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032Y1 - 귀고리 핀고정부재 구조 - Google Patents

귀고리 핀고정부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032Y1
KR200472032Y1 KR2020120009400U KR20120009400U KR200472032Y1 KR 200472032 Y1 KR200472032 Y1 KR 200472032Y1 KR 2020120009400 U KR2020120009400 U KR 2020120009400U KR 20120009400 U KR20120009400 U KR 20120009400U KR 200472032 Y1 KR200472032 Y1 KR 2004720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ear
fixing member
hole
ear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94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대
박길운
Original Assignee
박길운
김영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길운, 김영대 filed Critical 박길운
Priority to KR20201200094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0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0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0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 A44C7/003Ear-studs or their catch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44C17/0208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removable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신구용으로 착용하는 귀고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귀의 귀볼에 성형(成形)된 구멍으로 끼워지는 핀이 귀고리몸체로부터 신장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핀에 끼워져 귀고리몸체를 귀에 고정시켜 장식할 수 있도록 하는 핀고정부재에 있어서, 핀고정부재는 귀고리몸체로부터 신장된 핀에 대하여 탄성 반발력 및 마찰력을 주는 실리콘관체가 내부로 삽입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외측으로 장착되는 장식부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귀고리 핀고정부재 구조{Earring pin fixing element}
본 고안은 장신구용으로 착용하는 귀고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귀볼과 같이 연한 피부를 뚫어 착용하는 귀고리의 핀으로 끼워져 귀고리가 귀에 안전하게 착용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핀고정부재를 단순히 귀고리가 귀에 안전하게 착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단순 기능에서 벗어나 핀고정부재를 통한 귀고리의 디자인적 요소가 될 수 있도록 하여 맷시 있는 귀고리 착용이 가능하도록 함과 더불어 핀고정부재가 귀고리의 핀에 대하여 견고하게 고정되어질 수 있도록 구조를 개량함으로써, 핀고정부재가 귀고리의 핀으로부터 이탈되어 귀고리를 분실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한 귀고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귀고리(EARRING)는 귀를 장식할 수 있도록 하는 장신구로써, 사용자의 귀볼 형태에 따라 귀고리의 선택이 달라진다.
귀고리는 두가지 방식에 의해 착용하게 되는데, 그중의 하나가 귀볼에 구멍을 성형(成形)하였을 때에는 귀고리에 연결된 핀을 관통시켜 착용하게 되고, 귀볼을 성형(成形)하지 않은 상태일 때에는 클립을 귓불에 물려 착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귀고리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 생상되어지고 있고, 제품의 고급화와 화려함을 연출하기위하여 보석과 귀금속을 이용하기도 한다.
귀고리에 사용되어지는 보석과 귀금속은 진주, 큐빅, 다이아몬드, 에메랄드 등이 있고, 보석을 귀금속의 난집에 안착시켜 난집에 형성된 난집발(보석을 물기 위한 절첩가능한 돌출부)을 휘어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어지는 귀고리에 귀볼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수단인 클립 또는 핀이 연결 형성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수단 중 핀은 귀볼에 귀고리 착용이 가능하도록 구멍을 형성(成形)한 사용자가 구입 사용하게되는데, 핀이 연결된 귀고리의 착용은 핀을 귀볼에 성형(成形)한 구멍으로 관통시킨 후, 핀에 핀고정부재를 끼워 귀볼에 귀고리를 착용하게된다.
귀고리를 귀볼에 고정시키는 종래 핀고정부재는 도1에서와 같이 구성되어있다.
도 1에서와 같이 종래 귀고리의 핀고정부재(3)는 탄성을 가지는 금속에 의해 제작되어지고, 그 구조는 곡형의 탄성편(5) 중심에 핀(2)이 끼워지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구멍 양쪽에는 귀고리(1)의 핀(2)에 대하여 마찰압력을 가하는 마찰롤(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핀고정부재(3)는 귀고리(1)의 핀(2)을 탄성편으로 형성된 구멍에 귀고리(1)의 핀(2)을 관통시키게 되고, 관통되어지는 핀(2)은 서로 맞닿아 있는 마찰롤(4) 사이를 지나게 된다.
귀고리(1)의 핀(2)이 마찰롤(4)을 지날 때 벌어짐이 일어나게 되는데, 마찰롤(4)은 탄성편(5)의 탄성력에 의해 핀(2)의 외주면에 압박되어지게 된다.
귀고리의 핀 외주면에 대하여 마찰롤이 압박되어짐에 따라 귀볼에 귀고리의 착용이 가능하게 되는것이다.
