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4834B1 - 피어싱 장치 구조 - Google Patents

피어싱 장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4834B1
KR100774834B1 KR1020070013073A KR20070013073A KR100774834B1 KR 100774834 B1 KR100774834 B1 KR 100774834B1 KR 1020070013073 A KR1020070013073 A KR 1020070013073A KR 20070013073 A KR20070013073 A KR 20070013073A KR 100774834 B1 KR100774834 B1 KR 100774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rcing
piercing device
needle
separation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3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성용
Original Assignee
서성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성용 filed Critical 서성용
Priority to KR1020070013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48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4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4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35Piercing type jewellery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 A44C7/001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Abstract

본 발명의 피어싱 장치 구조는, 바늘 형태의 피어싱 장치의 몸체에 돌출되는 부분을 두어서 별도의 클러치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이탈이 방지되는 되도록 하여 한번의 동작에 의하여 피어싱 장치의 체결이 완료되고, 또한 이물질이 끼지 않는 구조로 되어서 청결함이 유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피어싱을 위한 천공 바늘(200)의 일단부에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천공 바늘(200)의 몸체(210)의 두께보다 큰 이탈방지구(220)가 형성되고, 천공 바늘(200)의 몸체(210)에는 그 둘레를 따라 돌출부(211)가 형성되며, 그 돌출부(211)는 몸체(210)의 길이 방향으로 둘레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 감소하도록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피어싱 장치, 천공

