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186Y1 - 광감응성 발광부를 갖는 장신구 - Google Patents

광감응성 발광부를 갖는 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186Y1
KR200477186Y1 KR2020140006789U KR20140006789U KR200477186Y1 KR 200477186 Y1 KR200477186 Y1 KR 200477186Y1 KR 2020140006789 U KR2020140006789 U KR 2020140006789U KR 20140006789 U KR20140006789 U KR 20140006789U KR 200477186 Y1 KR200477186 Y1 KR 2004771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ight emitting
emitting portion
gaps
perfo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7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수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챠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챠미
Priority to KR20201400067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1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1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1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44C25/001Penda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15Illuminated or sound-producing jewellery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수명을 갖는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는, 닫힌 패턴을 형성하는 내측벽을 포함하는 제 1 프레임; 상기 제 1 프레임의 내측벽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관통된 빈틈을 형성하는 대향 내측벽을 포함하는 제 2 프레임; 및 상기 관통된 빈틈을 채움으로써 상기 장신구의 전면과 배면으로 노출된 발광 표면을 제공하는 발광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광감응성 발광부를 갖는 장신구{Accessory having photosensitive light emitting element}
본 고안은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감응성 발광부를 갖는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장신구란, 신체 부분에 끼워지는 반지, 목걸이 또는 귀걸이와 같은 아이템이나, 의복 또는 가방에 부착, 매임 또는 늘어뜨림 방식의 펜던트, 장식 줄과 같은 장식 목적의 작은 아이템을 지칭한다. 이러한 장신구들은 제조 기술의 발달과 함께 해당 마켓에서의 경쟁도 심화되어, 언제나 독창적이고 개성적인 디자인적 요구에 부응해야 하는 과제를 갖는다. 또한, 장신구는 독창적이면서 개성적인 외형의 미려함과 상기 미려함을 갖는 장식적 부분이 사용 중에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가짐으로써 합리적인 수명을 가져야만 소비자로부터 상품성을 인정받을 수 있다.
형광, 인광 또는 축광 재료를 이용한 장신구는 주간에는 외부 광에 의해서, 야간에는 그 발광 특성에 기인한 신비로운 장식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독창적이면서도 개성적인 디자인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패션 아이템으로서 그 사용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종래의 야광 재료를 이용한 장신구는 대부분 코팅 또는 접착 방식으로 장신구 몸체의 표면에 적용되는 것이어서 사용 중에 쉽게 박리되거나 부서져, 그 수명에 한계가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장신구의 다양한 형태에 대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형광, 인광 또는 축광 재료가 적용되어 주간에는 물론 야간에도 장식적 효과를 달성하여 디자인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형광, 인광 또는 축광 재료와 주변 부재 사이에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갖는 결합력을 부여하여 장수명을 확보함으로써 상품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광감응성 발광부를 갖는 장신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신구의 외형을 정의하고 닫힌 패턴을 형성하는 내측벽을 포함하는 제 1 프레임; 상기 제 1 프레임의 내측벽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관통된 빈틈을 형성하는 대향 내측벽을 포함하는 제 2 프레임; 및 상기 관통된 빈틈을 채움으로써 상기 장신구의 전면과 배면으로 노출된 발광 표면을 제공하는 발광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프레임 및 상기 관통된 빈틈은 일정한 폭을 가짐으로써, 상기 제 1 프레임과 상기 발광부가 닮음꼴 패턴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관통된 빈틈의 내부에 배열되고, 상기 제 1 프레임과 상기 제 2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프레임과 상기 제 2 프레임을 서로 지지시키는 리브들이 더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리브들은 상기 관통된 빈틈을 채우는 발광부에 의해 매립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발광부는 상기 관통된 빈틈을 채우는 액상 발광 분산재가 고형화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고형화된 발광부는, 바인더 매트릭스 및 상기 바인더 매트릭스에 균일 분산된 발광 입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바인더 매트릭스는 투명 수지계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투명 수지계 재료는, 에폭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우레탄,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요소, 멜라닌, 염화고무, 폴리비닐알콜 및 폴리비닐에스테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프레임은 복수의 관통된 빈틈들을 형성하도록 서로 이격된 복수의 서브 프레임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1 프레임의 표면, 상기 제 2 프레임의 표면 및 상기 발광부의 노출 표면은 균일한 연속 표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은 금속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발광부는 형광, 인광 또는 축광 입자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발광 표면 상에 보호층이 더 제공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자인적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를 갖는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으로 구성된 독립적 프레임들에 의해 관통된 빈틈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된 빈틈을 광감응성 발광부를 채워 상기 발광부의 부피를 최대화하고 장신구의 전면과 배면으로 노출된 발광부 표면에 의해 발광 효과를 최대화함으로써, 상기 발광 효과에 의한 심미감을 증진시키면서도 다양한 형상 대비 그 기계적 결합력을 강화하여 사용에 따른 충격과 열 변형으로부터 상기 발광부를 보호함으로써, 상기 발광부의 심미감을 오래 동안 유지하고 장수명을 확보하여 상품성이 향상된 광감응성 발광부를 갖는 장신구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광감응성 발광부를 갖는 장신구의 제조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하는 사시도들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감응성 발광부(50)를 갖는 장신구들을 도시하는 사진 이미지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감응성 발광부(50)를 갖는 장신구를 도시하는 사진 이미지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 는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고안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 1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고안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 2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 1 프레임(10A)과 제 2 프레임(10B)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에에 따른 장신구는 제 1 프레임(10A)과 제 2 프레임(10B)을 갖는다. 제 1 프레임(10A)은 장신구의 외형을 정의하는 형상을 갖는 테두리 프레임일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1 프레임(10A)의 외측으로 다른 프레임이 더 반복 배치될 수도 있다.
