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3047B1 - 장식용 인조 보석 - Google Patents

장식용 인조 보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3047B1
KR101453047B1 KR1020120075090A KR20120075090A KR101453047B1 KR 101453047 B1 KR101453047 B1 KR 101453047B1 KR 1020120075090 A KR1020120075090 A KR 1020120075090A KR 20120075090 A KR20120075090 A KR 20120075090A KR 101453047 B1 KR101453047 B1 KR 101453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concave
base
protrusion
fac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5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7671A (ko
Inventor
이조원
김대현
Original Assignee
이조원
김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조원, 김대현 filed Critical 이조원
Priority to KR1020120075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3047B1/ko
Publication of KR20140007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7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3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3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02Gems made of several cut pieces
    • A44C17/003Doublet ston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07Special types of gems
    • A44C17/008Glass ston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C27/001Materials for manufacturing jewell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볼록부(110)를 가지고 반대 방향으로는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120)를 가지며, 상기 오목부(120)는 볼록부(110)의 돌출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볼록부(110)는 기저부(111)와 기저부(111)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둘레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평면으로 이루어진 제1 다면부(113)로 이루어지며, 상기 오목부(120)는 둘레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평면으로 형성된 제2 다면부(121)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저부(111)의 하측 단부와 오목부(120)의 하측 단부 사이에는 경사부(130)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130)는 오목부(120)의 하측 단부로부터 외향하며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장식용 인조 보석(100)에 관한 것으로, 빛의 반사성을 향상시키고 작업 및 제조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장식용 인조 보석{IMITATION JEWEL FOR DECORATION}
본 발명은 장식용 인조 보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평면으로 이루어진 제1 다면부 상부에 제1 평면부가 구비된 볼록부와, 볼록부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고 다수개의 평면으로 형성된 제2 다면부 상부에 제2 평면부가 구비된 오목부와, 기저부의 하측 단부와 오목부의 하측 단부 사이에서 기저부의 하측 단부로부터 외향하며 상향 경사진 경사부로 이루어진 인조 보석을 제조함으로써, 성형시 경사부가 자동 형성되고 경사부에 대한 연마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작업 및 제조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빛의 반사성이 향상되는 장식용 인조 보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식용 인조 보석은 고가인 다이아몬드 등의 보석류 대용으로 의류, 가방, 신발 등에 부착되어 외관을 미려하게 장식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인조 보석은 빛의 반사성 또는 빛의 조사를 통한 다양한 색상의 변화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보석 효과를 얻게 된다.
이와 같이, 보석의 효과를 내기 위해, WO2007/122654(2007.11.01.공개)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조 보석(1)의 기저측(2)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다수의 평면(12)이 형성된 볼록한 형태의 제1 다면부(5)와, 제1 다면부(5)에 대향하는 방향에 위치되고 다수의 평면(8)으로 이루어진 오목한 제2 다면부(6)로 이루어지며, 오목한 제2 다면부(6)의 가장 자리를 따라 수평면(9)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다면부(5)의 상부로는 제1 다면부(5)에 둘러싸인 평탄면(12)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면(9)은 평탄면(12)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제2 다면부(7)는 단부가 첨단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WO2007/122654에 공지된 인조 보석(1)에서 제2 다면부(7)의 가장 자리를 따라 형성된 수평면(9)에 대한 연삭 과정이 필요하고, 제조시 인조 보석(1)를 될 부분을 나머지 부분에서 분리하는 작업이 필요하여 제조 시간과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반사성이 현저하게 떨어질 뿐만 아니라 동요광(Scintillation)의 변화, 즉, 보는 각도에 따라 반사되는 빛의 색상 변화가 다양하지 못하여 원하는 보석의 효과를 표현하는데 한계가 있다.
