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4998B1 - 장식체가 교체 가능한 장신구 - Google Patents

장식체가 교체 가능한 장신구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4998B1
KR0134998B1 KR1019950004258A KR19950004258A KR0134998B1 KR 0134998 B1 KR0134998 B1 KR 0134998B1 KR 1019950004258 A KR1019950004258 A KR 1019950004258A KR 19950004258 A KR19950004258 A KR 19950004258A KR 0134998 B1 KR0134998 B1 KR 0134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nament
main body
magnet
present
orna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4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3341A (ko
Inventor
변건호
Original Assignee
변건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건호 filed Critical 변건호
Priority to KR1019950004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4998B1/ko
Publication of KR960033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3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4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49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신구 본체에 장식체를 임의로 바꿔달 수 있도록 한 가변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신구 본체(1)에 상면이 개구된 장착수용부(13)와 그 하부에 마그네트(magnet)(11)를 고정 설치하고 이에, 후면에 상응의 자성체(21)를 가지는 장식체(2)를 삽탈 가능토록 장착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장식체가 교체 가능한 장신구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결합 종단면 구성도.
제3a, b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 및 종단면도.
제4a, b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 및 종단면도.
제5a, b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 및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장신구 본체 2 : 장식체
11 : 마그네트 12 : 분리통공
13 : 장착수용부 21 : 자성체
본 발명은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신구 본체에 장식체를 임의로 바꿔달 수 있도록 한 장식체가 교체 가능한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인 장신구 예컨대, 귀걸이, 브로우치, 목걸이 등은 장식체(보석)가 장신구 본체에 일체화로 고정된 구조를 취한다.
즉, 장신구 본체에 천연보석이나 인조보석으로 된 장식체를 매설수단 혹은 접착수단에 의해 견고히 고정시킨 구조를 취한다.
그러나 이같은 고정구조의 것에 있어서는 이미 정해진 미감 즉, 하나의 정해진 일정 미감만을 창출할 수 있을 뿐 변화의 다양성을 추구하기 위한 액세서리로서의 기능은 실상 기대할 수 없다.
이는 곧, 하나의 장신구에 의해서는 그에 해당하는 한정된 미적감각만이 표출될 수 있음을 뜻하는 바, 착용자마다의 각기 다른 취향 또는 그때그때의 분위기에 따라 이미지 변화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형태의 별도 장신구를 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장신구에 있어서의 제반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하나의 기본적인 장신구 본체에 여러형태 및 각기 다른 미감을 표출할 수 있는 각각의 장식체를 선택적으로 교체 장착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장식체가 교체 가능한 장신구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요소로서는, 장신구 본체와 장식체와를 별개체로 구성하되 상호 착탈이 가능토록 결합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장식체만을 간단히 교체 장착함으로써 다양한 이미지변화를 추구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및 동결합종단면도로서, 사각틀체상의 장신구 본체(1)에 사각상의 장식체(2)를 삽탈 수단에 이해 장착토록 한 기본구조를 취하고 있다.
좀더 상세하게는, 장신구 본체(1)에 마그네트(magnet)(11)를 고정설치하고 그 상부에는 다소 넓은 면적의 공간부인 장착수용부(13)를 상측이 개구되게 형성하여 이에, 후면에 자성체(21)가 돌출형태로 구비된 장식체(2)를 분리가능토록 장착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장신구 본체(1)는 그 후방부 소정위치에 장착 장식체(2)의 교체를 위한 분리통공(12)이 소정크기로 관통 형성되어 있다.
첨부도면 제3도의 (a)(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및 동종단면도로서, 외형이 하트(heart)형태를 취하는 장신구 본체(1)에 상기 제1도 내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마그네트(magnet)(11)와 장착수용부(13)가 구성되어 이에, 후면부에 자성체(21)가 부착된 하트형태의 장식체(2)를 삽탈가능토록 장착시킨 구조를 취하되, 마그네트(11)측 통공(121)은 장신구 본체(1)측 통공(122)과는 그 크기가 다소 다르게 구성되어 있다.
첨부도면 제4도의 (a)(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시도로서, 외형이 원형상을 취하는 장신구 본체(1)에 상기한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마그네트(magnet)(11) 및 후면부에 자성체(21)가 돌출되게 구비된 원형태의 장식체(2)를 쉽게 가능토록 장착 구성하되, 마그네트(magnet)(11)를 편심되게 설치하고 그 외측에 분리통공(12)을 형성하여서 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
첨부도면 제5도의 (a)(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시도로서, 다각상을 이루는 장신구 본체(1)에 마그네트(magnet)(11) 및 장착수용부(13)를 형성하여 이에, 후면에 자성체(21)가 매설형태로 구비된 장식체(2)를 분리 가능토록 장착 구성시킨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상의 본 발명 실시예들에 있어서, 장신구 본체(1)에 마그네트(11)가 고정설치되고 장식체(2)에는 상응되는 자성체(21)가 각각 구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하한 자성(자력)에 의해 상호 장착될 수 있는 구조이면 족하다.
또한, 그들의 외형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사각, 하트, 원형, 육각상을 이루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로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삼각상이든 다각상이든 여타의 형태이던간에 상호 상응되는 형태이면서 교체 가능한 구조이면 족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장식체가 교체 가능한 장신구는 장신구 본체(1)에 어느 일정 장식체(2)를 장착 사용하다가 변화를 추구하고자 할 경우에는 장신구 본체(1)로부터 장식체(2)를 떼어낸 후 다른 희망 장식체(2)를 장착함으로써 목적하는 바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장식체(2)를 교체·장착함에 있어서는 장신구 본체(1)에 형성된 분리통공(12)을 통해 볼펜이나 기타 도구를 이용하여 장식체(2)를 밀어냄으로써 그 분리가 간단히 이루어지게 되며, 장착시에는 장식체(2) 후면부를 장신구 본체(1)측 장착수용부(13)를 향해 갖다대는 간편 동작만으로 손쉽게 기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장식체가 교체 가능한 장식구에 의하면, 하나의 기본틀체 즉, 장신구 본체에 세트화된 희망 장식체를 선택적으로 간단히 교체 장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그 탈착 또한 간편·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되는 등의 특장점이 있다.

