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7928Y1 - 목걸이식 액세서리 - Google Patents

목걸이식 액세서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7928Y1
KR200417928Y1 KR2020060007574U KR20060007574U KR200417928Y1 KR 200417928 Y1 KR200417928 Y1 KR 200417928Y1 KR 2020060007574 U KR2020060007574 U KR 2020060007574U KR 20060007574 U KR20060007574 U KR 20060007574U KR 200417928 Y1 KR200417928 Y1 KR 2004179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lace
piercing
band
accessory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75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지인
Original Assignee
나지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지인 filed Critical 나지인
Priority to KR20200600075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79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79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79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5Neckla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44C25/001Penda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44C25/005Crosses or crucifixe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밴드목걸이와 귀 피어싱, 코 피어싱, 입술 피어싱 등의 각종 피어싱을 연결체인으로 상호 연결하여 여러 조합의 액세서리를 동시에 착용할 수 있으며, 각각의 액세서리를 연결체인을 통해 연결함으로써 미적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목걸이식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걸이식 액세서리는 양단에 체결수단이 형성되며 중앙부에 다수의 연결공이 형성되는 밴드목걸이와, 상기 연결공 상에 일단이 체결되며 타단에 탈착고리가 구비되는 연결체인과, 상기 탈착고리에 체결되는 피어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액세서리, 체결수단, 밴드목걸이, 연결체인, 피어싱수단

