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7614B1 - 이중 인조 보석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중 인조 보석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7614B1
KR100477614B1 KR20020058457A KR20020058457A KR100477614B1 KR 100477614 B1 KR100477614 B1 KR 100477614B1 KR 20020058457 A KR20020058457 A KR 20020058457A KR 20020058457 A KR20020058457 A KR 20020058457A KR 100477614 B1 KR100477614 B1 KR 100477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mstone
gemstones
internal
mounting groove
artific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20058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6840A (ko
Inventor
전서정
Original Assignee
전서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서정 filed Critical 전서정
Priority to KR20020058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7614B1/ko
Publication of KR20020086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6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7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76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색채를 서로 달리하고 이중의 광채를 나타내며, 둘 이상의 원석을 보다 자연스럽게 결합시키고, 결합된 원석 상호간에 조화를 이뤄 새로운 보석의 심미감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투명하게 구비된 외부 원석과, 상기 외부 원석에 내장되도록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 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인조 보석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중 인조 보석 및 그 제조방법{Dual artificial jew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장신구용 부재로서 사용되는 인조 보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광택 및 색채를 내는 보석을 이중으로 결합시킨 이중 보석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목걸이, 반지 및 팔찌 등에 주로 사용되는 보석류는 다양한 종류의 인조 보석 및 보석 가공기술이 개발됨에 따라 최근에는 의류, 가방, 벨트, 구두 등 패션 잡화류에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다이아몬드, 수정, 사파이어, 에메랄드 등의 천연 보석의 원석은 이를 각종 크기의 구형이나 각형으로 다양하게 절단한 다음 표면을 미세하게 연마하여 광택을 내 그 원석의 결정 종류에 가장 적합한 다양한 반사면을 만들어 장신구용 부재로서 사용한다. 이러한 천연 보석은 원석 자체가 지닌 특유의 광택과 색채의 미려함으로 인해 단독 혹은 여러 종류의 보석을 조합 배열시켜 장신구를 만들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괴상의 천연 보석 외에 페라이트나 스트론튬과 같은 분말상의 광물질도 이를 일정한 크기로 프레싱하여 일정 크기의 평판을 만들고, 이 평판을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여 가공해 인조 보석을 만든다.
이와 같은 인조 보석은 이 밖에도 매우 다양한 재료에 의해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데, 상술한 바와 같이 분말상의 광석을 이용해 이를 적당한 방법으로 가공 성형하여 제조하는가 하면, 빛을 반사하는 합성수지재로서 천연 보석과 같이 가공하여 소정의 심미감을 갖도록 제조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보석류에 있어서, 천연 보석은 보석 자체가 고가인 관계로 일반 패션 잡화류에 장식용으로 부착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며, 이 때문에 반지, 목걸이 및 팔찌와 같이 인체에 직접 착용하는 악세사리로서 사용할 경우 대략 한 종류의 보석만을 이용해 이 보석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디자인하는 데에 그치고 있다. 즉, 보석 자체만을 가지고 소정의 미려함을 나타내기 보다는 보석을 둘러싼 부재에 심미감을 표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천연 보석은 광범위하고 보편적인 수요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에는 미흡한 한계가 있다.
