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9172Y1 - 신발끈 액세서리 - Google Patents

신발끈 액세서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9172Y1
KR200429172Y1 KR2020060019887U KR20060019887U KR200429172Y1 KR 200429172 Y1 KR200429172 Y1 KR 200429172Y1 KR 2020060019887 U KR2020060019887 U KR 2020060019887U KR 20060019887 U KR20060019887 U KR 20060019887U KR 200429172 Y1 KR200429172 Y1 KR 2004291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lace
present
hook
shoe
accessor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98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창훈
Original Assignee
한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창훈 filed Critical 한창훈
Priority to KR20200600198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91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91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91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24Ornamental buckles; Other ornaments for shoes without fastening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24Ornamental buckles or other ornaments for shoes, with fastening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9/00Attachments for footwea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발끈을 장식하는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발에 매어진 신발끈의 일측에 다양한 이니셜이나 형상을 한 장신구를 매달아 신발을 치장하되, 그 착탈의 방식이 자유로와 매일 다른 형태의 장신구로 교체가 가능한 신발끈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아주 간단한 구조를 하고 있기에 그 제작비용이 저렴하고, 신발의 끈에 아주 손쉽게 장착할 수가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본 고안은 장착뿐만 아니라 쉽게 탈착할 수가 있기에 다른 액세서리로 대체가 가능하여 매일 다른 액세서리를 달기 편하다.
더불어 본 고안은 일단 장착되면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기에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 심한 운동을 해도 떨어져 잃어버릴 염려가 없다.
신발끈, 장신부, 걸이구, 상판, 측판, 연결사슬 등