제조 과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인조 보석(1)을 제조하기 위해 금형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기저측(2) 하측 단부에 형성되는 수평면(9) 측에 불필요한 버어(Burr)가 발생하며, 버어 제거를 위하여 별도의 연마작업이 반드시 필요하게 되므로 작업 및 제조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개의 평면으로 이루어진 제1 다면부 상부에 제1 평면부가 구비된 볼록부와, 볼록부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고 다수개의 평면으로 형성된 제2 다면부 상부에 제2 평면부가 구비된 오목부와, 기저부의 하측 단부와 오목부의 하측 단부 사이에서 기저부의 하측 단부로부터 외향하며 상향 경사진 경사부로 이루어진 인조 보석을 제조함으로써, 빛의 반사성을 향상시키고, 빛의 조사에 의한 다양한 색상 변화에 의해 보석의 효과를 최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사부에 대한 연마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작업 및 제조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장식용 인조 보석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인조 보석은, 일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볼록부를 가지고 반대 방향으로는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를 가지며, 상기 오목부는 볼록부의 돌출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볼록부는 기저부와 기저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둘레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평면으로 이루어진 제1 다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오목부는 둘레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평면으로 형성된 제2 다면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저부의 하측 단부와 오목부의 하측 단부 사이에는 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는 기저부의 하측 단부로부터 외향하며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저부의 수직 방향으로의 경사부 폭은 50㎛∼10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식용 인조 보석은 제1 금형과 제2 금형 사이에서 성형되어 제조되며; 상기 제1 금형은 기저부가 성형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기저부 성형부와 상기 제1 다면부가 성형되도록 상기 기저부 성형부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된 제1 다면부 성형부를 가지며, 상기 제2 금형은 돌출 형성된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다면부가 성형되도록 상기 제1 돌출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제2 다면부 성형부를 가지며; 장식용 인조 보석 성형시 상기 제1 금형이 제2 금형 내로 삽입되어 기저부 성형부와 제1 돌출부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는 제1 돌출부와 제2 다면부 성형부 사이에서 형성된 제1 오목부에서 발생하는 크랙에 의하여 파단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다면부의 상부에는 제1 평면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다면부의 상부에는 제2 평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평면부는 가장자리가 제1 다면부의 상단을 따라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제2 평면부는 가장자리가 제2 다면부의 상단을 따라 다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평면부의 꼭지점 사이의 최대 거리는 제2 평면부의 꼭지점 사이의 최대 거리와 동일하거나 제2 평면부의 꼭지점 사이의 최대 거리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인조 보석에 의하면, 다수개의 평면으로 이루어진 제1 다면부 상부에 제1 평면부가 구비된 볼록부와, 볼록부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고 다수개의 평면으로 형성된 제2 다면부 상부에 제2 평면부가 구비된 오목부와, 기저부의 하측 단부와 오목부의 하측 단부 사이에서 기저부의 하측 단부로부터 외향하며 상향 경사진 경사부로 이루어진 인조 보석을 제조함으로써, 빛의 반사성을 향상시키고, 빛의 조사에 의한 다양한 색상 변화에 의해 보석의 효과를 최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사부에 대한 연마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작업 및 제조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인조 보석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조 보석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조 보석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조 보석의 성형 과정을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7은 도 6의 'B'부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조 보석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조 보석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조 보석의 성형 과정을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7은 도 6의 'B'부 확대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4의 세로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도 4의 가로 방향에서 중심을 향하는 방향을 내측 또는 내향으로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외측 또는 외향이라고 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인조 보석(10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볼록부(110)와, 볼록부(110)와 반대 방향에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120)와, 볼록부(110)의 기저부(111) 하측 단부와 오목부(120)의 하측 단부 사이에 형성된 경사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볼록부(110)는 하부에 위치하는 기저부(111)와, 기저부(111)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평면으로 이루어진 제1 다면부(11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다면부(113)의 상부에는 제1 평면부(115)가 형성된다. 상기 제1 평면부(115)는 가장자리가 제1 다면부(113)의 상단을 따라 다각형으로 마련된다. 상기 제1 다면부(113)는 상향 볼록한 형태로 형성되며, 따라서 제1 평면부(115)는 볼록한 다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기저부(111)는 인조 보석(100)의 하부 외면을 형성하며 단면의 외주가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130)로부터 상향 돌출된 형태를 이룬다. 상기 기저부(111)는 상향 수직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거나, 상향으로 갈수록 외주 길이가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목부(120)는 볼록부(110)의 반대 편에 형성되고, 볼록부(110)의 돌출된 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 형성된다. 오목부(120)는 둘레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평면으로 이루어진 제2 다면부(121)로 이루어진다. 제2 다면부(121)의 상부에는 제1 평면부(115)와 평행을 이루는 제2 평면부(123)가 형성된다. 제2 평면부(123)는 가장자리가 제2 다면부(121)의 상단을 따라 다각형으로 마련된다.
상기 제1 다면부(113)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제2 다면부(121)가 형성되며, 서로 위상차를 가지고 어긋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 다면부(121)는 상향 볼록한 형태로 형성되며, 따라서 제2 평면부(123)는 상향 볼록한 다각형으로 형성된다.
