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401Y1 - 집게장식 귀걸이 - Google Patents

집게장식 귀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401Y1
KR200468401Y1 KR2020120004685U KR20120004685U KR200468401Y1 KR 200468401 Y1 KR200468401 Y1 KR 200468401Y1 KR 2020120004685 U KR2020120004685 U KR 2020120004685U KR 20120004685 U KR20120004685 U KR 20120004685U KR 200468401 Y1 KR200468401 Y1 KR 2004684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s
earring
pin
earrings
insertion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6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경학
김남훈
최성진
Original Assignee
코아쥬얼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아쥬얼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아쥬얼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46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401Y1/ko
Priority to US13/543,136 priority patent/US883310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4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40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00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with third detached member completing interlock [e.g., hook type]
    • Y10T24/45016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with third detached member completing interlock [e.g., hook type] for jewel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602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 Y10T24/45675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having pivotally connected interlocking component
    • Y10T24/45696Requiring manual force thereon to interlock or disengage
    • Y10T24/45702Plural, oppositely shifting, similar interlocking component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집게장식 귀걸이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게장식 귀걸이는 고리형상으로 되어 그 일측에는 귓불이 삽입되는 개방부가 형성된 귀걸이 본체; 개방부를 커버하도록 귀걸이 본체의 일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귓불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지는 귀걸이 핀; 귀걸이 본체의 타단부에 설치되고 귀걸이 핀의 일단을 고정하는 홀더 부재를 포함하되; 홀더 부재는 서로 마주보게 제공되는 한 쌍의 제1집게부와 제2집게부를 포함하고, 제1집게부와 제2집게부는 귀걸이 핀이 삽입되도록 내면에 반원형의 횡단면을 갖는 핀 삽입부가 구비된 집게몸체와, 집게몸체의 후방으로 손잡이가 형성된 한 쌍의 제1집게부와 제2집게부가 서로 마주보게 제공되고, 손잡이를 잡고 누르면 집게 몸체가 벌어지게 구성된다.

Description

집게장식 귀걸이{tongs decoration earring}
본 고안은 집게장식 귀걸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리형 귀걸이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귓불(1)이 삽입되는 개방부(3)가 형성된 링형상의 귀걸이본체(4)와, 상기 귀걸이본체(4)의 개방부(3)를 커버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귓불(1)에 형성된 구멍(2)에 끼워지는 고정핀(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귀걸이본체(4)는 착용시 귀의 전방에 위치되는 전방본체부(6)와, 이에 대응되는 후방 본체부(7)로 분할형성되고, 이 후방본체부(7)의 하단이 상기 전방본체부(6)의 하단에 형성된 힌지결합부(H)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때 상기 고정핀(5)은 상기 전방본체부(6)의 상단부에서 일체로 돌출형성되며, 그 선단부 상단 외주면에는 걸림홈(8)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본체부(7)의 상단 저면에는 상기 걸림홈(8)에 끼워지는 걸림턱(9)이 마련되어 고정핀(5)의 선단부가 후방본체부(7)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고리형 귀걸이를 착용할 때에는, 상기 개방부(3)가 벌어지도록 후방본체부(7)를 하향회동시킨 다음 상기 고정핀(5)을 귓볼(1)에 형성된 구멍(2)에 끼우고, 상기 후방본체부(7)를 다시 상향회동시켜 고정핀(5)의 선단부에 형성된 걸림홈(8)에 후방본체부(7)의 걸림턱(9)이 끼워지도록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고리형 귀걸이의 귀걸이본체(4)는 각각 별체로 제작되는 전방본체부(6)와 후방본체부(7)가 힌지결합되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전방본체부(6)와 후방본체부(7)가 정위치로 정확하게 결합되지 못하면 귀걸이의 전체적인 형상이 찌그러지는 등 제품의 불량이 발생된다.
