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0565Y1 - 목걸이용 장식구 연결고리 - Google Patents

목걸이용 장식구 연결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0565Y1
KR200440565Y1 KR2020080002471U KR20080002471U KR200440565Y1 KR 200440565 Y1 KR200440565 Y1 KR 200440565Y1 KR 2020080002471 U KR2020080002471 U KR 2020080002471U KR 20080002471 U KR20080002471 U KR 20080002471U KR 200440565 Y1 KR200440565 Y1 KR 2004405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lace
hole
connecting ring
mounting hole
orna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24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경호
Original Assignee
조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경호 filed Critical 조경호
Priority to KR20200800024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5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5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56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5Neckla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목걸이와 장식구를 연결하기 위한 고리의 구성을 개선하여 목걸이를 착용하기 위한 체결부와 장식구가 목걸이의 목적위치에서 이동하여 불편한 착용감 및 미관상의 불량함을 해소하고, 연결고리의 물리적 강도가 우수하도록 하여 연결고리의 파손에 따른 장식구 등의 분실우려를 해소하도록 한 목걸이용 장식구 연결고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목걸이와 장식구가 그 내측에 끼워지도록 한 한 연결고리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리는 일측에 목걸이와 장식구가 동시에 끼워질 수 있도록 내경을 갖는 끼움홀이 형성되고, 타측에 목걸이가 끼워진 후 유동되지 않도록 목걸이의 단면크기와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장착홀이 형성되며, 끼움홀에 끼워진 목걸이를 장착홀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홀이 끼움홀과 장착홀을 연결하며 형성된다.
목걸이, 펜던트, 연결고리

