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187Y1 - 장신구 - Google Patents

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187Y1
KR200477187Y1 KR2020140009030U KR20140009030U KR200477187Y1 KR 200477187 Y1 KR200477187 Y1 KR 200477187Y1 KR 2020140009030 U KR2020140009030 U KR 2020140009030U KR 20140009030 U KR20140009030 U KR 20140009030U KR 200477187 Y1 KR200477187 Y1 KR 2004771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polyhedron
transmissive
photosensit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90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수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챠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챠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1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18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44C25/001Penda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15Illuminated or sound-producing jewellery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3/00Medals; Badges
    • A44C3/004Meda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02Hair pins

Abstract

본 고안은 휘도를 증가시켜 심미감을 갖는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는, 입사된 외부 광으로부터 출력 광을 생성하는 광감응성 발광층; 및 상기 광감응성 발광층의 표면에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투광성 조절 부재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장신구{Accessory}
본 고안은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학 재료를 이용한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장신구란, 신체 부분에 끼워지는 반지, 목걸이 또는 귀걸이와 같은 아이템이나, 의복 또는 가방에 부착, 매임 또는 늘어뜨림 방식의 펜던트, 장식 줄과 같은 장식 목적의 작은 아이템을 지칭한다. 이러한 장신구들은 제조 기술의 발달과 함께 해당 마켓에서의 경쟁도 심화되어, 언제나 독창적이고 개성적인 디자인적 요구에 부응해야 하는 과제를 갖는다. 또한, 장신구는 독창적이면서 개성적인 외형의 미려함과 상기 미려함을 갖는 장식적 부분이 사용 중에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가짐으로써 합리적인 수명을 가져야만 소비자로부터 상품성을 인정받을 수 있다.
장신구에는 일반적으로 저가의 비드로부터 고가의 다이아몬드와 같이 광학 재료가 사용된다. 이러한 광학 재료들은 통상적으로 귀금속 계열의 재료로 된 반지 또는 펜던트와 같은 프레임에 고정되어 장신구로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저가의 광학 재료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충분한 휘도를 얻지 못해 장신구로서의 가치가 낮으며, 고가의 광학 재료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가격으로 인한 상기 장신구의 시장 경쟁력이 약하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저가의 광학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휘도를 증가시켜 상품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고가의 광학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미려한 심미감을 갖는 광학적 효과를 발휘할 수 있어 시장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장신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는, 입사된 외부 광으로부터 출력 광을 생성하는 광감응성 발광층; 및 상기 광감응성 발광층의 표면에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투광성 조절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광성 조절 부재들은 상기 광감응성 발광층의 상기 출력 광을 흡수하고 흡수된 내부 광을 내부 반사를 거쳐 누적시킴으로써, 상기 투광성 조절 부재의 상부로 출력되는 투과 광의 세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투광성 조절 부재들은 상기 광감응성 발광층의 표면에서 출력되는 상기 출력 광의 휘도를 최대화하는 복수의 면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투광성 조절 부재들은 볼록다면체, 오목다면체, 정다면체(Platonic solids), 소형 별모양 십이면체, 대형 십이면체, 대형 별모양 십이면체, 및 대형 이십면체를 포함하는 별 정다면체(Kepler-Poinsot Polyhedron), 점추이 다면체, 변추이 다면체, 면추이 다면체, 준정다면체(Quasiregular polyhedron), 반정다면체(Semiregualr polyhedron), 고른 다면체(Uniform polyhedron), 귀족 다면체(Noble polygedron) 및 필라형 다면체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다면체; 구(RT1), 원기둥(RT2), 원뿔 및 원뿔대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회전체; 및 비정형 형태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이 조합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과 광의 휘도를 최대화하도록 상기 내부 광에 대한 반사면들과 상기 광감응성 발광층의 표면에 수평하게 가공된 주출력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광성 조절 부재는 1.3 내지 4 범위 내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투광성 조절 부재는 유리, 투명 합성 수지 및 투명 무기 재료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을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투명 무기 재료는 다이아몬드(diamond), 수정(quartz), 커런덤(corundum), 베릴(beryl), 제이다이트(jadeite), 오팔(opal), 크리소베릴(crysoberyl), 스피넬(spinel), 가닛(garnet), 플로라이트(fluorite), 칼사이트(calcite), 지르코니아(zirconia), 페리도트(peridot), 투어멀린(tourmaline), 다이옵사이드(diopside), 토파즈(topaz), 안달루사이트(andalusite), 아이올라이트(iolite), 조이사이트(zoisite), 아이도크레이즈(idocrase), 및 스포듀민(spodumene)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광감응성 발광층은 광감응성 발광 입자 및 결합제를 용매에 분산시켜 형성된 액상 발광 분산재를 고형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제는 투명 수지계 재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광감응성 발광층은 인광 또는 축광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광성 조절 부재들은 상기 광감응성 발광층에 적어도 일부가 매립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감응성 발광층과 상기 투광성 조절 부재들의 적어도 일부 사이에 투광성 접착층이 제공되어 상기 투광성 조절 부재들이 고정되며, 상기 투광성 접착층의 굴절률은 상기 투광성 조절 부재의 굴절률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투광성 접착층은 아크릴계, 에폭시계 재료 또는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광감응성 발광층이 고정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감응성 발광층은 상기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 표면 상에 코팅되거나 상기 플레임의 결합홈 또는 관통홈을 채울 수 있다.
