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0140U - 침형 귀찌 - Google Patents

침형 귀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0140U
KR20240000140U KR2020220001736U KR20220001736U KR20240000140U KR 20240000140 U KR20240000140 U KR 20240000140U KR 2020220001736 U KR2020220001736 U KR 2020220001736U KR 20220001736 U KR20220001736 U KR 20220001736U KR 20240000140 U KR20240000140 U KR 2024000014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ring
earlobe
needle
touch
earr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17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8400Y1 (ko
Inventor
장원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에스리테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에스리테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에스리테일
Priority to KR20202200017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8400Y1/ko
Publication of KR202400001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1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84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84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 A44C7/004Ear-clips
    • A44C7/007Ear-clips with an ear gripping member mounted, e.g. pivotably, at the upper end of a back arm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귓불을 뚫지 않고도 누구나 일반적인 침형 귀걸이를 손쉽게 착용할 수 있도록 구현된 침형 귀찌에 관한 것으로, 불을 삽입하기 위한 귓불 삽입부; 상기 귓불 삽입부의 전부에 형성되어, 귀걸이를 삽입하기 위한 귀걸이 삽입부; 및 상기 귓불 삽입부의 후부에 형성되어, 상기 귓불 삽입부를 귓불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침형 귀찌 {Clip-on earring for piercing needle}
본 고안은 침형 귀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귓불을 뚫지 않고도 누구나 일반적인 침형 귀걸이를 손쉽게 착용할 수 있도록 구현된 침형 귀찌에 관한 것이다.
귀걸이는 귀에 거는 장신구로, 착용법에 따라 크게 귓불을 뚫어서 착용하는 침형 귀걸이와 귓불을 뚫지 않고 착용하는 귀찌로 나누어진다.
여기서, 귀찌는 귓불에 끼는 금, 은, 백금, 구리 따위로 만든 고리 모양의 장식품으로, 귓불을 뚫지 않고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해 착용 가능한 것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09671호(2007.04.13 등록)는 귀찌형 귀고리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기재된 기술에 따르면, 양단이 서로 마주보는 고리형 귀고리 몸체와, 상기 귀고리 몸체의 일단에 형성된 반원형 통공과, 상기 통공 내에 삽입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 끝에 탄지되어 귀고리 몸체의 타단에 접촉되는 반원형 핀으로 이루어지는 귀찌형 귀고리에 있어서, 상기 귀고리 몸체는 복수개의 합성수지 판체가 접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합성수지 판체 중 적어도 한개 이상에는 반원형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52616호(2006.02.09 등록)는 귀고리용 클립의 구조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기재된 기술에 따르면, 텐션잠금구와 귀고리용 클립으로 결합 구성된 귀고리에 있어서, 상기 귀고리용 클립은 고리가 중앙지점과 힌지축 사이에 위치하도록 절단 가공시켜 텐션잠금구와 결합되어 착용시 상기 고리가 하부중앙으로 위치하여 수직하방에 위치하도록 밴딩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귀찌는, 장식구가 일체로 제작되거나 고정 형성되기 때문에 다양한 디자인의 장식으로 교체하여 착용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의 헤어스타일이나 얼굴 생김새에 어울릴 수 있도록 착용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귀찌를 구비해야 하여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귀걸이는 귀찌형 귀걸이 보다는 침형 귀걸이로 대부분 제작되어 판매되기 때문에 귓불을 뚫지 않은 사람은 선택의 폭이 좁고 침형 귀걸이를 구입한 후 별도로 귀찌로 변경해야하는 작업을 거쳐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귓불은 사람마다 그 두께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종래의 귀찌를 착용할 때 귓불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 귓불을 죄어서 통증을 유발하거나, 반대로 귓불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 귀찌가 흔들리거나 쉽게 빠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09671호 한국등록특허 제10-0552616호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귓불을 뚫지 않고도 누구나 일반적인 침형 귀걸이를 손쉽게 착용할 수 있도록 구현된 침형 귀찌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귓불을 삽입하기 위한 귓불 삽입부; 상기 귓불 삽입부의 전부에 형성되어, 귀걸이를 삽입하기 위한 귀걸이 삽입부; 및 상기 귓불 삽입부의 후부에 형성되어, 상기 귓불 삽입부를 귓불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는 침형 귀찌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귓불 삽입부는, 귓불의 앞쪽을 지지하기 위한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제1 지지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귓불의 뒤쪽을 지지하기 위한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귀걸이 삽입부는, 상기 귓불 삽입부의 전부에 형성되며, 하부가 개방된 관 형태로 이루어져 귀걸이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관부재; 및 상기 삽입관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관부재에 삽입되는 귀걸이를 고정하기 위한 