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9629Y1 - 귀고리 체결구 - Google Patents

귀고리 체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9629Y1
KR200179629Y1 KR2019990023398U KR19990023398U KR200179629Y1 KR 200179629 Y1 KR200179629 Y1 KR 200179629Y1 KR 2019990023398 U KR2019990023398 U KR 2019990023398U KR 19990023398 U KR19990023398 U KR 19990023398U KR 200179629 Y1 KR200179629 Y1 KR 2001796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jaw
protruding
jaw
opening
r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33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시영
Original Assignee
최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시영 filed Critical 최시영
Priority to KR20199900233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96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96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96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신구인 귀고리의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 대향하는 링 몸체(12)(12')의 선단내측에 매설되어 있는 힌지핀(13)과 링몸체(12')의 타단면의 일측면으로 부터 요설된 개방부(11)와 상기 개방부(11) 내면에 돌출된 돌출턱(15)상에 상기 링몸체(12)에 돌출된 연결핀(10)의 걸림턱(14)이 역,측방향으로 회전되며 끼워져 걸려 체결되고 분리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종래 제품의 걸림턱(4)(4')의 유격이 헐거워져서 못쓰게 되거나, 좌·우 밸런스가 많지 않아 상기 걸림턱(4)과 걸림턱(4')의 체결이 안되는 등의 폐단을 해결하였을 뿐만 아니라 제작이 간편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체결구의 고장율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귀고리를 착용하고 있던 중 분실하거나 체결구의 고장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등의 폐단을 완전히 해결한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귀고리 체결구{A connection tool for earring}
본 고안은 장신구인 귀고리의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구멍이 뚫어진 귓볼에 귀고리를 장식하는 체결구의 경우와 구멍이 없는 귓볼에 귀고리를 장식하는 체결구의 경우로 구분되는데, 그 중 귓볼에 뚫어진 구멍을 통과시켜 장식하는 링형 귀고리의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링형 귀고리의 체결수단은 도면 제1도,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첩부의 경첩핀(1)으로 연결되는 일측 귀고리 몸체(2)의 선단에 귓볼의 구멍을 관통하는 연결핀(3)이 돌출되어 있고, 그 선단에 형성된 걸림턱(4)이 타측 귀고리 몸체(2')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턱(4')과 상기 경첩핀(1)을 축으로 괘·해지( )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귀고리는 경첩의 유격과 연결핀(3)의 탄성에 의하여 걸림턱(4)과 걸림턱(4')이 상호 걸렸다 풀렸다 하게 됨으로 경첩의 유격, 연결핀(3)의 탄성 및 걸림턱(4)(4')이 섬세하게 상호 작용되도록 제작되어져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고, 반복 사용하더라도 그 작용상태가 유지되어져야 귀고리로 사용될 수가 있는 것이며, 조금만 헐거워지거나 밸런스가 맞지 않게 되면 걸림턱(4)(4')이 상호 걸려지지 않아 사용할 수가 없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귀고리의 문제점을 해소하면서, 탈·부착이 용이하고, 그 구조가 간단하여 원가가 절감되는 제작으로 사용자 및 제작자 모두에게 유리한 귀고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링형 귀고리는 대향하는 링 몸체 선단 내측에 힌지핀이 매설되어 있고, 이 힌지핀에 의하여 링 몸체의 상호 결합과 동시에 한정각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일측 링 몸체 선단에는 연결핀이 돌출되어 있고, 이 연결핀의 선단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 링 몸체의 선단면에는 측면으로 부터 호리병 형상의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내면에는 돌출턱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핀의 걸림턱이 개방부로 인입되어 돌출턱상에 끼워져 걸려 체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제품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제품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는 본 고안의 체결 또는 분리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체결 또는 분리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결핀
11 : 개방부
12,12' : 링 몸체
13 : 힌지핀
14 : 걸림턱
15 : 돌출턱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연결핀(10)이 호리병 형상의 개방부(11)를 통하여 인입되어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a 및 b는 본 고안의 링몸체(12)(12')가 힌지핀(13)에 의해 결합된 채 상호 역,측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연결핀(10)이 개방부(11)를 통하여 인입, 체결 또는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체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호리병 형상의 개방부(11)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와 같이 도시된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대향하는 링 몸체(12)(12')의 선단 내측에 힌지핀(13)이 매설되어 상기 링 몸체(12)(12')의 상호 결합과 동시에 상기 힌지핀(13)을 축으로 상기 링 몸체(12)(12')가 상호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일측 링 몸체(12) 선단에는 연결핀(10)이 돌출되어 있으며, 이 연결핀(10)의 선단에는 걸림턱(14)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 링 몸체(12')의 선단면에는 일측면으로 부터 호리병 형상의 개방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면에는 상기 걸림턱(14)과 대향하는 돌출턱(15)이 형성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16은 장식용 보석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연결핀(10)이 개방부(11)의 내측 돌출턱(15) 상에 끼워져, 걸리어 체결된 상태로 휴대 또는 보관된다. 이와 같은 귀고리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링 몸체(12)(12')의 선단 내측에 매설되어 있는 힌지핀(13)을 축으로, 그리고 링 몸체(12')의 개방부(11)측으로 비틀어서 링 몸체(12)를 회전시키면 링 몸체(12)의 선단에 돌출되어 있는 연결핀(10) 및 연결핀(10)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턱(14)이 돌출턱(15)의 측방향 외측으로 벗어나면서 개방부(11)의 측면 방향으로 벗어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장식용보석(16)이 귀의 전면을 향하도록 하여 연결핀(10)을 귓볼의 구멍 앞쪽에서 관통시킨 다음, 연결핀(10)을 다시 개방부(11) 내측으로 회전시키어 걸림턱(14)이 돌출턱(15)상에 끼워지고 걸려 체결되게 하여사용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귀고리는 링 몸체(12)와 링 몸체(12')가 상호 힌지핀(13)을 축으로 하여 역·측 방향으로 일정각도만큼 회전되며, 연결핀(10)의 걸림턱(14)이 호리병 형상의 개방부(11)를 통한 돌출턱(15)상에 끼워져 걸려 체결되고, 또한 분리되도록 되어 있어서, 장기간 동안 반복 사용한다 하더라도 체결부위의 헐거움으로 못쓰게 되는 경우를 방지한 것으로 종래 제품의 경우 걸림턱(4)과 걸림턱(4')의 유격이 헐겨워 져서 못쓰게 되거나 좌·우 밸런스가 맞지 않아 걸림턱(4)과 걸림턱(4')의 체결이 안되는 등의 폐단을 해결하였고 또한, 본 고안은 제작이 간편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체결구의 고장율을 획기적 방향전환으로 개량한 것으로서 귀고리를 착용하고 있던 중 분실하거나 체결구의 고장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등의 폐단은 완전히 해결된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링형 귀고리에 있어서, 대향하는 링 몸체(12)(12')의 선단 내측에 매설되어 있는 힌지핀(13)과 링 몸체(12') 타단면의 일측면으로 부터 요설된 개방부(11)와 상기 개방부(11) 내면에 돌출된 돌출턱(15)상에 상기 링 몸체(12)에 돌출된 연결핀(10)의 걸림턱(14)이 역,측방향으로 회전되며 끼워져 걸려 체결되고 분리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고리 체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11)가 호리병 형상으로 요설되어 있고, 연결핀(10)의 걸림턱(14)이 상기 호리병 형상에 부합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고리 체결구.
KR2019990023398U 1999-10-28 1999-10-28 귀고리 체결구 KR2001796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3398U KR200179629Y1 (ko) 1999-10-28 1999-10-28 귀고리 체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3398U KR200179629Y1 (ko) 1999-10-28 1999-10-28 귀고리 체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9629Y1 true KR200179629Y1 (ko) 2000-04-15