상기 장신구는, 커프스, 헤어 핀, 헤어 밴드, 목걸이, 팔찌, 발찌, 귀걸이, 반지, 팬던트, 메달 또는 커버 형태 장신구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투광성 조절 부재를 이용하여 광감응성 발광층의 표면 상으로부터 출력된 출력 광을 흡수하고, 상기 투광성 조절 부재 내에서 내부 광을 내부 반사를 거쳐 누적시키며 상기 투광성 조절 부재의 상부로 출력되는 투과 광의 세기를 증가시킴으로써, 저가의 투광성 조절 부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휘도를 증가시켜 상품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고가의 투광성 조절 부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미려한 심미감을 갖는 광학적 효과를 발휘할 수 있어 시장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장신구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광감응성 발광층과 투광성 조절 부재를 포함하는 장신구의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c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투광성 조절 부재가 광감응성 발광층에 접착되는 것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투광성 조절 부재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a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광감응성 발광층에서 출력된 출력 광이 투광성 조절 부재를 투과하여 출력되는 투과 광의 경로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4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각원형으로 연마된 투광성 조절 부재에서 광 경로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5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의 광감응성 발광층이 프레임에 지지되는 것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의 광감응성 발광층이 프레임에 지지되는 것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 는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고안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 1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고안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 2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광감응성 발광층(100)과 투광성 조절 부재(200)를 포함하는 장신구(1000)의 사시도이다.
도 1a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1000)는 광감응성 발광층(100) 및 투광성 조절 부재(200)를 가질 수 있다. 광감응성 발광층(100)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갖는 층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이며,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광감응성 발광층(100)은 동물 또는 식물과 같은 자연물의 모방 형태 또는 규칙적 다각형, 구형 또는 뿔형과 같은 입체적 형상을 비제한적으로 가질 수 있다. 또한, 광감응성 발광층(100)은 사용시 충분한 수명을 확보하거나 형태 보전을 위해서 프레임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에 관하여는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광감응성 발광층(100)은 광감응성 발광층의 형태를 정의하는 고분자 수지 매트릭스 및 상기 고분자 수지 매트릭스에 고르게 분산된 광감응성 발광 입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광감응성 발광층(100)은 결합제와 상기 결합제의 용매를 포함하는 용액에 상기 광감응성 발광 입자를 분산시킨 액상 발광 분산재를 고형화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형화된 결합제는 상기 고분자 수지 매트릭스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광감응성 발광 입자는 구체적으로 외부 광이 상기 발광 재료 내에 입사하는 경우 즉시, 상기 외부 광이 소멸된 후 소정 시간 동안, 또는 그 이후에 소정의 광을 출력할 수 있는 속성을 갖는다. 예를 들면, 상기 광감응성 발광 입자는 인광 또는 축광 재료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광 재료는 알칼리토금속의 황화물, 황화칼슘, 황화바륨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축광 물질은 (SrEu)Al2O4, (CaEu)Al2O4과 같은 금속 산화물일 수 있으며, 이들 재료에 마그네슘(Mg), 바륨(Ba), 란탄(La), 세륨(Ce), 프라세오디움(Pr), 네오디뮴(Nd), 사마륨(Sm), 가돌리늄(Gd), 테르븀(Tb), 디스프로슘(Dy), 홀뮴(Ho), 에르븀(Er), 톨륨(Tm), 이테르븀(Yb), 이트륨(Y), 루테튬(Lu), Mn(망간), 비스무트(Bi) 또는 2 이상의 원소가 도핑된 물질일 수 있다. 전술한 인광 및 축광 물질은 예시적이며,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인광 또는 축광이란 용어들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야광도 이들 재료 내에 포함되며,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재료들을 각각 칭하거나 통칭하는 용어로서 '광감응성 발광 재료' 또는 '광감음성 발광 입자'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로 한다. 상기 광감응성 발광 재료는 구체적으로 외부 광이 입사하는 경우 소정의 광을 출력할 수 있는 속성을 갖는다.