한편, 종래에 주로 제조되고 있는 인조 보석도 단순히 그 형상에 있어 천연 보석을 모방한 수준이 거의 대부분으로, 이 역시 저렴하다는 장점을 갖추고 있으나, 수요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인조보석에 있어서도, 두 종류 이상의 원석을 접합시켜 새로운 심미감을 표현하고자 한 방법들이 있었으나, 이러한 방법들은 단순히 접착제를 이용해 원석 상호간을 접합시키는 수준에 지나지 않았으며, 이렇게 서로 다른 원석을 접합시킴으로 인해 보석에서 느껴지는 은은한 광채의 효과를 상호 어울리지 않게 만들어 접합의 효과를 살리지 못하는 한계도 지니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색채를 서로 달리하고 이중의 광채를 나타내는 이중 인조 보석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둘 이상의 원석을 보다 자연스럽게 결합시키고, 결합된 원석 상호간에 조화를 이뤄 새로운 보석의 심미감을 연출할 수 있는 이중 인조 보석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투명하게 구비된 외부 원석과, 상기 외부 원석에 내장되도록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 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인조 보석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외부 원석은 서로 접합되는 적어도 두 개의 원석 부재로 구비되고, 상기 내부 원석은 상기 원석 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장착 홈에 장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장착 홈은 상기 원석 부재들의 접합 경계부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장착 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내부 원석이 복수개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외부 원석과 내부 원석은 서로 다른 종류의 보석 원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외부 원석과 내부 원석은 서로 같은 종류의 보석 원석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로 접합될 수 있고 투명한 적어도 두 개의 원석 부재를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원석 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서로 대향되는 면에 적어도 하나의 장착 홈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장착 홈에 내부 원석을 배치하는 공정과, 상기 원석 부재들을 서로 접합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이중 인조 보석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내부 원석은 상기 장착 홈에 접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장착 홈은 상기 원석 부재들 중 서로 대향되는 원석 부재들에 각각 형성된 제 1 장착 홈 및 제 2 장착 홈의 결합에 의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외부 원석과 내부 원석은 서로 다른 종류의 보석 원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외부 원석과 내부 원석은 서로 같은 종류의 보석 원석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인조 보석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이중 인조 보석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볼 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인조 보석은 소정의 반사면을 갖춰 광채를 발산하는 외부 원석(20)과, 이 외부 원석(20)에 내장되는 내부 원석(10)으로 구비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원석이란 다이아몬드, 수정, 사파이어, 에메랄드, 큐빅 지르코니아, 루비 등의 천연광물로 이루어진 천연 보석과, 분말상의 광물을 원료로 하여 만들어진 인조 보석과, 플라스틱 수지류로 제조된 인조 보석 및 기타 보석의 형상을 모방하여 만들어진 어떠한 형태의 인조 보석 등 가공하여 보석의 형상으로 제조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외부 원석(20)과 내부 원석(10)에 있어서, 적어도 외부 원석(20)은 투명하게 구비되어, 내장된 내부 원석(10)이 외광에 의해 비춰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인조 보석에 따르면, 상기 외부 원석(20)은 다이아몬드의 대표적인 커팅 또는 연마법에 의해 제조된 브릴리언트 커트(Brilliant Cut)법에 의해 구비된 다이아몬드 형상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 브릴리언트 커트법에 의해 구비된 다이아몬드 형상의 외부 원석(20)은 상부면으로부터 입사된 빛이 모두 위쪽으로 전반사되어 번쩍이는 아름다움을 최대로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원석(20)은 또한 다양한 색채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브릴리언트 커트법 외에 오벌 커트(Oval Cut)법, 하트 커트(Heart Cut)법, 프린세스 커트(Princess Cut)법, 페어 커트(Pear Cut)법 등 다양한 커트법에 의해 구비된 보석의 형상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렇듯, 투명하고 다양한 색채를 갖도록 하는 외부 원석(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다이아몬드, 루비, 사파이어 등의 천연 보석을 사용할 수도 있고, 이들 천연 보석의 형상을 모방한 인조 보석 및 기타 다양한 형상의 인조 보석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외부 원석(20)에 내장되는 내부 원석(10)도 역시 동일하게 다이아몬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 내부 원석(10)의 형상도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종류의 보석 원석이 상기 내부 원석(10)으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내부 원석(10)은 외부 원석(20)과 같이 투명한 소재로 구비될 필요는 없으며,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불투명한 진주 형상의 내부 원석(10')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 원석(10)은 도 1 및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외부 원석(20)의 중앙부에 단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도 4 및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복수개가 소정의 패턴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처럼, 내부 원석(10)이 내장된 외부 원석(20)은 보석의 내부에 또 다른 보석이 내장되어 전에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심미감을 주게 되며, 자칫 단조로울 수 있는 보석 자체의 형상에 모양 등이 가미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내부 원석(10)의 장착은 상기 외부 원석(20)을 서로 접합되는 적어도 두 개의 원석 부재들로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가능해진다.