상기와 같이 핀에 끼워져 귀고리를 귀볼에 고정시키는 종래의 핀고정부재는 귀고리를 오랜기간 사용하였을때 탄성편의 탄성 반발력이 감소하게되어 마찰롤이 귀고리의 핀을 안정되게 압박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귀고리를 착용하고 다니던중 핀고정부재의 이탈로 귀고리를 분실하게 되는 일이 종종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종래 핀고정부재는 귀고리를 귀볼에 고정시키는 기능만을 하는 것이어서 착용한 후 핀고정부재가 귀고리의 장식적 효과를 저감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하였다.
본 고안은 귀볼에 성형(成形)한 구멍에 핀을 끼워 착용하는 귀고리의 종래 핀고정부재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착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귀고리몸체(10)로부터 신장 형성된 핀이 끼워지는 실리콘관체가 삽입되어지는 고정부재에 장식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식부재가 조립되어서 형성된 것으로, 고정부재의 실리콘설치홈으로 설치되어진 실리콘관체의 핀관통구멍이 귀고리몸체로부터 신장 형성된 핀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이루고 있어 실리콘관체의 핀관통구멍으로 귀고리몸체의 핀이 끼워졌을 때 실리콘관체의 탄성 반발력 및 마찰력으로 핀을 잡아주게 되어 귀고리의 핀으로부터 핀고정부재가 이탈되어 귀고리를 분실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였고, 고정부재의 외측에 장식부재를 부가 형성하여 핀고정부재의 고유기능에 더하여 디자인요소를 부가함에 따라 착용한 귀고리의 장식적 효과를 핀고정부재를 통해서도 향상시킬 수 있는 귀고리 핀고정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귀의 귀볼에 성형(成形)된 구멍으로 끼워지는 핀이 귀고리몸체로부터 신장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핀에 끼워져 귀고리몸체를 귀에 고정시켜 장식할 수 있도록 하는 핀고정부재에 있어서,
상기 핀고정부재는 속이빈 관형으로 선단은 실리콘관체가 삽입 설치되어지는 실리콘설치홈이 개방 형성되어 있고, 후단에는 장식부재의 장식발의 단부가 위치하여 짐과 동시에 귀고리몸체의 핀 외주면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는 핀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인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귀고리의 핀 외경보다 작은 내경의 핀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실리콘관체가 삽입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재와;
삭제
삭제
상기 고정부재의 선단이 안착되어지는 안착부가 인발 형성되어짐과 동시에 그 중앙에 귀고리몸체의 핀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이루는 핀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인발부 가장자리를 따라 장식발이 사방으로 형성되어져 있으며, 장식발의 끝단이 고정부재의 인발부 가장자리로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장식발이 볼록한 구(求)형을 이루며 형성되는 장식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귀고리 핀고정부재 구조는, 귀고리몸체(10)로부터 신장 형성된 핀(11)이 기워지는 실리콘관체(130)가 삽입되어지는 고정부재(120)에 장식적 효과를 높일 수있는 장식부재(110)가 조립되어서 형성된 것으로, 고정부재(120)의 실리콘설치홈(121)으로 설치되어진 실리콘관체(130)의 핀관통구멍(131)이 귀고리몸체(10)로부터 신장 형성된 핀(11)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이루고 있어 실리콘관체(130)의 핀관통구멍(131)으로 귀고리몸체(10)의 핀(11)이 끼워졌을 때 실리콘관체(130)의 탄성 반발력 및 마찰력으로 핀(11)을 잡아주게 되어 귀고리의 핀(11)으로부터 핀고정부재(100)가 이탈되어 귀고리를 분실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였고, 고정부재(120)의 외측에 장식부재(110)를 부가 형성하여 핀고정부재(100)의 고유기능에 더하여 디자인요소를 부가함에 따라 착용한 귀고리의 장식적 효과를 핀고정부재(100)를 통해서도 디자인의 화려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귀고리에 핀고정부재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귀고리의 핀고정부재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귀고리의 핀고정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귀고리의 핀고정부재의 조립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귀고리의 핀고정부재를 귀고리 핀에 결합한 상태의 예시도.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귀고리 핀고정부재(100)는 귀고리몸체(10)로부터 신장된 핀(11)에 대하여 탄성 반발력 및 마찰력을 주는 실리콘관체(130)가 내부로 삽입 형성되어 있고, 고정부재(120)와 고정부재(120)의 외측으로 장착되는 장식부재(110)로 이루어 진다.