Claims (2)

  1. 장신구 본체(1)에 상면이 개구된 장착수용부(13)와 그 하부에 마그네트(magnet)(11)를 고정 설치하고 이에, 후면에 상응의 자성체(21)를 가지는 장식체(2)를 삽탈 가능토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체가 교체 가능한 장신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 본체(1)의 장착수용부(13)에 장식체(2) 해체용 분리통공(12)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체가 교체 가능한 장신구.
KR1019950004258A 1995-03-02 1995-03-02 장식체가 교체 가능한 장신구 KR0134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4258A KR0134998B1 (ko) 1995-03-02 1995-03-02 장식체가 교체 가능한 장신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4258A KR0134998B1 (ko) 1995-03-02 1995-03-02 장식체가 교체 가능한 장신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3341A KR960033341A (ko) 1996-10-22
KR0134998B1 true KR0134998B1 (ko) 1998-04-18

Family

ID=19409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4258A KR0134998B1 (ko) 1995-03-02 1995-03-02 장식체가 교체 가능한 장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49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097B1 (ko) * 2013-01-31 2014-09-17 김춘명 장신구 탈착구조
KR200493098Y1 (ko) * 2020-05-20 2021-02-01 장현준 입체감을 부여하는 모자용 장식용품 홀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097B1 (ko) * 2013-01-31 2014-09-17 김춘명 장신구 탈착구조
KR200493098Y1 (ko) * 2020-05-20 2021-02-01 장현준 입체감을 부여하는 모자용 장식용품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3341A (ko) 1996-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752764A (en) Magnetic earrings with interchangeable ornaments
US7914143B2 (en) Interchangeable charm system for glasses
US20130263625A1 (en) Magnetically interchangeable jewelry and accessories
US5097679A (en) Screw it together jewelry
US6116054A (en) Openable gem setting
EP3041381B1 (en) Article of jewelry having a replaceable ornamental element
US7596966B2 (en) Interchangeable jewelry clip
KR0134998B1 (ko) 장식체가 교체 가능한 장신구
KR200488439Y1 (ko) 액세서리용 펜던트
US20140352857A1 (en) Ornamentation System
JP2006223805A (ja) 装飾具の交換式アクセサリー
JPH09224724A (ja) 指 輪
KR200385575Y1 (ko) 장신구의 보석결합구조
KR101949161B1 (ko) 점자 교체형 쥬얼리
JP3095572U (ja) 装身具類における宝飾体の保持構造
KR200437300Y1 (ko) 액세서리용 펜던트
KR200386159Y1 (ko) 자석이 구비된 펜던트
KR200179934Y1 (ko) 장신구
KR20140098357A (ko) 장신구 탈착구조
KR102641357B1 (ko) 착탈식 핀을 이용한 교체형 귀걸이
KR102187413B1 (ko) 장식구 고정구
KR20090089565A (ko) 장식용 보석이 내재된 액세서리 메달
KR200363084Y1 (ko) 목걸이용 장식구
JP3392797B2 (ja) 宝石装飾台
JP3071869U (ja) 宝石などの装飾部材を取替え可能とした装身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