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461U - 원가절감 및 작업성이 개선된 장신구용 체인 - Google Patents

원가절감 및 작업성이 개선된 장신구용 체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461U
KR20190002461U KR2020180001271U KR20180001271U KR20190002461U KR 20190002461 U KR20190002461 U KR 20190002461U KR 2020180001271 U KR2020180001271 U KR 2020180001271U KR 20180001271 U KR20180001271 U KR 20180001271U KR 20190002461 U KR20190002461 U KR 2019000246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band
jewelry
chain
piece
deco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2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1240Y1 (ko
Inventor
박희순
Original Assignee
박희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희순 filed Critical 박희순
Priority to KR20201800012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240Y1/ko
Publication of KR201900024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4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2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2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5Neckla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가절감 및 작업성이 개선된 장신구용 체인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는 난집통 외주면에 보석의 빛감을 부각시키는 장식편이 결합되되 난집통 하측에는 사용자의 신체에 걸어 장신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금속밴드가 관통됨으로써 하나의 금속밴드에 다수의 난집통(및 장식편)이 비 용접체결방식으로 간편하게 고정되는 바, 이는 간편 끼움 방식으로 제작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용접에 소요되는 제작비용을 절감하여 전체적으로 작업성이 개선되는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장식편 중앙에 형성되는 고정홀에 라운딩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장식편에 난집통이 끼워지면 난집통 외주면이 라운딩에 안착하여 사용자가 움직이더라도 난집통이 장식편에서 유동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이에, 상기 장식편은 원형, 삼각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어서 장신구의 다양한 이미지 구현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금속밴드는 일측이 개방된 링형으로 이루어지되 개방된 양측 단부가 어긋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는 장신구(체인)를 착용할 때 별도의 체결구를 필요로하지 않아 제작 비용이 절감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금속밴드에 끼워진 다수의 장식편 및 난집통 사이에는 별도의 보조장식이 형성되어 심미감이 가미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원가절감 및 작업성이 개선된 장신구용 체인{Chain for accessory improved cost reduction and workability}
본 고안은 목걸이, 팔찌, 발찌 등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신구용 체인에 관한 것으로, 난집통 외주면에 보석의 빛감을 부각시키는 장식편이 결합되되 난집통 하측에는 사용자의 신체에 걸어 장신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금속밴드가 관통됨으로써 하나의 금속밴드에 다수의 난집통(및 장식편)이 비 용접체결방식으로 간편하게 고정되는 바, 이는 간편 끼움 방식으로 제작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용접에 소요되는 제작비용을 절감하여 전체적으로 작업성이 개선되는 것이며, 상기 난집통에 결합되는 장식편은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원형, 삼각, 사각 또는 다각형 등의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작이 가능하여 다양한 이미지 구현이 가능하고, 상기 금속밴드는 일측이 개방되어 어긋난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는 별도의 체결구 없이 신체에 착용이 가능한 원가절감 및 작업성이 개선된 장신구용 체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신체나 옷을 장식할 목적으로 착용되는 장신구로는 귀걸이, 팔지, 브로우치, 머리핀 등 다양한 종류의 제품들로 구분되고 있으며, 이들 제품들은 대체적으로 그 형태 및 구조가 다양하게 생산되고 있는 편이지만 소비자들은 그래도 더욱 많고 다양한 색감 및 형태의 제품을 원하고 있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3554호(등록일: 2000.06.12.)에는 목걸이나 팔찌 등과 같은 장신구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체인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연속 결합하기 위한 장신구용 체인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체인을 구성하고 있는 본체와 연결고리를 각기 다른 금형에 의해서 성형하여 이를 용접에 의해 일체로 연결하는 구조를 갖는 형태의 선행문헌이 게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한 선행문헌은 본체와 연결고리를 연결할 때 필수적으로 용접을 해야하기 때문에 추가 공정(용접)에 따른 제작비용이 소요되어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난집통 외주면에 보석의 빛감을 부각시키는 장식편이 결합되되 난집통 하측에는 사용자의 신체에 걸어 장신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금속밴드가 관통됨으로써 하나의 금속밴드에 다수의 난집통(및 장식편)이 비 용접체결방식으로 간편하게 고정되는 바, 이는 간편 끼움 방식으로 제작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용접에 소요되는 제작비용을 절감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때, 상기 장식편 중앙에 형성되는 고정홀에 라운딩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장식편에 난집통이 끼워지면 난집통 외주면이 라운딩에 안착하여 사용자가 움직이더라도 난집통이 장식편에서 유동하지 않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상기 장식편은 원형, 삼각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금속밴드는 일측이 개방된 링형으로 이루어지되 개방된 양측 단부가 어긋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는 장신구(체인)를 착용할 때 별도의 체결구를 필요로하지 않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금속밴드에 끼워진 다수의 장식편 및 난집통 사이에는 별도의 보조장식이 형성되어 심미감이 가미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중앙에 고정홀(110)이 형성되는 장식편(100)과; 상기 장식편(100)의 고정홀(110)에 끼워지되 상측에 보석(J)이 고정되는 난집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난집부(210) 하측에는 연결홈(220)이 형성되는 난집통(200)과; 상기 장식편(100)의 고정홀(110)에 끼워진 난집통(200)의 연결홈(220)에끼워지되 사용자의 신체에 걸 수 있는 금속밴드(300)로; 이루어져 목걸이, 팔찌 또는 발찌에 