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6399A - 귀걸이 고정구 - Google Patents

귀걸이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6399A
KR20200036399A KR1020180116000A KR20180116000A KR20200036399A KR 20200036399 A KR20200036399 A KR 20200036399A KR 1020180116000 A KR1020180116000 A KR 1020180116000A KR 20180116000 A KR20180116000 A KR 20180116000A KR 20200036399 A KR20200036399 A KR 20200036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ring
pin
tip
spring
pi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6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8991B1 (ko
Inventor
오윤환
Original Assignee
오윤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윤환 filed Critical 오윤환
Priority to KR1020180116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8991B1/ko
Publication of KR20200036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6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 A44C7/003Ear-studs or their catch device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귀걸이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귀걸이 고정핀에 신속 간편하게 결합되면서 결합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됨에 따라 귀금속의 귀걸이가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귀걸이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귀걸이 고정구는, 중앙이 힌지 결합되어 집게 형태로 구비되는 제1 몸체 및 제2 몸체로 이루어지며, 스프링의 양단이 제1 몸체와 제2 몸체에 연결되어 제1 몸체와 제2 몸체의 선단이 밀착되도록 하되, 제1 몸체는 선단에 핀공이 형성되고, 제2 몸체의 내측면에는 핀공으로 삽입된 고정핀의 요홈에 걸림되는 걸림턱을 핀공 방향으로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 고정구는 신속 간편하게 체결 가능토록 하면서 체결된 상태를 견고히 유지하여 탈착되지 않아 귀걸이의 분실을 방지하고 단순히 파지부를 누르는 방법에 의해 걸림 상태가 해지되므로 매우 손쉽게 탈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귀걸이 고정구{A DEVICE FOR FIXING EAR RING}
본 발명은 귀걸이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귀걸이 고정핀에 신속 간편하게 결합되면서 결합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됨에 따라 귀금속의 귀걸이가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귀걸이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귀걸이는 나사 결합되는 버튼이어링과 모빌형상의 모빌이어링, 커다란 링형의 슬레이브 이어링 등이 있으며, 탭(나사산) 및 스프링과 같은 체결을 할 수 있는 각종 체결소자들을 이용하는 방식 등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 분실의 위험이 있고, 변형 및 파손될 우려가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5243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귀걸이의 장식핀과 귓볼 뒤에 위치하는 고정구를 나사결합을 이용하여 체결하는 방법이 있었으나, 사용자가 귀걸이를 착용하는 과정에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제작상에서도 암,수 나사의 탭을 내는 공정이 추가되므로, 사용자에게도 비용적인 부담으로 다가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다급하게 귀걸이를 장착 또는 탈착할 때에는 빠르게 당기거나 밀면서 회전시키게 되어 결국 나사산의 마모로 인해 파손된다. 나사산이 파손된 귀걸이는 체결력을 상실하기 때문에 결국 탈착되어 고가의 귀걸이를 분실하게 된다.
KR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5243호(2003.06.02) KR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7499호(2015.06.10)
이에,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신속 간편하게 체결 가능토록 하면서 체결된 상태를 견고히 유지하여 탈착되지 않아 귀걸이의 분실을 방지하고 탈착 또한 손쉽게 이루어지는 귀걸이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 고정구는,
중앙이 힌지 결합되어 집게 형태로 구비되는 제1 몸체 및 제2 몸체로 이루어지며, 스프링의 양단이 제1 몸체와 제2 몸체에 연결되어 제1 몸체와 제2 몸체의 선단이 밀착되도록 하되, 제1 몸체는 선단에 핀공이 형성되고, 제2 몸체의 내측면에는 핀공으로 삽입된 고정핀의 요홈에 걸림되는 걸림턱을 핀공 방향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몸체 및 제2 몸체는 절곡 또는 만곡지게 형성된 기둥부; 수평의 축공이 관통 형성되며 기둥부의 중앙에 구비되는 축받이; 기둥부의 후단에 구비되는 파지부; 기둥부의 선단에 구비되는 반원형의 밀착부; 로 구성되며,