제 1 프레임(10A)은 다각형, 곡선, 원형, 타원형과 같이 볼록한 형상을 갖거나, 별, 달, 나비와 같은 곤충, 클로버, 또는 하트 모양과 같이 돌출 형상과 오목 형상이 복합화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프레임(10A)은 전술한 형상들의 조합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본 고안이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a에서는 하트 형상의 제 1 프레임(10A)이 예시되어 있다.
제 1 프레임(10A)의 형상은 도시된 것과 같이 적어도 일부에 닫힌 패턴을 가지며, 이러한 닫힘 패턴의 일부는 제 1 프레임(10A)의 연속적인 내측벽(10A_IS)에 의해 정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내측벽(10A_IS)은 제 1 프레임(10A)의 외각 형상과 동일한 패턴을 갖도록 제 1 프레임(10A)의 외각과 내측벽(10A_IS) 사이에 의해 정의되는 제 1 프레임(10A)의 두께(W1)는 일정할 수 있다.
제 1 프레임(10A)의 내측벽(10A_IS)으로부터 제 1 프레임(10A)의 내부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 프레임(10B)이 제공될 수 있다. 제 2 프레임(10B)은 제 1 프레임(10A)의 내측벽(10A_IS)과 대향하는 대향 내측벽(10B_IS)을 포함한다. 제 1 프레임(10A)의 내측벽(10A_IS)과 제 2 프레임(10B)의 대향 내측벽(10B_IS)은 모두 지면에 대해 수직한 수직 측벽일 수 있으며,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제 1 프레임(10A)의 내측벽(10A_IS) 및 제 2 프레임(10B)의 대향 내측벽(10B_IS)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돌출 및/또는 오목한 요철부(10T)를 가질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요철부(10T)는 제 2 프레임(10B)의 대향 내측벽(10B_IS)의 표면 상에 음각 형성된 트렌치부를 예시한다. 요철부(10T)에 의해 내측벽(10A_IS)과 대향 내측벽(10B_IS) 사이에서 후술하는 발광부(도 2c의 50 참조)가 요철부(10T)로 침습되어 정합됨으로써 상기 발광부의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제 2 프레임(10B)의 표면(10B_US) 상에는 장식적 효과의 향상을 위해 색상 구현을 위한 안료층(20)이 코팅되거나 보석이 안착될 수 있다. 도 1a는 안료층(20)이 코팅된 것을 예시한다. 안료층(20)은 음각 패턴 내에 형성되거나 양각화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프레임(10A)의 표면 상에 안료층이 코팅되거나 보석이 안착될 수 있으며, 이는 장식적 효과를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프레임(10A)과 제 2 프레임(1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충분한 경도를 갖도록 금속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프레임(10A)이 금속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재는, 금, 은, 백금과 같은 귀금속, 철, 아연, 주석, 구리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이거나 상기 금속과 귀금속의 합금일 수도 있다. 이들 재료들은 예시적이며, 본 고안의 제 1 프레임(10A)과 제 2 프레임(10B)에는 통상의 장신구에 사용되는 귀금속,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이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제 1 프레임(10A)의 내측벽(10A_IS)과 제 2 프레임(10B)의 대향 내측벽(10B_IS) 사이에는 관통된 빈틈(30)이 형성된다. 관통된 빈틈(30)과 제 1 프레임(10A)의 내측벽(10A_IS) 및 제 2 프레임(10B)의 대향 내측벽(10B_IS)은 후술하는 발광부의 형성을 위한 주형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는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 1 프레임(10A)의 내측벽(10A_IS)과 제 2 프레임(10B)의 대향 내측벽(10B_IS)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관통된 빈틈(30)의 폭(W2)은 전둘레에 걸쳐 일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프레임(10A)의 두께(W1)가 일정하고, 제 1 프레임(10A)의 내측벽(10A_IS)과 제 2 프레임(10B)의 대향 내측벽 (10B_IS)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면, 후술하는 발광부(50)는 장신구의 외형과 동일한 패턴을 갖게 될 수 있다. 