Description

목걸이식 액세서리{NECKLACE TYPE ACCESSORIES}
도 1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걸이식 액세서리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걸이식 액세서리의 부분확대 사시도.
도 3a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걸이식 액세서리의 귀 피어싱에 대한 사시도.
도 3b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걸이식 액세서리의 귀 피어싱에 대한 다른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걸이식 액세서리의 사용상태도.
도 5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걸이식 액세서리의 사용상태도.
도 6 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걸이식 액세서리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 : 목걸이식 액세서리
10 : 밴드목걸이
12 : 체결수단
12a , 22 : 탈착고리
12b : 길이조절 체인
14 : 연결공
16 : 고정링
18 : 리벳
20 : 연결체인
30a, 30b, 30c : 피어싱수단
본 고안은 밴드목걸이와 피어싱수단을 연결체인으로 연결하는 목걸이식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밴드식 목걸이와 귀 피어싱, 코 피어싱, 입술 피어싱 등의 각종 피어싱을 연결체인으로 상호 연결하여 여러 조합의 액세서리를 동시에 착용할 수 있으며, 각각의 액세서리를 연결체인을 통해 연결함으로써 미적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목걸이식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액세서리란 본체의 기능이나 효과를 증대시키거나 변화를 주는 부속품 또는 보조물을 총칭하는 말로서, 일반적으로 머리장식품, 귀고리, 팔찌, 반지, 목걸이 등은 액세서리 중 장신구에 해당한다.
한편, 피어싱(piercing)이란 사전적으로 "뚫는다"는 의미로, 귀, 배꼽, 코, 눈섭, 입술 등 신체의 특정 부위를 뚫어 링(ring)이나 막대 모양의 장신구로 치장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과거에는 부정적이고 일탈의 이미지가 강하여 건전하지 못한 행동으로 간주 되었으나, 최근에는 미적인 장식이나 액세서리의 일종으로 인식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전술한 피어싱을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액세서리는 일정기간 착용하고 나면, 실증이 나게 되고, 두 종류 이상의 액세서리를 이용해 변화를 줄 수 없어 나만의 특별한 코디(coordination)를 연출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밴드식 목걸이와 귀 피어싱, 코 피어싱, 입술 피어싱 등의 각종 피어싱을 연결체인으로 상호 연결하여 여러 조합의 액세서리를 동시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한 목걸이식 액세서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각각의 액세서리를 연결체인을 통해 연결함으로써 미적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목걸이식 액세서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들은 양단에 체결수단이 형성되며 중앙부에 다수의 연결공이 형성되는 밴드목걸이와, 상기 연결공 상에 일단이 체결되며 타단에 탈착고리가 구비되는 연결체인과, 상기 탈착고리에 체결되는 피어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식 액세서리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체결수단은 상기 밴드목걸이의 일단에 연결되는 탈착고리와, 상기 밴드목걸이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탈착고리가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길이조절 체인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고안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피어싱수단은 귀 피어싱, 코 피어싱, 입술 피어싱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이하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 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걸이식 액세서리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 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걸이식 액세서리의 부분확대 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3a 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걸이식 액세서리의 귀 피어싱에 대한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3b 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걸이식 액세서리의 귀 피어싱에 대한 다른 사시도가 도시되며, 도 4 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걸이식 액세서리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되고, 도 5 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걸이식 액세서리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되며, 도 6 에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걸이식 액세서리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걸이식 액세서리(1)는 양단에 체결수단(12)이 형성되며 중앙부에 다수의 연결공(14)이 형성되는 밴드목걸이(10)와, 상기 연결공(14) 상에 일단이 체결되며 타단에 탈착고리(22)가 구비되는 연결체인(20)과, 상기 탈착고리(22)에 체결되는 피어싱수단(30a,30b,30c)을 포함한다.
여기서 밴드목걸이(10)는 양단에 체결수단(12)이 형성되며 중앙부에 다수의 연결공(14)이 형성되는 것으로 착용자의 목 부위에 착용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전술한 밴드목걸이(10)는, 섬유재질, 인공피혁, 합성수지 등의 다양한 재질로 형성되고, 레이스 장식와 다양한 무늬로 장식되며, 다양한 두께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밴드목걸이(1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연결공(14)은, 추후에 설명될 연결체인(20)이 연결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고정링(16)을 통해 고정체결될 수도 있지만, 탈착고리(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어 전술한 연결공(14)에 선택적으로 연결체인(20)을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연결공(14)의 테두리에는 밴드목걸이(10)의 파손을 방지하고 연결체인(20)이 견고하게 체결되기 위한 리벳(rivet)(18)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밴드목걸이(10) 양단에 형성되는 체결수단(12)은, 밴드목걸이(10)를 신체의 목 부위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밴드목걸이(10)의 일단에 연결되는 탈착고리(12a)와, 밴드목걸이(10)의 타단에 연결되어 탈착고리(12a)가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길이조절 체인(12b)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착용자는 목의 두께에 따라 길이조절 체인(12b)에 선택적으로 탈착고리(12a)를 체결하여 밴드목걸이(10)를 착용할 수 있게 되는데, 전술한 연결공(14)과 마찬가지로 탈착고리(12a) 및 길이조절 체인(12b)이 연결되는 밴드목걸이(10) 상에는 리벳(18)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체결수단(12)이 형성되는 밴드목걸이(10)에는, 연결공(14)에 일단이 체결되며 타단에 탈착고리(22)가 구비되는 연결체인(20)이 체결되는데, 전술한 연결체인(20)은 추후에 설명할 액세서리와 밴드목걸이(10)를 상호 연결해 주는 동시에 미적 심미감을 향상시키는 액세서리의 기능을 하는 것이다.
전술한 연결체인(20)은, 금, 은을 포함하는 각종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인공보석 등으로 다양하게 장식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연결체인(20)은 하나의 체인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같은 종류 및 같은 길이의 여러 개의 체인, 또는 같은 종류 및 다른 길이의 여러 개의 체인, 또는 다른 종류 및 같은 길이의 체인 등, 다양한 조합으로 형성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밴드목걸이(10)에 일단이 체결되는 연결체인(20)의 타단에는 각종 피어싱수단(30a,30b,30c)이 탈착고리(22)에 의해 체결되는데, 전술한 피어싱수단(30a,30b,30c)은 신체의 귀, 코, 입술 등의 부위를 장식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전술한 피어싱수단(30a,30b,30c)은 귀에 착용되는 피어싱수단(30a), 코에 착용되는 피어싱수단(30b), 입술에 착용되는 피어싱수단(30c) 등의 다양한 피어싱을 포함하며 탈착고리(22)에 의해서 연결체인(20)의 타단에 체결된다.
또한, 전술한 피어싱수단(30a,30b,30c)은, 도 3a 또는 도 3b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걸이식 체결구(31a) 또는 관통식 체결구(31b)로 형성되어 신체 부위에 착용 될 수 있는데, 신체부위에 직접 체결되는 전술한 걸이식 체결구(31a) 및 관통식 체결구(31b)는 착용시에 생체적 부작용이 발생 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전술한 피어싱 수단은 보석류, 십자가, 꽃 형상, 별 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는, 도 4 내지 도 6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술한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식 액세서리(1)의 전체적인 사용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밴드목걸이(10)를 체결수단(12)을 조작하여 착용자에게 맞도록 착용한다.
그런 다음, 연결체인(20)에 체결되어 있는 피어싱 수단을 신체의 해당부위에 체결하는데, 도 4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목걸이식 액세서리(1)의 귀에 착용되는 피어싱수단(30a)을 귀에 체결하거나, 도 5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목걸이식 액세서리(1')의 코에 착용되는 피어싱수단(30b)을 코에 체결하거나, 도 6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목걸이식 액세서리(1")의 입술에 착용되는 피어싱수단(30c)을 입술에 체결하여 장식한다.
이때, 전술한 피어싱수단(30a,30b,30c)은 탈착고리(22)를 이용하여 착용하고자 하는 다양한 피어싱 수단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식 액세서리는 밴드목걸이와 귀 피어싱, 코 피어싱, 입술 피어싱 등의 각종 피어싱을 연결체인으로 상호 연결하여 여 러 조합의 액세서리를 동시에 착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각각의 액세서리를 연결체인을 통해 연결함으로써 미적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양단에 체결수단이 형성되며 중앙부에 다수의 연결공이 형성되는 밴드목걸이;
    상기 연결공 상에 일단이 체결되며 타단에 탈착고리가 구비되는 연결체인; 및
    상기 탈착고리에 체결되는 피어싱수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식 액세서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밴드목걸이의 일단에 연결되는 탈착고리와, 상기 밴드목걸이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탈착고리가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길이조절 체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식 액세서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어싱수단은 귀 피어싱, 코 피어싱, 입술 피어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식 액세서리.
KR2020060007574U 2006-03-21 2006-03-21 목걸이식 액세서리 KR2004179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574U KR200417928Y1 (ko) 2006-03-21 2006-03-21 목걸이식 액세서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574U KR200417928Y1 (ko) 2006-03-21 2006-03-21 목걸이식 액세서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7928Y1 true KR200417928Y1 (ko) 2006-06-02

