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9934Y1 - 장신구 - Google Patents
장신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79934Y1 KR200179934Y1 KR2019990026413U KR19990026413U KR200179934Y1 KR 200179934 Y1 KR200179934 Y1 KR 200179934Y1 KR 2019990026413 U KR2019990026413 U KR 2019990026413U KR 19990026413 U KR19990026413 U KR 19990026413U KR 200179934 Y1 KR200179934 Y1 KR 20017993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ing
- decorative
- ornaments
- main body
- groov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반지, 목걸이, 팔지, 귀걸이 등 몸을 치장하는데 사용하는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일측에는 장식체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환형의 본체 및 장식체 결합부에 결합하기 위한 고정 결합부를 구비하여 본체에 착탈가능한 장식체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나의 장신구로 여러 디자인의 장신구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해준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지, 목걸이, 귀걸이, 팔지 등 몸에 착용하여 몸을 치장하는데 사용하는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신구로는 사람의 손가락에 착용하는 반지, 팔에 착용하는 팔지, 그 외에 목걸이, 귀걸이 등이 있으며, 이들은 그 제작에 사용되는 재료와 보석에 따라 다양한 것이 있다. 예를 들어 금장신구, 은장신구, 옥장신구 등 단일 재료로 이루어진 것, 금장신구에 다이아몬드나 에메랄드, 루비 등의 보석을 부착한 것 등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장신구는 일체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종래 장신구로는 한가지 분위기밖에 연출할 수 없어, 착용자는 쉽게 그 장신구에 싫증을 느끼게 되고, 다른 종류의 장신구를 다시 구입하여 착용하게 된다. 즉, 종래의 장신구로 여러 가지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서로 다른 장신구가 필요하고,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하나의 장신구로 서로 다른 여러 가지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신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의 일 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2와 도 3은 도 1 본체와 장식체의 결합부위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장식체가 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장신구가 적용된 목걸이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팔찌에 적용된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귀걸이에 적용된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장신구 110 : 본체
111 : 장식체 결합부 112 : 안착홈
113 : 제 1결합홈 114 : 제 2결합홈
116 : 돌출핀 117 : 걸림턱
118 : 돌출턱 119 : 걸이부
130 : 장식체 131 : 보석
132 : 보석지지체 133 : 고정 결합부
134 : 제 1돌기 135 : 제 3돌기
136 : 핀공
본 고안의 목적은 장신구에 있어서, 적어도 일측에는 장식체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환형의 본체 및 장식체 결합부에 결합하기 위한 고정 결합부를 구비하여본체에 착탈가능한 장식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위 장식체 결합부는 본체의 일측에 소정 각도 범위로 형성된 소정 깊이의 안착홈과 안착홈의 양단 측벽에 각각 형성된 제 1, 제 2결합홈과 일측 결합홈 부위에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장식체의 일측을 결속하여주기 위한 내측면에 돌출핀을 갖는 결속구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좋고, 위 고정 결합부는 장식체의 일측단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 1결합홈에 삽입되는 제 1돌기와 장식체의 타측단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 2결합홈에 삽입되며 일측에는 돌출핀이 삽입되는 핀공이 형성된 제 2돌기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의 일 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2와 도 3은 도 1 본체와 장식체의 결합부위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장식체가 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100)의 일 예인 반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반지에 적용된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100)는 환형의 본체(1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본체(110)는 착용하고자하는 사람의 손가락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으로, 원형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본체(110)는 금, 은 기타 금속이나 도금체를 이용해서 만들면 된다. 