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1806Y1 -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1806Y1
KR200331806Y1 KR20-2003-0024277U KR20030024277U KR200331806Y1 KR 200331806 Y1 KR200331806 Y1 KR 200331806Y1 KR 20030024277 U KR20030024277 U KR 20030024277U KR 200331806 Y1 KR200331806 Y1 KR 2003318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elastic
jewelry
locking
orna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42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학봉
Original Assignee
정학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학봉 filed Critical 정학봉
Priority to KR20-2003-00242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18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18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18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57Fasteners locked by sliding or rotating of the male element of the fastener; Turn-button fasteners
    • A44C5/2061Fasteners locked by sliding or rotating of the male element of the fastener; Turn-button fasteners combined with sp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5Necklace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목걸이나 팔찌 등과 같은 각종 장신구의 착용 및 탈착시 상호 결합이 이루어지는 체결부의 체결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질 수 있게되도록 하여 착용상태에서의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인해 장신구의 분실위험이 해결되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체결구조는, 목걸이나 팔찌, 발찌 등과 같은 각종 장신구에 형성되어 상기 장신구를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해체시키기 위하여 탄성걸림부(1) 구조를 이루는 걸림부재(5)와 걸림턱(14) 구조를 이루는 결합부재(10)가 양단 대응부위에 구성되어져 있는 통상의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5)에는 탄성걸림부(1)의 후단을 안정적인 탄성력으로 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가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구조{CONCLUSION STRUCTURE OF ACCESSORIES}
본 고안은 귀금속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신구의 착용을 편리하게 하기위해 구성되어진 체결부가 안정적인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하기위한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성들은 자신의 외모를 돋보이게 하기 위하여 목걸이, 팔찌, 발찌 등의 각종 장신구를 몸에 착용하게 되는데, 상기 각종 장신구는 대략 금, 은 등의 귀금속이 줄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양단에는 상기 줄을 신체의 소정 부위에 링형상으로 결합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의 체결부재가 각각 형성됨과 더불어, 목걸이나 귀걸이 등에는 그 장식의 효과를 배가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형상을 갖는 펜던트가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장신구의 체결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팔찌의 양측 끝단 이음부에는 상호간에 착탈이 가능한 걸림부재(100)와 결합부재(110)가 구성되어져 있다.
상기 걸림부재(100)에는 상하방향으로 탄성반발하는 탄성걸림부(101)와 누름편(102)이 구성됨과 함께 일측에는 보조체결구(103)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져 있으며, 결합부재(110)에는 걸림부재(100)의 삽입시 탄성걸림부(101)의 후단이 걸려지는 걸림턱(114)과 누름편(102)이 삽입되어지는 삽입홈(112), 그리고 보조체결구(103)가 착탈되어지는 체결돌기(113)가 구성되어, 걸림부재(100)를 결합부재(110) 내로 삽입하면 탄성걸림부(101)가 걸림턱(114)에 의해 걸려져 이탈이 방지됨과 함께 보조체결구(103)를 체결돌기(113)에 압입시켜줌으로서 2중 체결이 이루어지게 되어 팔찌를 신체의 소정 부위에 착용할 수가 있게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상태를 해제코자 하는 경우에는 이와 반대로 보조체결구(103)를 체결돌기(113)와 분리시킨 후 걸림부재(100)의 누름편(102)을눌러줌과 동시에 걸림부재(100)와 결합부재(110)를 분리시키면 체결상태가 용이하게 해제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장신구의 체결구조에 있어서는 탄성걸림부(101)의 자체적인 탄성반발력에 의해 결합상태가 유지되어지게 되는데, 일정 기간이 지나면 탄성걸림부(101)의 탄성력이 저하되어지면서 체결상태에서 걸림턱(114)으로 부터 쉽게 이탈이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러한 경우 장신구의 착용시 시간이 없거나 귀찮다는 이유로 보조체결구를 이용한 2중체결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장신구의 착용상태에서 활동중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체결상태가 해제되어 값비싼 귀금속 장신구를 분실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장신구 걸림부재에서 탄성걸림부의 탄성 반발력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개선구조를 제공함으로서 활동중 귀금속 장신구의 분실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장신구의 체결부 분리 사시도.