제1 몸체는 밀착부의 중앙에 핀공이 형성된 핀 수용부가 형성되면서 기둥부에 핀공으로부터 연장되는 안내홈이 형성되고, 제2 몸체는 밀착부의 중앙에 핀 수용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은 다단 절곡되어 일단이 개방된 'ㅁ' 모양으로 형성하되, 개방된 단부는 평행하게 구비되며,
제1 몸체 및 제2 몸체의 기둥부 선단에 스프링의 양단이 각각 삽입되는 삽입공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몸체 및 제2 몸체의 밀착부는 선단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고깔 형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턱은 선단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삽입되는 고정핀에 의해 제1 몸체 및 제2 몸체의 선단이 벌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몸체 또는 제2 몸체는 참을 고정할 수 있는 장착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 고정구는 신속 간편하게 체결 가능토록 하면서 체결된 상태를 견고히 유지하여 탈착되지 않아 귀걸이의 분실을 방지하고 단순히 파지부를 누르는 방법에 의해 걸림 상태가 해지되므로 매우 손쉽게 탈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걸림턱 선단에 경사면이 형성됨에 따라 삽입되는 고정핀에 의해 제1 몸체 및 제2 몸체의 선단이 자동으로 벌어지므로 별로도 벌리는 작업이 필요치 않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 고정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 고정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 고정구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 고정구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 고정구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 고정구에 고정핀이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귀걸이 고정구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 고정구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 고정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귀걸이 고정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귀걸이 고정구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귀걸이 고정구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귀걸이 고정구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귀걸이 고정구에 고정핀이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 고정구(100)는 중앙이 힌지(H) 결합되어 집게 형태로 구비되는 제1 몸체(10) 및 제2 몸체(20)로 이루어지며, 스프링(30)의 양단이 제1 몸체(10)와 제2 몸체(20)에 연결되어 제1 몸체(10)와 제2 몸체(20)의 선단이 밀착되도록 하되, 제1 몸체(10)는 선단에 핀공(16)이 형성되고, 제2 몸체(20)의 내측면에는 핀공(16)으로 삽입된 귀걸이의 고정핀(1) 요홈(2)에 걸림되는 걸림턱(26)을 제1 몸체(10) 방향으로 형성한다.
상기 제1 몸체(10) 및 제2 몸체(20)는 절곡 또는 만곡지게 형성된 기둥부(11)(21)와, 수평의 축공(13)(23)이 관통 형성되며 기둥부(11)(21)의 중앙에 구비되는 축받이(12)(22)와, 기둥부(11)(21)의 후단에 구비되는 파지부(14)(24)와, 기둥부(11)(21)의 선단에 구비되는 반원형의 밀착부(15)(25)로 구성된다.
상기 기둥부(11)(21)는 절곡 형성된 경우 중앙의 축받이(12)(22)를 기준으로 절곡 형성되고, 만곡 형성된 경우 밀착부(15)(25)부터 축받이(12)(22)까지 직선으로 형성하다가 축받이(12)(22)부터 파지부(14)(24)까지만 만곡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밀착부(15)(25)는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제1 몸체(10) 및 제2 몸체(20)의 밀착부(15)(25)가 밀착됐을 때 원형을 이루도록 한다. 이러한 밀착부(15)(25)는 착용시 귓볼에 평면으로 밀착되므로 이물감 없이 착용감이 매우 좋다.
상기 파지부(14)(24)는 외측면을 둥글게 형성하여 파지시 손가락에 통증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1 몸체(10) 및 제2 몸체(20)는 서로 마주보도록 대향되게 형성되며 중앙에 구비된 축받이(12)(22)는 동일 축선 상에 형성된다. 단, 제1 몸체(10)의 축받이(12)는 양측에 형성되고, 제2 몸체(20)의 축받이(22)는 중앙에 형성되어 제1 몸체(10)의 축받이(12) 사이에 제2 몸체(20)의 축받이(22)가 위치되어 제1 몸체(10) 및 제2 몸체(20)의 축공(13)(23)이 일치된다. 이러한 제1 몸체(10) 및 제2 몸체(20)의 축공(13)(23)에 힌지(H)가 삽입됨으로써 제1 몸체(10) 및 제2 몸체(20)는 힌지(H)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선단이 벌어지면 후단이 좁혀지고, 선단이 좁혀지면 후단이 좁혀지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제1 몸체(10)는 밀착부(15)의 중앙에 핀공(16)이 형성된 핀 수용부(17)가 형성되면서 기둥부(11)에 핀공(16)으로부터 연장되는 안내홈(18)이 형성된다. 