귀걸이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귀걸이 고정부재는, 상기 삽입관부재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귀걸이 고정부재는, ‘V’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후부가 상기 삽입관부재의 내면에 결합되고, 전부가 귀걸이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체; 및 하부가 상기 삽입관부재의 전부에 결합되고, 상부가 사용자의 누름에 의해 상기 가압체의 전부를 눌러주어 귀걸이에 가해지는 가압을 해제시키기 위한 누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가압체는, 전면에 형성되어, 귀걸이가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귓불 삽입부의 후부에 형성되는 본체부재; 상기 본체부재에 형성되어, 원터치 조작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원터치 이동부재; 및 상기 원터치 이동부재의 전단에 형성되어, 귓불의 뒤쪽에 밀착되는 밀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원터치 이동부재는, 상기 본체부재의 내부에 결합되며, 관통홀이 구비된 몸체; 후부가 상기 관통홀의 전부에 삽입되며,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체; 후부가 상기 관통홀의 후부로 노출되고 전부가 상기 관통홀의 후부에 삽입되며, 원터치 조작에 의해 상기 관통홀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이동체를 밀어주기 위한 원터치 누름체; 상기 원터치 누름체의 전단에 형성되는 제1 톱니; 상기 이동체의 후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톱니와 접촉하여 상기 원터치 누름체에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한 제2 톱니; 상기 원터치 누름체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걸림돌기; 상기 관통홀의 후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를 가이드하기 위한 복수개의 가이드홈; 상기 가이드홈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를 걸어주기 위한 복수개의 걸림턱; 및 상기 관통홀의 전부와 상기 원터치 누름체의 전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원터치 누름체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본체부재의 내면에 형성되는 제1 나사산; 및 상기 몸체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나사산과 결합되는 제2 나사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귓불을 뚫지 않고도 누구나 일반적인 침형 귀걸이를 손쉽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염증, 알레르기 반응 등 인체에 미치는 각종 부작용을 방지하고, 착용시 종래 침형 귀걸이의 착용 형상과 거의 똑같은 형상을 갖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귀걸이의 삽입 또는 분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귀걸이를 다른 것으로 교체하여 다양한 개성을 연출할 수 있으며, 다수의 침형 귀찌를 구입하지 않고 이미 가지고 있는 침형 귀걸이를 번갈아가면서 착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귀걸이를 하부로 삽입할 수 있도록 하여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침형 귀찌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에 있는 귀걸이 고정부재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4 내지 도 6에 있는 가압체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있는 고정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도 8에 있는 원터치 이동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2는 도 1에 있는 고정부를 또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에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를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침형 귀찌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침형 귀찌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침형 귀찌는, 귓불 삽입부(100), 귀걸이 삽입부(200), 고정부(300)를 포함한다.
귓불 삽입부(100)는, 사용자의 귓불을 삽입하며, 고정부(300)에 의해 귓불에 고정된다.
일 실시 예에서, 귓불 삽입부(100)는, ‘U’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개방된 부분을 통해 귓불을 삽입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귓불 삽입부(100)는, 금, 은 등 다양한 재질 및 색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귓불 삽입부(100)는, 제1 지지부재(110), 제2 지지부재(1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지지부재(110)는, 전부가 귓불의 앞쪽을 지지하며, 후부에 제2 지지부재(12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지지부재(110)는, 후부 양측으로 고정편이 돌출 형성되며, 그 고정편에 제2 지지부재(120)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120)는, 하부가 제1 지지부재(110)의 후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부가 귓불의 뒤쪽을 지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지지부재(120)는, 하부 양측에 힌지공이 구비되며, 힌지공이 제1 지지부재(110)의 고정편에 끼움 결합되어, 고정편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지지부재(120)는, 전면에 판스프링이 구비되어, 제1 지지부재(110)의 다른 일단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탄성에 의해 쉽게 열리거나 닫히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침형 귀찌(10)를 착용할 때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지지부재(120)를 후방으로 회동시켜 제1 지지부재(110)와 제2 지지부재(120) 사이를 벌린 다음 사용자의 귓불에 위치시키고 다시 제2 지지부재(120)를 전방으로 회동시켜 사용자의 귓불을 삽입하여 지지하도록 하며, 침형 귀찌(10)를 분리할 때에는 전술한 순서의 역순으로 하여 분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지지부재(120)는, 상부에 고정부(300)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홀이 구비될 수 있다.