도 4에서, 상기 제1 평면부(115)의 꼭지점 사이의 최대 거리(w1)는 제2 평면부(123)의 꼭지점 사이의 최대 거리(w2)와 동일하거나 제2 평면부(123)의 꼭지점 사이의 최대 거리(w2)보다 작게 형성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평면부(115)의 꼭지점 사이의 최대 거리(w1)를 제2 평면부(123)의 꼭지점 사이의 최대 거리(w2)와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하게 되면 반사성 또는 빛의 조사성을 향상시켜 보석의 효과를 최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경사부(130)는 기저부(111)의 하측 단부와 오목부(120)의 하측 단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120)의 하측 단부로부터 외향하며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인조 보석(100)은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금형(210)과 제2 금형(220) 사이에서 성형되어 제조된다.
상기 제1 금형(210)은 기저부(111)가 성형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기저부 성형부(215)와, 상기 제1 다면부(113)가 성형되도록 기저부 성형부(215)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된 제1 다면부 성형부(211)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다면부 성형부(211)의 단부에는 제1 평면부(115)가 형성되도록 제1 평면부 성형부(213)가 형성된다. 상기 제1 평면부 성형부(213)는 제1 다면부 성형부(211)로 둘러싸인 다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기저부 성형부(215)는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하 방향에 대한 상기 제1 다면부(113)의 경사는 기저부 성형부(215)의 경사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2 금형(220)은 돌출 형성된 제1 돌출부(225)와 제2 다면부(123)가 성형되도록 제1 돌출부(225)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제2 다면부 성형부(221)로 이루어진다. 상하 방향에 대하여 제2 다면부(123)는 제1 돌출부(225)보다 큰 경사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돌출부(225)와 제2 다면부(123) 사이의 단면 형태은 볼록한 형상을 이룬다.
상기 제1 돌출부(225)는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하 방향에 대한 제1 돌출부(225)의 경사각도는 기저부 성형부(215)의 경사각도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다면부 성형부(221)의 단부에는 제2 평면부(123)가 형성되도록 제2 평면부 성형부(223)가 형성된다. 상기 제2 평면부 성형부(223)는 제2 다면부 성형부(221)로 둘러싸인 다각형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식용 인조 보석(100) 성형 시, 제1 금형(210)은 제2 금형(220) 내로 삽입되며, 상기 제2 다면부 성형부(221)와, 그리고 제1 돌출부(225)의 상부 일부는 기저부 성형부(215)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기저부 성형부(215)와 제1 돌출부(225) 사이에는 틈새(t1)가 형성된다.
성형 시 젤상태의 유리 원재는 제1 금형(210)과 제2 금형(220) 사이에 위치하여, 인조 보석(100)으로 되는 성형부(P1)는 기저부 성형부(215)의 상부, 제1 다면부 성형부(211), 제1 평면부 성형부(213), 제2 다면부 성형부(221) 및 제2 평면부 성형부(223)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서 성형된다. 그리고, 제1 금형(210)의 하부와 제1 돌출부(225)의 측방으로, 그리고 기저부 성형부(215)의 하부와 기저부 성형부(215) 내로 삽입된 제1 돌출부(225) 상부 사이에서 분리부(P2)가 된다.
상기 기저부(111)의 하측 단부와 오목부(120)의 하측 단부 사이에 형성된 경사부(130)는 제1 돌출부(225)와 제2 다면부 성형부(221) 사이의 볼록 구조인 모서리부(227) 측에 형성된 제1 오목부(P3)에서 발생하는 크랙(130')에 의하여 파단되어 형성된다. 분리부(P2)로부터 성형부(P1)가 분리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경사부(130)는 외향하며 상향 경사진 형태로 파단된다.
