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4248B1 - 귀걸이 - Google Patents

귀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4248B1
KR100504248B1 KR10-2003-0074037A KR20030074037A KR100504248B1 KR 100504248 B1 KR100504248 B1 KR 100504248B1 KR 20030074037 A KR20030074037 A KR 20030074037A KR 100504248 B1 KR100504248 B1 KR 100504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
earring
ring
jewelry
fasten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4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6680A (ko
Inventor
김재철
Original Assignee
김재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철 filed Critical 김재철
Priority to KR10-2003-0074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4248B1/ko
Publication of KR20050036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6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4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42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귀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더욱 상세하게는 귀걸이 몸체에 장신구 홀더부를 체결하거나, 상기 장신구 홀더부에 알(이하, '장신구' 라 함)을 삽입하여 체결하는데 링을 사용함으로써, 착탈이 용이하므로 귀걸이에 계절, 요일은 물론 복장 형태에 어울리게 다양한 형태의 장신구를 쉽게 교체하여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필요할 때 귀걸이 한 세트를 구입할 필요가 없이 알만 교체하여 주면되므로 구입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는 귀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의 형상의 모양으로 되어 귀에 걸 수 있는 얇은 원통형 고리부와, 귀걸이의 몸체에 일체화되어 장신구 홀더부를 걸어 고정시킬 수 있는 링을 이용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하단 중앙부에 고정부재를 접었다 펼 수 있게 하는 힌지로 구성된 몸체와; 상기 귀걸이에 장신구 홀더부와 일체화되어 귀걸이 몸체의 고리에 끼울 수 있는 체결구멍과, 장신구를 둘러싸고 고정시킬 수 있는 링을 이용한 고정부재와, 상기 장신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의 하단 중앙부에 고정부재를 접었다 펼 수 있게 하는 힌지로 구성된 장신구 홀더부와; 다양한 형태의 장신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귀걸이 몸체에 장신구 홀더부를 체결하거나, 상기 장신구 홀더부에 장신구를 삽입하여 체결하는데 링을 사용함으로써, 착탈이 용이하므로 귀걸이에 계절, 요일은 물론 복장 형태에 어울리게 다양한 형태의 장신구를 쉽게 교체하여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필요할 때 귀걸이 한 세트를 구입할 필요가 없이 장신구만을 교체하면 되므로 구입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귀걸이 몸체의 고정부재와 장신구 홀더부의 고정부재의 하단 중앙부에 힌지를 둠으로써, 상기 고정부재를 접었다 펴기 쉽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귀걸이{Earring}
본 발명은 귀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더욱 상세하게는 귀걸이 몸체에 장신구 홀더부를 체결하거나, 상기 장신구 홀더부에 장신구를 삽입하여 체결하는데 링을 사용하여 착탈이 용이하게 하고, 귀걸이에 계절, 요일은 물론 복장 형태에 어울리게 다양한 형태의 장신구를 쉽게 교체하여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게 하므로 필요시 귀걸이 한 세트를 구입할 필요가 없이 장신구만을 교체하면 되므로 구입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귀걸이 몸체의 고정부재와 장신구 홀더부의 고정부재의 하단 중앙부에 힌지를 두어 상기 고정부재를 접었다 펴기 쉽게 할 수 있는 귀걸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귀걸이는 귀를 뚫지 않은 여성이 사용하는 귀걸이와, 귀를 뚫은 여성들이 사용하는 귀걸이로 구분할 수 있는데, 상기 전자의 경우는 귀걸이에 클립 형태의 결합수단이 설치되어 이를 귀에 걸쳐지도록 하는 형태로 여성의 귀에 착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이는 쉽게 분실될 우려가 있어 그 사용이 저조하였다. 또한, 상기 후자의 경우에는 여성들이 귀를 뚫고, 그 뚫려진 구멍을 통해 고정시키도록 하는 방법으로 귀에 착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이는 분실될 우려가 없어 많이 사용하고 있는 추세인데, 특히, 귀를 뚫게 되면 그 뚫려지는 구멍에 의해 인체의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건강에 매우 유익하다고 하는 연구 결과가 발표된 이후에는 귀를 뚫는 사람이 증가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귀걸이도 귀를 뚫은 구멍에 끼워 착용하는 형태의 것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귀걸이에는 소정 형상과 모양을 갖는 장신구가 형성되어 있어 귀걸이를 착용하는 사람이 이를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여러 개의 귀걸이를 모두 구입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골라 착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귀걸이는 장신구가 고정되어 있는 형태로 제작되게 되어 있어 사용자들이 여러 개의 귀걸이를 세트로 모두 구입해야 되고, 또한 요일, 계절은 물론 복장에 따라 어울리는 귀걸이를 구입함에 따른 경제적인 손실을 가져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한편 종래의 귀걸이 홀더는 그 착용방식이 여러 가지가 있지만 대표적으로 나사조임식이나 탄성편에 의해 접지되는 구조가 있다. 