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6858Y1 - 귀금속 장신구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귀금속 장신구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6858Y1
KR200216858Y1 KR2020000027534U KR20000027534U KR200216858Y1 KR 200216858 Y1 KR200216858 Y1 KR 200216858Y1 KR 2020000027534 U KR2020000027534 U KR 2020000027534U KR 20000027534 U KR20000027534 U KR 20000027534U KR 200216858 Y1 KR200216858 Y1 KR 2002168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precious metal
locking
stepped portion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75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영길
Original Assignee
홍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영길 filed Critical 홍영길
Priority to KR20200000275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68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68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6858Y1/ko

Link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귀금속 장신구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팔찌, 목걸이 등의 귀금속 장신구를 적어도 1개 이상의 걸쇠 및 죔쇠를 이용하여 연결 고정하도록 한 귀금속 장신구의 연결장치를 전제로 하여, 상기 걸쇠의 단부에 낮은 높이로 단차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그 단차부의 상면 중간부에 걸림돌부를 형성하고, 상기 단차부의 일측 연부에 상기 단차부를 덮어 걸쇠와 동일한 폭과 높이를 유지하는 커버를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단차부의 타측 연부에 상기 커버를 잠그기 위한 잠금돌부를 형성하며, 상기 잠금돌부의 외측면 중간부에 이탈방지 돌기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죔쇠의 단부에 상기 걸쇠의 걸림돌부에 걸리는 걸림공이 형성된 연결돌부를 형성하며, 상기 이탈방지 돌기에 대응되는 죔쇠의 측면 소정 부위에는 상기 이탈방지 돌기에 록킹되는 고정공이 형성된 잠금편을 힌지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이음새 부위에서 귀금속 장신구의 폭이 넓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이음새 부위가 신체의 일부 또는 의류 등에 걸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사용을 편리하게 하며, 이음새 부위를 3단계에 걸쳐서 견고하게 연결하여 귀금속 장신구의 분실을 방지한다.

Description

귀금속 장신구의 연결장치{Apparatus for coupling of precious-matal accessories}
본 고안은 귀금속 팔찌 및 목걸이 등의 이음새 부위를 연결하기 위한 귀금속 장신구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음새 부위에서 귀금속 장신구의 폭이 넓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이음새 부위가 신체의 일부 또는 의류 등에 걸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사용을 편리하게 하며, 또한 이음새 부위를 3단계에 걸쳐서 견고하게 연결하여 귀금속 장신구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귀금속 장신구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금, 다이아몬드 등의 귀금속 장신구는 이음새 부위에 연결장치가 구비되어 있어, 귀금속 장식구를 신체에 치장할 때마다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이음새 부위를 연결 및 분리시키도록 되어 있는 바, 그 전형적인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형상을 갖는 팔찌 및 목걸이는 여러 개의 단위 장식구(1)로 연결되어 있는 바, 상기 단위 장식구(1) 중, 이음새 부위의 단위 장식구(2)(3)의 단부에는 그 단위 장식구(2)(3)의 폭(a) 보다 넓은 폭(b)을 갖는 제1 및 제2 연결부재(4)(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연결부재(4)의 내측에는 걸림봉(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연결부재(5)의 단부에는 다시 제1 링크(7)가 힌지핀(도시하지 않음)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그 제1 링크(7)의 단부에는 제2 링크(9)가 힌지핀(8)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2 링크(9)의 단부에는 걸림 절곡부(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링크(7) 및 제2 링크(9)는 상기 단위 장식구(1)(2)(3)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링크(7) 및 제2 링크(9)도 귀금속 재질이므로 단위 장식구(1)(2)(3)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하여 