또한, 이러한 고리형 귀걸이는 착용시 후방본체부(7)에 형성된 걸림턱(9)이 상기 고정핀(5)의 선단부 외주면을 따라 가압되면서 오무려지다가 상기 걸림턱(9)이 고정핀(5)에 형성된 걸림홈(8)에 걸려 고정되기 때문에 귀걸이를 다수회 반복하여 착탈시키면, 상기 걸림턱(9)이 고정핀(5)의 외주면에 의해 마모되어 고정핀(5)의 선단부가 후방본체부(7)에 견고하게 결합되지 못하고 그 결합이 헐거워진다. 따라서 착용자도 모르는 사이에 귀걸이가 귀에서 이탈되어 분실되기도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귀걸이 핀이 견고하게 고정되어 귀걸이를 분실할 우려가 없는 집게장식 귀걸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귀걸이 핀을 2중으로 고정할 수 있는 집게장식 귀걸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고리형상으로 되어 그 일측에는 귓불이 삽입되는 개방부가 형성된 귀걸이 본체; 상기 개방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귀걸이 본체의 일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귓불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지는 귀걸이 핀; 상기 귀걸이 본체의 타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귀걸이 핀의 일단을 고정하는 홀더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홀더 부재는 서로 마주보게 제공되는 한 쌍의 제1집게부와 제2집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집게부와 상기 제2집게부는 상기 귀걸이 핀이 삽입되도록 내면에 반원형의 횡단면을 갖는 핀 삽입부가 구비된 집게몸체와, 상기 집게몸체의 후방으로 손잡이가 형성된 한 쌍의 제1집게부와 제2집게부가 서로 마주보게 제공되고, 상기 손잡이를 잡고 누르면 상기 집게 몸체가 벌어지게 구성되는 집게장식 귀걸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 부재는 상기 귀걸이 본체의 타단부에 고정되는 홀더 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집게부는 상기 홀더 몸체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2집게부는 상기 홀더 몸체에 힌지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 부재는 상기 힌지축에 설치되어 상기 제2집게부의 상기 집게 몸체가 상기 제1집게부의 상기 집게 몸체를 향해 오므려지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집게부의 상기 핀 삽입부와 상기 제2집게부의 상기 핀 삽입부는 닫혀 있을 때 원형의 횡단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귀걸이 핀은 일단에 고정홈을 갖고, 상기 제1집게부의 상기 핀 삽입부와 및 상기 제2집게부의 상기 핀 삽입부는 내측면에 상기 귀걸이 핀의 고정홈에 끼워지는 고정돌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집게부의 상기 집게 몸체와 상기 제2집게부의 상기 집게 몸체는 상기 귀걸이 핀이 상기 핀 삽입부에 삽입될 때 가이드해주는 굴곡진 안내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귀걸이 핀은 활대 모양이 되도록 밴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귀걸이 핀이 홀더 부재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귀걸이를 분실할 우려가 없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귀걸이 핀을 2중으로 고정할 수 있고, 귀걸이 핀의 록킹/언 록킹(locking/unlocking) 작동이 간편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게장식 귀걸이의 정면도이다.
도 2는 귀걸이 핀과 홀더 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홀더 부재의 닫힘 상태를 보여주는 정단면도이다.
도 4는 홀더 부재의 열림 상태를 보여주는 정단면도이다.
도 5와 도 6은 귀걸이 핀이 홀더 부재에 결합되기 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과 도 8은 귀걸이 핀이 홀더 부재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는 종래 고리형 귀걸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집게장식 귀걸이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게장식 귀걸이의 정면도이다. 도 2는 귀걸이 핀과 홀더 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홀더 부재의 닫힘 상태를 보여주는 정단면도이다. 도 4는 홀더 부재의 열림 상태를 보여주는 정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집게장식 귀걸이(10)는 귀걸이 본체(100), 귀걸이 핀(200) 그리고 홀더 부재(300)를 포함한다.
귀걸이 본체(100)는 고리형상으로 되어 그 일측에는 귓불이 위치되는 개방부(101)를 갖는다. 귀걸이 본체(100)는 내부에 중공부를 형성한 금속관으로 이루어진다. 귀걸이 본체(100)는 심미감을 높이기 위해 양단부(102,104)의 직경은 작게 형성하고 중앙으로 갈수록 직경을 크게 형성하였다. 귀걸이 본체(100)의 일단(102)에는 귀걸이 핀(200)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부(110)를 갖는다.
귀걸이 핀(200)은 개방부(101)를 커버하도록 귀걸이 본체(100)의 일단(102)에 형성된 힌지부(1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귀걸이 핀(200)은 귀불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지는 부분으로 귀걸이 본체(100)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집게장식 귀걸이(10)는 피부가 약한 사용자가 착용하는 경우, 귀걸이 핀(200)만 피부 발진(알레르기)이 발생되지 않는 소재(순금이나 금합금)로 교체하여 착용자가 피부 알레르기를 걱정하지 않고도 안심하고 귀걸이를 착용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귀걸이 핀(200)은 일단에 고정홈(210)이 형성된다. 고정홈(210)은 귀걸이 핀(20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고정홈(210)은 귀걸이 핀(200)의 일단이 홀더 부재(300)에 일단에 고정되었을 때 핀 삽입부(314)에 형성된 고정돌기에 끼워진다.
