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201Y1 - 귀걸이용 걸이구 - Google Patents

귀걸이용 걸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201Y1
KR200438201Y1 KR2020070001546U KR20070001546U KR200438201Y1 KR 200438201 Y1 KR200438201 Y1 KR 200438201Y1 KR 2020070001546 U KR2020070001546 U KR 2020070001546U KR 20070001546 U KR20070001546 U KR 20070001546U KR 200438201 Y1 KR200438201 Y1 KR 2004382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rings
earlobe
wearer
hook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15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윤경
Original Assignee
(주)데이지인터내셔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데이지인터내셔날 filed Critical (주)데이지인터내셔날
Priority to KR20200700015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2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2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20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 A44C7/009Earrings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ear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44C17/0208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removable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착용자가 귓불에 귀걸이를 착용한 상태에서 외부의 충격 등으로 인해 머리가 흔들리거나 머리를 하방으로 숙일 경우 귀걸이가 빠지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어서 사용자가 항상 편리하고 안전한 상태로 착용할 수 있음과 아울러, 귀걸이가 귓불로부터 빠질 경우 착용자가 이를 감지하여 손쉽게 대처할 수 있어서 귀걸이의 착용후 분실되는 현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귀걸이용 걸이구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역U자 형상으로 형성된 걸이구(10)의 일측 하단에 소정의 형상과 모양을 갖는 장신구(20)를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연결 구멍(12)이 형성되고, 이 연결 구멍(12) 후방의 상기 걸이구(10) 내부면에는 착용자의 귓불에 밀착되는 요철편(14)이 반복 형성되며, 상기 걸이구(10)의 타측 중앙에는 착용자의 귓볼에 천공된 구멍으로부터 걸이구(10)가 빠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돌출편(16)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귀걸이, 걸이구, 요철편, 돌출편

Description

귀걸이용 걸이구{Fixing member for earring}
도 1은 종래의 귀걸이용 걸이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귀걸이용 걸이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귀걸이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걸이구 12; 연결 구멍
14; 요철편 16; 돌출편
20; 장신구
본 고안은 귀걸이용 걸이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착용자가 귓불에 귀걸이를 착용한 상태에서 외부의 충격 등으로 인해 머리가 흔들리거나 머리 를 하방으로 숙일 경우 귀걸이가 빠지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성이나 혹은 소수의 남성들의 경우 장식적인 효과나 미려감을 연출하기 위한 수단으로 여러 가지 다양한 모양을 갖는 반지나 귀걸이, 목걸이, 팔찌 등의 장신구를 몸에 달고 다님은 널리 알려진 사실인 데, 그 중 귀걸이는 고대에 주술적인 의미를 부여하는 물건에서 비롯되어 현대에 와서는 다양한 문화권에서 대부분의 여성 또는 일부 남성들이 개인적인 취향에 따라 개인장식을 목적으로 귓불에 착용하고 있는 대표적인 장신구 중의 하나이다.
상기한 귀걸이는 고정 방식에 따라 인체의 귓불을 천공하여 형성된 구멍에 걸이구(또는 핀)를 끼워서 고정하는 핀결착식과, 귓불의 전후면을 동시에 가압하여 그 가압력에 의해 귀걸이가 귓불에 착용되도록 하는 클립식으로 나눌 수 있다.
한편, 종래의 핀결착식 귀걸이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역U자 형상으로 형성된 걸이구(1)의 일측 하단에 연결 고리(2)가 형성되어 이 연결 고리(2)에 소정의 형상과 모양을 갖는 장신구(20)가 결합된 형태로서 이와 같은 형태의 귀걸이를 착용하고자 할 때는 상기 걸이구(1)의 타측을 착용자의 귓불에 천공된 구멍(도시는 생략함)에 끼워서 착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귀걸이의 걸이구(1)는 착용시 착용자의 귓불에 천공된 구멍에 삽입되는 걸이구(1)의 타측이 단순한 직선 형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귀걸이를 착용한 상태에서 외부의 충격 등으로 인해 머리가 흔들리거나, 머리를 하방으로 숙일 경우 귀걸이 착용자 자신이 인식하지 못할 정도로 상기 걸이구(1)의 타측이 착용자의 귓볼에 천공된 구멍에서 빠져 귀걸이를 분실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착용자가 귓불에 귀걸이를 착용한 상태에서 외부의 충격 등으로 인해 머리가 흔들리거나 머리를 하방으로 숙일 경우 귀걸이가 빠지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항상 편리하고 안전한 상태로 착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귀걸이가 귓불로부터 빠질 경우 착용자가 이를 감지하여 손쉽게 대처할 수 있어서 귀걸이의 착용후 분실되는 현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귀걸이용 걸이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역U자 형상으로 형성된 걸이구의 일측 하단에 소정의 형상과 모양을 갖는 장신구를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연결 구멍이 형성되고, 이 연결 구멍 후방의 상기 걸이구 내부면에는 착용자의 귓불에 밀착되는 요철편이 반복 형성되며, 상기 걸이구의 타측 중앙에는 착용자의 귓볼에 천공된 구멍으로부터 걸이구가 빠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돌출편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용 걸이구가 제공된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귀걸이용 걸이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귀걸이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귀걸이를 구성하는 역U자 형상으로 형성된 걸이구(10)의 일측 하단에 소정의 형상과 모양을 갖는 장신구(20)를 연결 고리(22) 등과 같은 연결 수단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연결 구멍(12)이 형성되고, 이 연결 구멍(12) 후방의 상기 걸이구(10) 내부면에는 착용자의 귓불에 밀착되는 요철편(14)이 반복 형성되며, 상기 걸이구(10)의 타측 중앙에는 착용자의 귓볼에 천공된 구멍으로부터 걸이구(10)가 빠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돌출편(16)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용자가 귓불에 귀걸이를 착용한 상태에서 외부의 충격 등으로 인해 머리가 흔들리거나 머리를 하방으로 숙일 경우 상기 귀걸이를 구성하는 역U자 형상으로 형성된 걸이구(10)의 타측이 착용자의 귓불에 천공된 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이구(10)의 타측 중앙에 형성된 돌출편(16)이 귓불에 천공된 구멍에 걸리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걸이구(10)의 내부면에 반복 형성되어 귓불과 밀착되는 요철편(14)이 돌출편(16)과 함께 귀걸이가 빠지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어서 사용자가 항상 편리하고 안전한 상태로 착용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돌출편(16)으로 인해 귀걸이의 걸이구(10)가 귓불에 천공된 구멍으로부터 빠질 경우에도 착용자가 이를 감지하여 착용자가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착용자의 귓불에 귀걸이를 착용한 상태에서 외부의 충격 등으로 인해 머리가 흔들리거나 머리를 하방으로 숙일 경우 귀걸이가 빠지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가 항상 편리하고 안전한 상태로 착용할 수 있음과 아울러, 귀걸이가 귓불로부터 빠질 경우 착용자가 이를 감지하여 손쉽게 대처할 수 있어서 귀걸이의 착용후 분실되는 현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므로 인해 귀걸이의 효율성 및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킨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역U자 형상으로 형성된 걸이구(10)의 일측 하단에 소정의 형상과 모양을 갖는 장신구(20)를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연결 구멍(12)이 형성되고, 이 연결 구멍(12) 후방의 상기 걸이구(10) 내부면에는 착용자의 귓불에 밀착되는 요철편(14)이 반복 형성되며, 상기 걸이구(10)의 타측 중앙에는 착용자의 귓볼에 천공된 구멍으로부터 걸이구(10)가 빠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돌출편(16)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용 걸이구.
KR2020070001546U 2007-01-27 2007-01-27 귀걸이용 걸이구 KR2004382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1546U KR200438201Y1 (ko) 2007-01-27 2007-01-27 귀걸이용 걸이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1546U KR200438201Y1 (ko) 2007-01-27 2007-01-27 귀걸이용 걸이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8201Y1 true KR200438201Y1 (ko) 2008-01-29