Description

피어싱 장치 구조{omitted}
도1은 종래의 피어싱 장치를 보인 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형태에 의한 핀 형태의 피어싱 장치를 보인 도.
도3은 본 발명의 제2형태에 의한 핀 형태의 피어싱 장치를 보인 도.
도4는 본 발명의 제3형태에 의한 핀 형태의 피어싱 장치를 보인 도.
도5는 제3형태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
도6은 본 발명의 제4형태에 의한 핀 형태의 피어싱 장치를 보인 도.
도7은 제4형태의 결합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제5형태에 의한 핀 형태의 피어싱 장치를 보인 도.
도9는 제5형태의 결합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200 : 천공 바늘 210 : 몸체
211 : 돌출부 212 : 이탈방지구 장착홈
220 : 이탈방지구 221 : 장식물 장착홈
300 : 이탈방지구 310 : 머리부
320 : 핀부 330,340,350 : 돌출부
본 발명은 피어싱 장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어싱을 행하여 액서서리를 장착하기 위한 과정을 단 한번으로 천공 동작으로 인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피어싱 장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피어싱은 신체에 구멍을 뚫어 장신구를 착용하는 것으로서, 종교 의식이나 미적 표현을 위해 주로 하게 된다.
이러한 피어싱의 형태나 종류로는 가장 일반적인 비드링(bead ring), 장착하기가 편한 써큘라 바벨(circular barbells), 링을 착용할 수 없는 경우에 사용하는 바벨 스튜드(barbell studs), 턱이나 입술에 많이 하는 라블렛 스튜드 등 그 형태가 다양하다.
그런데, 이러한 피어싱 장치는 먼저 신체의 피어싱을 위한 위치, 즉, 배꼽이나 입술, 귀 등의 신체에 천공기를 이용하여 구멍을 뚫은 다음, 그 구멍에 상기에서 언급한 피어싱 장치를 삽입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구멍을 뚫은 자리에 다시 피어싱 장치를 삽입하는 과정은 고통을 수반할 뿐 아니라 이중의 동작으로 인하여 번거롭기까지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피어싱 장치를 이용하게 되는데, 천공 바늘(100)의 몸체(110)의 일단부에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몸체(110)보다 더 크게 이탈방지구(120)가 일체로 형성되고, 몸체(100)의 타단부 부근에는 몸체(100)의 둘레를 따라 환형의 클러치 홈(111)이 형성되어 있 다.
사용자는 이러한 천공바늘(100)을 이용하여 귀나 입술 등의 신체를 찔러서 장착시킨 다음 천공바늘(1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로 구비된 링 형태의 클러치(130)를 클러치홈(111)에 끼우게 된다.
이때, 클러치(130)는 적당히 신축되는 갖는 재질로 되어 있어서 클러치홈(111)에 끼울 때 삽입공(131)이 몸체(110)의 끝에서는 확장되고, 다시 클러치홈(111)에서는 신축되어 장착됨으로써 클러치(130)가 이탈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천공바늘(100)은 천공을 위한 피어싱 장치의 역할은 물론, 곧바로 장신구의 역할까지 겸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피어싱 장치 즉 천공바늘(100)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몸체(110)에 클러치(130)를 별도로 장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또한 클러치(130)를 분실한 경우에는 이를 사용하기가 매우 어렵다.
또한, 신체에 삽입되는 몸체(110)에 클러치홈(111)이 형성됨으로써 이에 이물질 등이 끼었을 경우 곧바로 염증 등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항시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바늘 형태의 피어싱 장치의 몸체에 돌출되는 부분을 두어서 별도의 클러치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이탈이 방지되는 되도록 하는 피어싱 장치의 구조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어싱을 위한 천공 바늘(200)의 일단부에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천공 바늘(200)의 몸체(210)의 두께보다 큰 이탈방지구(220)가 형성되고, 천공 바늘(200)의 몸체(210)에는 그 둘레를 따라 돌출부(211)가 형성되며, 그 돌출부(211)는 몸체(210)의 길이 방향으로 둘레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 감소하도록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 및 도3은 본 발명의 피어싱 장치의 구조를 보인 도로서, 인체에 피어싱을 행하기 위한 천공 바늘(200)의 몸체(210)가 핀 형태로 되어 있는데, 그 몸체(210)는 도2에 도시한 바와같이 직선의 바 형태 또는 도3에 도시한 바와같이 곡선의 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그 몸체(210)의 일측 단부는 몸체(210)의 지름보다 큰 이탈방지구(220)가 형성된다.
또한, 몸체(210)에는 그 몸체(210)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211)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그 돌출부(211)는 몸체(210)의 길이 방향으로 그 둘레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 다시 점진적으로 감소하여 몸체(210)의 지름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때, 돌출부(211)의 최대 지름은 몸체(210)의 지름보다 1 - 1.5㎜정도의 큰 범위에서 결정하는 것이 좋으며, 몸체(210)의 타측 단부 부근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천공바늘(200)을 이용하여 귀 등에 천공을 행할 때 먼저 돌출부(211)가 찌르게 되는데, 이때 피부는 1 - 1.5㎜ 정도의 신축력을 가지므로 돌출부(211)에서 피부가 확장되다가 다시, 몸체(210)에서는 다시 수축된다.
그러므로, 한번의 동작에 의하여 피어싱 장치의 장착이 완료되며, 몸체(210) 의 양측에 형성된 이탈방지구(220)와 돌출부(211)에 의하여 신체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신체로부터 제거시에도 장착의 역순에 의하여 한번의 동작으로 완료된다.
도4는 이탈방지구(220)에 보석, 문양, 돌 등의 장식물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홈(221)을 형성한 구조로서, 이에 장식물을 장착하여 천공뿐만 아니라 장신구의 역할을 행할 수 있는 미려한 형태의 피어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5는 곡선의 멈체(210)를 갖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변형된 형태를 보인 도로서, 직선으로 된 몸체(210)의 타측면에는 별도로 구비된 이탈방지구(300)를 장착하기 위한 이탈방지구 장착홈(212)이 형성되어 이에 사용자 취향에 따라 서로 다른 이탈방지구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탈방지구(300)는 핀 형태의 몸체를 갖는 핀부(320)의 머리부(310)가 몸체(210)의 둘레보다 크게 형성되고, 그 머리부(310)에는 문양이나 장식물이 장착되어 있다.
핀부(320)의 몸체 둘레에는 이탈방지구 장착홈(210)에 압입되어 장착됨으로써 이탈이 방지도록 하는 여러개의 돌출부(330,340,35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 돌출부(330,340,350)는 핀부(320)의 길이 방향으로 둘레를 따라 고리 형태로 형성된다.
돌출부(330,340,350)는 신축력을 가지는 재질로 되어 있으며, 그 단면이 흡 사 산 형태로 되고, 아울러 돌출부(330)가 가장 큰 지름을 가지며, 돌출부(340,350)는 돌출부(330)에 비하여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지름을 갖는다.
이는 곧 몸체(210)의 이탈방지구 장착홈(210)의 지름이 서로 다르더라도 장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탈방지구(300)가 장착되었을 때 돌출부(330,340,350)들이 신축력을 가지면서 이탈방지구 장착홈(210)의 내부에서 밀착되어 이탈이 방지되는 것이다.
도8은 도6의 몸체(210)가 곡선의 형태를 가지는 경우이며, 도9는 이러한 결합 단면을 나타낸 도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어싱 장치 구조는, 바늘 형태의 피어싱 장치의 몸체에 돌출되는 부분을 두어서 별도의 클러치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이탈이 방지되는 되도록 하여 한번의 동작에 의하여 피어싱 장치의 체결이 완료되고, 또한 이물질이 끼지 않는 구조로 되어서 청결함이 유지된다.