즉,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외부 원석(20)을 서로 접합될 수 있는 제 1 원석 부재(21)와, 제 2 원석 부재(22)로 구비하고, 이들 제 1 및 제 2 원석 부재(21)(22)의 사이에 내부 원석(10)을 장착시키는 것이다. 상기 외부 원석(20)을 구성하는 원석 부재들은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적어도 두 개 구비될 수 있는 데, 이 밖에도 복수개로 구비되도록 하여 이들을 접합시킴으로써 외부 원석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제 1 및 제 2 원석 부재(21)(22)의 적어도 하나에는 내부 원석(10)이 장착될 수 있도록 장착 홈이 형성되는 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착 홈(23)은 제 2 원석 부재(22)에 구비될 수 있다. 이 장착 홈(23)은 제 2 원석 부재(22)의 제 1 원석 부재(21)를 향한 면에 형성되어 내부 원석(10)이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장착 홈(23)의 크기 및 형상은 도 6 및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내부 원석(10)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되도록 할 수도 있고, 도 8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내부 원석(10)보다 조금 큰 반구항의 장착홈(23')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반구상의 장착 홈(23')의 경우, 장착된 내부 원석(10)이 외부원석(20)이 흔들릴 때마다 흔들려 더욱 반짝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장착 홈은 제 1 원석 부재(21)와 제 2 원석 부재(22)의 접합 경계면 부근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착 홈(23)은 도 9에서 볼 수 있듯이, 제 1 원석 부재(21)에 형성된 제 1 장착 홈(23a)과, 제 2 원석 부재(22)에 형성된 제 2 장착 홈(23b)의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들 제 1 및 제 2 장착 홈(23a)(23b)은 내부 원석(10)의 형상에 알맞도록 구비되어 내부 원석(10)이 외부 원석(20)에 박혀 있는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으며, 도 10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내부 원석(10)보다 큰 반구상의 제 1 및 제 2 장착 홈(23a')(23b')에 장착해 내부 원석(10)이 흔들리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 1 및 제 2 원석 부재(21)(22)로 구비된 외부 원석(20)에 있어서, 장착 홈은 도 11에서 볼 수 있듯이, 제 1 원석 부재(21)에 구비된 제 1 장착 홈(23a)만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 때, 내부 원석(12)도 이 제 1 장착 홈(23a)의 형상에 맞도록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이 때에도, 상기 내부 원석(12)을 이보다 크게 형성된 반구상의 제 1 장착 홈(23a')에 장착하여 내부 원석(12)이 흔들리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이중 인조 보석도 그 가장 주된 관찰부인 평면 형상에 있어서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므로, 동일한 이중 보석의 효과를 살릴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은 하나의 장착 홈에 하나의 내부 원석이 장착된 이중 인조 보석에 대한 것이었으나, 상기와 같은 내부 원석(10)은 도 13에서 볼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 실시예와 같이 하나의 장착 홈(23')에 작게 구비된 복수개의 내부 원석(10)을 수납하는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내부 원석(10)은 분말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하나의 장착 홈(23')에 복수개의 내부 원석(10)을 수납할 경우에는 상기 내부 원석(10)은 장착 홈(23') 내에서 불규칙하게 배열되어 있고, 이에 따라 내부 원석(10)의 반짝이는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복수개의 장착 홈을 구비한 경우 각 장착 홈에 모두 적용시킬 수 있으며, 이 때, 각 장착 홈에 장착되는 내부 원석의 수를 달리하여 다양한 보석의 형상을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이중 인조 보석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이하, 설명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인조 보석의 제조방법은 도 6 및 도 7에 따른 이중 인조 보석을 참조로 한 것이나,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인조 보석의 제조방법은 반드시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8 내지 도 1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 따른 이중 인조 보석의 형상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인조 보석의 제조방법은 먼저, 서로 접합될 수 있고 투명한 적어도 두 개의 원석 부재, 즉, 도 6 및 도 7에서 볼 수 있듯이, 투명한 제 1 원석 부재(21)와 제 2 원석 부재(22)를 준비한다. 그리고, 이중 제 2 원석 부재(22)의 제 1 원석 부재(21)를 향한 면에 적어도 하나의 장착 홈(23)을 형성한다. 도 6 및 도 7에 따르면, 상기 장착 홈(23)은 중앙부에 하나가 구비된다.
