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300Y1 - 액세서리용 펜던트 - Google Patents

액세서리용 펜던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300Y1
KR200437300Y1 KR2020060028915U KR20060028915U KR200437300Y1 KR 200437300 Y1 KR200437300 Y1 KR 200437300Y1 KR 2020060028915 U KR2020060028915 U KR 2020060028915U KR 20060028915 U KR20060028915 U KR 20060028915U KR 200437300 Y1 KR200437300 Y1 KR 2004373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dant
frame
decorative member
present
access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89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현
Original Assignee
박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현 filed Critical 박영현
Priority to KR20200600289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300Y1/ko
Priority to CNU2006201731560U priority patent/CN201001456Y/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3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3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44C25/001Penda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07Bracelet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functions or with means for attaching other article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귀금속이 아닌 장식부재를 사용함으로써 가격이 저렴하고 다양한 색상 및 형상으로 형성이 가능하며, 프레임을 전면측으로 테이퍼지게 형성함으로써 장식부재가 프레임 상에 견고하게 압착고정되며, 귀걸이, 목걸이 및 팔찌등 다양한 액세서리에 적용이 가능한 액세서리용 펜던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액세서리용 펜던트는 연결고리가 형성되고, 중앙에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관통구 상에 끼워져 상기 프레임의 전면측으로 돌출되는 장식부재와, 상기 프레임의 배면측에 결합되는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액세서리, 펜던트, 귀걸이, 목걸이, 팔찌, 프레임, 장식부재, 1