귀걸이 핀(200)은 가운데 부분(202)이 활대 모양이 되도록 밴딩된 형태로 제공된다. 귀걸이 핀(200)의 가운데 부분(202)가 상방향으로 볼록하게 밴딩됨으로써 귀걸이 핀(200)이 귀불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졌을 때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홀더 부재(300)는 귀걸이 본체(100)의 타단부(104)에 설치된다. 홀더 부재(300)는 귀걸이 핀(200)의 일단을 고정한다.
홀더 부재(300)는 서로 마주보게 제공되는 한 쌍의 제1집게부(310)와 제2집게부(320) 그리고 제1집게부(310)와 제2집게부(320)가 제공되는 홀더 몸체(302), 그리고 스프링(330)을 포함한다.
홀더 몸체(302)는 귀걸이 본체(100)의 타단부(104)에 고정된다.
제1집게부(310)는 귀걸이 핀(200)이 삽입되도록 내면에 반원형의 횡단면을 갖는 핀 삽입부(314)가 구비된 제1집게몸체(312)와, 제1집게몸체(312)의 후방으로 제1손잡이(316)를 갖는다. 제1집게부(310)는 홀더 몸체(302)에 일체형으로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집게부(310)가 홀더 몸체(302)와 일체형으로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1집게부(310)는 제2집게부(320)처럼 홀더 몸체(302)에 회동가능하게 제공될 수도 있다.
제2집게부(320)는 귀걸이 핀(200)이 삽입되도록 내면에 반원형의 횡단면을 갖는 핀 삽입부(324)가 구비된 제2집게몸체(322)와, 제2집게몸체(322)의 후방으로 제2손잡이(326)를 갖는다. 제2집게부(320)는 홀더 몸체(302)에 힌지축(328) 결합된다.
제1집게부(310)의 제1집게 몸체(312)와 제2집게부(320)의 제2집게 몸체(322)는 귀걸이 핀(200)이 핀 삽입부(314,324)에 삽입될 때 가이드해주는 곡면진 안내면(313,323)을 갖는다.
홀더 부재(300)는 한 쌍의 제1집게부(310)와 제2집게부(320)가 서로 마주보게 제공되고, 제1,2손잡이(316,326)를 잡고 누르면 제1집게 몸체(312)와 제2집게 몸체(322)가 벌어지게 구성된다.
이 고안에서 주목해야 할 것은 제1집게부(310)와 제2집게부(320)가 서로 맞닿는 제1집게 몸체(312)와 제2집게 몸체(322) 사이에는 핀 삽입부(314,324)들에 의해 거의 원형에 가까운 중공부(원형의 횡단면)가 제공된다는 것이다. 핀 삽입부(314,324)들에 의해 제공되는 원형의 중공부는 귀걸이 핀(200)의 일단이 적절하게 수용될 수 있는 핀 삽입공간의 역할을 하며, 귀걸이 핀(200)이 삽입되었을 때 제1집게 몸체(312)와 제2집게 몸체(322) 사이가 벌어지지 않는 이상 귀걸이 핀(200)의 이탈이 원천 봉쇄된다.
또한, 제1집게부(310)의 핀 삽입부(314)와 제2집게부(320)의 핀 삽입부(324)는 내측면에 귀걸이 핀(200)의 고정홈(210)에 끼워지는 고정돌기(319,329)를 갖는다. 고정돌기(319,329)는 핀 삽입부의 내측면을 따라 돌출된다. 핀 삽입부(314,324)들에 의해 제공되는 원형의 중공부에 삽입된 귀걸이 핀(200)은 고정홈(210)이 고정돌기(319,329)에 끼워짐으로써 2중 잠금상태가 된다.
도 4를 참고하면, 귀걸이 핀을 홀더 부재로부터 언록킹시키기 동작은, 검지와 엄지로 제1손잡이(316)와 제2손잡이(326)를 잡고 누르면 제2손잡이(326)가 눌리면서 제2집게 몸체(322)가 제1집게몸체(312)로부터 벌어지게 되고 그 사이로 귀걸이 핀(200)을 빼내면 된다.