상기 고정부재(120) 속이빈 관형으로 선단은 실리콘관체(130)가 삽입 설치되어지는 실리콘설치홈(121)이 개방 형성되어 있고, 후단에는 장식부재(110)의 장식발(112)의 단부가 위치하여 짐과 동시에 고정발(112)의 두께에 대응하는 높이로 인발된 인발부(122)에 귀고리(10)의 핀(11) 외주면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는 구멍(123)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귀고리(10)의 핀(11) 외경보다 작은 내경의 구멍(131)이 형성되어 있는 실리콘관체(130)가 삽입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고정부재(120)의 외측으로 장착되는 장식부재(110)는 선단이 안착되어지는 안착부(111)가 인발 형성되어짐과 동시에 그 중앙에 귀고리(10)의 핀(11)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이루는 핀관통구멍(111)이 형성되어 있고, 인발부(113) 가장자리를 따라 장식발(112)이 사방으로 형성되어져 있으며, 장식발(112)의 끝단이 고정부재(120)의 인발부(122) 가장자리로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장식발(112)이 볼록한 구(求)형을 이루며 형성된다.
상기 실리콘관체(130)는 핀관통구멍(131) 내경에서 외주면 까지의 두께가 핀(11) 지름의 1.5배의 두께로 신축량이 충분하게 일어날 수 있게 하였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귀고리 핀고정부재는, 귀고리몸체(10)로부터 신장 형성된 핀(11)이 관통되어지는 핀관통구멍(123)을 포함하며 돌출 형성되어진 인발부(122)가 일측으로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재(120)의 실리콘설치홈(121)에 실리콘관체(130)를 삽입 설치한다.
실리콘설치홈(121)에 실리콘관체(130)가 설치되어진 상태에서 고정부재(120)를 장식부재(110)와 조립한다.
조립할 때에는 고정부재(120)의 개방된 선단을 장식부재(110)의 안착부(111)에 안착시킨 후, 장식발(112)을 가공지그와 같은 기구를 이용하여 구형을 이루도록 말아 올려 그 끝단이 돌출 형성되어진 고정부재(120)의 인발부(113)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도3, 도4와 같은 구조를 이루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120)와 장식부재(110)가 조립되어서 된 핀고정부재(100)를 이용하여 귀고리를 귀볼에 착용하게 된다.
즉, 귀고리몸체(100)로부터 신장 형성된 핀(11)을 귀볼에 성형(成形)한 구멍으로 관통시킨 후, 귀볼을 관통한 핀(11)에 핀고정부재(100)를 체결함으로써, 귀볼에 귀고리가 착용 유지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귀고리몸체(10)로부터 신장 형성된 핀(11)을 고정부재(120)의 실리콘설치홈(121)으로 삽입 설치되어진 실리콘관체(130)의 핀관통구멍(131)으로 관통시키게 되고, 상기 핀관통구멍(131)으로 핀(11)이 관통되어질 때 핀관통구멍(131)은 그 내경이 핀(11)의 외경보다 작아 확장되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확장되어지는 실리콘관체(130)의 핀관통구멍(131)은 원래의 상태로 복원하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핀(11) 외주면에 대하여 긴밀하게 밀착되어 마찰압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측방향으로의 인위적인 힘을 가하지 않는 한 핀고정부재(100)가 귀고리몸체(10)의 핀(11)으로부터 이탈되어지지 않아 귀고리의 안정된 착용을 도모할 수 있고, 더불어 핀고정부재(100)의 디자인이 미려하여 차용한 귀고리의 미적 화려함을 핀고정부재(100)를 통해서도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10 : 귀고리 몸체 11 : 핀
100 : 핀고정부재 110 : 장식부재
111,123,131 : 핀관통구멍 112 : 장식발
113 : 안착부 120 : 고정부재
121 : 실리콘설치홈 122 : 안발부
130 : 실리콘관체

Claims (3)

  1. 귀의 귀볼에 성형(成形)된 구멍으로 끼워지는 핀(11)이 귀고리몸체(10)로부터 신장 형성되어 있고,상기 핀(11)에 끼워져 귀고리몸체(10)를 귀에 고정시켜 장식할 수 있도록 하는 핀고정부재(100)에 있어서,
    상기 핀고정부재(100)는 속이빈 관형으로 선단은 실리콘관체(130)가 삽입 설치되어지는 실리콘설치홈(121)이 개방 형성되어 있고, 후단에는 장식부재(110)의 장식발(112)의 단부가 위치하여 짐과 동시에 귀고리몸체(10)의 핀(11) 외주면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는 핀관통구멍(123)이 형성되어 있는 인발부(122)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귀고리(10)의 핀(11) 외경보다 작은 내경의 핀관통구멍(131)이 형성되어 있는 실리콘관체(130)가 삽입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재(120)와;
    상기 고정부재(120)의 선단이 안착되어지는 안착부(113)가 인발 형성되어짐과 동시에 그 중앙에 귀고리몸체(10)의 핀(11)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이루는 핀관통구멍(111)이 형성되어 있고, 인발부(113) 가장자리를 따라 장식발(112)이 사방으로 형성되어져 있으며, 장식발(112)의 끝단이 고정부재(120)의 인발부(122) 가장자리로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장식발(112)이 볼록한 구(求)형을 이루며 형성되는 장식부재(11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귀고리의 핀고정부재 구조.










