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7817B1 - 천공부가 구비된 피어싱 핀 - Google Patents

천공부가 구비된 피어싱 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7817B1
KR102167817B1 KR1020190051913A KR20190051913A KR102167817B1 KR 102167817 B1 KR102167817 B1 KR 102167817B1 KR 1020190051913 A KR1020190051913 A KR 1020190051913A KR 20190051913 A KR20190051913 A KR 20190051913A KR 102167817 B1 KR102167817 B1 KR 102167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rcing pin
piercing
perforation
raw material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1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수
오성문
Original Assignee
(주)골드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골드팡 filed Critical (주)골드팡
Priority to KR1020190051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78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7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7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35Piercing type jewellery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 A44C7/001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 A44C7/003Ear-studs or their catch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GMAKING NEEDLES, PINS OR NAILS OF METAL
    • B21G3/00Making pins, nails, or the like
    • B21G3/005Nails or pins for special purposes, e.g. curtain p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GMAKING NEEDLES, PINS OR NAILS OF METAL
    • B21G3/00Making pins, nails, or the like
    • B21G3/18Making pins, nails, or the like by operation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groups B21G3/12 - B21G3/1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공기능을 포함하는 피어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어싱을 착용함에 있어, 기존의 피어싱 핀 상단에 천공부를 구비하여 신체의 특정부위에 구멍을 천공하는데 용이한 피어싱 핀 및 그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의 특정부위를 관통하여 착용되는 피어싱 핀은, 피어싱 핀이 착용되는 신체의 특정부위의 뒤쪽에 구비되어 상기 피어싱 핀을 고정하는 고정구를 포함함에 있어서, 상기 피어싱 핀(100)은 끝부분에 뾰족한 형상을 이루며 신체의 특정부위를 관통하는 천공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천공부가 구비된 피어싱 핀{Piercing pin with perforation}
본 발명은 천공기능을 포함하는 피어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어싱을 착용함에 있어, 기존의 피어싱 핀 상단에 천공부를 구비하여 신체의 특정부위에 구멍을 천공하는데 용이한 피어싱 핀 및 그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피어싱(Piercing)이란, 사전적 의미로 '뚫는다'는 뜻으로 귀, 코, 혀 등의 신체의 특정 부위를 뚫어 링이나 막대형태의 장신구로 치장하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피어싱의 재질은 Surgical Steel, Titanium, 금, 은, 등으로 이루어지고, 두께는 1.2mm에서 10mm가 넘는 것까지 다양하게 구비되며, 피어싱의 종류는 일자 바벨, 라블렛, 바나나 바벨, 원볼링, 투볼링, 트위스터, 플러그, 터널 등 다양하게 구분되지만, 가장 대표적인 피어싱은 일자 바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일자 바벨형 피어싱을 착용함에 있어서, 장식구를 포함하는 피어싱 핀 한쪽 끝에 나사산이 형성되는데 끝은 뭉툭한 형태로 구비되어 신체의 특정부위를 통과하고 끝을 고정구의 나사홀에 결합하여 착용한다.