귀걸이 삽입부(200)는, 귓불 삽입부(100)의 전부에 형성되어, 일반적인 침형 귀걸이의 침 부분을 삽입한다.
일 실시 예에서, 귀걸이 삽입부(200)는, 삽입관부재(210), 귀걸이 고정부재(2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삽입관부재(210)는, 귓불 삽입부(100)의 전부에 형성되며, 하부가 개방된 관 형태로 이루어져 귀걸이의 침을 삽입한다.
일 실시 예에서, 삽입관부재(210)는, 상단에는 귀걸이의 침이 긴 경우에 관통할 수 있도록 귀걸이 관통홀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삽입관부재(210)는, 제1 지지부재(110)의 전면에 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귀걸이 고정부재(220)는, 삽입관부재(210)에 형성되어, 삽입관부재(210)에 삽입되는 귀걸이를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귀걸이 고정부재(220)는, 점착성질을 가지는 점착성 고무 실리콘으로, 삽입관부재(21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중앙에 관통공이 구비되어 귀걸이의 침 두께에 관계없이 완전히 밀착되어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점착성 고무 실리콘은 먼지 등 이물질이 많이 흡착되면 물로 씻어내고 재사용할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으로 인하여 점착력을 잃게 되면 새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정부(300)는, 귓불 삽입부(100)의 후부에 형성되어, 귓불 삽입부(200)를 귓불에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300)는, 이동부재(310), 손잡이부재(320), 밀착부재(3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동부재(310)는, 귓불 삽입부(100)의 후부에 삽입되며, 회전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일 실시 예에서, 이동부재(310)는, 제2 지지부재(120)의 상부에 구비된 삽입홀에 삽입될 수 있으며,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손잡이부재(320)는, 이동부재(310)의 후단에 형성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회전시켜 이동부재(32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밀착부재(330)는, 이동부재(310)의 전단에 형성되며, 사용자가 손잡이부재(320)를 잡고 회전시키면 이동부재(310)가 이동함에 따라 귓불의 뒤쪽에 밀착 고정된다.
일 실시 예에서, 밀착부재(330)는, 전면이 둥글게 형성되어, 귓불에 밀착시 착용감을 좋게 하고 통증을 유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밀착부재(330)는, 전면에 실리콘, 고무 등의 미끄럼방지부재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귓불로부터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통증을 유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침형 귀찌는, 귓불을 뚫지 않고도 누구나 일반적인 침형 귀걸이를 손쉽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염증, 알레르기 반응 등 인체에 미치는 각종 부작용을 방지하고, 착용시 종래 침형 귀걸이의 착용 형상과 거의 똑같은 형상을 갖도록 한다.
또한, 귀걸이를 귀걸이 삽입부(200)에 삽입 또는 분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귀걸이를 다른 것으로 교체하여 다양한 개성을 연출할 수 있으며, 다수의 귀찌를 구입하지 않고 이미 가지고 있는 침형 귀걸이를 번갈아가면서 착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귀걸이를 삽입관부재(210)의 하부로 삽입하여 귀걸이가 사용자의 귓불에서 하부 방향으로 바로 떨어지는 상태로 장식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귀걸이가 귓불에서 뜨거나 위치가 이상하게 잡히는 것을 방지하고 모양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하여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동부재(31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사용자의 귓불 두께에 따라 적절하게 밀착 고정되어, 통증을 유발하거나 쉽게 빠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에 있는 귀걸이 고정부재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귀걸이 고정부재(220)는, 가압체(221), 누름체(222)를 포함한다.
가압체(221)는, ‘V’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후부가 삽입관부재(210)의 내면에 결합되고, 전부가 귀걸이를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가압체(221)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예를 들어, 금속, 합성수지 등)로 형성되어, 귀걸이의 침 부분을 탄성적으로 눌러 고정시킬 수 있다.
즉, 귀걸이가 삽입관부재(210)의 내부로 삽입되는 경우 가압체(221)의 탄성에 의해 삽입관부재(210)의 내벽으로 밀려 가압 고정되는 것이다.
