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134Y1 - 다용도 장신구 - Google Patents

다용도 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134Y1
KR200465134Y1 KR2020110002781U KR20110002781U KR200465134Y1 KR 200465134 Y1 KR200465134 Y1 KR 200465134Y1 KR 2020110002781 U KR2020110002781 U KR 2020110002781U KR 20110002781 U KR20110002781 U KR 20110002781U KR 200465134 Y1 KR200465134 Y1 KR 2004651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ornament
hole
bands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27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7030U (ko
Inventor
유영기
Original Assignee
유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영기 filed Critical 유영기
Priority to KR20201100027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134Y1/ko
Publication of KR201200070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0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1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13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84Bracelets in the form of a ring, band or tube of rigid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4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fastening to a wrist-watc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용도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 장식구 중 사용자에게 선택된 하나의 장식구를 복수의 제1,2밴드와 체결 가능하도록 하되, 상기 장식구는 제1,2밴드로부터 사용자의 임의 선택에 따라 다른 장식구로 용이하고 간편하게 교체 또는 교환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특히 상기 밴드들 중 제2밴드는 제1밴드에 비해 3배 내지 5배(예컨데, 30cm 정도) 길게 형성되도록 하여 손목에 다수번으로 감으면 팔찌로 사용이 가능하고, 최초 그대로 풀린 상태로 목에 감으면 목걸이로도 사용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기호와 취향에 맞게 장신구로서의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다용도 장신구{A accessory with multipurpose}
본 고안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 장식구 중 사용자에게 선택된 하나의 장식구를 복수의 제1,2밴드와 체결 가능하도록 하되, 상기 장식구는 제1,2밴드로부터 사용자의 임의 선택에 따라 다른 장식구로 용이하고 간편하게 교체 또는 교환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특히 상기 밴드들 중 제2밴드는 제1밴드에 비해 3배 내지 5배(예컨데, 30cm 정도) 길게 형성되도록 하여 손목에 다수번으로 감으면 팔찌로 사용이 가능하고, 최초 그대로 풀린 상태로 목에 감으면 목걸이로도 사용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기호와 취향에 맞게 장신구로서의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걸이, 팔찌, 발찌 등의 액세서리는 의상을 돋보이게 하거나 심미감을 도모하기 위해 사람의 신체 중 목, 팔목, 발목 등에 착용하여 장식하기 위한 것이다.
이 중에서, 목걸이는 목이나 앞가슴을 장식하기 위한 줄 모양 또는 고리 모양으로 된 장신구이다.
통상, 이러한 목걸이는 사람의 목을 감싸는 목걸이 줄과 이 목걸이 줄의 일측에 구비된 장식부재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종래의 목걸이는 단순히 사람의 신체 일부분에 착용되어 사람의 외관을 돋보이게 하는 장식의 기능만을 가지고 있고, 그외의 실용적인 기능은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마찬가지로, 종래의 팔찌는 단순히 체인 형태로 이루어진 연결띠에 별도의 장식부재 즉, 보석을 가미하여 심미감을 부각시키도록 형성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의 팔찌는 이미 고정되어 디자인된 형태로 다양한 변화를 꾀할 수 없었음은 물론 팔찌 자체로서만 사용이 가능하여 수요자로 하여금 상기 목걸이와 팔찌 제품이 결합된 새로운 장신구의 출시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 장식구 중 사용자에게 선택된 하나의 장식구를 복수의 제1,2밴드와 체결 가능하도록 하되, 상기 장식구는 제1,2밴드로부터 사용자의 임의 선택에 따라 다른 장식구로 용이하고 간편하게 교체 또는 교환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특히 상기 밴드들 중 제2밴드는 제1밴드에 비해 3배 내지 5배(예컨데, 30cm 정도) 길게 형성되도록 하여 손목에 다수번으로 감으면 팔찌로 사용이 가능하고, 최초 그대로 풀린 상태로 목에 감으면 목걸이로도 사용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기호와 취향에 맞게 장신구로서의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장신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원형, 타원형, 트랙형을 포함한 다각 또는 다문양 형상의 장식판(110)이 형성되되, 상기 장식판(110)의 일측단 및 타측단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연결돌기(120)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돌기(120)의 내주면에는 각각 끼움공(130)이 형성되는 장식구(100)와; 상기 장식구(100)의 일측단에 결합되도록 짧은 밴드(210)의 일측 단부에는 힌지핀이(220) 결합될 수 있게 체결공(230)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230)을 관통한 힌지핀(220)이 장식구의 연결돌기(120) 사이로 