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134Y1 - 동적장신미가 개선된 장신구용 악세서리 - Google Patents

동적장신미가 개선된 장신구용 악세서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134Y1
KR200477134Y1 KR2020140003399U KR20140003399U KR200477134Y1 KR 200477134 Y1 KR200477134 Y1 KR 200477134Y1 KR 2020140003399 U KR2020140003399 U KR 2020140003399U KR 20140003399 U KR20140003399 U KR 20140003399U KR 200477134 Y1 KR200477134 Y1 KR 2004771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naments
accessory
present
ring
decor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33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준훈
Original Assignee
정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준훈 filed Critical 정준훈
Priority to KR20201400033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1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1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13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44C25/001Pendant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동적장신미가 개선된 장신구용 악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는 목걸이, 팔찌 등의 별도의 장신구에 결합되어 장신미를 더욱 돋보이도록 하기 위한 장신구용 악세서리에 있어서, 단일 소자로 형성된 장식구의 중앙부분을 공간부가 마련되도록 나선형태로 형성하여 연결고리 역할을 하도록 함으로써, 장식구의 유동성을 확보하는 한편, 별도의 연결소자가 필요없이 단일소자로 형성되어 제작이 용이하고 생산원가의 절감효과가 있는 동적장신미가 개선된 장신구용 악세서리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동적장신미가 개선된 장신구용 악세서리{A dynamic accessory}
본 고안은 동적장신미가 개선된 장신구용 악세서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목걸이, 팔찌 등의 별도의 장신구에 결합되어 장신미를 더욱 돋보이도록 하기 위한 장신구용 악세서리에 있어서, 단일 소자로 형성된 장식구의 중앙부분을 공간부가 마련되도록 나선형태로 형성하여 연결고리 역할을 하도록 함으로써, 장식구의 유동성을 확보하는 한편, 별도의 연결소자가 필요없이 단일소자로 형성되어 제작이 용이하고 생산원가의 절감효과가 있는 동적장신미가 개선된 장신구용 악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걸이, 팔찌, 발찌 등의 장식줄을 포함한 각종 귀금속 장신구는 장식줄의 일측에 별도의 장식체가 결합되어 장신미를 더욱 돋보이도록 사용되고 잇다.
그러나, 상기 장식체는 단순히 장신구에 결합되는 획일화된 디자인으로써, 구성이 단조롭게 되어 사용자의 다양한 기호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제품의 가치와 심미감이 단순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431840호에는 장식의 교체가 가능한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 장식의 수시로 교체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싫증을 제거하고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디자인할 수 있게하며, 장식의 훼손 또는 손상되더라도 용이한 교체가 가능한 악세서리에 대하여 게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악세서리 역시 장식체 자체는 상시 고정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장식체를 교체한다하더라도 사용자의 다양한 기호를 만족시키기에는 부족함은 물론, 장식체의 교체로 인한 비용부담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목걸이, 팔찌 등의 별도의 장신구에 결합되어 장신미를 더욱 돋보이도록 하기 위한 장신구용 악세서리에 있어서, 단일 소자로 형성된 장식구의 중앙부분을 공간부가 마련되도록 나선형태로 형성하여 연결고리 역할을 하도록 함으로써, 장식구의 유동성을 확보하는 한편, 별도의 연결소자가 필요없이 단일소자로 형성되어 제작이 용이하고 생산원가의 절감효과가 있는 동적장신미가 개선된 장신구용 악세서리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목걸이, 팔찌 등 별도의 장신구에 체결을 도모하도록 형성된 체결구(100)와; 상기 체결구(100)의 하부에 형성되며, 귀금속 재질로 형성된 단일 소자의 중앙부분이 나선 형태로 이루어져 연결고리(210)가 마련되도록 형성되는 상부장식구(200)와; 상기 상부장식구(20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고리(210)에 대응되도록 체결고리(310)가 구비되는 하부장식구(30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상부장식구(200)는 연결고리(210)의 내측 하부에 고정홈(211)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장식구(300)의 유동을 제어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장식구(200) 및 하부장식구(300)는 면상에 하나 이상의 장식보석 또는 장식문양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종래의 고정된 형태의 획일화된 장신구를 탈피하여 동적장신미를 갖도록 형성되어 장신구가 상시 움직이며 외부 광원의 반사를 다채롭게 변화하도록 유도하여 장신구의 화려한 심미감을 더욱 돋보이도록 함으로써, 제춤의 가치와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연결구가 필요하지 않게 되어 생산원가의 절감은 물론, 단일소자로 제작이 가능하여 제작시간을 단축하고, 제작과정이 편리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동적장신미가 개선된 장신구용 악세서리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동적장신미가 개선된 장신구용 악세서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동적장신미가 개선된 장신구용 악세서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동적장신미가 개선된 장신구용 악세서리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동적장신미가 개선된 장신구용 악세서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동적장신미가 개선된 장신구용 악세서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에 본 고안은 크게 체결구(100), 상부장식구(200), 하부장식구(30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구(100)는 목걸이, 팔찌 등 별도의 장신구에 체결을 도모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주로 링형 고리들이 체인형상으로 연결된 줄 형태의 장식줄에 체결되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반지, 귀걸이 등에 별도의 체결고리에 의해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상부장식구(200)는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체결구(100)의 하부에 형성되며, 귀금속 재질로 형성된 단일 소자의 중앙부분이 나선 형태로 이루어져 연결고리(210)가 마련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장식구(200)는 금, 은 등의 귀금속 재질의 단일 소자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단일 소자라 함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 귀금속 재질의 소자를 중앙부분이 나선형태로 꼬여지도록 형상을 변형하여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으로, 별도의 연결소자를 추가할 필요 없이 장식구 자체적으로 연결고리(210)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하부장식구(300)는 상기 상부장식구(20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고리(210)에 대응되도록 체결고리(31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하부장식구(300)의 체결고리(310)는 연결고리(210)의 내측에 수용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하부장식구(300)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체결고리(310)가 상기 연결고리(210)의 내측에서 유동되도록 형성되어 장식구의 동적장신미를 부가하여 다채로운 심미감을 연출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장식구(200)는 연결고리(210)의 내측 하부에 고정홈(211)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장식구(300)의 유동을 제어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홈(211)은 체결고리(310)의 폭방향의 넓이에 대응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하부장식구(300)가 유동되는 것을 원치 않는 경우 상기 고정홈(211)에 체결고리(310)를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사용자의 취향을 적극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상부장식구(200) 및 하부장식구(300)는 면상에 하나 이상의 장식보석 또는 장식문양이 형성된다.
즉, 상기 상,하부 장식구(200,300)는 유행이나 기호에 따라 다이아몬드, 큐빅 등의 장식보석을 외주면 면상에 결합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이니셜과 같은 장식문양을 형성함으로써, 제품의 가치와 경쟁력을 향상시키도록 형성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체결구
200 ... 상부장식구 210 ... 연결고리
211 ... 고정홈
300 ... 하부장식구 310 ... 체결고리

