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6913Y1 - 귀고리 - Google Patents

귀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6913Y1
KR200276913Y1 KR2020020004730U KR20020004730U KR200276913Y1 KR 200276913 Y1 KR200276913 Y1 KR 200276913Y1 KR 2020020004730 U KR2020020004730 U KR 2020020004730U KR 20020004730 U KR20020004730 U KR 20020004730U KR 200276913 Y1 KR200276913 Y1 KR 2002769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
hole
shaped
pin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47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운
Original Assignee
박상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운 filed Critical 박상운
Priority to KR20200200047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69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69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6913Y1/ko

Link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귀고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귀고리에서 귓불의 구멍을 통하여 결합되는 핀이 탄력을 가지게 한 귀고리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일측단에 호형 궤적을 갖는 구멍을 형성하고 그 외경측의 일정 구간에 절결장공을 형성하고, 대응위치의 타측단에 역시 호형 궤적의 걸림홈을 형성한 링형 몸체;
상기 호형 궤적을 갖는 구멍 및 홈에 결합되고, 외측으로 상기 절결장공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를 갖는 호형 핀; 및
상기 호형 궤적을 갖는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호형 핀을 탄력있게 지지하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에서 호형 핀의 최대 열림은 손잡이가 상기 절결장공의 끝단에 닿아 걸렸을 때 호형 핀의 선단이 링형 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귀고리{EARRING}
본 고안은 귀고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귀고리에서 귓불의 구멍을 통하여 결합되는 핀이 탄력을 가지게 한 귀고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귀고리는 크게 두 가지 형태로 구분되는 바, 하나는 귓불에 구멍이 뚫리지 않은 상태에서도 귓불에 부착할 수 있는 귀고리와, 다른 하나는 귓불에 구멍을 뚫은 상태에서만 귓불에 부착할 수 있는 귀고리로 대별되는 바, 본 고안은 후자의 경우와 같이 귓불에 뚫린 구멍을 통해 착용할 수 있는 귀고리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사용되는 종래의 귓불의 구멍에 끼워서 착용하는 귀고리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장식부재(예를 들어, 금속장신구, 큐빅, 사파이어, 루비, 진주 등 각종 보석(인조보석포함)류)와;
상기 장식부재와 일단부가 고정되고 그 타측단부가 귓불의 뚫린 구멍에 끼움 되는 핀과;
상기 핀에 끼워져 핀이 귓불에서 빠지지 않게 하는 클러치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귀고리를 귓불에 착용시에는 먼저 클러치를 핀에서 빼낸 다음 핀을 귓불의 뚫린 구멍에 끼움하고 클러치를 다시 핀에 끼움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종래의 귀고리는 귓불에 착용된 후 귓불에서 귀고리가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반드시 클러치를 필요로 한다.
이때문에 클러치의 부품 사용에 따른 제조비용이 그만큼 증가되고, 착용자가 귀고리의 착용 및 미착용에 따라 클러치를 핀에서 끼웠다 뺏다 하는 반복 과정으로 인한 클러치의 마모 등으로 클러치가 핀에서 빠져 분실될 염려가 있고, 또한 클러치의 사용으로 사용자로 하여금 귀고리의 사용을 번거롭게 하거나 불편하게 한다.
한편 등록실용신안 제0252247호의 귀고리가 있으나, 이는 도 1에서와 같이 귀고리의 링몸체(100)와 연속되는 방향이 아닌 구조로 고리부(110)가 열린 상태로 귓불의 구멍에 결합됨에 따른 결합의 부자연스러움 및 고리부(110) 자체의 탄성 변형에 의해 고리부(110)가 링몸체(100) 끝단의 고정용 홈(120)에 그 결합이 어려운 단점이 있어서 그 착용 및 해제가 제대로 이루어 지지않으며, 이를 제조함에 따른 생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0179629호의 귀고리는 도 2에서와 같이 링몸체(200)가 힌지부(230)에 의해 개폐되면서 연결핀(210)의 걸림턱(211)이 일측 귀고리 몸체 (200)에 형성된 걸림턱(211A)에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구성이나 이 역시 연결핀 (211)의 탄성 변형과 걸림턱(211,211A)의 마모 오손으로 쉽게 망실되는 단점이 있고 그 착용이 잘 이루어지지 않으며 이 역시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귀고리를 구성하는 핀이 링형 몸체와 동등한 궤적을 가지며 탄력있게 반대측의 금구에 착탈 잠금 및 해제되게 구성하여 귓불에 착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클러치의 생략에 따른 제조비용을 대폭 절감하고 동시에 사용자로 하여금 귀고리의 착용을 보다 단순화시켜 편의를 도모하는 귀고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은 일측단에 호형 궤적을 갖는 구멍을 형성하고 그 외경측의 일정 구간에 절결장공을 형성하고, 대응위치의 타단에 역시 호형 궤적의 걸림홈을 형성한 링형 몸체;
상기 호형 궤적을 갖는 구멍 및 홈에 결합되고, 외측으로 상기 절결장공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를 갖는 호형 핀; 및
상기 호형 궤적을 갖는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호형 핀을 탄력있게 지지하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에서 호형 핀의 최대 열림은 손잡이가 상기 절결장공의 끝단에 닿아 걸림시 호형 핀의 선단이 링형 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다른 예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잠금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잠금 해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3의 단면도
이하에서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의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잠금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잠금 해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단면도이다.
일측단에 호형 궤적을 갖는 구멍(11)을 형성하고 그 외경측의 일정 구간에 절결장공(11G)을 형성하고, 대응위치의 타측단에 역시 호형 궤적의 걸림홈(12)을 형성한 링형 몸체(10);
상기 호형 궤적을 갖는 구멍(11) 및 홈(12)에 결합되고, 외측으로 상기 절결장공(11G)으로 돌출되는 손잡이(21H)를 갖는 호형 핀(20); 및
상기 호형 궤적을 갖는 구멍(11)에 삽입되어 상기 호형 핀(20)을 탄력있게 지지하는 코일스프링(30)으로 구성된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에서 호형 핀(20)의 최대 열림은 손잡이(21H)가 상기 링형 몸체(10)의 절결장공(11G)의 끝단에 닿아 걸림시 도 4에서와 같이, 호형 핀(20)의 선단이 링형 몸체(10)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있어서 링형 몸체(10)의 벌어진 일단과 타단 사이는 적어도 귓불 이상으로 벌어져 있어야 된다. 보다 상세히는 귀고리를 착용하기 위해 최대로 호형 핀(20)을 벌렸을 때에 귓불이 그 사이로 들어가야 하며, 이때약간 돌출된 호형핀(20)의 선단이 귓불에 접촉되는 설계사항을 만족 시킬때 호형 핀(20)의 선단이 귓불의 구멍을 찾아가서 삽입되기가 양호해 질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이 고리부(110)나 연결핀(210)을 링형 몸체(100, 200)에서 같은 환상의 축이 아니고, 다시 힌지 절첩됨에 따른 2단 동작으로 그 착용에 절차가 복잡하고, 귓불의 구멍에 상기 고리부(110)나 연결핀(210)을 결합하는데 따른 감을 잡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으나, 본 고안은 링형 몸체의 환상의 축과 같은 궤적을 가지는 호형 핀(20)에 의해 귓볼의 구멍에 결합하기가 용이해 지며 그 결합에 있어서도 2단 동작이 필요없이 한 동작으로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은 귀고리의 착용이 간단히 이루어지고, 클러치의 생략에 따른 제조비용을 대폭 절감하고 동시에 사용자로 하여금 귀고리의 착용을 보다 단순화시켜 편의를 도모하는 귀고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귀고리를 구성하는 핀이 링형 몸체와 동등한 궤적을 가지며 탄력있게 반대 측의 금구에 착탈 잠금 및 해제되게 구성하여 귓불에 착용하는 감을 잡기가 용이한 효과가 있고, 코일스프링에 의한 안정된 탄성력과 핀의 호형 궤적에 따른 안정된 장착 및 해제를 이룰 수가 있어서 그 착용이 편리하고 분실의 염려가 없으며, 소비자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일측단에 호형 궤적을 갖는 구멍(11)을 형성하고 그 외경측의 일정 구간에 절결장공(11G)을 형성하고, 대응위치의 타측단에 역시 호형 궤적의 걸림홈(12)을 형성한 링형 몸체(10);
    상기 호형 궤적을 갖는 구멍(11) 및 홈(12)에 결합되고, 외측으로 상기 절결장공(11G)으로 돌출되는 손잡이(21H)를 갖는 호형 핀(20); 및
    상기 호형 궤적을 갖는 구멍(11)에 삽입되어 상기 호형 핀(20)을 탄력있게 지지하는 코일 스프링(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귀고리.
  2. 제 1 항에 있어서, 호형 핀(20)의 최대 열림은 손잡이(21H)가 상기 링형 몸체(10)의 절결장공(11G)의 끝단에 닿아 걸림시 호형 핀(20)의 선단이 링형 몸체(10)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귀고리.
KR2020020004730U 2002-02-18 2002-02-18 귀고리 KR2002769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730U KR200276913Y1 (ko) 2002-02-18 2002-02-18 귀고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730U KR200276913Y1 (ko) 2002-02-18 2002-02-18 귀고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6913Y1 true KR200276913Y1 (ko) 2002-05-27