이러한 안내홈(18)은 기둥부(11)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하여 핀공(16)으로 삽입되는 고정핀(1)이 안내홈(18)을 따라 삽입되어 다른 부품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2 몸체(20)는 밀착부(25)의 중앙에 핀 수용부(17)를 수용하는 수용홈(27)이 형성되어 제1 몸체(10) 및 제2 몸체(20)의 선단이 벌어졌다가 좁혀지는 과정에서 핀 수용부(17)가 수용홈(27)으로 삽입되어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아울러 상기 제2 몸체(20)의 기둥부(21)에는 핀공(16)으로 삽입된 고정핀(1)의 요홈(2)에 걸림되는 걸림턱(26)을 제1 몸체(10)의 기둥부(11) 방향으로 형성한다. 이러한 걸림턱(26)은 말단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프링(30)은 다단 절곡되어 일단이 개방된 'ㅁ' 모양으로 형성하되, 개방된 단부는 평행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스프링(30)은 양 단부(31)가 근접한 상태를 유지하려는 탄성 복원력을 가진다. 즉, 외력에 의해 양 단부(31)가 벌어졌더라도 외력이 제거되면 근접하게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1 몸체(10) 및 제2 몸체(20)의 기둥부(11)(21) 선단에는 스프링(30)의 양단(31)이 각각 삽입되는 삽입공(19)(29)이 수평으로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스프링(30)의 양단(31)이 제1 몸체(10) 및 제2 몸체(20)의 삽입공(19)(29)에 각각 삽입되면 스프링(30)의 중간 부분은 제1 몸체(10) 및 제2 몸체(20)의 파지부(14)(24) 사이를 가로지르게 설치된다. 이러한 스프링(30)에 의해 상기 제1 몸체(10) 및 제2 몸체(20)의 선단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고정핀(1)에 형성된 요홈(2)은 다수 형성하여 사용자의 귓볼 두께에 맞추어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요홈(2)과 걸림턱(26)을 다수 형성하여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1 몸체(10) 또는 제2 몸체(20)는 참을 고정할 수 있는 장착공(28)이 형성되어 여러 종류의 참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 고정구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장식부의 일면에 고정된 고정핀(1)을 귓볼(E)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시켜 귓볼(E) 뒤로 노출시킨다. 여기서 고정핀(1)은 그 외주연에 띠 형상의 요홈(2)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귀걸이 고정구(100)를 고정핀(1) 방향으로 밀어 결합시키되 제1 몸체(10)의 핀공(16)으로 고정핀(1)이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제1 몸체(10) 및 제2 몸체(20)의 파지부(14)(24)를 손가락으로 눌러 간격을 좁히면 반대로 선단은 벌어지면서 안내홈(18)을 차단하던 걸림턱(26)이 후퇴하여 안내홈(18)이 개방된다.
따라서 핀공(16)으로부터 삽입되는 고정핀(1)은 개방된 안내홈(18)을 따라 안정되게 삽입되고 핀공(16)으로 고정핀(1)이 삽입된 이후 파지부(14)(24)를 가압하던 힘을 제거하면 제1 몸체(10) 및 제2 몸체(20)의 선단이 좁혀지면서 걸림턱(26)이 고정핀(1)을 가압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고정핀(1)이 계속 삽입되고 고정핀(1)의 요홈(2)이 걸림턱(26)에 위치하는 순간 걸림턱(26)이 요홈(2)에 삽입되면서 고정핀(1)의 삽입이 종료되고 요홈(2)에 걸림턱(26)이 걸림되어 고정핀(1)은 귀걸이 고정구(100)로부터 탈착되지 않는다.
반대로 귀걸이 고정구(100)로부터 고정핀(1)을 분리하고자 할 경우 양 파지부(14)(24)를 손으로 눌러 가압하면서 장식부와 귀걸이 고정구(100)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당긴다. 이때, 제1 몸체(10)와 제2 몸체(20)의 선단부는 좁혀진 파지부(14)(24)에 의해 벌어지고 걸림턱(26)이 고정핀(1)의 요홈(2)으로부터 이격되면서 걸림상태가 해지된다. 따라서 장식부와 귀걸이 고정구(100)는 쉽게 분리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귀걸이 고정구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턱(26)은 고정핀(1)이 진입하는 선단 방향으로 경사면(26')을 형성하여 삽입되는 고정핀(1)에 의해 제1 몸체(10) 및 제2 몸체(20)의 선단이 자동으로 벌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삽입되는 고정핀(1)에 의해 제1 몸체(10) 및 제2 몸체(20)의 선단이 자동으로 벌어지므로 별도로 파지부(14)(24)를 누를 필요가 없다.
또한, 상기 제1 몸체(10) 및 제2 몸체(20)의 밀착부(15)(25)는 선단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고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밀착부(15)(25)의 입구가 넓으면 고정핀(1)의 삽입이 용이하므로 신속 간편하게 결합 가능하다.