상기 전자의 경우에는 일측의 나사의 조임으로 인해 타측에 접하도록 하여 착용되는데, 이는 나사를 돌려서 착용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외관이 아름답지 못했다. 또한 상기 후자의 경우, 탄성편에 의한 접지되는 구조는 걸고리의 고정된 형상으로 인해 악세사리를 바꿔 끼울 때 악세사리의 걸고리를 이완시킨 후 이를 홀더의 걸고리에 끼워 넣어야 하고 수차례 반복할 경우에는 악세사리의 걸고리의 이완되는 부위가 끊어져 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착상된 것으로서, 귀걸이 몸체에 장신구 홀더부를 체결하거나, 상기 장신구 홀더부에 장신구를 삽입하여 체결하는데 링을 사용하여 착탈이 용이하게 하고, 귀걸이에 계절, 요일은 물론 복장 형태에 어울리게 다양한 형태의 장신구를 쉽게 교체하여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게 하므로 필요시 귀걸이 한 세트를 구입할 필요가 없이 장신구만을 교체하면 되므로 구입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는 귀걸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다른 목적은 귀걸이 몸체의 고정부재와 장신구 홀더부의 고정부재의 하단 중앙부에 힌지를 두어 상기 고정부재를 접었다 펴기 쉽게 할 수 있는 귀걸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귀걸이는 소정의 형상의 모양으로 되어 귀에 걸 수 있는 얇은 원통형 고리부와, 귀걸이의 몸체에 일체화되어 장신구 홀더부를 걸어 고정시킬 수 있는 링을 이용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하단 중앙부에 고정부재를 접었다 펼 수 있게 하는 힌지로 구성된 몸체와; 상기 귀걸이에 장신구 홀더부와 일체화되어 귀걸이 몸체의 고리에 끼울 수 있는 체결구멍과, 장신구를 둘러싸고 고정시킬 수 있는 링을 이용한 고정부재와, 상기 장신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의 하단 중앙부에 고정부재를 접었다 펼 수 있게 하는 힌지로 구성된 장신구 홀더부와; 다양한 형태의 장신구;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고정부재는 원통형 형상을 반으로 절개된 형상을 하며, 상기 형상에 맞는 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형상이고, 힌지에 의해서 접으면 원통형 형상을 이루고, 펼치면 원통형 형상이 반으로 절개된 형상을 이루며, 장신구 홀더부를 끼우고 고정시킬 때에는 힌지를 접은 후 고정부재에 부착되어 있는 링을 아래로 내려 고정시키고 장신구 홀더부를 빼려면 링을 위로 올려서 고정된 링을 풀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고정부재는 귀걸이의 몸체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원통형 형상에 반으로 절개된 원통형 형상을 붙인 형태이며, 상기 형상에 맞는 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형상이고, 힌지에 의해서 접으면 원통형 형상과 반으로 절개된 원통형 형상이 붙어 있는 형상을 이루고, 펼치면 원통형 형상과 반으로 절개된 원통형 형상이 분리된 형상을 이루며, 장신구 홀더부를 끼우고 고정시킬 때에는 힌지를 접은 후 고정부재에 부착되어 있는 링을 아래로 내려 고정시키고 장신구 홀더부를 빼려면 링을 위로 올려서 고정된 링을 풀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고정부재의 형상은 원통형, 삼각형, 마름모형, 사각형, 오각형 등의 다각형 형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장신구의 형태는 원형, 타원형, 동물형상, 별 형상, 꽃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구성됨을 특징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귀걸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걸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귀걸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귀걸이의 장신구 홀더부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귀걸이의 고정부재의 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귀걸이의 고정부재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귀걸이의 장신구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 내지 도 6e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귀걸이는 소정의 형상의 모양으로 되어 귀에 걸 수 있는 얇은 원통형 고리부(1)와, 귀걸이의 몸체에 일체화되어 장신구 홀더부를 걸어 고정시킬 수 있는 링(4)을 이용한 고정부재(2)와, 상기 고정부재의 하단 중앙부에 고정부재를 접었다 펼 수 있게 하는 힌지(3)로 구성된 몸체(10)와; 상기 귀걸이에 장신구 홀더부와 일체화되어 귀걸이 몸체의 고리에 끼울 수 있는 체결구멍(5)과, 장신구를 둘러싸고 고정시킬 수 있는 링을 이용한 고정부재(2')와, 상기 장신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의 하단 중앙부에 고정부재를 접었다 펼 수 있게 하는 힌지(3')로 구성된 장신구 홀더부(20)와; 다양한 형태의 장신구(30)를 구비한다.