상기 결합제는, 상기 광감응성 발광 입자들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고 내광성, 내열성, 내수성 또는 내산성이 높으며, 장기간에 걸쳐 착색, 황변, 또는 백화와 같은 변질을 일으키지 않음으로써 장신구의 상품성과 심미감을 오래 동안 유지할 수 있는 공지의 결합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결합제는 에폭시, 우레탄,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요소, 멜라닌, 염화고무,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에스테르,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코폴리머(PVDF-co-HFP),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fluoride: PVDF), 폴리아크릴로니트릴 (polyacrylonitril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polymethylmethacrylate), 폴리테트라불화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스틸렌부타디엔 고무(styrenebutadiene rubber: SBR), 및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ethylene-propylene-diene copolymer: EPDM)와 같은 수지계 재료일 수 있으며, 이들은 예시적일 뿐,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경화성 또는 가소성 수지계 재료가 적용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제는 상기 광감응성 발광 입자의 발광 특성을 저감시키지 않도록 투명성을 갖는 투명 수지계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 수지계 재료는 에폭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우레탄,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요소, 멜라닌, 염화고무,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결합제의 용매는 형광 물질 또는 인광 물질의 분산 용매이면서 상기 결합제의 용매일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예를 들면, 아세톤, 메탄올, 이소프로필알콜(IPA), 또는 과산화수소(H2O2), 물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 용매일 수 있으며, 다른 탄화수소체가 사용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용매에 상기 결합제의 경화제가 더 첨가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광중합 또는 열중합 개시제일 수 있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아민류와 산무수물과 같은 관능성 모노머일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상기 결합제와 완전한 반응이 일어날 수 있도록 적절한 조성비를 갖도록 첨가 혼합될 수 있다.
전술한 결합제, 광감응성 발광 입자 및 용매를 포함하는 액상 발광 분산재에 자외선 또는 열을 인가하거나 자연 건조시키면서 중합 공정을 수행하여 액상 발광 분산재를 고형화하여 광감응성 발광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형화 단계가 소정의 몰드를 이용하여 수행됨으로써 다양한 형상을 갖는 광감응성 발광층(100)이 제공될 수 있다.
광감응성 발광층(100) 상에 하나 이상의 투광성 조절 부재들(200)이 배열될 수 있다. 투광성 조절 부재(200)는 광의 투과를 위해 단결정, 다결정 및 비정질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조합일 수 있으며, 내부 전반사를 위해 1.3 내지 4 범위 내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투광성 조절 부재(200)는 유리, 투명 합성 수지 및 투명 무기 재료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재료일 수 있다.
상기 투광성 무기 재료는 다이아몬드(diamond), 수정(quartz), 커런덤(corundum), 베릴(beryl), 제이다이트(jadeite), 오팔(opal), 크리소베릴(crysoberyl), 스피넬(spinel), 가닛(garnet), 플로라이트(fluorite), 칼사이트(calcite), 지르콘(zircon), 페리도트(peridot), 투어멀린(tourmaline), 다이옵사이드(diopside), 토파즈(topaz), 안달루사이트(andalusite), 아이올라이트(iolite), 조이사이트(zoisite), 아이도크레이즈(idocrase), 및 스포듀민(spodumene)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 합성 수지는 아크릴 수지, 초산비닐수지, 비닐아세틸수지, 메틸메타크릴수지, 스티롤수지, 셀룰로이드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투광성 조절 부재(200)는 자연적으로 생성된 천연 재료이거나, 상기 유리, 상기 투명 합성 수지 또는 투명 무기 재료를 합성, 모조, 또는 접합한 재료일 수 있다. 상기 합성 재료는, 상기 합성 재료의 제조 환경을 천연 재료가 생성되는 환경과 동일하게 인위적으로 조성하여, 천연 재료와 비교하여 동일한 화학적, 물리적, 시각적 특징을 가지도록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모조 재료는 유리 또는 고분자 재료를 통해 천연 재료와 화학 성분, 원자 구조, 물리적 성질이 다르지만, 비슷한 외견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리를 통해 다이아몬드, 루비, 사파이어 및 에메랄드와 같은 투명 재료 또는 제이다이트와 같은 반투명 재료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접합 재료는 상기 천연 재료, 상기 합성 재료, 또는 상기 모조 재료를 열로 융합시키거나 무색의 접착제로 접착시켜 단일 개체로 보이도록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투과성 조절 부재(200)는 에메랄드와 같은 외형을 갖기 위해 투과성 조절 부재(200)의 가장 넓은 경계면을 기준으로 상부에는 수정을 사용하고, 하부에는 베릴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도 1b 및 도 1c를 참조하면, 투광성 조절 부재(200)에서, 전술한 재료들을 가공함으로써, 광의 흡수, 방출, 집적, 투과 및 반사를 위해 다양한 입체 형태가 제공될 수 있다. 