이 경우, 발광부(50)는 주간에는 장신구 전체에 걸쳐 소정 컬러를 갖게 되어 심미감을 향상시키고, 야간에는 상기 발광부에 의해 장신구 전체와 크기만 다른 닮은 꼴의 고유 형상을 현시시켜 신비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제 1 프레임(10A)의 내측벽(10A_IS)과 제 2 프레임(10B)의 대향 내측벽(10B_IS) 사이에 제공된 관통된 빈틈(30)의 내부에 배열되는 리브들(40)이 제공될 수 있다. 리브들(40)은 제 1 프레임(10A)과 제 2 프레임(10B)과 동일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 1 프레임(10A)과 제 2 프레임(10B) 및 리브들(40)은 단일 금형에 의해 한번에 제작됨으로써 동일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 1 프레임(10A), 제 2 프레임(10B) 및 리브들(40)은 동일한 금속, 귀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프레임(10A)과 제 2 프레임(10B)에 연결된 리브들(40)이 제 1 프레임(10A)과 제 2 프레임(10B)을 서로 지지시킬 수 있다. 제 1 프레임(10A)의 내측벽(10A_IS)과 제 2 프레임(10B)의 대향 내측벽(10B_IS)을 가로질러 서로 연결하는 리브들(40)의 두께(d)는 제 1 프레임(10A)의 두께(또는, 제 1 프레임(10A)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로 지칭될 수도 있음; t) 대비 1/20 내지 높이 t 미만일 수 있으며,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리브들(40)의 단면 형상은 도시된 것과 같이 원형 단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형, 육각형과 같은 다각형 단면, 타원형 단면을 갖거나, 발광부와 리브들 표면의 결착 특성을 강화하기 위한 요철 단면, H 빔과 같은 단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리브들(40)은 관통된 빈틈(30)을 채우는 후술하는 발광부(도 2c의 50)에 의해 은폐될 수 있다. 리브들(40)은 주형으로서 기능하는 제 1 프레임(10A)과 제 2 프레임(10B)을 서로 지지시킬 뿐만 아니라, 관통된 빈틈(30)에 채워진 액상 발광 분산재가 고형화되어 형성되는 발광부가 사용 중에 제 1 프레임(10A)과 제 2 프레임(10B) 사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리브들(40)은 장신구의 사용 동안 발생할 수 있는 반복되는 충격, 변형, 또는 열팽창 및 열수축에도 불구하고, 발광부(50)와 프레임들(10A, 10B) 사이의 고착력을 유지시켜 사용 내구 연한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a 및 도 1b에서는, 단일한 제 2 프레임(10B)을 예시하고 있지만, 제 2 프레임은 복수 개일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제 2 프레임들은 서브 프레임들이라 지칭되며, 제 1 프레임(10A)의 내측벽(10A_IS)으로부터 내측으로 차례로 이격 배치되어 제 1 프레임(10A) 내에 서브 프레임들의 개수만큼 관통된 빈틈(30)을 제 1 프레임(10A) 내에 제공할 수 있다. 이들 서브 프레임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요철부를 갖거나 이들 사이를 지지하기 위한 리브들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장식적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그 표면 상에 안료층이 제공되거나 보석이 안착될 수도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광감응성 발광부를 갖는 장신구의 제조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하는 사시도들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제 1 프레임(10A)과 제 2 프레임(10B)의 배열 구조를 지지 표면(1) 상에 먼저 배치한다. 관통된 빈틈(30)의 저면에는 지지 표면(1)이 노출될 수 있다. 지지 표면(1)은 임의의 작업 테이블의 상부 표면이거나 임시로 제 1 프레임(10A)과 제 2 프레임(10B)에 부착되는 지지 판의 표면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프레임(10A)의 저면 및 제 2 프레임(10B)의 저면은 지지 표면(1)에 고착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도 있다. 제 1 프레임(10A)과 제 2 프레임(10B)은,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리브들(도 1b의 40)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관통된 빈틈(30), 제 1 프레임(10A)의 내측벽(10A_IS) 및 제 2 프레임(10B)의 대향 내측벽(10B_IS), 그리고 노출된 지지 표면(1)은 발광부의 형성을 위한 주형으로서 기능한다.