Description

목걸이용 장식구 연결고리 {Pendant connection ring for necklace}
본 고안은 목걸이용 장식구 연결고리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 본 고안은 목걸이와 장식구를 연결하기 위한 고리의 구성을 개선하여 목걸이를 착용하기 위한 체결부와 장식구가 목걸이의 목적위치에서 이동하여 불편한 착용감 및 미관상의 불량함을 해소하고, 연결고리의 물리적 강도가 우수하도록 하여 연결고리의 파손에 따른 장식구 등의 분실우려를 해소하도록 한 목걸이용 장식구 연결고리에 관한 것이다.
액세서리 용도로 사용되는 목걸이는 금, 은, 각종 금속재질의 체인이나 합성직물로 된 끈 등의 양단에 암, 수의 체결부를 설치하고, 이 체결부를 체결하여 목에 걸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목걸이는 장식효과를 높이기 위해 장식구를 목걸이에 연결하는 것이 주류이다. 이 때, 상기 목걸이와 장식구는 연결고리에 의해 일체화되며, 이 연결고리는 주로 일정한 길이의 핀을 환 형태로 둥글게 가공한 후 목걸이와 장식구를 연결고리에 끼워 연결구조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목걸이의 한 종류로 펜던트는 일반 목걸이에 비해 길게 늘여뜨려 장식구에 작은 사진 등을 끼워 넣을 수 있도록 구성된 것도 많이 착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목걸이는 장식구를 대략 중앙에 걸고 체결부를 착용자의 목 뒤로 위치시킨 후 암, 수의 체결부를 결합하여 착용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목걸이는 상기 연결고리가 목걸이의 단면 크기와 장식구 고리의 단면크기를 합한 크기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착용시, 목걸이 자체가 착용자의 목에서 유동하여 체결부나 장식구가 정위치에 고정되지 못하고 체결부가 측면으로 노출되거나, 심하게는 체결부가 연결고리에 걸려져 불편한 착용감과 미관이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노출된다.
또한, 상기 목걸이는 장식구와 일체화되도록 하기 위한 연결고리가 단순히 핀을 둥글게 가공하여 결합한 것이기 때문에 사소한 외력에도 쉽게 파손되어 장식구를 쉽게 분실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목걸이의 체결부가 최초 착용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불편한 착용감과 불량한 미관을 해결하고, 연결고리의 물리적 강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하여 연결고리의 파손 및 장식구의 분실우려를 해결한 목걸이용 장식구 연결고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아래의 구성을 갖는다.
본 고안은 목걸이와 장식구가 그 내측에 끼워지도록 한 한 연결고리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리는 일측에 목걸이와 장식구가 동시에 끼워질 수 있도록 내경을 갖는 끼움홀이 형성되고, 타측에 목걸이가 끼워진 후 유동되지 않도록 목걸이의 단면크기와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장착홀이 형성되며, 끼움홀에 끼워진 목걸이를 장착홀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홀이 끼움홀과 장착홀을 연결하며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고리는 끼움홀, 이동홀, 장착홀이 연결부에 형성되고, 이 연결부의 외주면에 연결부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돌출된 보강부가 형성된다. 이를 만족하는 구성으로, 상기 연결고리는 연결부와 보강부의 구성이 단면상 "I" 형태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연결고리는 장착홀이 형성된 측단의 두께가 끼움홀이 형성된 측 단의 두께에 비해 더 두껍게 형성되고, 끼움홀이 형성된 측단방향으로 좁아지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목걸이의 체결부가 최초 착용한 위치에서 항상 고정되어 편안한 착용감을 얻게 됨과 동시에 우수한 미관이 제공되어 목걸이의 품질향상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연결고리가 높은 물리적 강성을 갖도록 형성되어 연결고리의 파손 및 장식구의 분실을 해소하여 경제적 손실을 방지하도록 한 효과를 얻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이 적용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연결고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연결고리가 목걸이에 결합된 상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연결고리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연결고리는 목걸이(1)와 장식구(2)의 사이에 체결되어 목걸이(1)와 장식구(2)를 단일의 제품으로 구현한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고리(10)에는 목걸이(1)와 장식구(2)가 체결되도록 하기 위해 끼움홀(11), 장착홀(12), 이동홀(13)이 형성된다.
상기 끼움홀(11)은 연결고리(10)의 일측에 형성되어 목걸이(1)와 장식구(2)가 동시에 끼워질 수 있도록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끼움홀(11)은 목걸이(1)의 단면 직경과 장식구(2) 고리(3)의 단면 직경을 합한 직경보다 큰 내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장착홀(12)은 끼움홀(11)이 형성된 연결고리(10)의 타측에 형성되며, 목걸이(1)가 끼움홀(11)에서 이동하여 끼워지면 목걸이(1)가 끼움홀(11)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장착홀(12)은 목걸이(1)의 단면 직경과 동일하거나 다소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목걸이(1)가 장착홀(12)의 내주면에 압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동홀(13)은 장착홀(12)과 끼움홀(11)의 사이에서 목걸이(1)가 이동하도록 형성된다. 이 이동홀(13)은 목걸이(1)가 끼움홀(11)에서 장착홀(12)로 이동할 때 탄력적으로 이동한 후 장착홀(1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장착홀(12) 보다 적은 폭으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이동홀(13)은 목걸이(1)의 외주면이 탄력적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내주면이 내측으로 라운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연결고리(10)는 연결부(14)와, 보강부(15)로 구분되어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14)는 끼움홀(11), 이동홀(13), 장착홀(12)이 형성된 플레이트 형태의 부재이다. 상기 보강부(15)는 연결부(14)의 외주면에서 일측 또는 양측으로 돌출된 테두리 형태의 구성이다.
이와 같은 연결고리(10)는 상기 연결부(14)와 보강부(15)의 구성을 만족시키기 위해 단면상 "I"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고리(10)는 보강부(15)의 구성에 의해 여러각도에서 인가되는 하중에 대한 대응력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고리(10)는 장착홀(12)이 형성된 측단의 두께가 끼움홀(11)이 형성된 측단의 두께에 비해 더 두껍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장착홀(12)에 끼워진 목걸이(1)는 보다 견고한 고정력을 유지하게 되며, 연결고리(10) 자체의 물리적 강도가 우수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고리(10) 양측의 두께차이는 장착홀(12)이 형성된 측단에서 끼움홀(11)이 형성된 측단방향으로 좁아지는 경사면(16)이 형성되도록 하여 수려한 미관으로 구성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연결고리의 사용상태 예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목걸이(1)에 장식구(2)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목걸이(1)와 장식구(2)의 고리(3)를 연결고리(10)의 끼움홀(11)에 체결한다. 이 때, 상기 목걸이(1)는 끼움홀(11) 내에서 장착홀(12) 측에 체결한다.
이 후, 상기와 같이 끼움홀(11)에 체결된 목걸이(1)를 장착홀(12) 측으로 당기면, 상기 목걸이(1)는 이동홀(13)을 탄력적으로 통과하여 장착홀(12)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목걸이(1)와 장식구(2)가 연결되면 사용자는 목걸이(1)를 착용하게 된다.
이러한 착용상태에서 상기 목걸이(1)는 장착홀(12)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이 와 같은 고정상태에서 목걸이(1)의 무게중심이 되는 장식구(2)가 항상 착용자의 목 전방에 위치되어 목걸이(1)가 착용자의 목둘레를 이동하는 현상이 방지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연결고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연결고리가 목걸이에 결합된 상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연결고리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연결고리의 사용상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목걸이 2: 장식구
10: 연결고리 11: 끼움홀
12: 장착홀 13: 이동홀
14: 연결부 15: 보강부
16: 경사면