Description

액세서리용 펜던트{PENDANT FOR ACCESSORY}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용 펜던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용 펜던트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용 펜던트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용 펜던트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용 펜던트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용 펜던트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액세서리용 펜던트
10 : 프레임
12 : 연결고리
14 : 관통구
16 : 큐빅
20 : 장식부재
20a : 경화코팅층
30 : 덮개
40 : 접착층
100 : 귀걸이
100a : 귀걸이용 연결부재
200 : 목걸이
200a : 목걸이용 체인부재
300 : 팔찌
300a : 팔찌용 연결부재
본 고안은 액세서리용 펜던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귀금속이 아닌 장식부재를 사용함으로써 가격이 저렴하고 다양한 색상 및 형상으로 형성이 가능하며, 프레임을 전면측으로 테이퍼지게 형성함으로써 장식부재가 프레임 상에 견고하게 압착고정되며, 귀걸이, 목걸이 및 팔찌등 다양한 액세서리에 적용이 가능한 액세서리용 펜던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귀걸이, 목걸이, 팔찌 등과 같은 액세서리에는 이들의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연출되도록 하기 위해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펜던트가 체결된다.
이와 같은 펜던트는 대개 금이나 은으로 이루어진 고급광물이나 진주 또는 사파이어 등과 같은 보석류로 이루어진 것이 대부분인 바, 보석류로 이루어진 펜던트의 경우 보석류 자체가 갖고 있는 미려한 색상과 빛깔에 의해 그 자체만으로도 목걸이 등의 액세서리의 외관을 미려하게 연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보석류 또는 고급광물로 이루어진 펜던트의 경우 펜던트 자체의 가격이 고가이고, 또한 펜던트를 가공하기 위한 가공비용이 고가임에 따라 고가로 소비자들에게 공급될 수밖에는 없어 일반 소비자들이 구입하여 사용하기에는 다소 부담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펜던트로 사용하고자 하는 형상 및 빛깔을 가격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선택할 수 없어 그 선택의 폭이 좁아지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귀금속이 아닌 장식부재를 사용함으로써 가격이 저렴하고 다양한 색상 및 형상으로 형성이 가능한 액세서리용 펜던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프레임을 전면측으로 테이퍼지게 형성함으로써 장식부재가 프레임 상에 견고하게 압착고정되는 액세서리용 펜던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귀걸이, 목걸이 및 팔찌등 다양한 액세서리에 적용이 가능한 액세서리용 펜던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들은 연결고리가 형성되고, 중앙에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관통구 상에 끼워져 상기 프레임의 전면측으로 돌출되는 장식부재와, 상기 프레임의 배면측에 결합되는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용 펜던트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관통구는 상기 장식부재가 압착 고정되도록 전면측으로 테이퍼져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본 고안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연결고리에는 귀걸이용 연결부재가 결합되는 것으로 한다.
본 고안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연결고리에는 목걸이용 체인부재가 결합되는 것으로 한다.
본 고안의 더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연결고리는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고리는 또 다른 액세서리용 펜던트의 연결고리와 연결하는 팔찌용 연결부재가 결합되는 것으로 한다.
이하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용 펜던트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용 펜던트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3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용 펜던트의 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4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용 펜던트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되며, 도 5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용 펜던트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되고, 도 6에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용 펜던트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용 펜던트(1)는 프레임(10)가 형성되고, 중앙에 다수의 관통구(14)가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관통구(14) 상에 끼워져 상기 프레임의 전면측으로 돌출되는 장식부재(20)와, 상기 프레임(10)의 배면측에 결합되는 덮개(30)를 포함한다.
여기서 프레임(10)은 프레임(10)가 형성되고, 중앙에 다수의 관통구(14)가 형성되는 것으로, 전술한 프레임(10)는 귀걸이용 연결부재(100a), 목걸이용 체인부재(200a) 및 팔찌용 연결부재(300a)가 연결되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관통구(14)는 추후에 설명될 장식부재(20)가 압착 고정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전술한 프레임(10)는 펜던트가 귀걸이(100) 또는 목걸이(200)로 사용될 경우 일측에만 형성되나 팔찌(300)로 사용될 경우 양측에 형성된다.
또한, 전술한 프레임(10) 상에는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한 큐빅(16)이 구비되는데, 큐빅(16)큐빅(16)도 진주 등 다양한 인조보석 등이 장식될 수 있으며 이러한 프레임(10)은 금속, 합성수지, 목재 등 다양한 재질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전술한 관통구(14)는 하트형상, 물방울형상, 다이아몬드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추후에 설명될 장식부재(20)가 압착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관통구(14)는 추후에 설명될 장식부재(20)가 압착 고정되도록 전면측으로 테이퍼져서 형성되는데, 이를 통해 추후에 설명될 장식부재(20)는 프레임(10)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으면서 프레임(10)의 전면측으로 용이하게 돌출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관통구(14)에는 장식부재(20)가 프레임(10)의 전면측으로 돌출되도록 끼워지는데, 이 장식부재(20)는 액세서리용 펜던트(1)를 미려하게 장식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전술한 장식부재(20)는 스펀지, 압착고무 등 신축성 있는 재질로 형성되고, 관통구(14)의 형상과 상응하게 형성되되 전술한 관통구(14)에 비해 다소 크게 형성되어 전면측으로 테이퍼져서 형성되는 프레이에 압착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장식부재(20) 상에는 전면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외력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경화코팅층(20a)이 형성되며, 사용자가 기호에 따라 선택 가능하도록 다양한 색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장식부재(20)가 압착고정되는 프레임(10)의 배면측에는 덮개(30)가 결합되는데, 이 덮개(30)는 프레임(10)의 관통구(14)에 압착고정된 장식부재(20)가 프레임(10) 상에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장식부재(20)의 배면측에 도포될 접착층 (40)에 의해 프레임(10)과 견고하게 접착고정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덮개(30)는 금속, 합성수지, 목재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되되 프레임(1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어 액세서리로서 고급스러운 느낌이 들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제작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프레임(10)의 관통구(14) 상에 장식부재(20)를 압착고정하여 프레임(10)의 전면측으로 장식부재(20)가 돌출 형성 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프레임(10)의 관통구(14) 상에 고정되어 있는 장식부재(20)의 배면측에 접착제로 접착층(40)을 형성시킨 다음, 덮개(30)를 접착고정한다.
그런 다음, 프레임(10)에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10) 상에는 각각 귀걸이용 연결부재(100a), 목걸이용 체인부재(200a) 및 팔찌용 연결부재(300a)가 연결되어 귀걸이(100), 목걸이(200) 및 팔찌(300)로 사용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액세서리용 펜던트는 귀금속이 아닌 장식부재를 사용함으로써 가격이 저렴하고 다양한 색상 및 형상으로 형성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프레임을 전면측으로 테이퍼지게 형성함으로써 장식부재가 프레임 상 에 견고하게 압착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귀걸이, 목걸이 및 팔찌등 다양한 액세서리에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연결고리가 형성되고, 중앙에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관통구 상에 끼워져 상기 프레임의 전면측으로 돌출되는 장식부재; 및
    상기 프레임의 배면측에 결합되는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구는 상기 장식부재가 압착 고정되도록 전면측으로 테이퍼져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용 펜던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리에는 귀걸이용 연결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용 펜던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리에는 목걸이용 체인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용 펜던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싱기 연결고리는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고리는 또 다른 액세서리용 펜던트의 연결고리와 연결하는 팔찌용 연결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용 펜던트.
  5. 삭제
KR2020060028915U 2006-11-02 2006-11-02 액세서리용 펜던트 KR2004373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915U KR200437300Y1 (ko) 2006-11-02 2006-11-02 액세서리용 펜던트
CNU2006201731560U CN201001456Y (zh) 2006-11-02 2006-12-18 首饰用挂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915U KR200437300Y1 (ko) 2006-11-02 2006-11-02 액세서리용 펜던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300Y1 true KR200437300Y1 (ko) 2007-11-28