Family

ID=73117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730U KR200276913Y1 (ko) 2002-02-18 2002-02-18 귀고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691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19395B2 (ja) 装身具用連結金具
JP4990880B2 (ja) セルフロック連結装置
US5433088A (en) Snap-on earring clasp
KR200276913Y1 (ko) 귀고리
CA2580099A1 (en) Jewelry setting, particularly suited for displaying multiple faces or gem stones
KR200468401Y1 (ko) 집게장식 귀걸이
US20050247079A1 (en) Jewelry ornament
US8701440B1 (en) Jewelry mount for securing interchangeable ornaments
US7918108B1 (en) Jewelry mount with safety catch
JP2003102524A (ja) ネックレスの如き身飾品の止め具
KR200260669Y1 (ko) 귀고리
KR200320834Y1 (ko) 귀걸이의 체결구조
CN215381912U (zh) 一种硅胶内环锁链扣的手链
KR200331806Y1 (ko)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구조
KR200179629Y1 (ko) 귀고리 체결구
KR200320524Y1 (ko) 귀고리
KR200210901Y1 (ko) 장신구용 체결장치
JP3224771U (ja) 身飾品
KR200236008Y1 (ko) 귀걸이
JP3135957U (ja) 装身具
KR100670811B1 (ko) 귀걸이의 보석집 결합구조
KR200475671Y1 (ko) 귀걸이
KR200189128Y1 (ko) 신변장신구용 걸고리
ITRM980035A1 (it) Accessorio per orecchie in particolare orecchino
KR200377572Y1 (ko) 귀고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