팔찌 및 목걸이의 전체적인 외관이 해치지 않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귀금속 장신구의 연결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제2 링크(9)의 단부를 제1 연결부재(4)의 걸림봉(6) 내측으로 삽입한 후, 제2 연결부재(5)의 방향으로 회전하여 결합함으로써 이음새를 연결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귀금속 장신구의 연결장치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위 장신구(1)(2)(3)의 폭(a)과 제1 링크(7) 및 제2 링크(9)의 폭(a)을 동일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단위 장신구(2)(3)의 단부에 형성된 제1 및 제2 연결부재(4)(5)의 폭(b)을 크게 할 수 밖에 없는 구조이며, 따라서 이음새 부위에서 귀금속 장신구의 일부인 제1 및 제2 연결부재(4)(5)의 폭(b)이 넓어지는 관계로 외관을 해치게 될 뿐만 아니라, 그 넓어진 부위의 모서리에 신체의 일부 또는 의류 등에 걸리는 현상으로 사용상 불편함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제1 및 제2 연결부재(4)(5)에 의한 연결 고정력이 견고하지 못하여 작은 힘에 의하여 이음새 부위가 쉽게 분리되어 분실의 염려를 배제할 수 없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주 목적은 이음새 부위에서 귀금속 장신구의 폭이 넓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이음새 부위가 신체의 일부 또는 의류 등에 걸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사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귀금속 장신구의 연결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이음새 부위를 3단계에 걸쳐서 견고하게 연결하여 귀금속 장신구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귀금속 장신구의 연결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팔찌, 목걸이 등의 귀금속 장신구를 적어도 1개 이상의 걸쇠 및 죔쇠를 이용하여 연결 고정하도록 한 귀금속 장신구의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쇠의 단부에 낮은 높이로 단차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그 단차부의 상면 중간부에 걸림돌부를 형성하고, 상기 단차부의 일측 연부에 상기 단차부를 덮어 걸쇠와 동일한 폭과 높이를 유지하는 커버를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단차부의 타측 연부에 상기 커버를 잠그기 위한 잠금돌부를 형성하며, 상기 잠금돌부의 외측면 중간부에 이탈방지 돌기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죔쇠의 단부에 상기 걸쇠의 걸림돌부에 걸리는 걸림공이 형성된 연결돌부를 형성하며, 상기 이탈방지 돌기에 대응되는 죔쇠의 측면 소정 부위에는 상기 이탈방지 돌기에 록킹되는 고정공이 형성된 잠금편을 힌지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금속 장신구의 연결장치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걸쇠와 죔쇠를 3단계에 걸쳐 안전하고 견고하게 고정하여 이음새 부위에서 귀금속 장신구의 폭이 넓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이음새 부위가 신체의 일부 또는 의류 등에 걸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사용을 편리하게 하며, 또한 이음새 부위를 3단계에 걸쳐서 견고하게 연결하여 귀금속 장신구의 분실을 방지하는 등의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연결장치가 구비된 귀금속 장신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를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부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연결장치가 구비된 귀금속 장신구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B부를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귀금속 장신구의 연결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순차적으로 보인 사시도.
도 10은 도 5의 C - C 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걸쇠 11 ; 단차부
12 ; 걸림돌부 13 ; 커버
15 ; 잠금돌부 16 ; 이탈방지 돌기
20 ; 죔쇠 21 ; 걸림공
22 ; 연결돌부 23 ; 고정공
24 ; 잠금편
이하, 본 고안에 의한 귀금속 장신구 연결장치를 첨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연결장치가 구비된 귀금속 장신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B부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귀금속 장신구의 연결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순차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5의 C - C 선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귀금속 장신구의 연결장치는, 팔찌, 목걸이 등의 이음새 부위를 연결하기 위한 걸쇠(10) 및 죔쇠(20)에 구조적인 특징을 갖는다.