사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장식편(100)의 고정홀(110)은 외주면에 라운딩(111)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난집통(200)이 안착되면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장식편(100)은 원형, 삼각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에, 상기 금속밴드(300)는 사용자의 신체에 걸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되 단부가 어긋나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금속밴드의 개방된 단부에는 이탈방지구(310)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금속밴드(300)에 끼워진 다수의 장식편 및 난집통 사이에는 보조장식(400)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난집통 외주면에 보석의 빛감을 부각시키는 장식편이 결합되되 난집통 하측에는 사용자의 신체에 걸어 장신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금속밴드가 관통됨으로써 하나의 금속밴드에 다수의 난집통(및 장식편)이 비 용접체결방식으로 간편하게 고정되는 바, 이는 간편 끼움 방식으로 제작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용접에 소요되는 제작비용을 절감하여 전체적으로 작업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장식편 중앙에 형성되는 고정홀에 라운딩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장식편에 난집통이 끼워지면 난집통 외주면이 라운딩에 안착하여 사용자가 움직이더라도 난집통이 장식편에서 유동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에, 상기 장식편은 원형, 삼각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어서 장신구의 다양한 이미지 구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금속밴드는 일측이 개방된 링형으로 이루어지되 개방된 양측 단부가 어긋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는 장신구(체인)를 착용할 때 별도의 체결구를 필요로하지 않아 제작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금속밴드에 끼워진 다수의 장식편 및 난집통 사이에는 별도의 보조장식이 형성되어 심미감이 가미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원가절감 및 작업성이 개선된 장신구용 체인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금속밴드에 장식편 및 난집부가 결합된 것을 하부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3 내지 5는 본 고안에 따른 금속밴드에 장식편 및 난집부가 결합된 것을 자세하게 나타낸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금속밴드에 장식편 및 난집부가 결합된 것을 측단면에서 나타낸 측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도 1에 보조장식이 구비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식편의 다양한 형상을 나타낸 예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난집통 내측에 탄성가압부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편(100), 난집통(200), 금속밴드(300) 및 보조장식(400)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져 있다.
이에, 상기 장식편(100)은 중앙에 고정홀(110)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난집통(200)은 장식편(100)의 고정홀(110)에 끼워지되 상측에 보석(J)이 고정되는 난집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난집부(210) 하측에는 연결홈(22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장식편(100)의 고정홀(110)은 외주면에 라운딩(111)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난집통(200)이 안착되면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장식편(100) 중앙에 형성되는 고정홀(110)에 라운딩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장식편(100)에 난집통(200)이 끼워지면 난집통 외주면이 라운딩에 안착하여 사용자가 움직이더라도 난집통이 장식편에서 유동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난집통(200)은 장식편(100)의 하부에서 상부로 끼워지되 난집통이 장식편을 통과하지는 못한다.
또한, 상기 장식편(100)은 원형, 삼각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에, 상기 금속밴드(300)는 장식편(100)의 고정홀(110)에 끼워진 난집통(200)의 연결홈(220)에 끼워지되 사용자의 신체에 걸 수 있다.
이때, 상기 금속밴드(300)는 사용자의 신체에 걸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되 단부가 어긋나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금속밴드의 개방된 단부에는 이탈방지구(310)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구(310)는 금속밴드(300)의 단부가 절곡되어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질수도 있다.
이에, 상기 금속밴드(300)에 끼워진 다수의 장식편 및 난집통 사이에는 보조장식(400)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보조장식(400)은 큐빅, 다이아몬드, 진주 등 다양한 종류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난집통(200)은 금속밴드(300) 상에서 이송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난집통을 위치시킬 수 있으며, 상기 난집통에 끼워진 장식편(100)이 정렬된 모습일 수도 있지만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마주하는 장식편과 달리 정렬된 모습이 아닐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난집통(200) 내주면에는 내입되는 금속밴드(300)의 상면을 가압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난집통(200)이 고정될 수 있도록 탄성가압부(23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탄성가압부(230)는 난집통(200) 내주면에 형성되는 고정판(231)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판(231) 하면에 탄성스프링(232)의 상측이 고정되며, 상기 탄성스프링 하측에는 가압체(233)가 형성되는 것인데, 상기 가압체(233)는 난집통(200)의 연결홈(220)의 하측까지 내려와 있어서, 사용자가 연결홈(220)을 보았을 때 가압체(223)에 의해 연결홈을 통해 난집통 내부를 볼 수 없는 것이다.
이에, 상기 가압체(233)는 양측에 만곡부(334)가 형성되어 있어서 금속밴드(300)가 연결홈(220)으로 내입되면 금속밴드의 단부가 가압체(233)를 측면에서 가압하게 되면 만곡부(234)에 의해 가압체(233)가 탄성스프링(232)를 밀고 상측으로 이송되면서 가압체의 하면은 금속밴드(300)의 상면을 가압하여 난집통(200)이 금속밴드 상에서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압체(233) 하면에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연질부(235)가 형성되어 난집통(200)이 금속밴드(300)에서 더욱 견고한 고정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장식편 110 ... 고정홀
111 ... 라운딩 200 ... 난집통
210 ... 난집부 220 ... 연결홈
230 ... 탄성가압부 231 ... 고정판
232 ... 탄성스프링 233 ... 가압체
234 ... 만곡부 235 ... 연질부
300 ... 금속밴드 310 ... 이탈방지구
400 ... 보조장식