Description

신발끈 액세서리{A accessories of shoes}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액세서리가 신발끈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액세서리가 신발끈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다른 실시예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 걸이구에 연결사슬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 걸이구에 연결사슬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장신부 11; 고리
20; 걸이구 21; 신발끈
22; 상판 23; 측판
30; 연결사슬 50; 고리
본 고안은 신발끈을 장식하는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발에 매어진 신발끈의 일측에 다양한 이니셜이나 형상을 한 장신구를 매달아 신발을 치장하되, 그 착탈의 방식이 자유로와 매일 다른 형태의 장신구로 교체가 가능한 신발끈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 중 운동화의 경우 대다수가 신발끈으로 매서 발과 신발의 분리를 최소화시키고자 하고 있다.
또한 여성의 경우에는 그들이 입고다니는 옷이나 신체 부위에 다향한 형태의 악세서리를 매달고 다니며 그 멋을 내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남성에게도 많이 전이된 상태이다.
따라서 종래 액세서리로 알려진 귀걸이, 목걸이, 팔찌 외에 옷에다 걸고, 코에다 거는 액세서리 등 아주 다양하게 발전되고 있다.
그런데 지금 현재까지 신발을 장식하기 위해 특히 신발끈에 걸어 치장을 하는 액세서리는 존재하지 않았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한 본 고안은 신발끈을 장식하는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발에 매어진 신발끈의 일측에 다양한 이니셜이나 형상을 한 장신구를 메달아 신발을 치장하되, 그 착탈의 방식이 자유로와 매일 다른 형태의 장신구로 교체가 가능한 신발끈 액세서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신발끈을 장식하는 액세서리에 있어서, 사람의 이니셜이 나 장신구의 형상을 표현하고 일측단에 고리가 형성된 장신부와; 신발끈이 끼워지는 간격을 가진 단면 형상이 "
Figure 112006052487950-utm00001
"로 상판과 측판 일체형으로 제작된 걸이구와; 상기 장신부의 고리와 걸이구를 연결하는 연결사슬이; 결합하되, 상기 걸이구는 신발끈에 끼워지고, 상기 연결사슬이 상기 장신구와 걸이구를 연결하여 신발에서 장신부가 흔들리며 신발을 치장하는 신발끈 액세서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걸이구는, 그 폭이 좁거나 넓은 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 그 측판이나 또는 상판에 고리부를 형성하여 연결사슬이 결합되는 신발끈 액세서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신발끈을 장식하는 액세서리 관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을 도시된 도 1 내지 7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즉, 본 고안은 사람의 이니셜이나 장신구의 형상을 표현하고 일측단에 고리(11)가 형성된 장신부(10)가 있고, 신발끈(21)이 끼워지는 간격(P)을 가진 단면 형상이 "
Figure 112006052487950-utm00002
"로 상판(22)과 측판(23) 일체형으로 제작된 걸이구(20)가 있다.
또한 상기 장신부(10)의 고리(11)와 걸이구(20)를 연결하는 연결사슬(30)이 있다.
따라서 상기 걸이구(20)는 신발끈(21)에 끼워지고, 상기 연결사슬(30)이 상기 장신부(10)와 걸이구(20)를 연결하여 신발(100)에서 장신부(10)가 흔들리며 신발(100)을 치장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장신부(10), 걸이구(20)와 연결사슬(30)이 결합되어 형성된 액세서리이다.
여기서 상기 장신부(10)는 아주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
즉, 기존에 다른 액세서리에서 사용되는 장신구는 모두가 사용이 가능한데 실예로 사람의 영문 이니셜이나 일반적인 동식물의 형상 및 그 내부에 별도의 보석이나 광석을 달아 놓은 장신구 등이 아주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신부(10)가 걸릴 수 있도록 상기 장신부(10)의 일측단에는 도시된 것처럼, 고리(1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고리(11)에 역시 고리들로 이루어진 연결사슬(30)이 메달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사슬(30)에 의해 상기 장신부(10)와 결합된 구성요소(건)이 바로 도 5에 도시된 걸이구(20)이다.
즉, 이러한 걸이구(20)도 아주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
신발끈(21)이 끼워질 수 있게 간격(P)을 가지고 있으며, 단면 형상이 "
Figure 112006052487950-utm00003
"형태이다.
다시 말해서 상판(22)과 측판(23)이 절곡된 상태로 제작하고, 일측면은 상기 간격(P)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꺾여져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간격을 이용하여 신발(100)의 신발끈(21)을 끼우면 그 착용이 완료된다.
그러나 이러한 간격을 이용한 착용은 사실상 견고하기까지 하다.
그 간격(P)의 틈이 좁고, 대다수의 신발끈(21)은 섬유로 제작된 상태이기에 좁은 간격(P)으로 들어간 신발끈(21)은 자체의 복원력에 의해 일정한 두께로 넓혀진 상태이기에 쉽사리 빠지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상기 걸이구(20)는, 도시된 도 5에서처럼, 그 폭이 좁거나 넓은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유는 상기 걸이구(20)에 걸리는 장신부(10)가 어떠한 것은 그 부피도 크고 무게도 많이 나가는 것이 있을 수 있고, 어떠한 것은 그 부피와 무게가 적은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체결되는 장신부의 무게나 부피가 작다면 폭이 좁은 형태의 걸이구(20)를 거는 것이 낫고, 장신부(10)의 무게나 부피가 크다면 폭이 큰 형태의 걸이구(20)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이구(20)에는, 그 측판(23)이나 또는 상판(22)에 고리부(27)를 형성하여 연결사슬(30)이 결합되는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
즉, 도 5에서처럼, 폭이 좁은 형태의 걸이구(20)는 사실상 고리부(27)를 형성할 만한 공간이 상판(22)이나 측판(23)에 없다.
따라서 상기 측판(23)의 일측으로 고리부(27)를 연결용접하는 형태로 고리부(27)를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폭이 큰 형태의 걸이구(20)는 상기 상판(22)의 중심부에 얼마든지 고리부(27)를 형성시킬 수가 있기에 별도의 고리부(27)를 용접하거나 직접 성형하는 방식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연결사슬(30)은, 2 내지 6개의 고리(50)가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걸이구(20)와 장신부(10)를 연결하는 연결사슬(30)이 너무 길게 되면 신발끈(21)에 메달린 상태로 땅에 끌릴 소지가 많기에 너무 길어서는 안 된다.
또한 만약 이 연결사슬(30)이 너무 짧다면 그 장신부(10)의 흔들리는 반경이 너무 작아 답답함을 느끼게 할 소지도 있으며, 액세서리의 착탈이 곤란하다.
따라서 이 연결사슬(30)은 고리(50)가 1개일 수도 있고, 2개 내지 6개의 고리(50)로 연결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에서처럼, 본 고안은 아주 간단한 구조를 하고 있기에 그 제작비용이 저렴하고, 신발의 끈에 아주 손쉽게 장착할 수가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본 고안은 장착뿐만 아니라 쉽게 탈착할 수가 있기에 다른 액세서리로 대체가 가능하여 매일 다른 액세서리를 달기 편하다.
더불어 본 고안은 일단 장착되면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기에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 심한 운동을 해도 떨어져 잃어버릴 염려가 없다.