상기 걸쇠(10) 및 죔쇠(20)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귀금속 장신구의 양측단부에 1개씩 각각 구비되어, 귀금속 장신구를 신체에 치장하기 위하여 연결 및 분리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여러 개의 걸쇠(10) 및 죔쇠(20)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귀금속 장신구를 이루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상기한 걸쇠(10) 및 죔쇠(20)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걸쇠
(10)의 단부에 낮은 높이로 단차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차부(11)의 상면 중간부에 후크 형상으로 걸림돌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차부(11)의 일측 연부에 그 단차부(11)를 덮어 상기 걸쇠(10)와 동일한 폭과 높이를 유지하는 커버
(13)를 힌지핀(14)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단차부(11)의 타측 연부에 상기 커버(13)를 잠그기 위한 잠금돌부(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잠금돌부(15)의 외측면 중간부에 이탈방지 돌기(16)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죔쇠(20)의 단부에는 상기 걸쇠(10)의 후크 형상의 걸림돌부(12)에 걸리는 걸림공(21)이 형성된 연결돌부(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탈방지 돌기(16)에 대응되는 죔쇠(20)의 측면 소정 부위에는 상기 이탈방지 돌기(16)에 록킹되는 고정공(23)이 형성된 잠금편(24)을 힌지핀(25)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귀금속 장신구의 연결장치에 의하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쇠(10)의 단부에 형성된 높이가 낮은 단차부(11)의 후크 형상 걸림돌부(12)에 죔쇠(20)의 단부에 형성된 연결돌부(22)의 걸림공(21)을 걸어, 1차적으로 걸쇠(10)와 죔쇠(20)를 연결한다. 이 때, 상기 죔쇠(20)는 걸쇠
(10)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 후,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걸쇠(10)의 단부에 힌지 결합된 커
버 (13)를 단턱부(11)의 방향으로 회전시켜 단턱부(11)를 덮으면, 상기 커버(13)의 내측 소정 부위가 상기 단턱부(11)의 타측 연부에 형성된 잠금돌부(15)에 걸리면서 결합되며, 일단 커버(13)가 상기 잠금돌부(15)에 걸려 고정된 상태에서는 임의로 잠금돌부(15)로부터 탈거되지 않고 결합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커버(13)가 잠금돌부(15)에 걸려 고정된 상태에서는 죔쇠(20)의 상,하 방향의 유동을 방지하여 죔쇠(20)를 2차적으로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커버(13)에 의하여 걸쇠(10) 및 죔쇠(20)의 사이에서는 틈새가 없게 된다.
이 후,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죔쇠(20)의 잠금편(24)을 걸쇠(10)의 방향으로 회전시켜 잠금편(24)의 고정공(23)을 걸쇠(10)의 이탈방지 돌기(16)에 결합시킴으로써 걸쇠(10) 및 죔쇠(20)의 연결 상태를 3차적으로 견고히 할 수 있으며, 따라서 귀금속 장식구의 이음새 부위에서 연결이 풀리는 현상에 의한 분실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걸쇠(10)와 죔쇠(20)를 3단계에 걸쳐 완전하게 연결하여 임의로 이음새 부위가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귀금속 장신구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귀금속 장신구의 전체적인 폭(d)이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동시에, 신체의 일부 또는 의류가 장신구에 걸리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귀금속 장신구의 연결장치는, 팔찌, 목걸이 등의 귀금속 장신구를 적어도 1개 이상의 걸쇠 및 죔쇠를 이용하여 연결 고정하도록 한 귀금속 장신구의 연결장치를 전제로 하여, 상기 걸쇠의 단부에 낮은 높이로 단차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그 단차부의 상면 중간부에 걸림돌부를 형성하고, 상기 단차부의 일측 연부에 상기 단차부를 덮어 걸쇠와 동일한 폭과 높이를 유지하는 커버를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단차부의 타측 연부에 상기 커버를 잠그기 위한 잠금돌부를 형성하며, 상기 잠금돌부의 외측면 중간부에 이탈방지 돌기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죔쇠의 단부에 상기 걸쇠의 걸림돌부에 걸리는 걸림공이 형성된 연결돌부를 형성하며, 