이후, 도 2b를 참조하면, 관통된 빈틈(30) 내에 액상 발광 분산재(50L)를 채운다. 액상 발광 분산재(50L)는 형광, 인광 또는 축광 물질의 입자들(본 명세서에서는, 해당 속성을 겸유하거나 구분이 모호한 재료도 있기 때문에, 이들 형광, 인광 또는 축광이란 용어들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야광도 이들 재료 내에 포함되며, 이러한 재료들을 각각 칭하거나 통칭하는 용어로서 '광감응성 발광 재료' 또는 '광감음성 발광 입자'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로 한다. 상기 광감응성 발광 재료는 구체적으로 외부 광이 상기 발광 재료 내에 입사하는 경우 즉시, 상기 외부 광이 소멸된 후 소정 시간 동안, 또는 그 이후에 소정의 광을 출력할 수 있는 속성을 갖는다), 바인더 및 상기 바인더의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바인더의 경화제가 더 첨가될 수 있다. 상기 형광 물질은, 예를 들면, 아연, 또는 카드뮴의 산화물이나 황화물, 또는 백금시안착염이나 아닐린과 같은 유기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광 물질은, 예를 들면, 알칼리토금속의 황화물, 황화칼슘, 황화바륨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축광 물질은 (SrEu)Al2O4, (CaEu)Al2O4 과 같은 금속 산화물일 수 있으며, 이들 재료에 마그네슘(Mg), 바륨(Ba), 란탄(La), 세륨(Ce), 프라세오디움(Pr), 네오디뮴(Nd), 사마륨(Sm), 가돌리늄(Gd), 테르븀(Tb), 디스프로슘(Dy), 홀뮴(Ho), 에르븀(Er), 톨륨(Tm), 이테르븀(Yb), 이트륨(Y), 루테튬(Lu), Mn(망간), 비스무트(Bi) 또는 2 이상의 원소가 도핑된 물질일 수 있다. 전술한 형광, 인광 및 축광 물질은 예시적이며,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액상 발광 분산재(50L)에는 안료 또는 염료와 같은 색상 구현을 위한 색소가 더 첨가될 수도 있다.
상기 바인더는, 상기 발광부의 발광 특성을 저감시키지 않도록 투명성을 가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광성, 내열성, 내수성 또는 내산성이 높으며, 장기간에 걸쳐 착색, 황변, 또는 백화와 같은 변질을 일으키지 않음으로써 장신구의 상품성과 심미감을 오래 동안 유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든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바인더는, 에폭시, 폴리에스테르, 우레탄,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요소, 멜라닌, 염화고무,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에스테르,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코폴리머(PVDF-co-HFP),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fluoride: PVDF), 폴리아크릴로니트릴 (polyacrylonitril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olymethylmethacrylate), 폴리테트라불화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스틸렌부타디엔 고무(styrenebutadiene rubber: SBR), 또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ethylene-propylene-diene copolymer: EPDM)와 같은 수지계 재료일 수 있으며, 이들은 예시적일 뿐,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경화성 또는 가소성 수지계 재료가 적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인더는 에폭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우레탄,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요소, 멜라닌, 염화고무,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투명 수지계 재료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인더는 경화성 수지계 재료일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광중합 또는 열중합 개시제일 수 있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아민류와 산무수물과 같은 관능성 모노머일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상기 바인더와 완전한 반응이 일어날 수 있도록 적절한 조성비를 갖도록 첨가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형광 물질 또는 인광 물질의 분산 용매이면서 상기 바인더의 용매일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예를 들면, 아세톤, 메탄올, 이소프로필알콜(IPA), 또는 과산화수소(H2O2), 물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 용매일 수 있으며, 다른 탄화수소체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후, 관통된 빈틈(30) 내에 충만된 액상 발광 분산재(50L)에 자외선 또는 열을 인가하거나 자연 건조시키면서 중합 공정을 수행하여 액상 발광 분산재(50L)를 고형화하여 도 2c와 같은 발광부(50)를 형성할 수 있다. 발광부(50)는 고형화된 바인더가 바인더 매트릭스를 형성하고, 상기 바인더 매트릭스에 발광 입자들이 분산되어 제공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프레임(10B) 상에 음각 패턴(20P)에 안료층(20)이 더 해지거나 보석을 안착시키는 공정이 추가 수행될 수 있다.