이러한 본체(110)의 상단에는 장식체 결합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장식체 결합부(111)는 착용자가 그 날의기분에 따라 원하는 장식체(130)를 바꾸어 끼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특징을 이루는 부분이다. 이 장식체 결합부(111)는 장식체(130)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112)을 구비하고 있다. 이 안착홈(112)은 장식체(130)가 안정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한 것으로, 장식체(130)의 크기에 맞추어 적당한 각도범위로 형성하면 된다. 이러한 안착홈(112)의 양단 측벽으로는 제 1결합홈(113)과 제 2결합홈(114)이 마주보고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 1결합홈(113)과 제 2결합홈(114)의 크기와 깊이는 거기에 결합되는 부분의 크기와 길이에 맞추어 형성하면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결합홈(114)에 이웃하여 결속구(115)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결속구(115)는 안착홈(112)에 결합된 장식체(130)가 이탈되지 않도록 결속하여주기 위한 것으로, 반고리 모양을 하고 있으며, 일측 가장자리를 지지점으로 제자리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결속구(115)의 내측면에는 돌출핀(116)이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핀(116)은 장식체(130)를 더욱 견고하게 잡아주기 위한 것이다. 물론, 결속구(115)의 끝단에는 걸림턱(117)을, 그 대응되는 위치의 본체(110) 일측 가장자리에는 돌출턱(118)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100)는 장식체(13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장식체(130)는 본체(110)의 장식체 결합부(111)에 착탈 가능케 결합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장식체(130)는 보석(131)과 보석(131)을 고정하여 주기 위한 보석지지체(132)로 이루어진다. 이 장식체(130)에는 고정 결합부(133)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 결합부(133)는 장식체(130)를 필요에 따라 본체(110)의 장식체결합부(111)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장식체(130)의 일측 끝단에 바깥쪽으로 돌출된 제 1돌기(134)와 그 타측 끝단에 바깥쪽으로 돌출된 제 2돌기(135)로 이루어져 있다. 제 1돌기(134)는 본체(110)의 제 1결합홈(113)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부분이고, 제 2돌기(135)는 본체(110)의 제 2결합홈(114)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부분이다. 제 1돌기(134)는 그 폭을 조금 넓게 하여 측면으로 작용하는 힘을 견딜 수 있게 하는 것이 좋고, 반면에 제 2돌기(135)는 가늘고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하여 제 2결합홈(114)에 그 끝단이 삽입됨과 동시에 그 앞쪽은 결속구(115)에 의해 결속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결속구(115)에 의해 결속되는 부위에는 핀공(136)을 형성하여 돌출핀(116)이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좋다. 본체(110)와 장식체(130)의 각 결합부위는 도 2와 도 3을 보면 더 자세히 알 수 있다. 장식체(130)의 착탈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체(110) 하나에 여러 개의 장식체(130)를 만들어 두고, 장신구(100) 착용자가 그날에 원하는 장식체(130)를 선택하여 제 1돌기(134)를 제 1결합홈(113)에 삽입한 후 제 2돌기(135)를 제 2결합홈(114)에 삽입한다. 그런 다음 결속구(115)를 회동시켜 그 내측면의 돌출핀(116)이 제 2돌기(135)에 형성된 핀공(136)에 삽입되도록 하고, 또 걸림턱(117)이 돌출턱(118)에 걸리도록 하여 장식체(130)의 제 1돌기(134)를 견고하게 잡아줄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신구(100)가 완성되고, 이 장신구(100)를 착용하고 다니다가 싫증이 나면 다시 결속구(115)를 풀어 제 2돌기(135)를 제 2결합홈(114)에서 이탈시키고, 다시 제 1돌기(134)를 제 1결합홈(113)에서 이탈시키면 본체의 장식체 결합부(111)에 결합되어 있던 장식체(130)의 이탈이 완료된다. 그런 후에 다시 다른 장식체(130)를 선택하여 앞에서 설명한 과정으로 본체(110)에 결합하면 처음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장신구(100)가 완성되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장신구가 적용된 목걸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100)에는 줄(202)에 매달려 목걸이(200)를 구성하고 있다. 목걸이(200)에 사용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100) 역시 앞에서 설명한 반지에서와 마찬가지로 장식체 결합부(111)가 형성되어 있는 환형의 본체(110)와 본체(110)에 쉽게 교체하여 설치할 수 있는 장식체(130)로 만들면 되고, 단지 본체(110)의 일측에 줄(202)을 줄을 걸 수 있도록 해주는 걸이부(119)를 더 형성하면 된다. 그 외 나머지 구성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구성하면 된다.