누름체(222)는, 하부가 삽입관부재(210)의 전부에 결합되고, 상부가 사용자의 누름에 의해 가압체(221)의 전부를 눌러주어 귀걸이에 가해지는 가압을 해제시킨다. 그러면 가압체(221)에 의해 고정되어 있던 귀걸이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누름체(222)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예를 들어, 금속, 합성수지 등)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누름체(22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가압체(221)의 전부를 눌러줄 수 있는 누름돌기가 구비될 수 있으며, 누름돌기가 가압체(221)의 전부를 눌러줌으로써 삽입관부재(210)의 내부 공간을 개방시킬 수 있다.
이때, 삽입관부재(210)는, 전부에 누름돌기를 관통시키기 위한 홀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침형 귀찌는, 귀걸이의 고정력을 더욱 강화하여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귀걸이의 교체 작업이 매우 편리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도 4 내지 도 6에 있는 가압체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가압체(221)는, 미끄럼방지수단(221a)을 포함한다.
미끄럼방지수단(221a)은, 가압체(221)의 전면에 형성되어, 귀걸이가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미끄럼방지수단(221a)은, 복수개의 반구형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미끄럼방지수단(221a)은, 실리콘 등의 고마찰력 재질로 가압체(221)의 전면에 코팅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침형 귀찌는, 미끄럼방지수단(221a)을 통해 가압체(221)에 의해 고정된 귀걸이가 사용자의 움직임이나 외력에 의해 미끄러지거나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있는 고정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고정부(300)는, 본체부재(340), 원터치 이동부재(350), 밀착부재(36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부재(340)는, 귓불 삽입부(100)의 후부 상단에 형성된다.
원터치 이동부재(350)는, 본체부재(340)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원터치 조작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일 실시 예에서, 원터치 이동부재(350)는, 원터치식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조는 도 9 내지 도 10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원터치 이동부재(350)는, 본체부재(340)의 내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밀착부재(360)는, 원터치 이동부재(350)의 전단에 형성되어, 귓불의 뒤쪽에 밀착된다.
즉, 사용자가 원터치 이동부재(350)를 한번 누르면 전방으로 이동하여 밀착부재(360)가 귓불의 뒤쪽에 밀착 고정되며, 사용자가 원터치 이동부재(350)를 다시 한번 누르면 후방으로 이동하여 밀착부재(360)가 귓불에서 분리된다.
일 실시 예에서, 밀착부재(350)는, 전면이 둥글게 형성되어, 귓불에 밀착시 착용감을 좋게 하고 통증을 유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밀착부재(350)는, 전면에 실리콘, 고무 등의 미끄럼방지부재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귓불로부터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장시간 착용하더라도 통증을 유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침형 귀찌는, 나사를 회전시켜 밀착부재(360)를 귓불에 밀착시키는 것이 아니고, 한번의 누름 방식으로 쉽고 빠르게 밀착부재(360)가 귓불에 밀착 또는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대폭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귓불 삽입부(100)를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재(110)와 제2 지지부재(12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로 형성하지 않고, ‘U’자 형태로 형성하더라도 귓불을 바로 삽입하고 원터치식으로 쉽게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9 내지 도 10은 도 8에 있는 원터치 이동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원터치 이동부재(350)는, 몸체(351), 이동체(352), 원터치 누름체(353), 제1 톱니(354), 제2 톱니(355), 걸림돌기(356), 가이드홈(357), 걸림턱(358), 탄성체(359)를 포함한다.
몸체(351)는, 본체부재(340)의 내부에 결합되며, 중앙에 관통홀(351a)이 구비된다.
이동체(352)는, 후부가 관통홀(351a)의 전부에 삽입되며,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원터치 누름체(353)는, 후부가 관통홀(351a)의 후부로 노출되고 전부가 관통홀(351a)의 후부에 삽입되며, 사용자의 원터치 누름 조작에 의해 관통홀(351a)을 따라 이동하면서 이동체(352)를 밀어준다.
제1 톱니(354)는, 원터치 누름체(353)의 전단에 형성되며, 이동체(352)가 관통홀(351a)을 따라 이동시 제2 톱니(355)와 접촉된다.
제2 톱니(355)는, 이동체(352)의 후단에 형성되며, 제1 톱니(354)와 접촉하여 원터치 누름체(353)에 회전력을 부여한다.