Claims (5)

  1. 중앙에 고정홀(110)이 형성되는 장식편(100)과;
    상기 장식편(100)의 고정홀(110)에 끼워지되 상측에 보석(J)이 고정되는 난집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난집부(210) 하측에는 연결홈(220)이 형성되는 난집통(200)과;
    상기 장식편(100)의 고정홀(110)에 끼워진 난집통(200)의 연결홈(220)에끼워지되 사용자의 신체에 걸 수 있는 금속밴드(300)로;
    이루어져 목걸이, 팔찌 또는 발찌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가절감 및 작업성이 개선된 장신구용 체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편(100)의 고정홀(110)은 외주면에 라운딩(111)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난집통(200)이 안착되면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가절감 및 작업성이 개선된 장신구용 체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편(100)은 원형, 삼각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가절감 및 작업성이 개선된 장신구용 체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밴드(300)는 사용자의 신체에 걸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되 단부가 어긋나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금속밴드의 개방된 단부에는 이탈방지구(3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가절감 및 작업성이 개선된 장신구용 체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밴드(300)에 끼워진 다수의 장식편 및 난집통 사이에는 보조장식(40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가절감 및 작업성이 개선된 장신구용 체인.
KR2020180001271U 2018-03-23 2018-03-23 원가절감 및 작업성이 개선된 장신구용 체인 KR2004912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271U KR200491240Y1 (ko) 2018-03-23 2018-03-23 원가절감 및 작업성이 개선된 장신구용 체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271U KR200491240Y1 (ko) 2018-03-23 2018-03-23 원가절감 및 작업성이 개선된 장신구용 체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461U true KR20190002461U (ko) 2019-10-02
KR200491240Y1 KR200491240Y1 (ko) 2020-03-09

Family

ID=68164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271U KR200491240Y1 (ko) 2018-03-23 2018-03-23 원가절감 및 작업성이 개선된 장신구용 체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24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0354B1 (ko) * 2020-02-18 2020-10-27 김희석 판재를 이용한 팔찌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판재를 이용한 팔찌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448Y1 (ko) * 2000-06-02 2000-12-01 박항식 장식팁제 걸이 장신구
KR200229299Y1 (ko) * 2001-01-09 2001-07-03 강정진 장신구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5448Y1 (ko) * 2000-06-02 2000-12-01 박항식 장식팁제 걸이 장신구
KR200229299Y1 (ko) * 2001-01-09 2001-07-03 강정진 장신구 연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0354B1 (ko) * 2020-02-18 2020-10-27 김희석 판재를 이용한 팔찌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판재를 이용한 팔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240Y1 (ko) 2020-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13915A (ko) 타공 강성 구조물 아래에 평탄화된 라이닝을 구비한 휴대용 장식 요소
KR200491240Y1 (ko) 원가절감 및 작업성이 개선된 장신구용 체인
JP3177051U (ja) チェーンを利用したアクセサリーカップリング
KR200476048Y1 (ko) 유동형 보석이 구비된 묵주반지
KR100929208B1 (ko) 핀 삽입 연결식 목걸이의 제조방법
KR200469408Y1 (ko) 조립식 액세서리용 팬던트
KR20110105517A (ko) 장신구용 연결구의 체결구조
KR101522907B1 (ko) 호환사용이 가능하게 된 펜던트 액세서리
KR101924512B1 (ko) 장신구용 연결구
KR200456842Y1 (ko) 귀걸이
CN206994680U (zh) 一种首饰用弹性连接扣
ITVI20060248A1 (it) Sistema per realizzare chiusure di sicurezza e collegamenti diversi, preferibilmente negli oggetti ornamentali prodotti nell'industria orafa e nella bigiotteria.
KR20090000517U (ko) 탈부착식 보조장식구를 갖는 장신용 장식구
KR200440565Y1 (ko) 목걸이용 장식구 연결고리
CN214230165U (zh) 一种自由组合式吊坠
KR101604653B1 (ko) 장신구용 결합장치
KR200289734Y1 (ko) 보석 알 고정받침 판을 갖는 귀걸이
KR200462604Y1 (ko) 장신구 모듈
KR101914552B1 (ko) 장신구용 결합장치
KR200491074Y1 (ko) 장식체인
KR200465134Y1 (ko) 다용도 장신구
KR200494237Y1 (ko) 탄성이 있는 장신구
KR200477134Y1 (ko) 동적장신미가 개선된 장신구용 악세서리
KR200267074Y1 (ko) 장식체인 연결 구조
KR200404238Y1 (ko) 볼 체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