도 6은 팔찌에 적용된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장신구(100)는 팔찌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이 역시 장식체 결합부(111)가 형성되어 있는 환형의 본체(110)와 장식체 결합부(111)에 착탈 가능케 설치되는 장식체(130)로 이루어져 있다. 이 장신구(100)는 앞에서 설명한 반지와 같은 형태로 구성하되 단지, 상대적으로 크게 구성하고 또 본체(110)를 사람의 팔에 착용할 수 있는 구조로 만들면 된다.
도 7은 귀걸이에 적용된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장신구(100)는 귀걸이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110)의 구조를 사람의 귀에 걸 수 있도록 하면 되고, 나머지 장식체결합부(111)와 장식체(130)의 구성은 반지의 예에서와 동일하게하면 된다.
즉, 하나의 본체(110)에 장식체(130)를 여러 개 만들어 두고 필요에 따라 장식체(130)를 교체하면 여러 디자인의 반지, 목걸이, 귀걸이, 팔찌를 연출할 수 있다.
그 외에 보석이 들어가는 장신구 예를 들면 넥타이 핀, 브로찌 등 다른 장신구에도 본 고안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장신구를 이용하는 경우 하나의 장신구로 여러 디자인의 장신구를 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적은 비용으로 큰 만족을 얻을 수 있다.
Claims (2)
- 장신구에 있어서,적어도 일측에는 장식체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환형의 본체; 및상기 장식체 결합부에 결합하기 위한 고정 결합부를 구비하여 상기 본체에 착탈가능한 장식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체 결합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소정 각도 범위로 형성된 소정 깊이의 안착홈과 상기 안착홈의 양단 측벽에 각각 형성된 제 1, 제 2결합홈과 상기 일측 결합홈 부위에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상기 장식체의 일측을 결속하여주기 위한 내측면에 돌출핀을 갖는 결속구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 결합부는 상기 장식체의 일측단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 1결합홈에 삽입되는 제 1돌기와 상기 장식체의 타측단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 2결합홈에 삽입되며 일측에는 상기 돌출핀이 삽입되는 핀공이 형성된 제 2돌기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26413U KR200179934Y1 (ko) | 1999-11-29 | 1999-11-29 | 장신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26413U KR200179934Y1 (ko) | 1999-11-29 | 1999-11-29 | 장신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79934Y1 true KR200179934Y1 (ko) | 2000-04-15 |
Family
ID=19598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90026413U KR200179934Y1 (ko) | 1999-11-29 | 1999-11-29 | 장신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79934Y1 (ko) |
-
1999
- 1999-11-29 KR KR2019990026413U patent/KR200179934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D507177S1 (en) | Interchangeable ornamental encasing for jewelry treasures | |
US5133195A (en) | Ornamental jewelry system | |
JP2006522667A (ja) | 磁気的に引き付け可能な宝飾品用構成部品 | |
US20030074919A1 (en) | Decorative articles with interchangeable modules | |
US11980262B2 (en) | Jewelry piece with a spring closure for an interchangeable ornament | |
US6804977B1 (en) | Necklace and bracelet pendant-clasp | |
US11109653B2 (en) | Jewelry ornament with clasp mechanism | |
US7596966B2 (en) | Interchangeable jewelry clip | |
US6508081B1 (en) | Earring with interchangeable ornaments | |
KR200179934Y1 (ko) | 장신구 | |
US8701440B1 (en) | Jewelry mount for securing interchangeable ornaments | |
JPWO2002035958A1 (ja) | 装身具 | |
KR200271413Y1 (ko) | 회전형 장신구 | |
KR200269199Y1 (ko) | 장신구의 연결구조 | |
EP1424916B1 (en) | Double-face jewel | |
KR100531179B1 (ko) | 장신구용 액세서리 걸이구 | |
JP2003135113A (ja) | 装身具 | |
KR0134998B1 (ko) | 장식체가 교체 가능한 장신구 | |
JP4414318B2 (ja) | 装身具 | |
KR200437300Y1 (ko) | 액세서리용 펜던트 | |
KR200363083Y1 (ko) | 목걸이용 장식구 | |
KR20240073559A (ko) | 모듈 연결 구조를 갖는 귀금속 쥬얼리용 장신구 | |
WO2003032766A1 (en) | Earring with interchangeable ornaments | |
JP3066700U (ja) | 指 輪 | |
JP3081056U (ja) | 装飾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