관련하여 선행문헌 (등록특허공보 제10-1005684호)에는 피어싱이나 귀걸이와 같이 장식구와 체결구를 연결하는 장신구 연결핀이라는 명칭의 선행문헌이 게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한 선행문헌은 도 1과 같이 피어싱핀의 단부가 뭉툭하게 형성되어 관통시 피부를 찢으면서 들어가기때문에 모세혈관과 피부 조직을 손상시킴과 동시에 고통을 수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일정 기간동안 착용하지 않아서 착용하는 구멍이 아물어 막히게 되었을 때 피어싱핀의 단부가 뭉툭하게 형성되는 이유로 피어싱을 착용할 수 없거나, 막힌 구멍에 피어싱을 착용하기 위해서는 피어싱 핀을 착용 부위에 억지로 삽입하여 관통시키거나 병원이나 매장에 방문해서 뚫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05684호(2010.12.27.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피어싱 핀에서 고정구가 체결되는 부위에 나사산을 구비함과 동시에 그 단부, 끝부분에 뾰족한 형태의 천공부를 형성하여 신체의 특정 부위를 용이하게 관통하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피어싱 핀이 신체의 특정 부위를 통과한 후 돌출되는 나사산과 고정구의 나사홀을 결합하여 착용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피어싱 핀과 고정구가 일정 구간 결합되면 더 이상 결합되지 않도록 스토퍼를 형성함에 따라 조립 과정에서 피어싱핀이나 고정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피어싱 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어싱 핀에 천공부와 나사산을 형성함에 있어서 철선 형태로 길게 준비된 재료를 직선으로 교정하여 공급하면서 금형을 통해 한 번에 천공부와 나사산을 성형함과 동시에 제조하고자 하는 길이에 맞게 절단하여 공정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피어싱 핀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공부가 구비된 피어싱 핀 및 그 제조 장치는 신체의 특정부위를 관통하여 착용되는 피어싱 핀(100)과; 상기 피어싱 핀(100)이 착용되는 신체의 특정부위의 뒤쪽에 구비되어 상기 피어싱 핀(100)을 고정하는 고정구(200);를 포함함에 있어서, 상기 피어싱 핀(100)은 끝부분에 뾰족한 형상을 이루며 신체의 특정부위를 관통하는 천공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공부(110) 외측에 천공을 유도하는 다수의 천공 유도홈(111)이 형성되어 가 신체의 특정부위를 용이하게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피어싱 핀 제조 장치에 있어서, 철선 형태로 감겨진 원자재를 직선으로 이루도록 교정하면서 연속으로 공급하는 원자재 공급부 및 상기 원자재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원자재를 별도로 구비된 금형 몸체 구동부(330)에 의해 왕복 이송됨에 따라 회전시키면서 원자재의 외측에 천공부(110)와, 나사산(120) 및 각인부(130)를 동시에 성형하면서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피어싱 핀(100)으로 성형하는 금형 몸체(3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금형 몸체(320)는 전체적으로 사각의 블록 형태를 이루며, 2개 한 쌍으로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고, 상기 원자재 공급부(210)로부터 공급되는 원자재의 일측에서 원자재의 외주면에 마크를 각인하여 성형하는 마킹부(321)와, 상기 마킹부(321)의 바로 위쪽에 구비되어 원자재의 외측 일부를 가압하여 밀어줌에 따라 변형시켜 나사산(120)을 성형하는 나사 성형부(322) 및 상기 나사 성형부(322)의 상부에 구비되어 원자재의 중심 측으로 점차 좁아지면서 뾰족한 형태를 이루며 구비되어 원자재의 외측에서부터 점차 중심 측으로 가압함에 따라 원뿔 형태로 성형함과 동시에 원자재의 상부를 절단하는 천공부 성형부(3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피어싱을 착용할 때 천공부를 통해, 보다 용이하게 귓불을 관통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원활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어싱 핀이 신체의 특정 부위를 통과한 후 돌출되어 있는 나사산과 고정구의 나사홀이 결합하여 착용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나사산의 끝 부분에 스토퍼가 구비되어 일정 구간이 삽입되면, 그 이상은 스토퍼에 의해 결합되지 않게 하므로 피어싱 핀이나 고정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어싱 핀을 성형함에 있어서 하나의 금형을 이용하여 천공부와 나사산을 포함하는 피어싱 핀으로 한 번에 성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공기능을 포함하는 피어싱 핀에서 고정구가 피어싱핀과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어싱 핀 제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어싱 핀 제조 장치의 금형 몸체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어싱 핀 제조 장치에 의해 피어싱 핀이 제조되는 것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피어싱으로서, 피어싱 핀(100)과 고정구(200)가 결합되어 일체화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상기 피어싱 핀(100)은 고정구가 체결되는 끝부분에 천공부(110)가 구비되어 피어싱핀이 착용되는 신체의 특정부위를 원활하게 관통하여 착용할수 있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천공부(110)는 외측에 천공 유도홈(111)이 형성되어 피어싱핀(100)을 구멍에 삽입할 때, 외측 주면을 따라 마찰을 줄여주면서 천공을 유도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피어싱을 착용함에 있어서, 피어싱 핀이 신체의 특정 부위를 관통한 후, 상기 천공부(110)와 하단에 나사산(120)이 돌출되는데, 이를 상기 고정구(200)의 나사홀(210)과 나사 결합하여 피어싱 핀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게된다.
이때, 상기 나사홀(210)은 결합 후의 강도나 재료의 낭비를 최소화하기 위해 나사산(120)과 대응되는 깊이로 가공된다.