상기 이탈방지 돌기에 대응되는 죔쇠의 측면 소정 부위에는 상기 이탈방지 돌기에 록킹되는 고정공이 형성된 잠금편을 힌지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이음새 부위에서 귀금속 장신구의 폭이 넓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이음새 부위가 신체의 일부 또는 의류 등에 걸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사용을 편리하게 하며, 또한 이음새 부위를 3단계에 걸쳐서 견고하게 연결하여 귀금속 장신구의 분실을 방지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팔지 및 목걸이 등의 귀금속 장신구를 적어도 1개 이상의 걸쇠 및 죔쇠를 이용하여 연결 고정하도록 한 귀금속 장신구의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쇠의 단부에 낮은 높이로 단차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그 단차부의 상면 중간부에 걸림돌부를 형성하고, 상기 단차부의 일측 연부에 상기 단차부를 덮어 걸쇠와 동일한 폭과 높이를 유지하는 커버를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단차부의 타측 연부에 상기 커버를 잠그기 위한 잠금돌부를 형성하며, 상기 잠금돌부의 외측면 중간부에 이탈방지 돌기를 형성하는 한편,
    상기 죔쇠의 단부에 상기 걸쇠의 걸림돌부에 걸리는 걸림공이 형성된 연결돌부를 형성하며, 상기 이탈방지 돌기에 대응되는 죔쇠의 측면 소정 부위에는 상기 이탈방지 돌기에 록킹되는 고정공이 형성된 잠금편을 힌지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금속 장신구의 연결장치.
KR2020000027534U 2000-10-02 2000-10-02 귀금속 장신구의 연결장치 KR2002168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534U KR200216858Y1 (ko) 2000-10-02 2000-10-02 귀금속 장신구의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534U KR200216858Y1 (ko) 2000-10-02 2000-10-02 귀금속 장신구의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6858Y1 true KR200216858Y1 (ko) 2001-03-15

Family

ID=73058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7534U KR200216858Y1 (ko) 2000-10-02 2000-10-02 귀금속 장신구의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685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416B1 (ko) 2015-08-28 2017-01-20 최원봉 스프링에 의한 복원력을 가지는 장식용 팔찌
KR102506896B1 (ko) 2022-06-22 2023-03-07 (주)준쥬얼리 귀금속 장신구의 힌지 연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416B1 (ko) 2015-08-28 2017-01-20 최원봉 스프링에 의한 복원력을 가지는 장식용 팔찌
KR102506896B1 (ko) 2022-06-22 2023-03-07 (주)준쥬얼리 귀금속 장신구의 힌지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2233B2 (en) Cuffbar
US4881305A (en) Locking box clasp for jewelry
US5410784A (en) Interchangeable clasp
KR930004497B1 (ko) 장식 연결구
US6088884A (en) Jewelry clasp
KR101577599B1 (ko) 장신구의 잠금구조
KR100802100B1 (ko) 체인형 장신구의 잠금장치
KR200216858Y1 (ko) 귀금속 장신구의 연결장치
US7093332B1 (en) Locking toggle assembly for jewelry
US5678282A (en) Jewelry clasp
US6058737A (en) Convertible wire earring
KR200415394Y1 (ko) 액세서리
US20050236445A1 (en) Watchband
US6170127B1 (en) Ornament hanger ring of necklace
US20040139586A1 (en) Swivel locking clasp
US6202267B1 (en) Ornamental jewelry catch
US20050247079A1 (en) Jewelry ornament
KR20190134292A (ko) 초기 걸림기능이 내재된 장신구의 연결구조
KR102221140B1 (ko) 해제 방지 기능을 갖는 팔찌용 체결구
US4998330A (en) Jewelry closure device
KR200275820Y1 (ko) 장신용 줄 연결고리의 착탈구조
US11284683B2 (en) Decorative connector for jewelry
KR910003834Y1 (ko) 목걸이 겸용 손목시계
US6389660B1 (en) Safety lock for jewelry
KR200331806Y1 (ko)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