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2239Y1 -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장신구 연결고리. - Google Patents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장신구 연결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2239Y1
KR200282239Y1 KR2020020001274U KR20020001274U KR200282239Y1 KR 200282239 Y1 KR200282239 Y1 KR 200282239Y1 KR 2020020001274 U KR2020020001274 U KR 2020020001274U KR 20020001274 U KR20020001274 U KR 20020001274U KR 200282239 Y1 KR200282239 Y1 KR 2002822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male
decoration
ornaments
male
raw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12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미
Original Assignee
이상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미 filed Critical 이상미
Priority to KR20200200012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22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22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2239Y1/ko

Link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금속성 장신구의 연결고리를 손쉽게 해체, 결합할 수 있게 고안된 것으로 한가지 장신구로 다양하게 연출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진 연결고리이다.
종래의 금속성 장신구(금, 은, 동)는 연결고리가 한번 만들어진 상태에서 변형을 할 수 없게 되어 있으나 본 고안은 상기 연결부분을 암컷, 수컷 장식으로 결합하게 하여 착용자의 개성에 따라 그 모양도, 길이도, 색상도 다양하게 연출 가능하도록 만들었으며 내부에 존재하는 생고무의 탄력성으로 연결부분의 부드러운 움직임을 의도하여 종래의 장신구(일반 구슬목걸이, 일반 체인)에서 느낄 수 있었던 자연스러움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장신구 연결고리.{multi-purpose jewelry connector}
본 고안은 여성용 장신구의 연결고리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장신구의 개개마다 암컷장식과 수컷장식이 내장되어있고 암컷장식의 내부에 탄력성 있는 생고무를 주입하여 결합과 해체를 통한 자유로운 연출(목걸이, 팔찌, 반지, 귀걸이)뿐만 아니라 부드러운 착용감을 제공하는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장신구 연결고리(multi-purpose jewelry connector)>이다.
일반적으로 장신구(목걸이, 팔찌, 반지, 귀걸이)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체 내에 다른 재질이 관통되어 있는 구슬목걸이(A) 형태이거나 금속으로 완전 결합되어 있는 일반 체인(B)의 형태로 장식이 달려있어 착용하기 위한 분리, 연결은 가능하나 길이나 형태 면에서의 여러 가지 변형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요즘 들어 세계적인 유행추세가 수시로 바뀌고 소비자들의 개성이 점차 다양하게 변화함에 따라 거기에 따르는 장신구도 이에 맞추어야 할 필요성을 느끼는 시점이다. 그런데 귀금속 장신구들이 고가인 반면에 한번 구입하기에도 상당금액을 지출하게 될뿐더러 곧 싫증을 느낄 수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개발하였다.
본 고안의 목적은 장신구(목걸이, 팔찌, 반지, 귀걸이)의 연결고리를 손쉽게 해체,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여러 개의 장신구가 필요 없이 한가지 장신구로써 여러 가지의 연출을 가능하도록 하여 경제적인 면과 개성연출에 있어서의 장점을 제공하고자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장신구인 일반 구슬목걸이(A)와 일반 체인(B)의 연결된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2의 금속성 구슬(A)과 금속성 구슬(B)은 상기 실시할 때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라 연결된 장신구 목걸이의 사시도.
도 4A, 도 4B, 도 4C는 상기 실시 예의 조립 방법을 도시한 예시도.도 5A, 도 5B는 길이 조절로 팔찌로도 사용할 수 있음을 도시한 예시도.도 6은 암컷장식(B)이 내장된 반지밴드(A)를 사용해 반지로도 사용할 수 있음을 도시한 예시도.도 7은 암컷장식(C)이 내장된 기존 봉 귀걸이(A)를 이용해 귀걸이로도 사용할 수 있음을 도시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도 1의 (A)-일반 구슬목걸이 도 1의 (B)-일반 체인
도 2의 (A)-금속성 구슬 도2의 (B)-금속성 구슬
도 2의 (A1)-수컷장식 몸체 도 2의 (A2)-걸림 장치(B3)가들어갈 ㄷ자 홈.