Family

ID=41767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7574U KR200417928Y1 (ko) 2006-03-21 2006-03-21 목걸이식 액세서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792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514B1 (ko) * 2009-03-13 2009-09-08 조철배 레이스를 이용한 목걸이와 귀걸이 커플링 장치
WO2011049934A2 (en) * 2009-10-20 2011-04-28 Urban David C Jewelry item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i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514B1 (ko) * 2009-03-13 2009-09-08 조철배 레이스를 이용한 목걸이와 귀걸이 커플링 장치
WO2011049934A2 (en) * 2009-10-20 2011-04-28 Urban David C Jewelry item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it
WO2011049934A3 (en) * 2009-10-20 2011-09-29 Urban David C Jewelry item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0095B1 (en) Jewelry method and system
US20070094776A1 (en) Decorative strap system
US20130074545A1 (en) Jewelry strap with interchangeable snaps and snap charm holders
US20150027166A1 (en) Interchangeable Jewelry Assembly
KR200417928Y1 (ko) 목걸이식 액세서리
KR200474073Y1 (ko) 장식체의 교체 및 위치 조절이 용이한 장신구.
CA2012940A1 (en) Combined bracelet and pendant
US20040103911A1 (en) Barrette/hair clip with integrally attachable artificial flower
KR20150098550A (ko) 장신구
JP3215039U (ja) 取り外し式チャーム
KR200465134Y1 (ko) 다용도 장신구
KR200168567Y1 (ko) 장신구
US20130000353A1 (en) Colored accessory
KR101924512B1 (ko) 장신구용 연결구
KR100760470B1 (ko) 팔찌, 등찌 및 반지가 일체화된 장신구
CN213096529U (zh) 一种双链式手链
US20220304428A1 (en) Wearable jewelry device method and system that is customizable and interchangeable
JPH0727859Y2 (ja) 着脱自在の身体装飾用リング
KR200440565Y1 (ko) 목걸이용 장식구 연결고리
KR200357214Y1 (ko) 체결구에 장식이 장착된 귀걸이
KR200320392Y1 (ko) 귀걸이 장신구
KR101769394B1 (ko) 단위메탈 고정 조립구조
JP5278659B2 (ja) 装身具
JPWO2006051910A1 (ja) 装飾体、その装飾体付きネックレス及び複合装飾体
KR101250072B1 (ko) 악세사리 체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2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