후속하여, 제 1 프레임(10A), 제 2 프레임(10B) 및 발광부(50)로부터 지지 표면(1)을 분리시키면, 발광부(50)의 전면(50SA)뿐만 아니라 배면(50SB)도 노출된다. 노출된 발광부의 노출 표면(50SA, 50SB)을 연마하면, 도 2b 및 도 2c와 같이, 장신구에 요구되는 미려한 발광 표면을 갖는 장신구(100)가 제공될 수 있다. 발광부(50)의 표면(50SA, 50SB)의 패턴은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프레임(10A)의 패턴 또는 형상과 닮은 꼴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발광부(50)의 노출 표면(50SA, 50SB)의 연마 공정은, 제 1 프레임(10A)의 표면(10A_US, 10A_BS)과 제 2 프레임(10B)의 표면(10B_US, 10B_BS)과 단차 없이 균일한 연속 표면을 갖도록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발광부(50)의 표면(50SA, 50SB) 상에 발광부(50)의 보호를 위한 보호층, 비제한적 예로서, 아크릴, 왁스 또는 멜라닌과 같은 투명 수지계 재료층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감응성 발광부(50)를 갖는 장신구들(100A, 100B)을 도시하는 사진 이미지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장신구(100A)는 비제한적 예로서 네잎 클로버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장신구(100A)의 전면과 배면에는 발광부(50)의 발광 표면이 모두 노출된다. 제 1 프레임(10A)에는 체인 또는 줄과 같은 다른 부재들과 결합하기 위한 체결 구조(CR)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장신구(100B)는 발광부(50)의 발광 표면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석(JW)이 적층된 것이다. 보석(JW)은, 비제한적 예로서, 다이아몬드, 사파이어, 수정, 토파즈, 호박, 가넷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보석(JW)은 발광부(50)의 발광 표면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투과될 수 있는 다이아몬드, 사파이어 또는 수정과 같은 투명 보석일 수 있다. 주간 또는 야간, 특히 야간에 발광부(50)의 발광 표면으로부터 발광되는 광은 발광 표면 상에 적층된 보석(JW)을 비추게 되어, 보석(JW)의 광학적 특성에 따라 2차적인 새로운 광학 효과를 발생시켜 주간에 보석(JW)이 나타내는 심미감과는 다른 심미감을 유발하여 장신구(100B)의 상품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감응성 발광부(50)를 갖는 장신구(100)를 도시하는 사진 이미지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신구(100)가 체인(CH)에 연결되어 목걸이, 팔찌 또는 발찌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예시적이며, 장신구(100)는 다양한 형태를 갖는 목걸이, 귀걸이, 반지, 팬던트 또는 메달과 같은 장신구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는 장신구의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의 독립적 프레임들에 의해 관통된 빈틈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된 빈틈을 발광부가 채워 발광부의 부피를 최대화하고 장신구의 전면과 배면으로 노출된 발광 표면에 의해 발광 효과를 최대화하여 심미감을 증진시킬 수 있다. 이와 동시에, 특히 리브들이 제공된 경우 발광부와 발광부의 주변 부재인 프레임들 사이에 기계적 결합력이 확보되어, 종래의 층 형태로 부착되거나 코팅된 야광 부재에 비하여 수분 접촉, 열 변형 또는 충격과 같은 사용시 발생되는 외부 영향으로부터 발광부가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신구의 장수명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이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Claims (17)

  1. 닫힌 패턴을 형성하는 내측벽을 포함하는 제 1 프레임;
    상기 제 1 프레임의 내측벽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관통된 빈틈을 형성하는 대향 내측벽을 포함하는 제 2 프레임; 및
    상기 관통된 빈틈을 채움으로써 장신구의 전면과 배면으로 노출된 발광 표면을 제공하는 발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된 빈틈의 내부에 배열되고, 상기 제 1 프레임과 상기 제 2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프레임과 상기 제 2 프레임을 서로 지지시키는 리브들을 포함하는 장신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은 상기 장신구의 외형을 정의하는 장신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 및 상기 관통된 빈틈은 일정한 폭을 가짐으로써, 상기 제 1 프레임과 상기 발광부가 닮음꼴 패턴을 갖는 장신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된 빈틈과 상기 제 1 프레임의 내측벽 및 상기 제 2 프레임의 대향 내측벽은 상기 발광부의 형성을 위한 주형으로서 기능하는 장신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들은 상기 관통된 빈틈을 채우는 상기 발광부에 의해 매립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장신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관통된 빈틈을 채우는 액상 발광 분산재가 고형화되어 형성된 것인 장신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화된 발광부는, 바인더 매트릭스 및 상기 바인더 매트릭스에 균일 분산된 발광 입자들을 포함하는 