투광성 조절 부재(200)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사면체(200), 정육면체(200b1), 정팔면체(200b2), 정십이면체(200b3) 또는 정이십면체(200b4)를 포함를 포함하는 다면체일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예시적일 뿐,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다면체는 볼록다면체, 오목다면체, 정다면체, 소형 별모양 십이면체, 큰 십이면체, 대형 별모양 십이면체, 및 대형 이십면체를 포함하는 별 정다면체(Kepler-Poinsot Polyhedron), 점추이 다면체, 변추이 다면체, 면추이 다면체, 준정다면체(Quasiregular polyhedron), 반정다면체(Semiregualr polyhedron), 고른 다면체(Uniform polyhedron) 및 귀족 다면체(Noble polygedron)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투광성 조절 부재(200)는 도 1c에 도시된 원기둥(200c2) 또는 구(200c1)를 포함하는 회전체일 수 있다. 상기 회전체는 회전축에 수직인 평면으로 자른 단면이 원으로 나오는 특징을 가지며, 구, 원기둥, 원뿔 및 원뿔대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투광성 조절 부재(200)는 다면체와 회전체가 조합된 형태일 수 있으며, 비정형의 형태로서, 곡선 표면 또는 직선 표면을 가진 동물 또는 식물과 같은 자연물의 모방 형태 또는 생활 용품의 모방 형태일 수 있다.
도 2a 및 도 2c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투광성 조절 부재(200)가 광감응성 발광층(100)에 접착되는 것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투광성 조절 부재(200)는 투광성 접착층(미도시)을 이용하여 광감응성 발광층(100) 상에 접착될 수 있으며, 광감응성 발광층(100)에 적어도 일부가 매립될 수도 있다. 상기 투광성 접착층은 아크릴계 레진(resin), 에폭시계 레진(resin) 및 폴리카보네이트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조합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내부 전반사를 위해 투광성 조절 부재(200)의 굴절률보다 낮은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투광성 조절 부재(200)가 광감응성 발광층(100)에 매립될 경우, 광감응성 발광층(100)에 사용되는 상기 결합제가 상기 투광성 접착층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별도의 상기 투광성 접착층을 사용하여 고정될 수도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2 개 이상의 투광성 조절 부재들(200)이 동일한 광감응성 발광층(100)의 상부에 고정되거나 적어도 일부가 매립될 수 있으며, 각각의 투광성 조절 부재들(200)은 서로 다른 깊이로 광감응성 발광층(100)에 매립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고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서로 다른 광감응성 발광층(100) 상에 각각의 투광성 조절 재료 또는 연마 컷을 가진 투광성 조절 부재들(200, 200c1)이 고정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광감응성 발광층(100)의, 투광성 조절 부재들(200) 이 배열되는 표면이 아닌 다른 표면, 예를 들면, 광감응성 발광층(100)의 저면 상에는 패시베이션층 또는 차광층(150)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패시베이션층 또는 차광층(150)은, 광감응성 발광층(100)의 저면으로부터 외부로 출력되는 광을 차폐하거나, 다시 내부로 반사시켜 투광성 조절 부재들(200)이 적층된 면으로의 발광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패시베이션층 또는 차광층(150)은 불투명 컬러층일 수 있다. 상기 불투명 컬러층은, 적합한 수지계 바인더, 예를 들면, 에폭시에 흑색, 적색, 황색 또는 백색과 같은 안료가 분산되거나 염료로 착색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2c에 도시된 패시베이션층 또는 차광층(150)은 예시적이며,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들에도 모순되지 않는 한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300)에 의해 지지되는 투광성 조절 부재(200)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광성 조절 부재(200)는 프레임(3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투광성 조절 부재(200)는 프레임(300)에 형성된 관통홈(32)에 투광성 조절 부재(200)의 일부, 예를 들면, 저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투광성 조절 부재(200)의 고정은 접착층 또는 관통홈(32) 주변에 형성된 클램프 구조체(미도시)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레임(300)은 충분한 경도를 갖도록 고분자 또는 금속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재는 금, 은, 백금과 같은 귀금속, 철, 아연, 주석, 구리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이거나 상기 금속과 귀금속의 합금일 수도 있다. 이들 재료들은 예시적이며, 프레임(300)에는 통상의 장신구에 사용되는 귀금속,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300)은 다각형, 곡선, 원형, 타원형과 같이 볼록한 형상을 갖거나, 별, 달, 나비와 같은 곤충, 클로버, 또는 하트 모양과 같이 돌출 형상과 오목 형상이 복합화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프레임(300)은 커프스, 헤어 핀, 헤어 밴드, 목걸이, 팔찌, 발찌, 귀걸이, 반지, 팬던트, 메달 또는 커버 형태 장신구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성할 수 있다.