Family

ID=41339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1546U KR200438201Y1 (ko) 2007-01-27 2007-01-27 귀걸이용 걸이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820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65223A2 (en) * 2008-11-17 2010-06-10 Mueller Lornie K Pierced jewelry retainment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65223A2 (en) * 2008-11-17 2010-06-10 Mueller Lornie K Pierced jewelry retainment system
WO2010065223A3 (en) * 2008-11-17 2010-08-05 Mueller Lornie K Pierced jewelry retainment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03852A (en) Earring device for suspending a variety of charms or the like
JP2013523315A (ja) 着脱可能なジュエリー台座
KR200438201Y1 (ko) 귀걸이용 걸이구
KR200415394Y1 (ko) 액세서리
KR101795714B1 (ko) 장식부를 가지는 귀걸이 뒷장식부재
KR200391052Y1 (ko) 귀걸이
KR200431089Y1 (ko) 귀걸이용 펜던트 연결고리 결합구조
KR101440097B1 (ko) 장신구 탈착구조
CN208243061U (zh) 一种方便组合的饰件
KR20110007460U (ko) 귀걸이 뒷장식부재
KR200210901Y1 (ko) 장신구용 체결장치
KR200331806Y1 (ko)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구조
KR20110100994A (ko) 귀걸이 뒷장식부재
JP6017145B2 (ja) 身飾品
US11140953B2 (en) Convertible pendant and earrings
KR100670750B1 (ko) 착탈이 용이한 귀걸이
KR200472032Y1 (ko) 귀고리 핀고정부재 구조
CN110786603B (zh) 一种具有多种搭配方式的新型首饰扣件装置及更换方法
KR200320392Y1 (ko) 귀걸이 장신구
CN211092190U (zh) 一种珠宝饰品
CN209883238U (zh) 一种多功能穿戴饰品
KR100504248B1 (ko) 귀걸이
KR200475671Y1 (ko) 귀걸이
KR200326415Y1 (ko) 귀고리
KR200480671Y1 (ko) 액세서리용 장신구 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