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5517A - 장신구용 연결구의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장신구용 연결구의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5517A
KR20110105517A KR1020100024695A KR20100024695A KR20110105517A KR 20110105517 A KR20110105517 A KR 20110105517A KR 1020100024695 A KR1020100024695 A KR 1020100024695A KR 20100024695 A KR20100024695 A KR 20100024695A KR 20110105517 A KR20110105517 A KR 20110105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nnecting piece
ornaments
connection piec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4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락
Original Assignee
김동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락 filed Critical 김동락
Priority to KR1020100024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5517A/ko
Publication of KR20110105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55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1/00Watch chains; Ornamental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185Attachment of fasteners to straps or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76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with the two ends of the strap or chain abutting each other or sliding in the main plane or a plane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se two end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신구용 연결구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 목 적 >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다수개의 소자가 나열되어 목걸이나 팔찌 등 장신구의 줄(체인)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진 장신구용 연결구에 있어서, 외형, 색상, 재질 등을 다르게 형성가능한 복수개의 연결편을 체결하여 일체형으로 연결구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다양하고 독특한 심미감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신구용 연결구의 체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 구 성 >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양단부에 연결고리(10)가 부설되어 별도의 다른 장식부재와 체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 장신구용 연결구에 있어서,
하부에 결합홈(110)이 구비된 제1연결편(100)과; 상기 제1연결편의 결합홈에(110)에 결합되도록 상부에 결합구(210)가 형성된 제2연결편(200);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연결편(100)의 결합홈(110)과 제2연결편(200)의 결합구(210)가 일체형으로 조립되어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연결편(100)의 결합홈(110)과 제2연결편(200)의 결합구(210)는 나사체결 또는 억지끼움 방식으로 체결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연결편(100) 및 제2연결편(200)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몸체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 효 과 >
따라서, 본 발명은 연결구를 구성하는 연결편이 교체가 가능함으로써, 다양한 형태로 변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구를 외형, 재질, 색상 등이 서로 다른 이종 재질의 연결편으로 구성하여 다양한 형태의 장신구를 연출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취향에 적극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장신구용 연결구의 체결구조{Coupling structure of connector for precious metals accessory}
본 발명은 장신구용 연결구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소자가 나열되어 목걸이나 팔찌 등 장신구의 줄(체인)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진 장신구용 연결구에 있어서, 외형, 색상, 재질 등을 다르게 형성가능한 복수개의 연결편을 체결하여 일체형으로 연결구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다양하고 독특한 심미감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신구용 연결구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신구라 함은, 몸치장을 하는데 쓰이는 물건으로, 반지, 귀걸이, 목걸이, 팔찌, 브로치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것으로,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치장하여 장신미를 돋보이도록 하고, 자신만의 독특한 개성 연출을 하기 위해 남,여 모두가 사용하는 악세사리를 말한다.
특히 목걸이, 팔찌, 발찌 등의 장신구는 통상 다수개의 연결구들이 횡렬 또는 병렬형태로 나열된 체인형태로 사용되거나 또는 별도의 장식구를 결합하여 사용자에게 착용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구는 금, 은 등의 귀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각각의 연결구들을 연결하기 위해 부설된 연결고리를 용접하여 제작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연결구는 금, 은 등의 귀금속 중 선택된 단일재료로 제작되기 때문에, 제품의 구성이 단조롭고 심미감이나 가치가 획일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다양한 기호를 만족시키지 못할 뿐만 아니라, 현대사회의 빠르게 변화하는 유행에 적극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결고리들이 용접되어 제작되기 때문에, 한번 만들어진 제품은 교체가 어렵고, 장신구의 특성상 고가의 가격이 형성되어 교체를 하기 위해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다수개의 소자가 나열되어 목걸이나 팔찌 등 장신구의 줄(체인)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진 장신구용 연결구에 있어서, 외형, 색상, 재질 등을 다르게 형성가능한 복수개의 연결편을 체결하여 일체형으로 연결구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다양하고 독특한 심미감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신구용 연결구의 체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양단부에 연결고리(10)가 부설되어 별도의 다른 장식부재와 체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 장신구용 연결구에 있어서,
하부에 결합홈(110)이 구비된 제1연결편(100)과; 상기 제1연결편의 결합홈에(110)에 결합되도록 상부에 결합구(210)가 형성된 제2연결편(200);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연결편(100)의 결합홈(110)과 제2연결편(200)의 결합구(210)가 일체형으로 조립되어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연결편(100)의 결합홈(110)과 제2연결편(200)의 결합구(210)는 나사체결 또는 억지끼움 방식으로 체결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연결편(100) 및 제2연결편(200)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몸체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연결구를 구성하는 연결편이 교체가 가능함으로써, 다양한 형태로 변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구를 외형, 재질, 색상 등이 서로 다른 이종 재질의 연결편으로 구성하여 다양한 형태의 장신구를 연출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취향에 적극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구의 분해 사시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구의 단면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구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임.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구의 단면도이고,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용 연결구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연결편(100)과 제2연결편(200)으로 크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연결편(100)은 하부에 결합홈(11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연결편(200)은 상부에 결합구(21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연결편 및 제2연결편이 결합홈(110)과 결합구(210)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일체형으로 조립되어 연결구가 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제1연결편 및 제2연결편으로 결합되어 형성된 연결구는 다른 연결부재와 연결될 수 있도록 양단부에 연결고리(1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연결편(100)의 결합홈(110)과 제2연결편(200)의 결합구(210)는 나사체결 또는 억지끼움 방식으로 체결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편의 결합홈(110)은 내측에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제2연결편의 결합구(210)는 숫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체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결합돌기(111) 및 결합턱(211)이 형성되어 억지끼움 방식으로 체결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도 5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편(100) 및 제2연결편(200)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몸체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연결편(100) 및 제2연결편(200)은 금, 은 등의 귀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외주면에 커팅면이나 무늬 등의 장식 또는 소형보석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연결편과 제2연결편의 재질을 다르게 형성하거나, 무늬나 커팅면을 다르게 형성하여 개성있는 연출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연결구를 구성하는 제1연결편(110) 및 제2연결편(200)을 외형, 재질, 색상 등을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장신구를 연출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취향에 적극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연결고리
100 ... 제1연결편 110 ... 결합홈
111 ... 결합돌기
200 ... 제2연결편 210 ... 결합구
211 ... 결합턱