투광성 조절 부재(200)의 하부에 광감응성 발광층(100)이 배치될 수 있다. 투광성 조절 부재(200)는 프레임(300) 상에 적층되거나 프레임(300)의 저면을 채우는 방식으로 코팅될 수 있다. 광감응성 발광층(100)은 투광성 조절 부재(200)의 저부와 접촉되거나 이격될 수 있다. 광감응성 발광층(100)으로부터 출력된 출력 광은 관통홈(32)을 통하여 노출된 투광성 조절 부재(200)의 하부로부터 입사되어 투광성 조절 부재(200)의 상부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광감응성 발광층(100)의 투광성 조절 부재(200)를 향하는 표면이 아닌 다른 표면, 예를 들면, 광감응성 발광층(100)의 저면 상에 패시베이션층 또는 차광층(150)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패시베이션층 또는 차광층(15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투광성 조절 부재(200)의 발광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4a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광감응성 발광층에서 출력된 출력 광(IL)이 투광성 조절 부재(200)를 투과하여 출력되는 투과 광(TL)의 경로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4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각원형으로 연마된 투광성 조절 부재(200d)에서 광 경로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감응성 발광층(100)에서 수직으로 출력된 출력 광(화살표 IL)이 투광성 조절 부재(200)의 반사면(PF)에서 굴절되어(화살표 RL), 주 출력면(MF)을 통해 출력되는 투과 광(화살표 TL)으로 도시되는 광 경로를 가지며, 각기 다른 방향에서 출력된 광들이 주 출력면(MF)으로 집광되어 출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광 경로는 광감응성 발광층(100)에서 출력된 출력 광(IL)의 입사각(t1)과 공기 및 투광성 조절 부재(200)의 굴절률을 변수로 하여 스넬의 법칙(Snell's law)에 의해 결정된다.
sinθ1/sinθ2 = n2/n1 (스넬의 법칙; Snell's law)
예를 들어, 공기의 굴절률(n1)이 1.003이고, 투과성 조절 부재(200)의 굴절률(n2)이 1.553인 수정의 경우, 광감응성 발광층(100)에서 출력된 출력 광(IL)의 입사각(t1)이 45 °일 경우, 내부 광(RL)의 굴절각(t2)는 상기 스넬의 법칙에 의해 약 27.1 °의 값을 갖는다. 광감응성 발광층(100)에서 수직으로 출력되는 광에 대하여, 상기 투과성 조절 부재(200)의 반사면(PF)이 45 °로 연마될 경우, 내부 입사각(t3)는 17.7 °이며, 투과 광(TL)의 굴절각(t4)는 47.3 °을 가지며 주 출력면(MF)으로 출력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예시적일 뿐이며, 본 고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이다. 광감응성 발광층(100)에서 출력되는 다른 각도의 광들은 도 4b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다각원형으로 연마된 투광성 조절 부재(200d)는, 가장 넓은 경계면인 환상부(G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환상부(GD)의 상부인 관부(CR) 및 환상부(GD)의 하부인 퍼빌리언(PV)이 포함될 수 있다.