도 2의 (B1)-생고무 도 2의 (B2)-금속판
도 2의 (B3)-걸림 장치 도 2의 (B4)-수컷장식 몸체(A1)가 들어갈 홈.
도 6의 (A)-반지밴드 도 6의 (B)-암컷장식
도 7의 (A)-기존 봉 귀걸이 도 7의 (B)-귀걸이 뒷 장식
도 7의 (C)-암컷장식
본 고안에 따르면 금속성으로 만들어진 장신구(목걸이, 팔찌, 반지, 귀걸이)들은 금속성 구슬(도 2의 금속성 구슬(A), 금속성 구슬(B)) 하나 하나에 암컷, 수컷의 장식이 있고 암컷장식(B4)의 내부에 탄력성 있는 생고무(B1)를 그 내부에 안착하여, 연결부분이 부드럽고 손쉽게 해체, 결합하여 연결됨으로써 한가지 장신구로 여러 가지 연출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의 금속성 구슬(A)과 금속성 구슬(B)에는 각 각 수컷과 암컷장식이 설치되어 있어 서로 맞물려 완전히 들어맞게 되어있다.
먼저 각 부분의 설명을 들면, 금속성 구슬(A)의 수컷장식 몸체(A1)는 금속성 구슬(B)의 암컷장식(B4)에 주입되고 걸림 장치(B3)는 ㄷ자 홈(A2)에 주입된다.이 홈은 한 쪽이 막혀있는 ㄷ자 모양으로 걸림 장치(B3)가 들어가 90°회전되어 안착되면 다시 거꾸로 순서를 되밟는 인위적인 방법이 아니고는 절대 빠져나오지 못하게 설치되어있다.
금속성 구슬(B)의 암컷장식(B4)에 내장된 생고무(B1)는 이 장치에 탄력성과 유연성을 제공하고 금속판(B2)은 생고무의 탄력성에 따라 위, 아래로 움직이는 금속부분으로써 수컷장식의 몸체(A1)가 주입되었을 때 생고무(B1)와의 마찰을 줄여 착용하였을 때 일반 구슬목걸이(도 1의 구슬 목걸이(A))에서 느낄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하여 신체의 라인을 따라 자연스럽게 착용된다.
걸림 장치(B3)는 수컷장식 몸체(A1)가 주입되었을 때, ㄷ자 홈(A2)에 들어가는 부분이고 암컷장식(B4)은 수컷장식 몸체(A1)가 들어갈 공간을 말한다.
다음으로 맞물려 들어가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자면, 수컷장식 몸체(A1)가 암컷장식(B4)에 주입될 때 약간의 힘을 가하면 생고무(B1)가 밀리면서 걸림 장치(B3)가 ㄷ자 홈(A2)에 곧장 들어가게 되며 이를 오른 쪽으로 90°회전시키면 ㄷ자 홈(A2)의 특성상 옆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손을 놓으면 생고무(B1)의 탄력성에 의해 금속판(B2)이 밀려 올라오게 되고 걸림 장치(B3)는 홈의 막힌 반대편에 완전히 안착된다.
도 3은 이러한 원리에 따라 조립한 목걸이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원리는 그 크기, 모양, 배열 그리고 스톤을 박은 색상면에서 굉장히 다양한 범위를 수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예는 도 4A, 도 4B, 도 4C에서 볼 수 있다.
이러한 목걸이뿐만 아니라 짧게 하고자 하였을 때 그 나머지 부분으로 팔찌, 반지, 귀걸이를 연출할 수 있어 착용자의 의도에 따라 실질적으로 그 범위는 굉장히 광범위하다.
먼저, 팔찌를 연출하려 할 경우 도 5A에서와 같이 한 줄로도, 또 도 5B에서와 같이 두 줄로도 연출가능하며 반지의 경우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장 기본적인 반지 밴드(A)에 암컷장식(B)을 설치하여 여러 가지 크기, 색깔의 구슬을 조립할 수 있으며 이 반지 밴드(A)는 조립하지 않고도 자체만으로도 깨끗하게 사용할 수 있어 현실적인 면에서 보다 실용적이다.