억지끼움 되어 체결되도록 하고, 타측 단부에는 내부에 관통공(241)과 체결핀(242)이 형성된 사각형상의 버클(240)이 형성되며, 상기 짧은 밴드(210)의 선단에는 고정고리(250)가 형성되도록 하는 제1밴드(200)와; 상기 제1밴드(200)와 대향되는 위치인 장식구(100)의 타측단에 결합되도록 긴 밴드(310)의 일측 단부에는 힌지핀(320)이 결합될 수 있게 체결공(330)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330)을 관통한 힌지핀(320)이 연결돌기(120) 사이로 억지끼움 되어 체결되도록 하고, 타측 단부로 향한 긴 밴드(310)의 선단에는 다수개의 결합공(340)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제1밴드의 관통공(241)을 경유한 후 체결핀(242)이 끼워지면서 고정고리(250)에 삽입되도록 하는 제2밴드(3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2밴드(200,300)는 재질이 가죽, 섬유, 고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제2밴드(300)는 제1밴드(200)의 길이보다 3배 내지 5배가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용도 장신구는 장식구(100)가 제1,2밴드(200,300)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임의 선택에 따라 상기 장식구(100)를 교체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장신구는 선택에 따라 팔찌, 목걸이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 장식구 중 사용자에게 선택된 하나의 장식구를 복수의 제1,2밴드와 체결 가능하도록 하되, 상기 장식구는 제1,2밴드로부터 사용자의 임의 선택에 따라 다른 장식구로 용이하고 간편하게 교체 또는 교환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특히 상기 밴드들 중 제2밴드는 제1밴드에 비해 3배 내지 5배(예컨데, 30cm 정도) 길게 형성되도록 하여 손목에 다수번으로 감으면 팔찌로 사용이 가능하고, 최초 그대로 풀린 상태로 목에 감으면 목걸이로도 사용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기호와 취향에 맞게 장신구로서의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장신구의 일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장신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장식구(100)와 제1밴드(200) 및 제2밴드(30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장식구(100)는 원형, 타원형, 트랙형을 포함한 다각 또는 다문양 형상의 장식판(110)이 형성되되, 상기 장식판(110)의 일측단 및 타측단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연결돌기(120)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돌기(120)의 내주면에는 각각 끼움공(130)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제1밴드(200)는 상기 장식구(100)의 일측단에 결합되도록 짧은 밴드(210)의 일측 단부에는 힌지핀이(220) 결합될 수 있게 체결공(230)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230)을 관통한 힌지핀(220)이 장식구의 연결돌기(120) 사이로 억지끼움 되어 체결되도록 하고, 타측 단부에는 내부에 관통공(241)과 체결핀(242)이 형성된 사각형상의 버클(240)이 형성되며, 상기 짧은 밴드(210)의 선단에는 고정고리(250)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2밴드(300)는 상기 제1밴드(200)와 대향되는 위치인 장식구(100)의 타측단에 결합되도록 긴 밴드(310)의 일측 단부에는 힌지핀(320)이 결합될 수 있게 체결공(330)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330)을 관통한 힌지핀(320)이 연결돌기(120) 사이로 억지끼움 되어 체결되도록 하고, 타측 단부로 향한 긴 밴드(310)의 선단에는 다수개의 결합공(340)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제1밴드의 관통공(241)을 경유한 후 체결핀(242)이 끼워지면서 고정고리(250)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본 고안의 장식구는 납작한 판 형태의 장식판에 다양한 문양과 형상이 식각되거나, 음각 및 양각으로 도안되어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형성된 다양한 재질 중 하나의 재질인 제1,2밴드와 체결결합되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장식구는 금, 은 , 백금, 도금판 등의 귀금속이거나 목재, 합성수지재, 석재로 된 것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상기 제1,2밴드(200,300)는 재질이 가죽, 섬유, 고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제2밴드(300)는 제1밴드(200)의 길이보다 3배 내지 5배가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2밴드가 제1밴드보다 길게 형성되는 이유는 상기 제2밴드가 팔찌나 목걸이로 사용되는 중 팔찌로 사용시에는 손목에 다수번 감김으로써, 손목 장식을 돋보이도록 하고, 최초 풀어서 사용시에는 목걸이로써 충분한 길이를 갖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다용도 장신구는 장식구(100)가 제1,2밴드(200,300)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임의 선택에 따라 상기 장식구(100)를 교체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장신구는 선택에 따라 팔찌, 목걸이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장식구를 제1,2밴드에 대하여 탈부착하고자 할 경우에는 날카로운 핀 등을 이용하여 연결돌기에 억지끼움된 힌지핀을 각각 제거함으로써, 밴드들이 이탈하도록 하거나 반대로 끼우고자 할 경우에는 힌지핀을 끼움공에 끼워 조립하도록 형성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장식구 110 ... 장식판
120 ... 연결돌기 130 ... 끼움공
200 ... 제1밴드 210 ... 짧은 밴드
220 ... 힌지핀 230 ... 체결공
240 ... 버클 250 ... 고정고리
300 ... 제2밴드 310 ... 긴 밴드