관부(CR)는 광감응성 발광층(100)의 표면에 평행하게 가공된 주 출력면(MF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주 출력면(MF1)에 대하여 경사를 갖는 경사 출력면들(AF)을 포함할 수 있다. 관부(CR)의 경사 출력면들(AF)은 경사 출력면(AF)의 법선이 주 출력면(MF1)의 법선과 15 °내지 50 °범위 내의 각도를 가진 다각면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경사 출력면들(AF)이 동일한 각도를 갖거나 서로 다른 각도를 가질 수도 있다. 퍼빌리언(PV)을 구성하는 반사면들(PF)은 반사면(PF)의 법선이 주 출력면(MF1)의 법선과 38 °내지 48 °범위 내의 각도를 가진 다각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 투광성 조절 부재(200d)의 퍼빌리언(PV)은 광감응성 발광층(100)의 표면에 평행하게 가공된 하부 평행면(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도와 다각면의 개수에 따라, 투광성 조절 부재(200d)의 연마 컷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연마 컷은 라운드 브릴리언트 컷(Round brilliant cut), 오발 브릴리언트 컷(oval brilliant cut), 마퀴즈 브릴리언트 컷(marquise brilliant cut), 피어 쉐입 브릴리언트 컷(pear shaped brilliant cut), 하트 쉐입 브릴리언트 컷(heart shaped brilliant cut), 싱글 컷(single cut), 스플릿 브릴리언트 컷(split brilliant cut), 더블 컷 브릴리언트(double cut brilliant), 바게트 컷(Baguette cut), 에메랄드 컷(emerald cut), 시저스 컷(scissors cut), 벤트 탑 컷(bent top cut), 트래피즈 컷(trapeze cut), 쉴드 컷(shield cut), 트라이앵글 컷(triangle cut), 트릴리언트 컷 (trilliznt cut), 쿠션 컷(cushion cut) 및 리스본 컷(Lisbon cut)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투광성 조절 부재(200d)는 도 2b와 같은 형태일 수 있다. 광감응성 발광층(100)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출력된 출력 광들은 투광성 조절 부재(200d)의 반사면(PF)에서 굴절되어, 주 출력면(MF1) 또는 경사 출력면(AF)을 통해 출력되는 투과 광으로 도시되는 광 경로들(화살표 11, 12, 13, 14)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방향에서 출력되는 광들을 모아 투광성 조절 부재(200d)의 관부(CR)로 투과시킴으로써, 투광성 조절 부재(200d)의 휘도가 증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투광성 조절 부재(200d)가 장신구에 장착될 경우 상기 장신구의 심미성이 증대되는 장식적 효과가 야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투광성 조절 부재(200d)의 관부(CR)로 광이 입사되어 투광성 조절 부재(200d)에서 공기로 내부 광이 진행될 경우, 상기 내부 광의 내부 입사각이 임계각보다 크면, 내부 광은 전반사되어, 광 경로 15와 같이 투광성 조절 부재(200d)의 주 출력면(MF)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이 때, 전반사되는 임계각은 sinθ2 = n1/n2 (n1: 공기의 굴절률, n2: 투광성 조절 부재의 굴절률)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광성 조절 부재(200d)의 재료로 수정이 사용된 경우, 상기 수정의 임계각은 식 sinθ2 = 1.003/1.553에 의해, 약 40.1°의 값을 가지며, 상기 수정의 임계각 40.1°보다 큰 입사각을 갖는 내부 광은 전반사된다. 이는 광감응성 발광층(100)이 필요 없는 조도가 밝은 공간에서도, 투광성 조절 부재의 휘도를 증가시킴으로써, 투광성 조절 부재(200d)가 사용된 장신구(1000)의 상품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도 5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2000A)의 광감응성 발광층(100)이 프레임(300)에 지지되는 것을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5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2000A)의 광감응성 발광층(100)이 프레임(300)에 지지되는 것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광감응성 발광층(100)은 프레임(300)의 결합홈(31) 내에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300)의 결합홈(31)은 복수 개일 수 있으며, 심미성을 위해 복수 개의 결합홈에 광감응성 발광층(100)이 일부만 채워질 수도 있다. 또한, 일 결합홈(31) 상에 투광성 조절 부재(200)가 치밀하게 배열되거나 선택된 영역에만 배열될 수도 있다. 프레임(300)은 걸림편, 결합 돌기 및 결합핀을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조합을 사용하여 투광성 조절 부재(200)를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프레임(300)은 관통홈(32)을 가질 수 있으며, 관통홈(32)에 광감응성 발광층(100)이 채워지고, 광감응성 발광층(100) 상에 투광성 조절 부재(200)가 고정될 수 있다. 관통홈(32)에 채워진 광감응성 발광층(100)은 프레임(300)의 전면뿐만 아니라 후면에서도 광감응성 발광층(100)에 의한 발광이 가능하며, 이로 인한 심미적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하지만, 본 고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프레임(300)은 광감응성 발광층(100)이 착탈 가능하도록 제작될 수 있으며, 프레임(300)의 표면에 광감응성 발광층(100)이 적어도 일부 코팅되거나 양각화되어 장신구로 사용될 수 있다.