Claims (4)

  1. 신발끈을 장식하는 액세서리에 있어서,
    사람의 이니셜이나 장신구의 형상을 표현하고 일측단에 고리(11)가 형성된 장신부(10)와;
    신발끈(21)이 끼워지는 간격(P)을 가진 단면 형상이 "
    Figure 112006052487950-utm00004
    "로 상판(22)과 측판(23) 일체형으로 제작된 걸이구(20)와;
    상기 장신부(10)의 고리(11)와 걸이구(20)를 연결하는 연결사슬(30)이; 결합하되, 상기 걸이구(20)는 신발끈(21)에 끼워지고, 상기 연결사슬(30)이 상기 장신부(10)와 걸이구(20)를 연결하여 신발(100)에서 장신부(10)가 흔들리며 신발(100)을 치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액세서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구(20)는,
    그 폭이 좁거나 넓은 형태로 제작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액세서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구(20)에는,
    그 측판(23)이나 또는 상판(22)에 고리부(27)를 형성하여 연결사슬(3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액세서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사슬(30)은,
    2 내지 6개의 고리(50)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끈 액세서리.
KR2020060019887U 2006-07-24 2006-07-24 신발끈 액세서리 KR2004291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887U KR200429172Y1 (ko) 2006-07-24 2006-07-24 신발끈 액세서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887U KR200429172Y1 (ko) 2006-07-24 2006-07-24 신발끈 액세서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9172Y1 true KR200429172Y1 (ko) 2006-10-18

Family

ID=41777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9887U KR200429172Y1 (ko) 2006-07-24 2006-07-24 신발끈 액세서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917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292B1 (ko) 2010-09-03 2011-05-27 (주)슈추어 신발 장식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292B1 (ko) 2010-09-03 2011-05-27 (주)슈추어 신발 장식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0095B1 (en) Jewelry method and system
US7721571B2 (en) Clothing jewelry
US20130091894A1 (en) Interchangeable and customizable jewelry system and method of use
KR101736308B1 (ko) 브래지어 액세서리
KR200429172Y1 (ko) 신발끈 액세서리
KR200425447Y1 (ko) 신발용 악세사리
KR200418686Y1 (ko) 귀고리
KR101191352B1 (ko) 모피 장식물의 제조방법
KR200438674Y1 (ko) 신발 장신구
KR200417928Y1 (ko) 목걸이식 액세서리
WO2019048648A1 (en) DETACHABLE FIXING ELEMENT FOR CLOTHING TRAIN
KR200168567Y1 (ko) 장신구
KR101250072B1 (ko) 악세사리 체결장치
CN217826919U (zh) 轻质凉鞋状鞋类
KR100504248B1 (ko) 귀걸이
KR200425446Y1 (ko) 신발용 악세사리
KR100890657B1 (ko) 귀걸이
KR200463726Y1 (ko) 장식부가 가변이 되는 펜던트
KR200438201Y1 (ko) 귀걸이용 걸이구
KR200425448Y1 (ko) 신발용 악세사리
US20180027928A1 (en) Footwear with customizable jewels and charms
KR100916515B1 (ko) 레이스를 이용한 목걸이와 넥타이핀 커플링 장치
KR200320392Y1 (ko) 귀걸이 장신구
JP3104726U (ja) 水着に取り付けるための装飾具および装飾具セット
KR20230151944A (ko) 다중 장신구 결합 반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