상기 귀걸이의 주요 기술적인 수단들의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몸체(10)는 소정의 형상의 모양으로 되어 귀에 걸 수 있는 얇은 원통형 고리부(1)와, 귀걸이의 몸체에 일체화되어 장신구 홀더부를 걸어 고정시킬 수 있는 링을 이용한 고정부재(2)와, 상기 고정부재의 하단 중앙부에 고정부재를 접었다 펼 수 있게 하는 힌지(3)로 구성되어 있는데, 여기서 상기 몸체는 14k 금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외에 은, 금속류 등도 모두 가능할 것이다. 상기 고정부재(2)는 귀걸이의 몸체(10)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원통형 형상에 반으로 절개된 원통형 형상을 붙인 형태이거나, 원통형 형상을 반으로 절개된 형상을 하며, 상기 형상에 맞는 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형상이고, 힌지에 의해서 접으면 원통형 형상과 반으로 절개된 원통형 형상이 붙어 있는 형상을 이루거나 원통형 형상을 이루고, 펼치면 원통형 형상과 반으로 절개된 원통형 형상이 분리된 형상을 이루거나 원통형 형상이 반으로 절개된 형상을 이루며, 장신구 홀더부를 끼우고 고정시킬 때에는 힌지를 접은 후 고정부재에 부착되어 있는 링(4)을 아래로 내려 고정시키고 장신구 홀더부를 빼려면 링(4)을 위로 올려서 고정된 링을 풀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의 형상은 도 5a와 도 5e에서 나타낸 원통형, 마름모형,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의 형태도 가능하나, 이외의 타원형 등의 다각형등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2)는 귀걸이의 몸체(10)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원통형 형상에 원통형 형상을 붙인 형태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장신구 홀더부(20)는 상기 귀걸이에 장신구 홀더부와 일체화되어 귀걸이 몸체의 고리에 끼울 수 있는 체결구멍(5)과, 장신구를 둘러싸고 고정시킬 수 있는 링을 이용한 고정부재(2')와, 상기 장신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의 하단 중앙부에 고정부재를 접었다 펼 수 있게 하는 힌지(3')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체결구멍은 원형의 형태이나 몸체의 형태에 맞게 다양한 형태가 가능할 것이고, 상기 장신구 홀더부 상단에 일체로 붙어 있으며, 귀걸이 몸체에 끼워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장신구를 둘러싸고 고정시킬 수 있는 링을 이용한 고정부재(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귀걸이의 몸체를 설명하기 위해서 기술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이하 생략한다. 상기 장신구 홀더부에서 장신구를 둘러싸고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의 내부 면은 홈(6)으로 파여 있어 알이 한번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서 고정되면 탈착되지 않게 되어 있다.
상기 장신구는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고, 특히 상기 장신구의 형태는 도 6a 내지 도 6e에서 나타낸 원형, 타원형, 동물형상, 별 형상, 꽃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이 가능할 것이며, 상기 형상 중에 기술하지는 않았지만 이외의 다양한 형상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상기 귀걸이는 귀걸이용 뿐만 아니라 목걸이 메달(팬단트)용으로도 사용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귀걸이 몸체에 장신구 홀더부를 체결하거나, 상기 장신구 홀더부에 장신구를 삽입하여 체결하는데 링을 사용함으로써, 착탈이 용이하므로 귀걸이에 계절, 요일은 물론 복장 형태에 어울리게 다양한 형태의 장신구를 쉽게 교체하여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필요할 때 귀걸이 한 세트를 구입할 필요가 없이 장신구만을 교체하면 되므로 구입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둘째, 귀걸이 몸체의 고정부재와 장신구 홀더부의 고정부재의 하단 중앙부에 힌지를 둠으로써, 상기 고정부재를 접었다 펴기 쉽게 되어 있다.
