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0009Y1 - 귀걸이가 내장되는 목걸이 장식구 - Google Patents

귀걸이가 내장되는 목걸이 장식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0009Y1
KR200360009Y1 KR20-2004-0015036U KR20040015036U KR200360009Y1 KR 200360009 Y1 KR200360009 Y1 KR 200360009Y1 KR 20040015036 U KR20040015036 U KR 20040015036U KR 200360009 Y1 KR200360009 Y1 KR 2003600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lace
earrings
hook
medal
bo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50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효정
Original Assignee
백효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효정 filed Critical 백효정
Priority to KR20-2004-00150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00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00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00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3Jewellery holding or retaining articles, e.g. eyeglasse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귀걸이가 내장되는 목걸이 장식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메달의 상부에 형성된 링형태의 고리가 목걸이줄에 끼워진 걸림구에 걸려지도록 구성된 목걸이에 있어서, 상기 메달은 제 1테두리를 갖는 몸체의 일측으로 형성된 힌지에 의해 제 2테두리를 갖는 커버가 열리거나 닫혀지게 결합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몸체의 내부에 걸림핀을 구비하여 귀걸이의 걸고리가 걸려지도록 구성하되, 상기 제 1,2테두리의 하부 중앙에 각각 제 1,2개방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목걸이의 메달속에 귀걸이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수납함으로써, 디자인의 단순함을 피해 더 세련된 느낌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필요에 따라 이를 꺼내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힌 것이다.

Description

귀걸이가 내장되는 목걸이 장식구{NECKLACE WITH EARRINGS INSIDE}
본 고안은 귀걸이가 내장되는 목걸이 장식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목걸이의 메달 내측에 귀걸이 등을 수납하여 걸고 다니다가 필요에 따라 이를 꺼내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디자인의 단순함을 피하고 세련된 느낌을 더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걸이는 의복과 함께 신체를 장식하여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악세사리의 일종으로서, 보석 등의 메달을 체인이나 가는 줄 등의 목걸이줄에 매달아 장식하는 팬던트형 목걸이나 목걸이줄 자체의 형상을 아름답게 디자인하여 미감을 살리는 체인형 목걸이를 많이 선호한다.
상기 목걸이줄은 피부에 직접 닿는 부분이므로 착용자에게 피부 트러블이 생기지 않도록 금이나 은 등의 귀금속 재질로 되는 것이 보통이며, 상기 팬던트형의 경우 주요 장식적 기능을 표현하는 주체가 메달로 되어 있으므로 목걸이 줄은 단순한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고, 체인형 목걸이라 하더라도 그 형태가 단순한 디자인의 것들이 대부분 이어서 소비자들의 다양한 취향과 욕구를 만족시킬 수 없는 것이었으므로 보다 다양하고 아름다운 디자인의 목걸이줄이 요구되어 왔다.
또한, 상기 메달은 몸체의 상부에 목걸이 줄이 끼워져 걸리도록 하는 고리가 형성되어 있고, 몸체의 전면이나 일부분을 양각 또는 음각의 형태를 갖도록 하는 가운데 보석이나 반짝이는 유리 등이 부착되는 형태를 취하도록 구비하여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목걸이는 메달의 겉으로 드러난 모양을 통해 미감을 주는 단순한 기능밖에 제공하지 못하는 비효율성이 있었다.
이와 같은 비효율적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내실용신안등록 제 278620호의 다기능 액서서리가 제안되었고, 제안된 다기능 액서서리는 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된 일정한 공간부에 수납이 가능하도록 배면에 절개선을 형성하고, 정면에는 장식면을 형성하며 상측으로는 걸고리를 형성하되, 상기 공간부의 내측으로 향을 발산하는 향기부를 형성하고, 공간부에 동전이나 작은 소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그 내부에 수납된 소품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못함에 따라 귀걸이 등을 수납했더라도 액서서리의 외관이 단순하여 세련된 느낌을 주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목걸이의 메달에 수납된 귀걸이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이를 수납하여 목에 걸고 다니다가 필요에 따라 이를 꺼내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디자인의 단순함을 피해 더 세련된 느낌을 줄 수 있는 목걸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메달의 상부에 형성된 링형태의 고리가 목걸이줄에 끼워진 걸림구에 걸려지도록 구성된 목걸이에 있어서, 상기 메달은 제 1테두리를 갖는 몸체의 일측으로 형성된 힌지에 의해 제 2테두리를 갖는커버가 열리거나 닫혀지게 결합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몸체의 내부에 걸림핀을 구비하여 귀걸이의 걸고리가 걸려지도록 구성하되, 상기 제 1,2테두리의 하부 중앙에 각각 제 1,2개방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 장식구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 장식구에 귀걸이가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 장식구에서 귀걸이를 분리시킨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메달 12:힌지
13:커버 11:몸체
14,14':걸림핀 111:제 1테두리
112,132:제 1,2개방부 131:제 2테두리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달(1), 목걸이줄(3), 걸림구(31)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메달(1)은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제공되도록 하기 위하여 가장자리에 일정한 두께를 갖는 제 1테두리(111)가 형성된 몸체(11) 및 제 2테두리(131)가 형성된 커버(13)가 이들을 연결하는 힌지(12)에 의해 접혀져 열리거나 닫힐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11)의 상부 중앙에는 목걸이줄(3)에 끼워진 걸림구(31)에 걸려지는 고리(15)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몸체(11) 및 커버(13)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제 1,2테두리(111)(131)의 하부는 일정한 폭을 갖는 제 1,2개방부(112)(132)가 형성되어 귀걸이(2)의 일부가 하부로 늘어뜨려진 상태로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11)의 내부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걸림핀(14)(14')을 형성하여 귀걸이(2)의 걸고리(21)가 걸려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메달(1)은 하트 형태를 갖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하트 형태 이외에 원형 및 다각형 등 어떠한 형태를 갖도록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목걸이는 먼저, 목걸이줄(3)에 걸림구(31)를 끼운 후 걸림구(31)에 메달(1)을 구성하는 몸체(11)의 상단에 결합된 고리(15)를 연결시켜 목에 건다.
이러한 상태에서 귀걸이(2)를 메달(1)의 내부에 수납하고자 할 경우, 손가락으로 몸체(11)를 잡은 상태에서 다른 손가락으로 커버(13)를 열어 젖히게 됨과 동시에 이들을 연결하고 있는 힌지(12)에 의해 커버(13)가 열리게 되며, 커버(13)가 열린 상태에서 몸체(11)의 내부에 돌출되도록 구비된 걸림핀(14)(14')에 귀걸이(2)의 걸고리(21)가 안착 또는 걸쳐지는 형태로 걸은 후 열려져 있던 커버(13)를 닫는 것으로 수납이 된다.
이때, 귀걸이(2)에 연결된 체인(22)은 제 1,2테두리(111)(131)의 하부에 형성된 제 1,2개방부(112)(132)를 통해 바깥쪽 하부로 노출되어 매달린 상태로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상태에서 다시 귀걸이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우선 몸체(11)로 부터 커버(13)를 열고, 그 내부의 걸림핀(14)(14')에 걸려있는 귀걸이(2)의 걸고리(21)를 분리시킨 후 사용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액서서리중의 하나인 귀걸이 등을 귀에 걸은 상태로 다니다가 경우에 따라 이를 떼어 목에 걸려있는 메달의 내부에 수납되어져 보관되도록 함으로써, 분실의 위험을 방지함과 동시에 메달의 단순함을 피해 더 많은 세련감을 줄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메달에 수납된 귀걸이를 경우에 따라 적절하게 꺼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메달의 상부에 형성된 고리가 목걸이줄에 끼워진 걸림구에 걸려지도록 구성된 목걸이에 있어서,
    상기 메달(1)은 제 1테두리(111)를 갖는 몸체(11)의 일측으로 형성된 힌지(12)에 의해 제 2테두리(131)를 갖는 커버(13)가 열리거나 닫혀지게 결합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몸체(11)의 내부에 걸림핀(14)(14')을 구비하여 귀걸이(2)의 걸고리(21)가 걸려지도록 구성하되, 상기 제 1,2테두리(111)(131)의 하부 중앙에 각각 제 1,2개방부(112)(132)가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가 내장되는 목걸이 장식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달(1)은 하트형태나 원형 및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가 내장되는 목걸이 장식구.
KR20-2004-0015036U 2004-05-31 2004-05-31 귀걸이가 내장되는 목걸이 장식구 KR2003600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036U KR200360009Y1 (ko) 2004-05-31 2004-05-31 귀걸이가 내장되는 목걸이 장식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036U KR200360009Y1 (ko) 2004-05-31 2004-05-31 귀걸이가 내장되는 목걸이 장식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0009Y1 true KR200360009Y1 (ko) 2004-08-26