도 5와 도 6은 귀걸이 핀이 홀더 부재에 결합되기 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고, 도 7과 도 8은 귀걸이 핀이 홀더 부재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서 상기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집게장식 귀걸이(10)를 착용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귀걸이 핀(200)을 귓불(1)에 가까운 곳으로 이동시키고, 귀걸이 핀(200)이 귓불에 형성된 구멍(2)을 통과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검지와 엄지로 제1손잡이(316)와 제2손잡이(326)를 잡고 누르면 제2집게 몸체(322)가 제1집게몸체(312)로부터 벌어지게 되고 그 사이로 귀걸이 핀(200)의 일단을 삽입한다. 귀걸이 핀(200)이 핀 삽입부(314,324)들 사이에 위치되면, 제1손잡이(316)와 제2손잡이(326)를 잡고 있던 손가락을 떼면, 스프링(330)에 의해 제2집게부(320)가 회동되면서 제2집게 몸체(322)와 제1집게몸체(312) 사이가 닫히게 되고, 귀걸이 핀(200)의 고정홈(210)에 고정돌기(319,329)에 끼워진다. 이와 같이 되면, 귀걸이 핀(200)은 홀더 부재(300)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견고하게 2중으로 고정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귀걸이 본체 200 : 귀걸이 핀
300 : 홀더 부재 310 : 제1집게부
320 : 제2집게부 330 : 스프링

Claims (8)

  1. 집게장식 귀걸이에 있어서:
    고리형상으로 되어 그 일측에는 귓불이 삽입되는 개방부가 형성된 귀걸이 본체;
    상기 개방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귀걸이 본체의 일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귓불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지는 귀걸이 핀;
    상기 귀걸이 본체의 타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귀걸이 핀의 일단을 고정하는 홀더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홀더 부재는
    서로 마주보게 제공되는 한 쌍의 제1집게부와 제2집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집게부와 상기 제2집게부는
    상기 귀걸이 핀이 삽입되도록 내면에 반원형의 횡단면을 갖는 핀 삽입부가 구비된 집게몸체와, 상기 집게몸체의 후방으로 손잡이가 형성된 한 쌍의 제1집게부와 제2집게부가 서로 마주보게 제공되고, 상기 손잡이를 잡고 누르면 상기 집게 몸체가 벌어지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장식 귀걸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부재는
    상기 귀걸이 본체의 타단부에 고정되는 홀더 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집게부는 상기 홀더 몸체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2집게부는 상기 홀더 몸체에 힌지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장식 귀걸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부재는
    상기 힌지축에 설치되어 상기 제2집게부의 상기 집게 몸체가 상기 제1집게부의 상기 집게 몸체를 향해 오므려지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장식 귀걸이.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집게부의 상기 핀 삽입부와 상기 제2집게부의 상기 핀 삽입부는 닫혀 있을 때 원형의 횡단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장식 귀걸이.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귀걸이 핀은 일단에 고정홈을 갖고,
    상기 제1집게부의 상기 핀 삽입부와 상기 제2집게부의 상기 핀 삽입부는 내측면에 상기 귀걸이 핀의 고정홈에 끼워지는 고정돌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장식 귀걸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은 상기 귀걸이 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핀 삽입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장식 귀걸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집게부의 상기 집게 몸체와 상기 제2집게부의 상기 집게 몸체는 상기 귀걸이 핀이 상기 핀 삽입부에 삽입될 때 가이드해주는 굴곡진 안내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장식 귀걸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귀걸이 핀은 활대 모양이 되도록 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장식 귀걸이.
KR2020120004685U 2012-06-04 2012-06-04 집게장식 귀걸이 KR2004684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685U KR200468401Y1 (ko) 2012-06-04 2012-06-04 집게장식 귀걸이
US13/543,136 US8833103B2 (en) 2012-06-04 2012-07-06 Hoop earring loc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685U KR200468401Y1 (ko) 2012-06-04 2012-06-04 집게장식 귀걸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8401Y1 true KR200468401Y1 (ko) 2013-08-12

Family

ID=49668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685U KR200468401Y1 (ko) 2012-06-04 2012-06-04 집게장식 귀걸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833103B2 (ko)
KR (1) KR20046840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6399A (ko) * 2018-09-28 2020-04-07 오윤환 귀걸이 고정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19134304A (ru) * 2017-05-03 2021-06-03 ДжейСиПи Системе ЛТД Застежка для ювелирного изделия
USD935341S1 (en) * 2021-02-03 2021-11-09 Yin Li Earr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1088Y1 (ko) 2006-09-04 2006-11-14 김미숙 귀걸이
KR200431089Y1 (ko) 2006-09-04 2006-11-14 김미숙 귀걸이용 펜던트 연결고리 결합구조
KR200443096Y1 (ko) 2007-09-11 2009-01-09 송승종 한 손으로 체결가능한 귀걸이
KR101071385B1 (ko) 2008-12-15 2011-10-07 백경학 귀걸이 및 그의 록킹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2513A (en) * 1885-07-21 Door-check
US336714A (en) * 1886-02-23 Humphrey harrington
US394685A (en) * 1888-12-18 Latch
US540801A (en) * 1895-06-11 Glove or corset fastening device
US1209369A (en) * 1916-01-31 1916-12-19 Bert Benson Wood Snap.