Claims (4)

  1. 목걸이(1)와 장식구(2)가 그 내측에 끼워지도록 한 한 연결고리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리(10)는 일측에 목걸이(1)와 장식구(2)가 동시에 끼워질 수 있도록 내경을 갖는 끼움홀(11)이 형성되고, 타측에 목걸이(1)가 끼워진 후 유동되지 않도록 목걸이(1)의 단면크기와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장착홀(12)이 형성되며, 끼움홀(11)에 끼워진 목걸이(1)를 장착홀(12)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홀(13)이 끼움홀(11)과 장착홀(12)을 연결하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용 장식구 연결고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리(10)는
    끼움홀(11), 이동홀(13), 장착홀(12)이 연결부(14)에 형성되고, 이 연결부(14)의 외주면에 연결부(14)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돌출된 보강부(1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용 장식구 연결고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리(10)는
    연결부(14)와 보강부(15)의 구성이 단면상 "I"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용 장식구 연결고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리(10)는
    장착홀(12)이 형성된 측단의 두께가 끼움홀(11)이 형성된 측단의 두께에 비해 더 두껍게 형성되고, 끼움홀(11)이 형성된 측단방향으로 좁아지는 경사면(1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용 장식구 연결고리.
KR2020080002471U 2008-02-25 2008-02-25 목걸이용 장식구 연결고리 KR2004405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471U KR200440565Y1 (ko) 2008-02-25 2008-02-25 목걸이용 장식구 연결고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471U KR200440565Y1 (ko) 2008-02-25 2008-02-25 목걸이용 장식구 연결고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0565Y1 true KR200440565Y1 (ko) 2008-06-19

Family

ID=43658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2471U KR200440565Y1 (ko) 2008-02-25 2008-02-25 목걸이용 장식구 연결고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056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97436A (zh) * 2023-01-31 2023-03-14 深圳市优品文创科技有限公司 基于画面自填补的首饰生产的珠仔机珠子直径识别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97436A (zh) * 2023-01-31 2023-03-14 深圳市优品文创科技有限公司 基于画面自填补的首饰生产的珠仔机珠子直径识别系统
CN115797436B (zh) * 2023-01-31 2023-11-17 深圳市优品文创科技有限公司 基于画面自填补的首饰生产的珠仔机珠子直径识别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5640B1 (ko) 체결이 용이한 장신구용 결합장치
KR200440565Y1 (ko) 목걸이용 장식구 연결고리
US20120077416A1 (en) Anti-Twisting Fashion Jewelry Bra Strap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JP3177051U (ja) チェーンを利用したアクセサリーカップリング
KR100929208B1 (ko) 핀 삽입 연결식 목걸이의 제조방법
TWM451855U (zh) 女內衣肩帶結合項鍊配戴結構
KR101924512B1 (ko) 장신구용 연결구
JP3145186U (ja) 着るジュエリー
US20050108855A1 (en) Ornamental eyeglass retainer and necklace
KR20190002461U (ko) 원가절감 및 작업성이 개선된 장신구용 체인
KR101241052B1 (ko) 팔찌 겸용 목걸이
JP3115924U (ja) 装飾部分が連結具機能を兼ね備えたバンド
KR101914552B1 (ko) 장신구용 결합장치
KR100890657B1 (ko) 귀걸이
JP3141402U (ja) ネックレス等の装身具
KR200465134Y1 (ko) 다용도 장신구
KR102436949B1 (ko) 비즈 연결구조가 구비된 액세서리 및 이의 제조 방법
JP3145208U (ja) 和服用装身具
KR200475671Y1 (ko) 귀걸이
JP2005253761A (ja) ネック服飾品
KR200344401Y1 (ko) 장신구용 벨트의 버클
KR200456842Y1 (ko) 귀걸이
KR200467610Y1 (ko) 액세서리 줄의 연결구
KR200429172Y1 (ko) 신발끈 액세서리
US20090113604A1 (en) Attachment clip or support for a gar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