Family

ID=19594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3398U KR200179629Y1 (ko) 1999-10-28 1999-10-28 귀고리 체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962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106B1 (ko) 2015-01-16 2015-04-14 (주)렉스다이아몬드 각도조절이 가능한 귀걸이 체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106B1 (ko) 2015-01-16 2015-04-14 (주)렉스다이아몬드 각도조절이 가능한 귀걸이 체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56620S1 (en) Item of jewelry for use as a pendant, earring, ring, brooch, bracelet, hair pin, cuff link or tiepin
US7878024B2 (en) Earring
US20030074919A1 (en) Decorative articles with interchangeable modules
KR100802100B1 (ko) 체인형 장신구의 잠금장치
KR101535640B1 (ko) 체결이 용이한 장신구용 결합장치
US6898950B2 (en) Set of jewelry
US5678282A (en) Jewelry clasp
KR200179629Y1 (ko) 귀고리 체결구
US6477752B1 (en) Lock for a necklace, bracelet or such ornament, as well as an end eye for such a lock
KR200392447Y1 (ko) 장신구 연결구
JP2003102524A (ja) ネックレスの如き身飾品の止め具
US4998330A (en) Jewelry closure device
KR200400292Y1 (ko) 악세사리용 체결구
KR200275820Y1 (ko) 장신용 줄 연결고리의 착탈구조
JP3215337U (ja) ペンダント
KR200320834Y1 (ko) 귀걸이의 체결구조
US20240081493A1 (en) Removable bracelet comprised within a portable object
KR200391085Y1 (ko) 귀고리
KR200205271Y1 (ko) 악세사리 체결구
KR200216858Y1 (ko) 귀금속 장신구의 연결장치
CN213664032U (zh) 一种具有环状卡扣及链环的链式首饰
KR200276913Y1 (ko) 귀고리
EP1741361A1 (en) Jewellery provided with a removable fancy element
KR200210901Y1 (ko) 장신구용 체결장치
KR20170033537A (ko) 장신구용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