또한, 상기 피어싱 핀(100)에 성형되는 천공부(110)의 반대편에는 장식구(14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피어싱 핀(100)과 고정구(200)가 결합됨에 있어서, 과도한 체결에 의해 상기 나사산(120)이나 고정구(20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1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로 인해 피어싱 핀에 결합구를 결합할 때 체결 부위 손상에 의한 불량 발생을 방지하여 생산 수율을 높이 수 있고, 불량 발생에 따른 비용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 제조 장치(300)는 다량으로 감겨진 원자재를 직선 형태로 교정하면서 공급하는 원자재 공급부(310)와, 상기 원자재 공급부(310)의 하부에서 원자재의 양측으로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어 공급되는 원자재의 양측을 가압하면서 회전시켜 피어싱 핀(100) 형태로 성형하는 금형 몸체(320) 및 상기 금형 몸체 구동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원자재 공급부(310)에는 감겨진 상태의 원자재를 서로 교차 배치된 다수의 롤러 사이를 통과시키면서 직선 형태로 교정하는 교정부(311)가 더 구비된다.
상기 금형 몸체 구동부(330)는 실린더, 래칫기어, 캠구동, 볼스크류 등 일반적으로 왕복 구동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적용될 수 있으며, 세부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로 인해 감겨진 상태의 원자재를 직선 형상으로 교정하면서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상기 금형 몸체(320)에 의해 피어싱 핀(100)으로 성형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어싱 핀 제조 장치에서 금형 몸체만을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금형 몸체(220)는 특정 형상의 문자나 문양이 양각 형태로 이루어져 양측에서 원자재를 가압하며 회전시킴에 따라 원자재 외주면에 각인부(130)를 각인하는 마킹부(32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마킹부(321)의 바로 위쪽에 구비되는 것으로, 원자재가 공급되는 최초 위치로부터 원자재가 회전되는 방향을 따라 상부로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이루어지고, 원자재의 회전 방향을 따라 점차 원자재 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원자재의 양측을 가압하면서 원자재를 일정 구간 상부 측으로 밀어 올림에 따라 변형시켜 각 피치 사이는 라운드 형태로 이루어져 원자재의 외측에 결합구(200)와 결합되는 나사산(120)을 성형하는 나사 성형부(32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나사 성형부(322)의 바로 위쪽에는 제조하고자 하는 피어싱 핀(100)의 길이에 맞도록 절단하고자 하는 부위에 뾰족한 형태로 구비되되, 최초 원자재(10)가 공급된 위치로부터 원자재의 회전방향을 따라 점차 원자재의 중심 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원자재에 마킹부(321), 나사 성형부(322)를 성형함과 동시에 제조하고자 하는 길이에 맞도록 절단하는 천공부 성형부(323)가 구비된다.
이로 인해 공급되는 원자재를 금형 몸체(320)에 의해 회전시키며 가압 성형함에 따라 피어싱 핀(100) 형상으로 한 번에 성형할 수 있게됨과 아울러 상기 천공부 성형부(323)의 위치에 따라 설정된 길이로 절단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어싱 핀 제조 장치에 의해 피어싱 핀이 제조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최초 원형 철선 형태로 공급되는 원자재가 금형 몸체(320) 측으로 삽입된다.
이후, 원자재의 양측에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금형 몸체(320)가 원자재와 수직 방향으로 직선 이동함에 따라 원자재가 회전되면서 금형 몸체(320)에 의해 천공부(110), 나사산(120) 및 각인부(130)가 일부 성형되고, 상부 끝부분은 천공부 성형부(323)가 점차 원자재의 중심 측으로 좁아짐에 따라 절단된다.
이후 금형 몸체(320)는 계속해서 이동하고, 원자재의 회전 방향을 따라 점차 원자재의 중심 측으로 돌출되도록 경사를 이루는 마킹부(321)과 나사 성형부(322)에 의해 천공부(110), 나사산(120) 및 각인부(130)가 완전히 성형되면서 금형 몸체(320)에서 이탈됨에 따라 하부로 낙하되어 배출되어 구멍을 통해 하단의 바구니로 수납된다.