  2. 삭제
  3. 삭제
KR2020120009400U 2012-10-18 2012-10-18 귀고리 핀고정부재 구조 KR2004720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400U KR200472032Y1 (ko) 2012-10-18 2012-10-18 귀고리 핀고정부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400U KR200472032Y1 (ko) 2012-10-18 2012-10-18 귀고리 핀고정부재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2032Y1 true KR200472032Y1 (ko) 2014-04-02

Family

ID=51485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9400U KR200472032Y1 (ko) 2012-10-18 2012-10-18 귀고리 핀고정부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03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499Y1 (ko) * 2015-03-18 2015-06-16 박현균 내부에 충진제가 구비된 귀걸이용 고정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84205A (ja) * 1990-03-30 1991-12-13 Tanaka Kikinzoku Kogyo Kk 装身具用の止着具
KR20080001335U (ko) * 2007-02-09 2008-05-26 (주)제모피아쥬얼리 실리콘를 이용한 귀걸이 장신구 장식
KR20080111222A (ko) * 2007-06-18 2008-12-23 장환석 삽착완충부를 구비한 귀걸이 고정구
KR20110100994A (ko) * 2010-03-05 2011-09-15 남승호 귀걸이 뒷장식부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84205A (ja) * 1990-03-30 1991-12-13 Tanaka Kikinzoku Kogyo Kk 装身具用の止着具
KR20080001335U (ko) * 2007-02-09 2008-05-26 (주)제모피아쥬얼리 실리콘를 이용한 귀걸이 장신구 장식
KR20080111222A (ko) * 2007-06-18 2008-12-23 장환석 삽착완충부를 구비한 귀걸이 고정구
KR20110100994A (ko) * 2010-03-05 2011-09-15 남승호 귀걸이 뒷장식부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499Y1 (ko) * 2015-03-18 2015-06-16 박현균 내부에 충진제가 구비된 귀걸이용 고정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02963B2 (ja) 金属プレート切り抜き品に押圧接触されたライニングを備える装飾用ファッション宝飾品
TWI611776B (zh) 人身飾品
JP3175111U (ja) 揺動装身具
KR200472032Y1 (ko) 귀고리 핀고정부재 구조
KR101199925B1 (ko) 장신구의 보석류 고정 구조체
KR101760646B1 (ko) 제조원가 절감과 보조 장식구의 고정 결합성이 개선된 귀걸이
US20090241599A1 (en) Earring having s-member earring post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KR200391052Y1 (ko) 귀걸이
KR101680244B1 (ko) 장신구용 결합장치
JP3164160U (ja) ピアス装身具
KR101946906B1 (ko) 피어싱 장신구용 고정구
KR101854774B1 (ko) 장신구용 결합장치
KR101604653B1 (ko) 장신구용 결합장치
KR100670750B1 (ko) 착탈이 용이한 귀걸이
KR101924512B1 (ko) 장신구용 연결구
KR20110007460U (ko) 귀걸이 뒷장식부재
KR20140104869A (ko) 장신구 잠금장치
KR200492406Y1 (ko) 귀걸이 장신구
KR101202235B1 (ko) 귀걸이 체결구조
KR20110100994A (ko) 귀걸이 뒷장식부재
JP3233026U (ja) イヤーカフ
KR200487902Y1 (ko) 인체에 유용한 광물을 갖는 이어링
KR101939211B1 (ko) 귓불이 처지지 않게 지지할 수 있는 귀걸이 고정구
KR200486446Y1 (ko) 장식품
KR20120000343U (ko) 귀금속 장신구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