Family

ID=49436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5036U KR200360009Y1 (ko) 2004-05-31 2004-05-31 귀걸이가 내장되는 목걸이 장식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000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2036B1 (en) Jewelry clasp
USD549126S1 (en) Plumeria blossom jewelry
EP2627209B1 (en) Decorative system with fasteners and interchangeable connectors
JP2717780B2 (ja) 指輪収納用装飾具
US20190090598A1 (en) Jewelry system, jewelry kit, jewelry, and associated methods
US20150047095A1 (en) Modular Necktie
USD878238S1 (en) Coin holder for jewelry
KR200360009Y1 (ko) 귀걸이가 내장되는 목걸이 장식구
KR200415394Y1 (ko) 액세서리
JP3177051U (ja) チェーンを利用したアクセサリーカップリング
KR200168567Y1 (ko) 장신구
KR200363083Y1 (ko) 목걸이용 장식구
KR100504248B1 (ko) 귀걸이
KR200338250Y1 (ko) 향기나는 팔찌
KR100576169B1 (ko) 장신용 펜던트
KR200396524Y1 (ko) 장신구용 펜던트
KR200338532Y1 (ko) 귀걸이
KR200336056Y1 (ko) 장식용 체인
KR200347446Y1 (ko) 귀걸이
KR20090011613A (ko) 코디 귀걸이
KR200289772Y1 (ko) 장신구
KR200333804Y1 (ko) 다기능 목걸이
KR20050032632A (ko) 향기나는 팔찌
JP2004073222A (ja) 装身具
KR200320392Y1 (ko) 귀걸이 장신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