또한, 도 7에서의 귀걸이는 암컷, 수컷장식 중 암컷장식(C)만이 내장되어 있는 기존 봉 귀걸이(A)에 단순하게도, 그리고 화려하게도 연출할 수 있다.
한가지의 목걸이로써 이렇게 많은 연출이 가능하므로 개성연출 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면에서도 그 효과가 대단하다고 본다.
이러한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장신구 연결고리>는 위에서 저술한 바와 같이 금속성 장신구(악세사리)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어떠한 재료나, 어떠한 형태에도 해당·적용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장신구 연결부위를 개개마다 암컷, 수컷장식을 설치하여 손쉽게 해체,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언제 어디서나 변형을 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면에서 그 효과가 크며 또한 연출을 자유자재로 할 수 있어 착용자의 다양한 개성연출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1. 금속성으로 만들어진 구슬 하나하나에 암컷, 수컷장치를 설치하여 서로 맞물려 완전히 들어맞게 되어있는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장신구 연결고리>에 있어서, 하나의 수컷장식을 다른 장식의 암컷장식의 안에 약간의 힘을 주어 밀어 넣으면 암컷장식의 걸림 장치가 수컷의 ㄷ자 홈에 반듯하게 들어가고 오른쪽으로 90°돌리고 손을 놓으면 암컷장식의 안에 설치된 생고무의 탄력성으로 인해 완전히 안착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써 부드럽고 자연스러움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목걸이, 팔찌, 반지, 귀걸이로의 다양한 활용성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장신구 연결고리(multi-purpose jewelry connector)>.
KR2020020001274U 2002-01-15 2002-01-15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장신구 연결고리. KR2002822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274U KR200282239Y1 (ko) 2002-01-15 2002-01-15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장신구 연결고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274U KR200282239Y1 (ko) 2002-01-15 2002-01-15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장신구 연결고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2239Y1 true KR200282239Y1 (ko) 2002-07-19

Family

ID=73116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1274U KR200282239Y1 (ko) 2002-01-15 2002-01-15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장신구 연결고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223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3357B1 (en) Interchangeable jewelry method using individual beaded links
US20090255122A1 (en) Interchangeable jewelry item
US8479536B2 (en) Jewelry method and system
JP2006522667A (ja) 磁気的に引き付け可能な宝飾品用構成部品
WO2005009166A3 (en) Necklaces and bracelets with keepers
US11617425B1 (en) Jewelry piec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thereof
KR101535640B1 (ko) 체결이 용이한 장신구용 결합장치
EP1911366A1 (en) Product for ornamental use, in particular a precious or costume jewellery product having a variable form
CN200947862Y (zh) 一种组合式首饰链
KR200282239Y1 (ko)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장신구 연결고리.
KR200474073Y1 (ko) 장식체의 교체 및 위치 조절이 용이한 장신구.
JP3177051U (ja) チェーンを利用したアクセサリーカップリング
US20120073325A1 (en) Ornamental article of jewelry
KR101522907B1 (ko) 호환사용이 가능하게 된 펜던트 액세서리
KR20110105517A (ko) 장신구용 연결구의 체결구조
US5664410A (en) Chain link, chain made therefrom and method of chain manufacture
KR20020048340A (ko) 다용도 장신구 연결고리.
KR200269199Y1 (ko) 장신구의 연결구조
KR200331806Y1 (ko)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구조
KR100572726B1 (ko) 길이가 신축적으로 가변되는 장신구
KR200239174Y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장신구
US20090056378A1 (en) Customizable bracelet
CN213096529U (zh) 一种双链式手链
CN215649588U (zh) 一种首饰用弧形轨道滑动结构及带有此结构的首饰
KR200248060Y1 (ko) 다용도 목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