셋째, 소비자의 취향에 맞게 계절, 요일, 복장의 형태에 따라 어울릴 수 있게 장신구의 형태에 다양성을 줌으로써, 소비자의 구매 의욕을 불러 일으켜 매출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귀걸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귀걸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귀걸이의 장신구 홀더부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귀걸이의 고정부재의 확대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귀걸이의 고정부재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귀걸이의 장신구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고리부 2, 2'...고정부재
3, 3'...힌지 4...링
5...체결구멍 6...홈
10...몸체 20...장신구 홀더부
30...장신구(알)

Claims (5)

  1. 귀걸이에 있어서,
    소정의 형상의 모양으로 되어 귀에 걸 수 있는 얇은 원통형 고리부와, 귀걸이의 몸체에 일체화되어 장신구 홀더부를 걸어 고정시킬 수 있는 링을 이용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하단 중앙부에 고정부재를 접었다 펼 수 있게 하는 힌지로 구성된 몸체와;
    상기 귀걸이에 장신구 홀더부와 일체화되어 귀걸이 몸체의 고리에 끼울 수 있는 체결구멍과, 장신구를 둘러싸고 고정시킬 수 있는 링을 이용한 고정부재와, 상기 장신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의 하단 중앙부에 고정부재를 접었다 펼 수 있게 하는 힌지로 구성된 장신구 홀더부와;
    다양한 형태의 장신구;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원통형 형상을 반으로 절개된 형상을 하며, 상기 형상에 맞는 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형상이고, 힌지에 의해서 접으면 원통형 형상을 이루고, 펼치면 원통형 형상이 반으로 절개된 형상을 이루며, 장신구 홀더부를 끼우고 고정시킬 때에는 힌지를 접은 후 고정부재에 부착되어 있는 링을 아래로 내려 고정시키고 장신구 홀더부를 빼려면 링을 위로 올려서 고정된 링을 풀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귀걸이의 몸체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원통형 형상에 반으로 절개된 원통형 형상을 붙인 형태이며, 상기 형상에 맞는 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형상이고, 힌지에 의해서 접으면 원통형 형상과 반으로 절개된 원통형 형상이 붙어 있는 형상을 이루고, 펼치면 원통형 형상과 반으로 절개된 원통형 형상이 분리된 형상을 이루며, 장신구 홀더부를 끼우고 고정시킬 때에는 힌지를 접은 후 고정부재에 부착되어 있는 링을 아래로 내려 고정시키고 장신구 홀더부를 빼려면 링을 위로 올려서 고정된 링을 풀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형상은 원통형, 삼각형, 타원형, 마름모형, 사각형, 오각형 등의 다각형 형태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의 형태는 원형, 타원형, 동물형상, 별 형상, 꽃 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KR10-2003-0074037A 2003-10-23 2003-10-23 귀걸이 KR100504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4037A KR100504248B1 (ko) 2003-10-23 2003-10-23 귀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4037A KR100504248B1 (ko) 2003-10-23 2003-10-23 귀걸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2282U Division KR200338532Y1 (ko) 2003-10-15 2003-10-15 귀걸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6680A KR20050036680A (ko) 2005-04-20
KR100504248B1 true KR100504248B1 (ko) 2005-08-02

Family

ID=37239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4037A KR100504248B1 (ko) 2003-10-23 2003-10-23 귀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42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657B1 (ko) * 2007-08-22 2009-03-26 윤영종 귀걸이
JP2020048914A (ja) * 2018-09-27 2020-04-02 日本ソリッド株式会社 放射状形態を有する5弁状ペンダントト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6680A (ko) 2005-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81985B1 (en) Interchangeable ornament display jewelry apparatus
US7588331B2 (en) Personalizeable wearable and displayable items
US4253178A (en) Decorative or ornamental appliance for use with articles such as wrist watches
US7793518B1 (en) Magnetic clothes gathering clasp
US20150027166A1 (en) Interchangeable Jewelry Assembly
US9943123B2 (en) Swimsuit assembly
KR100504248B1 (ko) 귀걸이
KR200338532Y1 (ko) 귀걸이
US7856849B2 (en) Interchangeable ornament ring
KR200347446Y1 (ko) 귀걸이
US6415483B1 (en) Jewelry clasp
KR20050071877A (ko) 귀걸이
KR200168567Y1 (ko) 장신구
US20050108855A1 (en) Ornamental eyeglass retainer and necklace
US20120048280A1 (en) Ear lobe support for heavy earrings wearers
KR200463726Y1 (ko) 장식부가 가변이 되는 펜던트
KR20230151944A (ko) 다중 장신구 결합 반지
KR200360009Y1 (ko) 귀걸이가 내장되는 목걸이 장식구
KR200363083Y1 (ko) 목걸이용 장식구
KR200456842Y1 (ko) 귀걸이
KR100531179B1 (ko) 장신구용 액세서리 걸이구
KR200320392Y1 (ko) 귀걸이 장신구
KR200252414Y1 (ko) 악세서리
KR200174871Y1 (ko) 손 장신구
KR200286030Y1 (ko) 장신구용 보석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