걸림돌기(356)는, 원터치 누름체(353)의 측면에 복수개로 돌출 형성되며,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형성된다.
가이드홈(357)은, 관통홀(351a)의 후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형성되며, 걸림돌기(356)를 가이드한다.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홈(357)은, 걸림돌기(356)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 형성되며, 관통홀(351a)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걸림돌기(356)를 전후 방향으로 가이드해줄 수 있다.
걸림턱(358)은, 가이드홈(357)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걸림돌기(356)를 걸어준다.
탄성체(359)는, 관통홀(351a)의 전부와 원터치 누름체(353)의 전부 사이에 형성되어, 원터치 누름체(353)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탄성체(359)는, 원터치 누름체(353)를 눌러 전부로 이동시키면 탄성 압축되며, 다시 원터치 누름체(353)를 누르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터치 누름체(353)를 제자리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침형 귀찌는, 사용자가 원터치 누름체(353)를 누르면 도 10과 같이 원터치 누름체(353)가 관통홀(351a)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고 탄성체(359)는 압축되며, 이동체(352)는 원터치 누름체(353)에 밀려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걸림돌기(356)는 가이드홈(357)을 따라 이동하면서 가이드홈(357)을 벗어나게 되고, 원터치 누름체(353)의 전단에 구비된 제1 톱니(354)와 이동체(352)의 후단에 설치된 제2 톱니(355)가 접촉하게 되는데, 이때, 제1 톱니(354)와 제2 톱니(355)가 맞물려 들어가면서 원터치 누름체(353)가 회전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원터치 누름체(353)에서 손을 떼면, 탄성체(359)의 복원력에 의해 원터치 누름체(353)가 후부로 이동하면서 걸림돌기(356)가 걸림턱(358)에 걸리게 되고, 이에 따라 원터치 누름체(353)의 이동이 저지되어, 이동체(352)가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사용자가 원터치 누름체(353)를 다시 누르면, 제1 톱니(354)와 제2 톱니(355)가 서로 맞물려 원터치 누름체(353)가 회전하면서 걸림돌기(356)가 가이드홈(357) 쪽에 위치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을 떼면 탄성체(359)의 복원력에 의해 걸림돌기(356)가 가이드홈(357)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원터치 누름체(353)도 함께 후방으로 이동하여 도 9와 같이 원위치로 복귀함으로써, 이동체(352)도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2는 도 1에 있는 고정부를 또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고정부(300)는, 제1 나사산(370), 제2 나사산(380)을 더 포함한다.
제1 나사산(370)은, 본체부재(340)의 내면에 형성된다.
제2 나사산(380)은, 몸체(351)의 외면에 형성되어, 제1 나사산(370)과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침형 귀찌는, 제1 나사산(370)과 제2 나사산(380)이 치합되어 본체부재(340)와 몸체(351)를 결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몸체(351)를 잡고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11과 같이 몸체(351)가 후방으로 이동하고 몸체(351)를 잡고 다른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12와 같이 몸체(351)가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귓불 두께에 따라 몸체(351)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에 원터치 방식으로 밀착부재(360)가 사용자의 귓불에 밀착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통증을 유발하거나 사용자의 귓불로부터 쉽게 빠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귓불 삽입부
110 : 제1 지지부재
120 : 제2 지지부재
200 : 귀걸이 삽입부
210 : 삽입관부재
220 : 귀걸이 고정부재
221 : 가압체
221a : 미끄럼방지수단
222 : 누름체
300 : 고정부
310 : 이동부재
320 : 손잡이부재
330, 360 : 밀착부재
340 : 본체부재
350 : 원터치 이동부재
351 : 몸체
351a : 관통홀
352 : 이동체
353 : 원터치 누름체
354 : 제1 톱니
355 : 제2 톱니
356 : 걸림돌기
357 : 가이드홈
358 : 걸림턱
359 : 탄성체
370 : 제1 나사산
380 : 제2 나사산

Claims (5)

  1. 귓불을 삽입하기 위한 귓불 삽입부(100);
    상기 귓불 삽입부(100)의 전부에 형성되어, 귀걸이를 삽입하기 위한 귀걸이 삽입부(200); 및
    상기 귓불 삽입부(100)의 후부에 형성되어, 상기 귓불 삽입부(100)를 귓불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300)를 포함하는 침형 귀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귓불 삽입부(100)는,
    귓불의 앞쪽을 지지하기 위한 제1 지지부재(110); 및
    상기 제1 지지부재(1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귓불의 뒤쪽을 지지하기 위한 제2 지지부재(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형 귀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귀걸이 삽입부(200)는,
    상기 귓불 삽입부(100)의 전부에 형성되며, 하부가 개방된 관 형태로 이루어져 귀걸이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관부재(210); 및
    상기 삽입관부재(210)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관부재(210)에 삽입되는 귀걸이를 고정하기 위한 귀걸이 고정부재(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형 귀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귀걸이 고정부재(220)는,
    상기 삽입관부재(21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형 귀찌.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귀걸이 고정부재(220)는,
    ‘V’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후부가 상기 삽입관부재(210)의 내면에 결합되고, 전부가 귀걸이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체(221); 및
    하부가 상기 삽입관부재(210)의 전부에 결합되고, 상부가 사용자의 누름에 의해 상기 가압체(221)의 전부를 눌러주어 귀걸이에 가해지는 가압을 해제시키기 위한 누름체(2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형 귀찌.