프레임(300)은 충분한 경도를 갖도록 고분자 또는 금속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재는 금, 은, 백금과 같은 귀금속, 철, 아연, 주석, 구리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이거나 상기 금속과 귀금속의 합금일 수도 있다. 이들 재료들은 예시적이며, 프레임(300)에는 통상의 장신구에 사용되는 귀금속,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이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300)은 다각형, 곡선, 원형, 타원형과 같이 볼록한 형상을 갖거나, 별, 달, 나비와 같은 곤충, 클로버, 또는 하트 모양과 같이 돌출 형상과 오목 형상이 복합화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6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2000C)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를 참조하면, 장신구(2000C)는 커버 형태의 장신구, 예를 들면 휴대폰 케이스가 프레임(300)으로 제공되고, 프레임(300) 상에 광감응성 발광층(200)이 제공되며, 광감응성 발광층(200) 상에 투광성 조절 부재들(100)이 제공된다. 또한, 투광성 조절 부재들(100) 또는 광감응성 발광층(200) 상에 투광성 조절 부재들(100)과 광감응성 발광층(200)을 물리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보호층(미도시)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예시적일 뿐,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장신구(1000)의 프레임(300)은 다양한 형태를 갖는 커프스, 헤어 핀, 헤어 밴드, 목걸이, 팔찌, 발찌, 귀걸이, 반지, 팬던트 또는 메달 같은 장신구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에서, 광감응성 발광층에서 출력되는 출력광을 투광성 조절 부재로 흡수시키고, 흡수된 내부 광을 상기 투광성 조절 부재의 내부 반사를 통해 상기 투광성 조절 부재의 휘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상기 장신구의 상품성를 최대화 시키며, 상기 투광성 조절 부재에 추가적인 광을 흡수 시킴으로써, 상기 장신구가 독창적인 광학적 효과를 발휘하는 장식적 효과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이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Claims (18)

  1. 입사된 외부 광으로부터 출력 광을 생성하는 광감응성 발광층; 및
    상기 광감응성 발광층의 표면에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투광성 조절 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광감응성 발광층은 광감응성 발광 입자 및 결합제를 용매에 분산시켜 형성된 액상 발광 분산재를 고형화하여 형성된 장신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 조절 부재들은 상기 광감응성 발광층의 상기 출력 광을 흡수하고 흡수된 내부 광을 내부 반사를 거쳐 누적시킴으로써, 상기 투광성 조절 부재의 상부로 출력되는 투과 광의 세기를 증가시키는 장신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 조절 부재들은 상기 광감응성 발광층의 표면에서 출력되는 상기 출력 광의 휘도를 최대화하는 복수의 면을 갖는 장신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 조절 부재들은 볼록다면체, 오목다면체, 정다면체(Platonic solids), 소형 별모양 십이면체, 대형 십이면체, 대형 별모양 십이면체, 및 대형 이십면체를 포함하는 별 정다면체(Kepler-Poinsot Polyhedron), 점추이 다면체, 변추이 다면체, 면추이 다면체, 준정다면체(Quasiregular polyhedron), 반정다면체(Semiregualr polyhedron), 고른 다면체(Uniform polyhedron), 귀족 다면체(Noble polygedron) 및 필라형 다면체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다면체; 구(RT1), 원기둥(RT2), 원뿔 및 원뿔대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회전체; 및 비정형 형태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이 조합된 형태를 포함하는 장신구.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 광의 휘도를 최대화하도록 상기 내부 광에 대한 반사면들과 상기 광감응성 발광층의 표면에 수평하게 가공된 주출력면을 포함하는 장신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 조절 부재는 1.3 내지 4 범위 내의 굴절률을 갖는 장신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 조절 부재는 유리, 투명 합성 수지 및 투명 무기 재료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조합이 혼입된 장신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무기 재료는 다이아몬드(diamond), 수정(quartz), 커런덤(corundum), 베릴(beryl), 제이다이트(jadeite), 오팔(opal), 크리소베릴(crysoberyl), 스피넬(spinel), 가닛(garnet), 플로라이트(fluorite), 칼사이트(calcite), 지르코니아(zirconia), 페리도트(peridot), 투어멀린(tourmaline), 다이옵사이드(diopside), 토파즈(topaz), 안달루사이트(andalusite), 아이올라이트(iolite), 조이사이트(zoisite), 아이도크레이즈(idocrase), 및 스포듀민(spodumene) 중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조합이 혼입된 장신구.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제는 투명 수지계 결합제를 포함하는 장신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감응성 발광층은 인광 또는 축광 입자를 포함하는 장신구.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 조절 부재들은 상기 광감응성 발광층에 적어도 일부가 매립되어 고정되는 장신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감응성 발광층과 상기 투광성 조절 부재들의 적어도 일부 사이에 투광성 접착층이 제공되어 상기 투광성 조절 부재들이 고정되며,
    상기 투광성 접착층의 굴절률은 상기 투광성 조절 부재의 굴절률보다 작은 장신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 접착층은 아크릴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또는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장신구.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감응성 발광층 또는 상기 투광성 조절 부재가 고정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장신구.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감응성 발광층은 상기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 표면 상에 코팅되거나 상기 프레임의 결합홈 또는 관통홈을 채우는 장신구.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투광성 조절 부재들이 형성된 상기 광감응성 발광층의 상기 표면이 아닌 타 표면 상에 형성된 패시베이션층 또는 차광층을 더 포함하는 장신구.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는, 커프스, 헤어 핀, 헤어 밴드, 목걸이, 팔찌, 발찌, 귀걸이, 반지, 팬던트, 메달 또는 커버 형태 장신구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성하는 장신구.