Family

ID=39037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8915U KR200437300Y1 (ko) 2006-11-02 2006-11-02 액세서리용 펜던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37300Y1 (ko)
CN (1) CN201001456Y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186Y1 (ko) * 2014-09-17 2015-05-14 주식회사 챠미 광감응성 발광부를 갖는 장신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186Y1 (ko) * 2014-09-17 2015-05-14 주식회사 챠미 광감응성 발광부를 갖는 장신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1001456Y (zh) 2008-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49126S1 (en) Plumeria blossom jewelry
US20060174649A1 (en) Interchangeable jewelry item
US7596966B2 (en) Interchangeable jewelry clip
KR200388420Y1 (ko) 접착식 악세사리
KR200437300Y1 (ko) 액세서리용 펜던트
KR200474073Y1 (ko) 장식체의 교체 및 위치 조절이 용이한 장신구.
US4944164A (en) Convertible earring
JP2000093216A (ja) 指輪用装飾カバー
KR200363084Y1 (ko) 목걸이용 장식구
KR20130005852U (ko) 캐릭터 팔찌 악세서리의 이탈 잠금장치
KR20090089565A (ko) 장식용 보석이 내재된 액세서리 메달
KR20090011868U (ko) 장신구
CN211910757U (zh) 一种石材饰品结构
KR200479413Y1 (ko) 몰드프레임에 구성되는 장신구용 장식
JP3144171U (ja) 宝飾体
KR0134998B1 (ko) 장식체가 교체 가능한 장신구
KR200465134Y1 (ko) 다용도 장신구
JP3147797U (ja) 装身具の装飾体
KR200215578Y1 (ko) 구슬을 이용한 악세서리
KR200179934Y1 (ko) 장신구
KR101963645B1 (ko) 악세사리용 장신구의 제조방법
KR20090011613A (ko) 코디 귀걸이
JP4478938B2 (ja) イヤリング
JPWO2006051910A1 (ja) 装飾体、その装飾体付きネックレス及び複合装飾体
JP2006175063A (ja) 装飾部材を緩嵌合可能とされる装飾具及び装飾具用装飾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