Claims (3)

  1. 목걸이, 팔찌 등 별도의 장신구에 체결을 도모하도록 형성된 체결구(100)와;
    상기 체결구(100)의 하부에 형성되며, 귀금속 재질로 형성된 단일 소자의 중앙부분이 나선 형태로 이루어져 연결고리(210)가 마련되도록 형성되는 상부장식구(200)와;
    상기 상부장식구(20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고리(210)에 대응되도록 체결고리(310)가 구비되는 하부장식구(30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장신미가 개선된 장신구용 악세서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장식구(200)는
    연결고리(210)의 내측 하부에 고정홈(211)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장식구(300)의 유동을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장신미가 개선된 장신구용 악세서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장식구(200) 및 하부장식구(300)는
    면상에 하나 이상의 장식보석 또는 장식문양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장신미가 개선된 장신구용 악세서리.
KR2020140003399U 2014-04-29 2014-04-29 동적장신미가 개선된 장신구용 악세서리 KR2004771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399U KR200477134Y1 (ko) 2014-04-29 2014-04-29 동적장신미가 개선된 장신구용 악세서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399U KR200477134Y1 (ko) 2014-04-29 2014-04-29 동적장신미가 개선된 장신구용 악세서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134Y1 true KR200477134Y1 (ko) 2015-05-11

Family

ID=53434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3399U KR200477134Y1 (ko) 2014-04-29 2014-04-29 동적장신미가 개선된 장신구용 악세서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134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7804A (ja) * 1994-10-07 1996-04-30 Nakata Shokai:Kk 装身具用吊り金具
JPH10192017A (ja) * 1996-12-30 1998-07-28 Masamichi Shima 切れ目リング式連結具
KR200467928Y1 (ko) * 2011-03-11 2013-07-12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장신구 모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7804A (ja) * 1994-10-07 1996-04-30 Nakata Shokai:Kk 装身具用吊り金具
JPH10192017A (ja) * 1996-12-30 1998-07-28 Masamichi Shima 切れ目リング式連結具
KR200467928Y1 (ko) * 2011-03-11 2013-07-12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장신구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3357B1 (en) Interchangeable jewelry method using individual beaded links
KR101824940B1 (ko) 반지용 유동형 난집구조
CN101112263A (zh) 一种部件式镶口钻石首饰
KR101971178B1 (ko) 착용 위치 변경만으로 다양한 형태로 연출 가능한 장신구
KR200474073Y1 (ko) 장식체의 교체 및 위치 조절이 용이한 장신구.
KR200485628Y1 (ko) 조립형 목걸이 세트
KR200477134Y1 (ko) 동적장신미가 개선된 장신구용 악세서리
JP3177051U (ja) チェーンを利用したアクセサリーカップリング
KR200476048Y1 (ko) 유동형 보석이 구비된 묵주반지
KR20110105517A (ko) 장신구용 연결구의 체결구조
KR101522907B1 (ko) 호환사용이 가능하게 된 펜던트 액세서리
KR200469408Y1 (ko) 조립식 액세서리용 팬던트
KR20170037340A (ko) 조립형 목걸이 세트
US20160324279A1 (en) Customizable jewelry system
CN207898062U (zh) 一种项链
KR101604653B1 (ko) 장신구용 결합장치
KR101657456B1 (ko) 이종 또는 동종 재질의 장신구용 연결구의 제조방법
CN205696120U (zh) 一种手镯用活节式装饰扣件
JP3194596U (ja) スライドによるコンビネーション装身具
KR200463726Y1 (ko) 장식부가 가변이 되는 펜던트
KR101241052B1 (ko) 팔찌 겸용 목걸이
KR200456842Y1 (ko) 귀걸이
CN209883238U (zh) 一种多功能穿戴饰品
KR102194527B1 (ko) 장식체의 유동성이 개선된 장신구용 장식
KR200476010Y1 (ko) 보석의 보호 및 외관이 개선된 장신구용 난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