KR2020220001736U 2022-07-15 2022-07-15 침형 귀찌 KR2004984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736U KR200498400Y1 (ko) 2022-07-15 2022-07-15 침형 귀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736U KR200498400Y1 (ko) 2022-07-15 2022-07-15 침형 귀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140U true KR20240000140U (ko) 2024-01-23
KR200498400Y1 KR200498400Y1 (ko) 2024-10-04

Family

ID=89713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1736U KR200498400Y1 (ko) 2022-07-15 2022-07-15 침형 귀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8400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8709U (ja) * 1993-01-28 1994-08-16 株式会社ヒラテ 耳飾り及び耳飾り用ブラ
KR100552616B1 (ko) 2004-07-21 2006-02-21 김유곤 귀고리용 클립의 구조
KR100709671B1 (ko) 2005-02-03 2007-04-19 이원우 귀찌형 귀고리
KR20210000747U (ko) * 2019-09-26 2021-04-05 주식회사 페어코스트 침형 귀찌
KR102258284B1 (ko) * 2020-08-18 2021-05-28 윤형욱 탈착형 네일 악세서리 모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8709U (ja) * 1993-01-28 1994-08-16 株式会社ヒラテ 耳飾り及び耳飾り用ブラ
KR100552616B1 (ko) 2004-07-21 2006-02-21 김유곤 귀고리용 클립의 구조
KR100709671B1 (ko) 2005-02-03 2007-04-19 이원우 귀찌형 귀고리
KR20210000747U (ko) * 2019-09-26 2021-04-05 주식회사 페어코스트 침형 귀찌
KR102258284B1 (ko) * 2020-08-18 2021-05-28 윤형욱 탈착형 네일 악세서리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8400Y1 (ko) 2024-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13675B2 (en) Smooth backed pierced earring
US7343760B2 (en) Body jewelry
KR20210000747U (ko) 침형 귀찌
US3698044A (en) Clutch mechanism for jewelry pin
KR20240000140U (ko) 침형 귀찌
KR102249344B1 (ko) 귀찌형 귀걸이
US20230059895A1 (en) Adjuster for changing a length of a jewelry string loop
KR20130006622U (ko) 핀형 귀걸이
KR200468401Y1 (ko) 집게장식 귀걸이
JPH0810017A (ja) 装身用ピアス
EP2838397A1 (en) Clutch for precious metal earrings
JP5419227B2 (ja) 止め具、止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装身具
KR200492406Y1 (ko) 귀걸이 장신구
US20100024479A1 (en) Fastener for securing jewelry item
JPH0727855Y2 (ja) ピアスとそのキャッチ
JP2001017212A (ja) イヤリング用止金具
KR200472032Y1 (ko) 귀고리 핀고정부재 구조
KR20130028918A (ko) 바디 피어싱 장비용 포스트 캐리어
JP2001061519A (ja) 耳飾り
JP2010172417A (ja) イヤリング
JP3099242U (ja) ピアス兼用イヤリング
KR101202235B1 (ko) 귀걸이 체결구조
KR20130012582A (ko) 바디 피어싱 장비용 너트 캐리어
JP3115496U (ja) ピアスイヤリング
JP2002336014A (ja) 耳飾りの止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