다음으로, 이 장착 홈(23)에 내부 원석(10)을 배치시킨 후 상기 제 1 및 제 2 원석 부재들(21)(22)을 서로 접합시키는 데, 이 때, 상기 내부 원석(10)은 상기 장착 홈(23)에 비접합 상태로 안착시키거나, 접착제 등으로 접합시킬 수 있다. 이 때 사용되는 접착제는 자외선 경화, 및 열경화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및 제2원석 부재들(21)(22)과, 내부 원석(10)이 합성수지재로 구비된 경우에는 열경화 접착제보다는 자외선 경화 접착제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장착 홈(23)에 설치되는 내부 원석(10)은 이들 제 1 및 제 2 원석 부재들(21)(22)과 서로 같은 종류의 보석 원석일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종류의 보석 원석일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및 제 2 원석 부재들 역시 서로 다른 종류의 보석 원석일 수도 있다. 그리고, 같은 종류의 보석 원석을 사용할 경우에도 서로 그 색채가 다른 보석 원석을 사용하여 다양한 효과를 살릴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이중 인조 보석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투명한 외부 원석 내에 내부 원석이 삽입되어 있는 구조로 기존의 보석에서 볼 수 없었던 색다른 심미감을 연출할 수 있다.
둘째, 외부 원석에 내장된 내부 원석의 배치를 다양하게 하여 보석 자체의 디자인이 가능하다.
셋째, 외부 원석을 접합될 수 있는 원석 부재들로 구비하고, 그 내부에 내부 원석을 장착시킴으로써 보다 간단하고 저렴하게 이중 인조 보석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을 한정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적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또한 설명되지는 않았으나, 균등한 수단도 또한 본 발명에 그대로 결합되는 것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인조 보석의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중 인조 보석의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서로 다른 일 실시예들에 따른 이중 인조 보석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인조 보석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이중 인조 보석의 단면도.
도 8 내지 도 13은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서로 다른 일 실시예들에 따른 이중 인조 보석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내부 원석 20: 외부 원석
21: 제 1 원석 부재 22: 제 2 원석 부재
23: 장착 홈

Claims (11)

  1. 투명하게 구비되고, 서로 접합되는 적어도 두 개의 원석 부재로 구비되고, 적어도 하나의 장착 홈을 갖는 외부 원석; 및
    상기 외부 원석의 각 장착 홈에 장착되도록 구비된 내부 원석;을 포함하고,
    상기 장착 홈의 형상 및 크기는 상기 내부 원석의 형상 및 크기에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내부 원석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인조 보석.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홈은 상기 원석 부재들의 접합 경계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인조 보석.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20020058457A 2002-09-26 2002-09-26 이중 인조 보석 및 그 제조방법 KR100477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58457A KR100477614B1 (ko) 2002-09-26 2002-09-26 이중 인조 보석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58457A KR100477614B1 (ko) 2002-09-26 2002-09-26 이중 인조 보석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6840A KR20020086840A (ko) 2002-11-20
KR100477614B1 true KR100477614B1 (ko) 2005-03-23

Family

ID=27728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20058457A KR100477614B1 (ko) 2002-09-26 2002-09-26 이중 인조 보석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76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25500A2 (en) * 2007-08-20 2009-02-26 In Gu Kang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or plastic or crystal product and glass or plastic or crystal product manufactured by said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49009B1 (en) * 2002-08-29 2003-11-18 John Kim Process for placing one faceted stone inside a larger faceted stone to form a single jewelry stone
KR101160304B1 (ko) * 2010-02-03 2012-06-28 김대현 광채 인조보석 및 그 제조방법
KR101453047B1 (ko) * 2012-07-10 2014-10-22 이조원 장식용 인조 보석
