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1550B1 - 형상 기억 합금을 이용한 귀 뚫는 귀걸이의 제조 방법 및그 귀 뚫는 귀걸이 - Google Patents

형상 기억 합금을 이용한 귀 뚫는 귀걸이의 제조 방법 및그 귀 뚫는 귀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1550B1
KR100371550B1 KR10-2000-0026102A KR20000026102A KR100371550B1 KR 100371550 B1 KR100371550 B1 KR 100371550B1 KR 20000026102 A KR20000026102 A KR 20000026102A KR 100371550 B1 KR100371550 B1 KR 100371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earring
decorative
earrings
memory all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6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4892A (ko
Inventor
조승국
Original Assignee
조승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승국 filed Critical 조승국
Priority to KR10-2000-0026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1550B1/ko
Publication of KR20010104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4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1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15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35Piercing type jewellery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 A44C7/001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귀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귀걸이를 처음 착용하기 위하여 귀에 천공을 행할 때 사용하는 귀 뚫는 귀걸이를 형상기억 합금 소재로 이루어 무독성 무자극성을 갖으며 착용시에는 견고한 체결력을 유지하며, 분리시에는 회전시켜 이탈케하여 손쉽게 탈거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형상 기억 합금을 이용한 귀 뚫는 귀걸이의 제조 방법 및 그 귀 뚫는 귀걸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체에 유해성이 없는 금속재를 선정하여 무독성의 귀뚫는 귀걸이를 가능하게하며, 귀뚫는 귀걸이의 장식구 부분을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분리 성형하며, 장식구 만을 분리하여 도금하므로 도금 막의 독성에 의한 부작용을 원천적으로 배제하면서도 장식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이루고, 체결구와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하면서도 체결구를 빼낼 때에는 손쉽게 이탈이 가능한 구조를 부가하여 손톱이 부러지는 등의 손상을 방지 할 수 있도록된 형상 기억 합금을 이용한 귀 뚫는 귀걸이의 제조 방법 및 그 귀뚫는 귀걸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선재의 형상 기억 합금 소재에 일정 형상을 기억시키고 천공침의 선단을 뾰족하게 연마하는 단계, 체결구와 결합을 위한 체결홈을 프레스 가공하는 단계, 필요한 천공침의 길이로 절단해내는 컷팅 단계, 연마 공정으로 천공침을 분리 성형하는 것과,
장식구를 형성하여 천공침 결합 홈을 가공하는 단계, 연마 후 도금 막을 피착 성형하는 단계, 상기 천공침과 장식구를 강제 압입시켜 결합하여 완성된 귀뚫는귀걸이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천공침에 마련되는 체결구 결합을 위한 체결홈은 단면이 원형인 침의 양단에 180도 대향되도록 체결홈을 형성하여 이루어 체결구와 이탈 시킬 때 90도 회전시키면 탄성고리가 천공침의 원주면을 타고 벌어지면서 홈에서 이탈되어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형상 기억 합금을 이용한 귀 뚫는 귀걸이의 제조 방법 및 그 귀 뚫는 귀걸이{Ears bored type earring manufacturing processes of the used shape memory alloy and earring thereof}
본 발명은 귀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귀걸이를 처음 착용하기 위하여 귀에 천공을 행할 때 사용하는 귀 뚫는 귀걸이를 형상기억 합금 소재로 이루어 무독성 무자극성을 갖으며 착용시에는 견고한 체결력을 유지하며, 분리시에는 회전시켜 이탈케하여 손쉽게 탈거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형상 기억 합금을 이용한 귀 뚫는 귀걸이의 제조 방법 및 그 귀 뚫는 귀걸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용의 일환으로 신체중 귀를 뚫어 특정 형상의 장신구를 끼워 장식하는 용도로 귀걸이가 다양한 형상으로 안출되어 있다.
상기 귀걸이를 귀에 끼우기 위하여는 귀를 뚫어야만 하고 처음으로 귀를 뚫는 일은 심리적인 부담과 함께 천공 부위의 세균 감염의 우려가 있어 사용자들을 불편하게 한다.
상기와 같은 귀 뚫는 귀걸이에 대한 종래의 기술을 살펴본다.
도 5 내지 도 6에 종래의 귀걸이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도시의 종래 기술에 의하면 이는 귀 뚫는 귀걸이의 기초 소재 금속(신주, 주석, 스테인레스스틸, 아연, 은 등)을 이용하여 뚫고 들어가기에 적합하게 일단을 뾰족하게 천공침(60)을 형성하고 타단에는 악세사리로서 기능하도록 장식구(64)를 일체로 이루어 절삭 가공된다.