도 2는 종래 장신구의 체결부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장신구의 체결부 결합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탄성걸림부 2 : 누름편
3 : 보조체결구 4 : 코일스프링
5 : 걸림부재 10 : 결합부재
12 : 삽입홈 13 : 체결돌기
14 : 걸림턱
상기 목적은, 목걸이나 팔찌, 발찌 등과 같은 각종 장신구에 형성되어 상기 장신구를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해체시키기 위하여 탄성걸림부 구조를 이루는 걸림부재와 걸림턱 구조를 이루는 결합부재가 양단 대응부위에 구성되어져 있는 통상의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에는 탄성걸림부의 후단을 안정적인 탄성력으로 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가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구조를 통해 이룰 수 있게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팔찌 결합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 상세 단면도이며, 도 5는 팔찌의 결합부가 결합되어진 상태의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먼저, 본 고안 장신구 체결구조의 구성을 살펴보면 내부에 소정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일측 결합부재(10)에는 개구측 상부에 삽입홈(12)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개구측 단부에는 내경으로 돌출되어져 있는 걸림턱(14)이 형성되어져 있다. 미설명 부호 13은 체결돌기를 나탄내다.
그리고 타측 걸림부재(5)에는 탄성걸림부(1)가 절곡된 형태로 소정 경사면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탄성걸림부(1) 상부에는 누름편(2)이 구성되어져 있고, 상기 탄성걸림부(1)를 소정 탄발력으로 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로서 코일스프링(4)이 구비되어져 있다.
특히, 상기 코일스프링(4)은 탄성걸림부(1)의 후단부위를 지지토록 구비되어짐으로서, 탄성걸림부(1)의 경사각을 항상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미설명 부호 3은 이중의 체결구조를 이루기 위해 상기 체결돌기(13)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된 보조체결구(3)를 나타낸다.
이와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는 팔찌 체결구조의 착탈동작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의 체결구조가 구성되어진 팔찌를 팔목 등에 차고자 하는경우 팔찌를 원하는 부위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걸림부재(5)를 일측 내부가 개구되어진 결합부재(10)에 삽입시키게 되면 삽입되어지는 과정에서 경사면을 이루고 있는 탄성걸림부(1)가 점차 걸림턱(14)에 의해 눌려지게 되고, 이후 누름편(2)이 삽입홈(12)에 완전히 삽입되어지게 되면 탄성걸림부(1)가 걸림턱(14)을 완전히 지나게 되면서 탄성력에 의해 상승 됨으로서 걸림턱(14)에 걸려진 상태로 이탈이 방지되어지게 된다.
특히, 상기 탄성걸림부(1)는 자체 탄성 복원력과 함께 코일스프링(4)에 의한 상방향의 탄성 지지를 받게 됨으로서, 보다 안정적인 아탈방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됨을 알 수 있다.
이와함께 보조체결구(3)를 회동시켜 체결돌기(13)에 압입시킴으로서 이중의 효과적인 체결상태를 이룰 수 있게된다.
한편, 상기 체결상태를 해제시켜 팔찌를 손목에서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걸림부재(5)의 누름편(2)을 살짝 눌러주면 탄성걸림부(1)에 가압력이 전달되어지면서 코일스프링(4)이 눌려짐으로서 탄성걸림부(1)의 타단 높이가 걸림턱(14)보다 낮은 위치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 걸림부재(5)와 결합부재(10)를 반대방향으로 서로 당겨주게 되면 탄성걸림부(1)가 걸림턱(14)으로 부터 빠져나와 상호간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됨을 알 수 있다.