KR200475160Y1 (ko) * 2014-09-24 2014-11-07 임해수 반사코팅층이 구비된 입체형 큐빅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22596U (ko) * 1974-08-07 1976-02-19
JPS58116311A (ja) * 1981-12-25 1983-07-11 ジオ・カロリ・ソチエタ・ペル・アツイオ−ニ 一般に小さな飾り物および宝石装飾に使用される装飾用宝石
US4809417A (en) * 1986-01-31 1989-03-07 George Normann & Associates Method of making a multiplet jewelry product with internally embedded visual indicia
US5454234A (en) * 1994-03-14 1995-10-03 Karmeli; David D. Process and resulting jewelry stone product
JPH08205914A (ja) * 1994-11-25 1996-08-13 Leo Enterp:Kk 透明な貴石あるいは半貴石の中に貴石あるいはデザインパ ーツを入れた形状の宝石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171542Y1 (ko) * 1999-09-02 2000-03-15 오경승 스톤 인 스톤
KR20010016477A (ko) * 2000-12-13 2001-03-05 김연옥 두 종류 이상의 보석이 이중화 처리된 장신구 및 그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22596U (ko) * 1974-08-07 1976-02-19
JPS58116311A (ja) * 1981-12-25 1983-07-11 ジオ・カロリ・ソチエタ・ペル・アツイオ−ニ 一般に小さな飾り物および宝石装飾に使用される装飾用宝石
US4809417A (en) * 1986-01-31 1989-03-07 George Normann & Associates Method of making a multiplet jewelry product with internally embedded visual indicia
US5454234A (en) * 1994-03-14 1995-10-03 Karmeli; David D. Process and resulting jewelry stone product
JPH08205914A (ja) * 1994-11-25 1996-08-13 Leo Enterp:Kk 透明な貴石あるいは半貴石の中に貴石あるいはデザインパ ーツを入れた形状の宝石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171542Y1 (ko) * 1999-09-02 2000-03-15 오경승 스톤 인 스톤
KR20010016477A (ko) * 2000-12-13 2001-03-05 김연옥 두 종류 이상의 보석이 이중화 처리된 장신구 및 그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25500A2 (en) * 2007-08-20 2009-02-26 In Gu Kang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or plastic or crystal product and glass or plastic or crystal product manufactured by said method
WO2009025500A3 (en) * 2007-08-20 2009-04-23 In Gu Kang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or plastic or crystal product and glass or plastic or crystal product manufactured by sai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6840A (ko) 2002-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56242A1 (en) Visible setting
US7861555B2 (en) Article of jewelry
US6649009B1 (en) Process for placing one faceted stone inside a larger faceted stone to form a single jewelry stone
US4936115A (en) Gem setting
JP4333882B2 (ja) 宝石の不可視嵌合
KR100477614B1 (ko) 이중 인조 보석 및 그 제조방법
CN2572809Y (zh) 一种宝石首饰制品
US11375779B2 (en) Gemstone arrange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a gemstone arrangement
WO2004041019A1 (en) Gemstone arrangement
WO2008007444A1 (fr) Faux ongle incrusté d&#39;une pierre précieuse, structure de montage d&#39;une pierre précieuse et procédé de fabrication de faux ongles incrustés de pierres précieuses
KR101138439B1 (ko) 보석류를 식입한 발광장신구
KR20110090350A (ko) 광채 인조보석 및 그 제조방법
KR101905545B1 (ko) 복층 난집 구조를 가지는 장신구 및 그 제조 방법
US20050188721A1 (en) Combined pearl and precious gem jewelry
JP3206303U (ja) 装飾品用宝石
US7007508B1 (en) Twisted necklace/bracelet
KR200425708Y1 (ko) 장신구용 보석 고정부재
CN216453727U (zh) 一种镶嵌式宝石首饰
CN211559010U (zh) 一种炫丽首饰品
KR100596710B1 (ko) 장신구용 부품과 그 용도
KR200352870Y1 (ko) 생화가 부착된 장신구
KR101898251B1 (ko) 발광 물질을 내장한 보석을 사용한 장신구
KR101963645B1 (ko) 악세사리용 장신구의 제조방법
KR100412955B1 (ko) 두 종류 이상의 보석이 이중화 처리된 장신구 및 그제조방법
KR200438263Y1 (ko) 장식일체형 장식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