장신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매트릭스는 투명 수지계 재료를 포함하는 장신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수지계 재료는, 에폭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우레탄,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요소, 멜라닌, 염화고무, 폴리비닐알콜 및 폴리비닐에스테르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장신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레임은 복수의 관통된 빈틈들을 형성하도록 서로 이격된 복수의 서브 프레임들을 포함하는 장신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임의 표면, 상기 제 2 프레임의 표면 및 상기 발광부의 노출 표면은 균일한 연속 표면을 제공하는 장신구.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들은 금속재인 장신구.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형광, 인광 또는 축광 입자를 포함하는 장신구.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표면 상에 보호층을 더 포함하는 장신구.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표면 상에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석을 더 포함하는 장신구.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석은 투명한 것인 장신구.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는, 목걸이, 팔찌, 발찌, 귀걸이, 반지, 팬던트, 및 메달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어느 하나의 일부를 구성하는 장신구.
KR2020140006789U 2014-09-17 2014-09-17 광감응성 발광부를 갖는 장신구 KR2004771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789U KR200477186Y1 (ko) 2014-09-17 2014-09-17 광감응성 발광부를 갖는 장신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789U KR200477186Y1 (ko) 2014-09-17 2014-09-17 광감응성 발광부를 갖는 장신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186Y1 true KR200477186Y1 (ko) 2015-05-14

Family

ID=53434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789U KR200477186Y1 (ko) 2014-09-17 2014-09-17 광감응성 발광부를 갖는 장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186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614Y1 (ko) * 2004-07-12 2004-10-02 최영자 축광성 반지
KR200437300Y1 (ko) * 2006-11-02 2007-11-28 박영현 액세서리용 펜던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614Y1 (ko) * 2004-07-12 2004-10-02 최영자 축광성 반지
KR200437300Y1 (ko) * 2006-11-02 2007-11-28 박영현 액세서리용 펜던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37126C2 (ru) Декоративная наклейка для ногтей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US20090100869A1 (en) Jewelry with Interchangeable Settings and Attachable Charms and Methods for Their Use
JP2017144243A (ja) 光放出性宝飾品
CN101983021A (zh) 具有装饰效果的便携式物品
EP1767113B1 (fr) Bijou modulaire
US20120125047A1 (en) Accessory Comprising Magnets Coated with a Resin Containing Powdered Gemstones
US20100005633A1 (en) Method for designing detachable objects using magnetic holding force
US20090021453A1 (en) Fashion accessory including alternating light emitting and non-light emitting elements of consistent lengths
KR200477186Y1 (ko) 광감응성 발광부를 갖는 장신구
CN101744390A (zh) 镶有宝石的珠片
US8127568B2 (en) Article of jewelry and method of manufacture
JP2006289644A (ja) 装飾品
CN201185696Y (zh) 发光宝石戒指
CN101248918A (zh) 发光宝石戒指
KR200477187Y1 (ko) 장신구
KR101623852B1 (ko) 장신구용 메달 및 그 메달 제조방법
KR100477614B1 (ko) 이중 인조 보석 및 그 제조방법
KR101898251B1 (ko) 발광 물질을 내장한 보석을 사용한 장신구
JP3173360U (ja) 装飾体付身回品
US11950666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jewelry with artifacts such as cremation ashes embedded therein
KR200325458Y1 (ko) 악세서리용 팬던트
CN201001456Y (zh) 首饰用挂件
JP2011130934A (ja) 人工爪への宝石類の取付方法および宝石類を取り付けた人工爪
KR200386159Y1 (ko) 자석이 구비된 펜던트
KR100596710B1 (ko) 장신구용 부품과 그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