이로 인해 한 번의 성형 공정에 의해 원자재를 피어싱 핀(100)으로 가공할 수 있어서, 공정을 간소화 하고 생산수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피어싱 핀을 제조함에 있어서 고정구와 결합되는 나사산의 핀 몸체 측 끝부분에 스토퍼가 구비되어 과도한 나사 체결에 따른 불량 발생률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이러한 피어싱 핀을 금형을 이용해 한 번의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어서 생산 수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피어싱 핀 110 : 천공부
111 : 천공 유도홈 120 : 나사산
121 : 스토퍼 130 : 각인부
140 : 장식구 200 : 고정구
210 : 나사홈 300 : 핀 제조 장치
310 : 원자재 공급부 311 : 교정부
320 : 금형 몸체 321 : 마킹부
322 : 나사 성형부 323 : 천공부 성형부
330 : 금형 몸체 구동부

Claims (3)

  1. 신체의 특정부위를 관통하여 착용되는 피어싱 핀(100);
    상기 피어싱 핀(100)이 착용되는 신체의 특정부위의 뒤쪽에 구비되어 상기 피어싱 핀(100)을 고정하는 고정구(200);를 포함함에 있어서,
    상기 피어싱 핀(100)은 끝부분에 뾰족한 형상을 이루며 신체의 특정부위를 관통하는 천공부(110) 및 천공부(110)의 하단에 돌출된 형태의 나사산(120)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구(200)에는 상기 나사산(120)과 체결되는 위치에 나사홀(210)이 형성되며, 상기 천공부(110) 외측에 천공을 유도하는 다수의 천공 유도홈(111)이 형성되어 신체의 특정부위를 용이하게 관통하되,
    상기 피어싱 핀(100)과 고정구(200)가 결합됨에 있어서, 상기 나사산(120)이 상기 나사홀(210)과 체결될 때 과도한 체결에 의해 상기 나사산(120)이나 나사홀(21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1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부가 구비된 피어싱 핀.
  2. 삭제
  3. 삭제
KR1020190051913A 2019-05-03 2019-05-03 천공부가 구비된 피어싱 핀 KR102167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913A KR102167817B1 (ko) 2019-05-03 2019-05-03 천공부가 구비된 피어싱 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913A KR102167817B1 (ko) 2019-05-03 2019-05-03 천공부가 구비된 피어싱 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7817B1 true KR102167817B1 (ko) 2020-10-20

Family

ID=73025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1913A KR102167817B1 (ko) 2019-05-03 2019-05-03 천공부가 구비된 피어싱 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781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1550B1 (ko) * 2000-05-16 2003-02-06 조승국 형상 기억 합금을 이용한 귀 뚫는 귀걸이의 제조 방법 및그 귀 뚫는 귀걸이
KR101005684B1 (ko) 2010-07-08 2011-01-05 신동성 장신구 연결핀
KR101945949B1 (ko) * 2018-11-08 2019-02-11 (주)골드팡 장식부재에 결합 시 결합 부위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피어싱 핀 제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1550B1 (ko) * 2000-05-16 2003-02-06 조승국 형상 기억 합금을 이용한 귀 뚫는 귀걸이의 제조 방법 및그 귀 뚫는 귀걸이
KR101005684B1 (ko) 2010-07-08 2011-01-05 신동성 장신구 연결핀
KR101945949B1 (ko) * 2018-11-08 2019-02-11 (주)골드팡 장식부재에 결합 시 결합 부위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피어싱 핀 제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51545B2 (en) Earring backing
DE102014016677B4 (de) Schließe und Herstellverfahren
KR102167817B1 (ko) 천공부가 구비된 피어싱 핀
CA2577362A1 (en) Animal ear tag
US5976166A (en) Claspless stud for piercing
EP1706007B1 (de) Schmuckstück mit einem schmuckelement sowie ein verfahren und ein werkzeug zur herstellung eines derartigen schmuckstücks
KR101945949B1 (ko) 장식부재에 결합 시 결합 부위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피어싱 핀 제조 장치
KR100774834B1 (ko) 피어싱 장치 구조
US262833A (en) Frederick rosenberg
JPH0521662B2 (ko)
JPH0810017A (ja) 装身用ピアス
KR200488861Y1 (ko) 실리콘 피어싱
KR101618149B1 (ko) 360도 회전 가능한 장신구
WO2005006136A2 (en) Piercing device
US20140116087A1 (en) Earring for pierced ears
KR100708892B1 (ko) 두부를 갖는 액세서리 제조장치용 금형
USD1000103S1 (en) Pin
EP0980927A3 (de) Nähnadel
JP2016073424A (ja) 装飾用係留具
CN210137892U (zh) 一种戒指
KR200179424Y1 (ko)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귀걸이
KR20110100994A (ko) 귀걸이 뒷장식부재
CA2895009C (en) Slicer with detachable blade
JP5357067B2 (ja) ピアス装着補助具
JP6960732B2 (ja) 紐留具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