1 : 고정핀 2 : 요홈 10 : 제1 몸체
11, 21 : 기둥부 12, 22 : 축받이 13, 23 : 축공
14, 24 : 파지부 15, 25 : 밀착부 16 : 핀공
17 : 핀 수용부 18 : 안내홈 19, 29 : 삽입공
20 : 제2 몸체 26 : 걸림턱 26' : 경사면
27 : 수용홈 28 : 장착공 30 : 스프링
31 : 단부 100 : 귀걸이 고정구 H : 힌지

Claims (5)

  1. 중앙이 힌지(H) 결합되어 집게 형태로 구비되는 제1 몸체(10) 및 제2 몸체(20)로 이루어지며, 스프링(30)의 양단(31)이 제1 몸체(10)와 제2 몸체(20)에 연결되어 제1 몸체(10)와 제2 몸체(20)의 선단이 밀착되도록 하되, 제1 몸체(10)는 선단에 핀공(16)이 형성되고, 제2 몸체(20)의 내측면에는 핀공(16)으로 삽입된 고정핀(1)의 요홈(2)에 걸림되는 걸림턱(26)을 제1 몸체(10) 방향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고정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10) 및 제2 몸체(20)는 절곡 또는 만곡지게 형성된 기둥부(11)(21); 수평의 축공(13)(23)이 관통 형성되며 기둥부(11)(21)의 중앙에 구비되는 축받이(12)(22); 기둥부(11)(21)의 후단에 구비되는 파지부(14)(24); 기둥부(11)(21)의 선단에 구비되는 반원형의 밀착부(15)(25); 로 구성되며,
    제1 몸체(10)는 밀착부(15)의 중앙에 핀공(16)이 형성된 핀 수용부(17)가 형성되면서 기둥부(11)에 핀공(16)으로부터 연장되는 안내홈(18)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 몸체(20)는 밀착부(25)의 중앙에 핀 수용부(17)를 수용하는 수용홈(27)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고정구.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30)은 다단 절곡되어 일단이 개방된 'ㅁ' 모양으로 형성하되, 개방된 단부(31)는 평행하게 구비되며,
    제1 몸체(10) 및 제2 몸체(20)의 기둥부(11)(21) 선단에 스프링(30)의 양단(31)이 각각 삽입되는 삽입공(19)(29)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고정구.
  4.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26)은 선단에 경사면(26')이 형성되어 삽입되는 고정핀(1)에 의해 제1 몸체(10) 및 제2 몸체(20)의 선단이 벌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고정구.
  5.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10) 또는 제2 몸체(20)는 참을 고정할 수 있는 장착공(28)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고정구.
KR1020180116000A 2018-09-28 2018-09-28 귀걸이 고정구 KR102108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000A KR102108991B1 (ko) 2018-09-28 2018-09-28 귀걸이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000A KR102108991B1 (ko) 2018-09-28 2018-09-28 귀걸이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6399A true KR20200036399A (ko) 2020-04-07
KR102108991B1 KR102108991B1 (ko) 2020-05-11

Family

ID=70290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000A KR102108991B1 (ko) 2018-09-28 2018-09-28 귀걸이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899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5243Y1 (ko) 2003-03-06 2003-06-02 (주)인터오로 주얼리 귀걸이 고정구
KR200443096Y1 (ko) * 2007-09-11 2009-01-09 송승종 한 손으로 체결가능한 귀걸이
KR200468401Y1 (ko) * 2012-06-04 2013-08-12 코아쥬얼리 주식회사 집게장식 귀걸이
KR200477499Y1 (ko) 2015-03-18 2015-06-16 박현균 내부에 충진제가 구비된 귀걸이용 고정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5243Y1 (ko) 2003-03-06 2003-06-02 (주)인터오로 주얼리 귀걸이 고정구
KR200443096Y1 (ko) * 2007-09-11 2009-01-09 송승종 한 손으로 체결가능한 귀걸이
KR200468401Y1 (ko) * 2012-06-04 2013-08-12 코아쥬얼리 주식회사 집게장식 귀걸이
KR200477499Y1 (ko) 2015-03-18 2015-06-16 박현균 내부에 충진제가 구비된 귀걸이용 고정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8991B1 (ko) 2020-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3760B2 (en) Body jewelry
KR102108991B1 (ko) 귀걸이 고정구
KR200468401Y1 (ko) 집게장식 귀걸이
JP4431066B2 (ja) 耳止具
KR200427550Y1 (ko) 피어싱 장신구
US11439212B2 (en) Easy attach back for pierced ear type earrings
KR20060093685A (ko) 피어싱 장신구
JP2010012181A (ja) 装身具用留め具
KR101991792B1 (ko) 장신구의 체결장치
KR20100005103U (ko) 귀걸이 조립체
KR20160142010A (ko) 회전 장신구
US11206902B2 (en) Earring set
KR101698416B1 (ko) 스프링에 의한 복원력을 가지는 장식용 팔찌
JP3232018U (ja) ボタン用装身具アダプター
KR200320524Y1 (ko) 귀고리
US11006707B2 (en) String-type jewelry having snap-fit segments
KR100774833B1 (ko) 피어싱 장신구
JP3222729U (ja) クリップ式耳飾り
JP7231896B2 (ja) 装身具用連結具
KR100774834B1 (ko) 피어싱 장치 구조
GB2321385A (en) Decorative ear accessory
KR200401537Y1 (ko) 다용도 연결구
KR200377572Y1 (ko) 귀고리
JPH0354570Y2 (ko)
KR20090013200U (ko) 귀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