Claims (4)

  1. 피어싱을 위한 천공 바늘(200)의 일단부에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천공 바늘(200)의 몸체(210)의 두께보다 큰 이탈방지구(220)가 형성되고, 천공 바늘(200)의 몸체(210)에는 그 둘레를 따라 돌출부(211)가 형성되며, 그 돌출부(211)는 몸체(210)의 길이 방향으로 둘레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 감소하도록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싱 장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이탈방지구(220)는 장식물을 장착하기 위한 장식물 장착홈(2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싱 장치 구조.
  3. 피어싱을 위한 천공 바늘(200)의 몸체(210)의 일측에는 그 둘레를 따라 몸체(210)의 길이 방향으로 둘레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다가 감소하도록 형성된 돌출부(211)가 일체로 구비되며, 몸체(210)의 타측에는 이탈방지구(300)를 결합하기 위한 장착홈(2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싱 장치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이탈방지구(300)는 천공 바늘(200)의 몸체(210)의 두께보다 큰 머리부(310)가 형성된 핀 형태의 몸체를 갖는 핀부(320)를 가지며, 상기 핀부(320)의 길이 방향으로는 그 둘레를 따라 고리 형태로 된 복수개의 돌출부(330,340,350)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싱 장치 구조.
KR1020070013073A 2007-02-08 2007-02-08 피어싱 장치 구조 KR100774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073A KR100774834B1 (ko) 2007-02-08 2007-02-08 피어싱 장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3073A KR100774834B1 (ko) 2007-02-08 2007-02-08 피어싱 장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4834B1 true KR100774834B1 (ko) 2007-11-07

Family

ID=39061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3073A KR100774834B1 (ko) 2007-02-08 2007-02-08 피어싱 장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48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03187A1 (fr) * 2020-07-03 2022-01-06 Genet Julie Systeme de maintien d'un piercing sans fermoi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3685A (ko) * 2006-07-20 2006-08-25 이찬호 피어싱 장신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3685A (ko) * 2006-07-20 2006-08-25 이찬호 피어싱 장신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03187A1 (fr) * 2020-07-03 2022-01-06 Genet Julie Systeme de maintien d'un piercing sans fermoir
FR3112067A1 (fr) * 2020-07-03 2022-01-07 Julie GENET Système de maintien d'un piercing sans fermoi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47025A1 (en) Ornamental attachment for flesh piercing jewelry
KR100774834B1 (ko) 피어싱 장치 구조
USD569758S1 (en) Diamond setting
KR101005684B1 (ko) 장신구 연결핀
KR100774833B1 (ko) 피어싱 장신구
KR200477499Y1 (ko) 내부에 충진제가 구비된 귀걸이용 고정구
JP2008000209A (ja) 装身具
KR960000115A (ko) 장신용 피어스
KR102167817B1 (ko) 천공부가 구비된 피어싱 핀
JP4342244B2 (ja) 穿孔用ピアス針
KR200392495Y1 (ko) 기능성 고무제 장신구
JP5017020B2 (ja) ネックレス
JP3111980U (ja) ゲルマニウムブレスレット
JP3098186U (ja) 装身具用金具
JP3237279U (ja) 装身具用連結具
JP5862581B2 (ja) 装身具フープの接続金具
KR200345166Y1 (ko) 피어싱효과를 갖는 귀걸이 구조
JP3178143U (ja) 装身具用玉の連結構造
KR20060085859A (ko) 피어싱 장치
KR200210901Y1 (ko) 장신구용 체결장치
JP2020141871A (ja) 装身具用連結具
JP3163062U (ja) N字型ピアスフック
JP3014560U (ja) 耳のピアス装着時に穴あけした穴の収縮を防止し、耳たぶの厚みに対応して止め幅が調整可能で、かつ、金属アレルギーを引き起こす確率の極めて低い材料を使用して製造したファッションピアス
JP3209063U (ja) 耳装飾具
JP2007209674A (ja) 装飾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