320 ... 힌지핀 330 ... 체결공
340 ... 결합공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원형, 타원형, 트랙형을 포함한 다각 또는 다문양 형상의 장식판(110)이 형성되되, 상기 장식판(110)의 일측단 및 타측단에는 외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연결돌기(120)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돌기(120)의 내주면에는 각각 끼움공(130)이 형성되는 장식구(100)와; 상기 장식구(100)의 일측단에 결합되도록 짧은 밴드(210)의 일측 단부에는 힌지핀이(220) 결합될 수 있게 체결공(230)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230)을 관통한 힌지핀(220)이 장식구의 연결돌기(120) 사이로 억지끼움 되어 체결되도록 하고, 타측 단부에는 내부에 관통공(241)과 체결핀(242)이 형성된 사각형상의 버클(240)이 형성되며, 상기 짧은 밴드(210)의 선단에는 고정고리(250)가 형성되도록 하는 제1밴드(200)와; 상기 제1밴드(200)와 대향되는 위치인 장식구(100)의 타측단에 결합되도록 긴 밴드(310)의 일측 단부에는 힌지핀(320)이 결합될 수 있게 체결공(330)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330)을 관통한 힌지핀(320)이 연결돌기(120) 사이로 억지끼움 되어 체결되도록 하고, 타측 단부로 향한 긴 밴드(310)의 선단에는 다수개의 결합공(340)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제1밴드의 관통공(241)을 경유한 후 체결핀(242)이 끼워지면서 고정고리(250)에 삽입되도록 하는 제2밴드(3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 다용도 장신구에 있어서,
    상기 제1,2밴드(200,300)는 재질이 가죽, 섬유, 고무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제2밴드(300)는 제1밴드(200)의 길이보다 3배 내지 5배가 길게 형성되고,
    상기 장식구(100)가 제1,2밴드(200,300)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임의 선택에 따라 상기 장식구(100)를 교체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장신구는 선택에 따라 팔찌, 목걸이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장신구.
KR2020110002781U 2011-04-04 2011-04-04 다용도 장신구 KR2004651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781U KR200465134Y1 (ko) 2011-04-04 2011-04-04 다용도 장신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781U KR200465134Y1 (ko) 2011-04-04 2011-04-04 다용도 장신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030U KR20120007030U (ko) 2012-10-12
KR200465134Y1 true KR200465134Y1 (ko) 2013-02-05

Family

ID=47504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2781U KR200465134Y1 (ko) 2011-04-04 2011-04-04 다용도 장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1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2526A (ko) * 2018-11-07 2020-05-15 이경연 팔찌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6171U (ko) * 2007-12-18 2009-06-23 손광수 장신구용 연결구
KR20110013770A (ko) * 2009-08-03 2011-02-10 김택형 건강팔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6171U (ko) * 2007-12-18 2009-06-23 손광수 장신구용 연결구
KR20110013770A (ko) * 2009-08-03 2011-02-10 김택형 건강팔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2526A (ko) * 2018-11-07 2020-05-15 이경연 팔찌
KR102150761B1 (ko) * 2018-11-07 2020-09-01 이경연 팔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030U (ko) 2012-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9536B2 (en) Jewelry method and system
US20150027166A1 (en) Interchangeable Jewelry Assembly
US1704919A (en) Necklace bracelet
KR101535640B1 (ko) 체결이 용이한 장신구용 결합장치
USD878238S1 (en) Coin holder for jewelry
KR200474073Y1 (ko) 장식체의 교체 및 위치 조절이 용이한 장신구.
KR200465134Y1 (ko) 다용도 장신구
CA2012940A1 (en) Combined bracelet and pendant
KR20150098550A (ko) 장신구
KR200417928Y1 (ko) 목걸이식 액세서리
US20160324279A1 (en) Customizable jewelry system
KR20110105517A (ko) 장신구용 연결구의 체결구조
US20180140059A1 (en) Interchangeable Jewelry Bail and Clasp System
RU2620242C2 (ru) Комплект ювелирных изделий, составное ювелирное изделие и способ соединения ювелирных изделий, входящих в комплект составного ювелирного изделия
CN213096529U (zh) 一种双链式手链
KR200489064Y1 (ko) 장신구 체결장치
KR200168567Y1 (ko) 장신구
KR200494237Y1 (ko) 탄성이 있는 장신구
KR20170004038U (ko) 장신구 제작도구
KR100767212B1 (ko) 다기능 장신구
KR200476010Y1 (ko) 보석의 보호 및 외관이 개선된 장신구용 난집
KR200462604Y1 (ko) 장신구 모듈
KR101769394B1 (ko) 단위메탈 고정 조립구조
KR200479413Y1 (ko) 몰드프레임에 구성되는 장신구용 장식
KR200480671Y1 (ko) 액세서리용 장신구 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