이후, 누르고 있던 누름편(2)을 놓게되면 탄성걸림부(1)는 다시 코일스프링(4)의 탄성작용에 의해 상승하면서 원래의 높이로 원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의 탄성걸림부(1)는 자체 탄성력과 함께 추가적인 코일스프링(4)의 탄성력이 작용하게 됨으로서 팔찌를 오랬동안 사용하더라도 착탈에 따른 체결 불량 등의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되어 분실의 위험이 방지되고, 이에따른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의 장신구 체결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본 고안의 체결구조가 팔찌에 적용된 경우를 예를들어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의 체결구조는 팔찌 외에도 목걸이나 발찌 등 다양한 종류의 장신구에 적용이 가능하게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은 본 고안의 체결구조는, 목걸이나 팔찌, 발찌 등과 같은 각종 귀금속 장신구의 착용 및 탈착시 체결부의 체결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질 수 있게되어 착용상태에서의 임의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이로인해 장신구의 분실위험이 해결되어지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목걸이나 팔찌, 발찌 등과 같은 각종 장신구에 형성되어 상기 장신구를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해체시키기 위하여 탄성걸림부(1) 구조를 이루는 걸림부재(5)와 걸림턱(14) 구조를 이루는 결합부재(10)가 양단 대응부위에 구성되어져 있는 통상의 체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5)에는 탄성걸림부(1)의 후단을 안정적인 탄성력으로 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가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구조.
KR20-2003-0024277U 2003-07-28 2003-07-28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구조 KR2003318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277U KR200331806Y1 (ko) 2003-07-28 2003-07-28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277U KR200331806Y1 (ko) 2003-07-28 2003-07-28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1957A Division KR20050013335A (ko) 2003-07-28 2003-07-28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1806Y1 true KR200331806Y1 (ko) 2003-10-30

Family

ID=49418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4277U KR200331806Y1 (ko) 2003-07-28 2003-07-28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180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955Y1 (ko) 2011-03-11 2013-01-25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펜던트 모듈
KR20160003453U (ko) 2015-03-30 2016-10-10 주식회사 미누보 악세사리
KR20180079723A (ko) * 2017-01-02 2018-07-11 박기숙 팔찌용 체결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955Y1 (ko) 2011-03-11 2013-01-25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펜던트 모듈
KR20160003453U (ko) 2015-03-30 2016-10-10 주식회사 미누보 악세사리
KR20180079723A (ko) * 2017-01-02 2018-07-11 박기숙 팔찌용 체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9484B2 (en) Jewellery with securely nested changeable decorative elements
US20030074919A1 (en) Decorative articles with interchangeable modules
US20220295952A1 (en) Jewelry piece with a spring closure for an interchangeable ornament
US4377078A (en) Chain and end attachment means
US6769270B2 (en) Detachable pendant mounting
KR101535640B1 (ko) 체결이 용이한 장신구용 결합장치
US11109653B2 (en) Jewelry ornament with clasp mechanism
KR200331806Y1 (ko)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구조
KR20050013335A (ko)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구조
US20050247079A1 (en) Jewelry ornament
EP1344468B1 (en) Ornament
KR101680244B1 (ko) 장신구용 결합장치
KR200392447Y1 (ko) 장신구 연결구
KR200269199Y1 (ko) 장신구의 연결구조
KR101698416B1 (ko) 스프링에 의한 복원력을 가지는 장식용 팔찌
KR101924512B1 (ko) 장신구용 연결구
KR101828755B1 (ko) 귀걸이 고정구
KR200210901Y1 (ko) 장신구용 체결장치
KR200286030Y1 (ko) 장신구용 보석고정구
KR101887487B1 (ko) 귀걸이 고정구
KR200179934Y1 (ko) 장신구
JPH0657216U (ja) 留め具
KR200189128Y1 (ko) 신변장신구용 걸고리
KR200260666Y1 (ko) 귀걸이 체결구조
JP2024063463A (ja) 留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