US1397237A (en) * 1921-05-23 1921-11-15 Schenk Edouard Manually-operated safety coupling device
US2234853A (en) * 1940-04-24 1941-03-11 John T Brueggeman Snap hook
US3208239A (en) * 1963-04-29 1965-09-28 Pintarelli Ralph Pierced earring
US3789467A (en) * 1971-03-01 1974-02-05 Honda Motor Co Ltd Helmet chin strap
US3956804A (en) * 1974-12-12 1976-05-18 Monet Jewelers, Inc. Clasp mechanism
US4003217A (en) * 1976-06-03 1977-01-18 E. A. Adams & Son, Inc. Earring construction
US4372131A (en) * 1981-07-17 1983-02-08 Robert Musillo Earring with latch member
US4578844A (en) * 1984-08-13 1986-04-01 Gelula Jerome D Coupling system
US4711003A (en) * 1984-08-13 1987-12-08 Gelula Jerome D Coupling system
US4924562A (en) * 1985-07-29 1990-05-15 Pogharian Mardig V Jewelry clasp
USD339310S (en) * 1991-04-12 1993-09-14 Andin International, Inc. Earring
US5761928A (en) * 1996-11-22 1998-06-09 Jacmel Jewelry Inc. Hoop earring
USD393812S (en) * 1996-11-22 1998-04-28 Jacmel Jewelry Inc. Hoop earring
GB9817220D0 (en) * 1998-08-07 1998-10-07 Abbeycrest Plc Hinge constructions,especially for items of jewellery
US6508080B1 (en) * 2000-05-10 2003-01-21 Seberupico Corporation Clasp for jewelry and accessory
US6796990B2 (en) * 2000-10-17 2004-09-28 Vladimir Reil Ear piercing systems with hinged hoop earrings
US7121118B2 (en) * 2004-08-19 2006-10-17 Zoltan David Hoop earring and enhancer mechanism
KR101147189B1 (ko) * 2008-11-15 2012-05-25 백경학 귀걸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1088Y1 (ko) 2006-09-04 2006-11-14 김미숙 귀걸이
KR200431089Y1 (ko) 2006-09-04 2006-11-14 김미숙 귀걸이용 펜던트 연결고리 결합구조
KR200443096Y1 (ko) 2007-09-11 2009-01-09 송승종 한 손으로 체결가능한 귀걸이
KR101071385B1 (ko) 2008-12-15 2011-10-07 백경학 귀걸이 및 그의 록킹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6399A (ko) * 2018-09-28 2020-04-07 오윤환 귀걸이 고정구
KR102108991B1 (ko) * 2018-09-28 2020-05-11 오윤환 귀걸이 고정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319044A1 (en) 2013-12-05
US8833103B2 (en) 2014-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8401Y1 (ko) 집게장식 귀걸이
US20120180523A1 (en) Adjustable jewelry shank
JP4990880B2 (ja) セルフロック連結装置
JP6727995B2 (ja) 装身具
KR20130006622U (ko) 핀형 귀걸이
KR101390779B1 (ko) 프리사이즈 장신구
KR200431089Y1 (ko) 귀걸이용 펜던트 연결고리 결합구조
KR101991792B1 (ko) 장신구의 체결장치
KR200497890Y1 (ko) 귀찌형 귀걸이
CH713211A1 (fr) Brin de bracelet interchangeable pour montre-bracelet.
JP5137114B2 (ja) 補聴器
US2516652A (en) Earring construction
KR200377572Y1 (ko) 귀고리
US11206902B2 (en) Earring set
KR102108991B1 (ko) 귀걸이 고정구
KR102637447B1 (ko) 스냅단추 구조를 이용해 장식을 탈착할 수 있는 펜던트
CN211961132U (zh) 一种项链饰品
CN210445921U (zh) 一种交错扣合手镯
KR200276913Y1 (ko) 귀고리
KR101202235B1 (ko) 귀걸이 체결구조
KR200483175Y1 (ko) 악세사리
JP2017148123A (ja) 耳用装身具
KR200446328Y1 (ko) 귀걸이의 체결구조
KR20090013200U (ko) 귀걸이
KR20240000140U (ko) 침형 귀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