상기 기저부 성형부(215)와 제1 돌출부(225)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t1)는 기저부(111)의 수직 방향으로 50㎛~100㎛ 범위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저부 성형부(215)와 제1 돌출부(225)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t1)를 100㎛보다 크게 하면 인조 보석(100) 성형 과정에서 성형부(P1)와 분리부(P2)가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으며, 50㎛보다 작게 하면 분리는 가능하나 응고 전에 분리가 되면서 경사부(130)에 버어가 돌출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원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원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범위는 본원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0: 인조 보석, 110: 볼록부
111: 기저부 113: 제1 다면부
115: 제1 평면부
120: 오목부 121: 제2 다면부
123: 제2 평면부 130: 경사부
130' : 크랙
210: 제1 금형 211: 제1 다면부 성형부
213: 제1 평면부 성형부 215: 기저부 성형부
220: 제2 금형 221: 제2 다면부 성형부
223: 제2 평면부 성형부 225: 제1 돌출부
227 : 모서리부
w1: 제1 평면부 꼭지점 사이 최대 거리
w2: 제2 평면부 꼭지점 사이 최대 거리
P1: 성형부 P2: 분리부

Claims (5)

  1. 일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볼록부(110)를 가지고 반대 방향으로는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120)를 가지며, 상기 오목부(120)는 볼록부(110)의 돌출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볼록부(110)는 기저부(111)와 기저부(111)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둘레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평면으로 이루어진 제1 다면부(113)로 이루어지며, 상기 오목부(120)는 둘레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평면으로 형성된 제2 다면부(121)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다면부(113)의 상부에는 제1 평면부(115)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다면부(121)의 상부에는 제2 평면부(123)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평면부(115)는 가장자리가 제1 다면부(113)의 상단을 따라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제2 평면부(123)는 가장자리가 제2 다면부(121)의 상단을 따라 다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평면부(115)의 꼭지점 사이의 최대 거리는 제2 평면부(123)의 꼭지점 사이의 최대 거리와 동일하거나 제2 평면부(123)의 꼭지점 사이의 최대 거리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인조 보석(100).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111)의 수직 방향으로의 경사부(130) 폭(t1)은 50㎛∼10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인조 보석(100).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용 인조 보석(100)은 제1 금형(210)과 제2 금형(220) 사이에서 성형되어 제조되며; 상기 제1 금형(210)은 기저부(111)가 성형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기저부 성형부(215)와 상기 제1 다면부(113)가 성형되도록 상기 기저부 성형부(215)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된 제1 다면부 성형부(211)를 가지며, 상기 제2 금형(220)은 돌출 형성된 제1 돌출부(225)와 상기 제2 다면부(123)가 성형되도록 상기 제1 돌출부(225)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제2 다면부 성형부(221)를 가지며; 장식용 인조 보석 성형시 상기 제1 금형(210)이 제2 금형(220) 내로 삽입되어 기저부 성형부(215)와 제1 돌출부(225)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130)는 제1 돌출부(225)와 제2 다면부 성형부(221) 사이에서 형성된 제1 오목부(P1)에서 발생하는 크랙에 의하여 파단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인조 보석(100).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111)의 하측 단부와 오목부(120)의 하측 단부 사이에는 경사부(130)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130)는 오목부(120)의 하측 단부로부터 외향하며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인조 보석(100).
  5. 삭제
KR1020120075090A 2012-07-10 2012-07-10 장식용 인조 보석 KR101453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090A KR101453047B1 (ko) 2012-07-10 2012-07-10 장식용 인조 보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090A KR101453047B1 (ko) 2012-07-10 2012-07-10 장식용 인조 보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7671A KR20140007671A (ko) 2014-01-20
KR101453047B1 true KR101453047B1 (ko) 2014-10-22

Family

ID=50141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5090A KR101453047B1 (ko) 2012-07-10 2012-07-10 장식용 인조 보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304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6840A (ko) * 2002-09-26 2002-11-20 전서정 이중 인조 보석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90350A (ko) * 2010-02-03 2011-08-10 이조원 광채 인조보석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6840A (ko) * 2002-09-26 2002-11-20 전서정 이중 인조 보석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90350A (ko) * 2010-02-03 2011-08-10 이조원 광채 인조보석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7671A (ko) 2014-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206313A1 (zh) 一种组合式钻石首饰及其制作方法
US7546749B1 (en) Jewelry article utilizing a linear stone setting
US20070095105A1 (en) Jewelry having a pave mounted gem stone
CN102342635B (zh) 用于多宝石珠宝件的多琢面宝石
JP6663980B2 (ja) ダイアモンドを切削し組み立てて輝き及び色合いを高めた複合ダイアモンドを形成する工程
WO2006085645A1 (ja) 宝石
JP2000106922A (ja) 宝石嵌込み方法及び宝石細工品
US7140199B2 (en) Mounting system for cut stones
KR101453047B1 (ko) 장식용 인조 보석
KR101160304B1 (ko) 광채 인조보석 및 그 제조방법
US8127568B2 (en) Article of jewelry and method of manufacture
JP4495775B1 (ja) 装身具
CN215501613U (zh) 一种人工宝石新型镶嵌结构
CN201032881Y (zh) 内嵌式首饰珠宝
US7478543B2 (en) Jewelry item with a novel setting for precious stones
US11357296B2 (en) Piece of jewellery, method for cutting a stone, in particular a diamond, and associated mounting pin
JP2011019897A (ja) 象嵌品
CN202908005U (zh) 压克力钻的钻石切割面构造
EP2667742A1 (en) Color changing multiple stone setting
CN109875199B (zh) 一种采用批花镶嵌宝石的首饰及批花镶嵌宝石的方法
KR101602310B1 (ko) 장신구의 보석결착구조
CN218390060U (zh) 镶口结构及首饰
CN113290720B (zh) 一种带弧度钻石的切割方法及钻石
CN202311575U (zh) 一种叠钻镶口
CN202233422U (zh) 一种首饰镶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