KR2020140009030U 2014-11-07 2014-12-08 장신구 KR20047718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8127 2014-11-07
KR2020140008127 2014-11-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187Y1 true KR200477187Y1 (ko) 2015-05-18

Family

ID=53513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9030U KR200477187Y1 (ko) 2014-11-07 2014-12-08 장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18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7685A (ko) * 2020-03-20 2021-09-29 (주)코비인터내셔널 소뿔단추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6166U (ko) * 1990-01-25 1991-10-01
JP3096166B2 (ja) 1992-08-31 2000-10-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連続溶融金属めっきラインのめっき装置
KR200215563Y1 (ko) * 2000-09-19 2001-03-15 백병룡 투명몸체를 이용한 발광식 장신구
KR20110011608A (ko) * 2008-04-01 2011-02-08 더 스워치 그룹 매니지먼트 서비시스 아게 장식 효과를 가지는 휴대용 물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6166U (ko) * 1990-01-25 1991-10-01
JP3096166B2 (ja) 1992-08-31 2000-10-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連続溶融金属めっきラインのめっき装置
KR200215563Y1 (ko) * 2000-09-19 2001-03-15 백병룡 투명몸체를 이용한 발광식 장신구
KR20110011608A (ko) * 2008-04-01 2011-02-08 더 스워치 그룹 매니지먼트 서비시스 아게 장식 효과를 가지는 휴대용 물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7685A (ko) * 2020-03-20 2021-09-29 (주)코비인터내셔널 소뿔단추 제조방법
KR102338404B1 (ko) * 2020-03-20 2021-12-10 (주)코비인터내셔널 소뿔단추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74144A1 (en) Multiplet jewelry product and method of manufacture
US7861555B2 (en) Article of jewelry
JP4804047B2 (ja) ソーラセル付時計用文字板
WO2002042522A3 (en) Alloy color effect materials and production thereof
KR200477187Y1 (ko) 장신구
US7140200B2 (en) Article of jewelry
US6000240A (en) Jewels for live or artificial tooth or teeth
US11375779B2 (en) Gemstone arrange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a gemstone arrangement
EP3637200B1 (fr) Dispositif d'affichage lumineux
EP0885572B1 (en) Jewels for live or artificial tooth or teeth
JP4904176B2 (ja) 両面で異なる光取り出し効率を有する透明蛍光体、これを用いた遮光フィルム
US20020184916A1 (en) Magnifying jewelry setting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CA3123589C (en) Faceted gemstone for focal point illumination and method of making faceted gemstone
JP2022527976A (ja) 移動の自由が制限され流体中に懸濁する装飾物を含む装置
JP3214664U (ja) 装飾置物
JP5190136B2 (ja) ソーラセル付時計用文字板
JPH06184967A (ja) 反射ロープ
JP2002250779A (ja) 時計用文字板
RU2349239C2 (ru) Ювелирное изделие
KR200477186Y1 (ko) 광감응성 발광부를 갖는 장신구
JP2011100601A (ja) イルミネーション装置
CN214016338U (zh) 一种一体成型镜镶车花反射镶口结构
TWM436795U (en) Planar light source module
WO2016039335A2 (ja) 成形品
KR20090103425A (ko) 장식용 인조보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