Claims (3)

  1. 양단부에 연결고리(10)가 부설되어 별도의 다른 장식부재와 체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 장신구용 연결구에 있어서,
    하부에 결합홈(110)이 구비된 제1연결편(100)과;
    상기 제1연결편의 결합홈에(110)에 결합되도록 상부에 결합구(210)가 형성된 제2연결편(200);
    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연결편(100)의 결합홈(110)과 제2연결편(200)의 결합구(210)가 일체형으로 조립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연결구의 체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편(100)의 결합홈(110)과 제2연결편(200)의 결합구(210)는
    나사체결 또는 억지끼움 방식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연결구의 체결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편(100) 및 제2연결편(200)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몸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용 연결구의 체결구조.
KR1020100024695A 2010-03-19 2010-03-19 장신구용 연결구의 체결구조 KR201101055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695A KR20110105517A (ko) 2010-03-19 2010-03-19 장신구용 연결구의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695A KR20110105517A (ko) 2010-03-19 2010-03-19 장신구용 연결구의 체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517A true KR20110105517A (ko) 2011-09-27

Family

ID=44955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4695A KR20110105517A (ko) 2010-03-19 2010-03-19 장신구용 연결구의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551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6247A (ko) * 2015-03-02 2016-09-12 노헌영 이종 또는 동종 재질의 장신구용 연결구의 제조방법
KR101985856B1 (ko) * 2018-12-13 2019-06-04 박진철 마디가 분리된 것처럼 착시현상을 갖는 장신구용 연결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52675B1 (ko) * 2021-05-31 2022-01-17 오준석 코어 연속 이음 연결식 구조를 갖는 귀금속 주얼리용 장식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6247A (ko) * 2015-03-02 2016-09-12 노헌영 이종 또는 동종 재질의 장신구용 연결구의 제조방법
KR101985856B1 (ko) * 2018-12-13 2019-06-04 박진철 마디가 분리된 것처럼 착시현상을 갖는 장신구용 연결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52675B1 (ko) * 2021-05-31 2022-01-17 오준석 코어 연속 이음 연결식 구조를 갖는 귀금속 주얼리용 장식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3357B1 (en) Interchangeable jewelry method using individual beaded links
USD549126S1 (en) Plumeria blossom jewelry
KR20110105517A (ko) 장신구용 연결구의 체결구조
JP3177051U (ja) チェーンを利用したアクセサリーカップリング
KR200485628Y1 (ko) 조립형 목걸이 세트
KR200474073Y1 (ko) 장식체의 교체 및 위치 조절이 용이한 장신구.
KR101522907B1 (ko) 호환사용이 가능하게 된 펜던트 액세서리
KR101784252B1 (ko) 회전 장신구
KR200476048Y1 (ko) 유동형 보석이 구비된 묵주반지
KR20170037340A (ko) 조립형 목걸이 세트
KR200463445Y1 (ko) 분할된 몸체를 갖는 장신구용 연결구
KR101657456B1 (ko) 이종 또는 동종 재질의 장신구용 연결구의 제조방법
KR20110105518A (ko) 장신구용 연결구의 체결구조
KR200420416Y1 (ko) 손 장식용 장신구
KR101241052B1 (ko) 팔찌 겸용 목걸이
KR200456842Y1 (ko) 귀걸이
KR200465134Y1 (ko) 다용도 장신구
KR200477134Y1 (ko) 동적장신미가 개선된 장신구용 악세서리
KR101769394B1 (ko) 단위메탈 고정 조립구조
CN215583322U (zh) 一种首饰
KR100916514B1 (ko) 레이스를 이용한 목걸이와 귀걸이 커플링 장치
KR200476010Y1 (ko) 보석의 보호 및 외관이 개선된 장신구용 난집
KR200362213Y1 (ko) 길이조절이 용이한 팔찌
KR200282239Y1 (ko)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장신구 연결고리.
KR101651550B1 (ko) 사슬 비절단식 u형 연결바 채움 고정형 장식구를 갖는 체인 장신구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