장신구의 효과를 더욱 부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펜던트형 장신구 체결장치는 도 3의 (a)와 같이 분리된 상태에서 수 체결부재(100)를 암 체결부재(200)로 삽입하게 되면, 록킹 노브(310)는 힌지축(301)을 중심으로 회동함과 동시에 록킹 노브(310)의 록킹 돌기(301)는 수 체결부재(100)의 체결구(120)를 타고 넘어가면서 도 3의 (b)와 같이 탄성 부재(330)의 탄성 지지에 의해 수 체결부재(100)의 체결구(120)의 걸림턱(121)에 록킹된다.
반대로, 암 체결부재(200)로부터 수 체결부재(100)를 분리할 시에는 록킹 노브(310)를 눌러주게 되면 록킹 돌기(301)는 걸림턱(121)에서 록킹해제되고, 이 상태에서 수 체결부재(100)를 외측으로 빼내어 분리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장신구 체결장치는 수 체결부재(100)와 암 체결부재(200)가 체결되는 체결면 간이 원형 단면을 가져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장신구 체결장치에 연결되는 연결 줄의 꼬임을 방지하여 살이나 머리카락의 찝힘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를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앞서 설명한 제1 실시 예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며, 제1 실시 예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펜던트형 장신구 체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펜던트형 장신구 체결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펜던트형 장신구 체결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펜던트용 장신구 체결장치는 기본적으로 앞서 설명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며, 단면 형태가 사각형으로 형성되거나 외형은 사각 형태로 형성되고, 내면은 원형 단면 형태를 갖고 형성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제1 실시 예의 일 실시 형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 체결부재(100)와 암 체결부재(200)의 내면 및 외면 단면 형태가 사각형 등을 포함하는 다각형의 형태로 형성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 체결부재(100)와 암 체결부재(200)의 외면 단면 형태는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수 체결부재(100)와 암 체결부재(200)의 내면 단면 형태를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펜던트형 장신구 체결장치는 단부 간의 체결과 분리가 매우 용이하고, 잔 고장을 방지할 수 있고, 줄의 꼬임을 발생시키지 않아 머리카락이나 살이 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단순 체결장치로써만의 기능이 아닌 펜던트로도 기능할 수 있어 기본 체결 기능에 더하여 액세서리 기능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수 체결부재
110: 연결구
120: 체결구
121: 걸림턱
200: 암 체결부재
201: 설치 장홈
300: 록킹 수단
310: 록킹 노브
310: 록킹 돌기
320: 회전 샤프트
330: 탄성 부재

Claims (6)

  1. 일단부에 연결구(110)가 구비되고 타단부에 체결구(120)가 구비되는 수 체결부재(100);
    타단부에 연결구(210)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구(12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암 체결부재(200); 및
    상기 암 체결부재(200)에 구비되어 상기 암 체결부재(200)에 수 체결부재(100)를 록킹/언록킹시키는 록킹 수단(300)
    을 포함하는 장신구용 체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 체결부재와 암 체결부재의 연결구(110)(210)는 고리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수 체결부재(100)의 체결구(120)는 걸림턱(121)이 형성되며 그 걸림턱의 단부는 원추 형태 또는 단면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암 체결부재(200)는 일측에 록킹 수단(300)이 설치되는 설치 장홈(201)이 형성되며,
    상기 록킹 수단(300)은 중앙 하부의 힌지축(301)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수 체결부재(100)의 걸림턱(121)에 록킹/언록킹되는 록킹 돌기(301)가 일단부 하측에 형성되는 록킹 노브(310)와, 상기 암 체결부재(200)를 관통하고 상기 록킹 노브(310)의 힌지축(301)에 결합되는 회전 샤프트(320), 및 상기 록킹 노브(310)를 탄성 지지하기 위한 탄성 부재(330)를 포함하는
    장신구용 체결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 체결부재(100)와 암 체결부재(200)는 내면 및 외면 단면 형태가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장신구용 체결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 체결부재(100)와 암 체결부재(200)의 외면 단면 형태는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수 체결부재(100)와 암 체결부재(200)의 내면 단면 형태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장신구용 체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암 체결부재(200) 및 수 체결부재(30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소정 형태의 디자인을 갖도록 구성되거나 외면에 장식물이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장신구용 체결장치.
  6.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수 체결부재(100) 및 암 체결부재(20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액세서리나 장신구가 연결될 수 있도록 보조 연결구(400)가 더 구비되는
    장신구용 체결장치.
KR1020150080240A 2015-06-06 2015-06-06 펜던트형 장신구 체결장치 KR201601434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240A KR20160143464A (ko) 2015-06-06 2015-06-06 펜던트형 장신구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240A KR20160143464A (ko) 2015-06-06 2015-06-06 펜던트형 장신구 체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3464A true KR20160143464A (ko) 2016-12-14

Family

ID=57575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0240A KR20160143464A (ko) 2015-06-06 2015-06-06 펜던트형 장신구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34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2096A1 (ko) * 2017-12-29 2019-07-04 (주)렉스다이아몬드 장신구용 회전 체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3363U (ko) 1999-04-06 1999-08-05 이경택 동일한 체결방법을 이용한 장신구 셋트
KR200210901Y1 (ko) 2000-07-29 2001-01-15 임명빈 장신구용 체결장치
KR200346648Y1 (ko) 1998-12-15 2004-06-1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텔레비젼의디지트론정전기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648Y1 (ko) 1998-12-15 2004-06-1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텔레비젼의디지트론정전기방지장치
KR19990033363U (ko) 1999-04-06 1999-08-05 이경택 동일한 체결방법을 이용한 장신구 셋트
KR200210901Y1 (ko) 2000-07-29 2001-01-15 임명빈 장신구용 체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2096A1 (ko) * 2017-12-29 2019-07-04 (주)렉스다이아몬드 장신구용 회전 체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13720A1 (en) Jewelry clasp
US9877552B2 (en) Jewelry with interchangable jewel
KR100802100B1 (ko) 체인형 장신구의 잠금장치
JP4990880B2 (ja) セルフロック連結装置
KR20160143464A (ko) 펜던트형 장신구 체결장치
US5433088A (en) Snap-on earring clasp
KR101330153B1 (ko) 끈 형상의 액세서리 체결구
US20180035767A1 (en) Jewelry piece having a slider and connecting means
KR20060093685A (ko) 피어싱 장신구
JP5017020B2 (ja) ネックレス
KR200409098Y1 (ko) 잠금장치를 가지는 장식부재
CN217013009U (zh) 连接手链的竖向锁扣以及手链
KR200324781Y1 (ko) 목걸이 줄 잠금장치
KR101507282B1 (ko) 장신구용 연결 잠금장치
KR200483175Y1 (ko) 악세사리
JPH068732Y2 (ja) 装身具
JP2001057906A (ja) 装身具
US20100058560A1 (en) Jewelry clasp for hearing aid
CN209403764U (zh) 一种首饰卡扣及手镯
KR200267567Y1 (ko) 목걸이의 장식구 결착구
KR200254939Y1 (ko) 악세서리 체결구
KR200260669Y1 (ko) 귀고리
KR200179629Y1 (ko) 귀고리 체결구
JP4071178B2 (ja) 多機能装身具
KR200338512Y1 (ko) 장신구용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