여기서 천공침(60)의 뾰족한 일단 부분에는 소정의 깊이를 갖는 체결홈(62)이 360도 요설되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단일 소재를 이용하여 절삭 가공에 의해 이루어지는 귀걸이는 소정의 피막을 도금하거나 코팅을 통해 완제품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6 도시의 또다른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이는 장식구(64) 부분을 절삭 가공에 의존하지 아니하고 주조하여 이룸으로서 다양하게 변화 시킬 수 있다는 상대적인 장점을 갖는 것으로 천공침(60)에 비교적 홈의 깊이가 극히 낮은 체결홈(63)을 형성하고 천공침의 타단에는 큐빅과 같은 장식부재(68)을 고정 삽입 가능하도록 장식구 시트(67)를 형성하여 일체로 주조 성형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주조된 귀걸이는 별도의 공정에서 소정의 피막을 도금하거나 코팅을 통해서 완제품으로 제공된다.
상기 귀걸이의 도금 또는 코팅에 사용되는 재료는 화학적인 약품을 사용하는 것으로 인체에 침투되는 경우에는 독성을 띠게되므로 천공된 신체 부위에 염증이나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상술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전자, 후자 공히 가공된 귀걸이를 완제품으로 상품성을 부여하기 위하여는 도금 또는 코팅 과정을 거치게되는데 이때 천공침과 장식구를 포함하는 귀걸이 전체에 도금을 이루거나 또는 상기 천공침 전체에 도금 방지 피막 또는 튜브를 덮어 장식구(64) 부분에만 국한되도록 이루고있다.
그러나 이러한 도금은 외부적인 여러 요인에 의하여 박리될 경우수가 높으며 특히 천공침 선단에 형성된 체결홈(62,63)과 체결구(66)의 착탈시에 마찰에 의하여 박리되는 경우가 빈발하며 박리된 도금막이 귀걸이를 빼내는 과정에서 귀에 천공된 구멍에 잔류하는 경우에는 중대한 염증을 유발하며 심각하게 부작용을 일으키는 경우에는 외과적인 수술이 동원되기도 한다.
전술한 부분적인 천공침 부위를 제외하고 도금을 하여 상기 폐단을 배제는경우에는 실리콘 튜브와 같은 피복 또는 도금 방지 피막을 도포하여 장식구 부위 만을 도금하는 것이나 이는 도금전 단계에서의 전처리 작업 소요를 유발하므로 저가의 귀걸이를 대량 생산하는 체제에는 작업 공수의 지나친 증가로 생산성을 떨어뜨리는 단점이 있는 것이며 또한 완전한 부분 도금을 이루기 어려워 도금 방지가 지나치게 이루어지면 상품 가치를 저하시키게되고 천공핀 부위에 조금이라도 도금이 이루어지면 도금 막에 의한 폐해가 그대로 유발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인 문제들은 주로 귀걸이가 소형의 단품이므로 더욱 더 어려운 문제에 해당한다.
물론 단편적으로는 장식구 부분(일명 메달이라 칭함)을 별도 성형하여 이루고 천공침을 가공하여 압입하여 이루는 경우를 고려할 수는 있으나 침의 직경이 1mm 이내에 것으로 가압하여 압입하는 과정에서 침이 휘어지게되고 휘어진 귀뚫는 귀걸이는 천공기에 의한 천공시 체결구(일명 클러치라 칭함)와 정확하게 결합될 수없어 사용이 불가하므로 일일히 직선도를 수정 유지하여야 하므로 상업적으로 시도되고 있지 못한 실정인 것이다.
다음은 종래 기술들의 체결력 유지를 위한 체결홈의 문제점을 살펴본다.
전술한 절삭 가공 방식에 의하면 체결홈(62)을 소정의 깊이로 360도 절삭하므로 체결구(66)의 탄성고리(66a)와 결합될 때 일정한 결합 강도를 유지하기는 하나 그 홈에 체결된 체결구(66)를 빼내는 경우에는 무리한 힘을 주어야만하므로 손톱이 꺾이거나 도금막이 박리되는 현상이 빈발하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주조에 의한 방식에 의하면 절삭시와는 달리 장식구 형상을 다양하게이룰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도시한 도면의 예시와 같이 장식구 시트(67)는 오목한 홈을 형성하고 있으며 방사상으로 뻗어 이루어지며 큐빅과 같은 장식부재(68)을 고정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다.
이는 주조 형틀에서 빼낼 수 있는 형상인 경우 실시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주조 방식의 귀걸이는 천공침(60)의 선단에 마련되는 체결홈(63)의 깊이를 깊게 형성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즉, 주조 형틀의 구조상 깊은 요홈의 형성은 형틀의 파손을 초래하므로 연속적인 주조 성형이 불가능하다. 그리하여 생산되는 귀걸이는 체결홈(63)이 매우 낮게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체결홈(63)의 깊이가 지나치게 낮은 상기 귀걸이는 체결구(66)와의 결합 강도가 약화되 쉽게 빠져버리는 폐단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이다.
본 발명은 인체에 유해성이 없는 금속재를 선정하여 무독성의 귀뚫는 귀걸이를 가능하게하는 형상 기억 합금을 이용한 귀 뚫는 귀걸이의 제조 방법 및 그 귀뚫는 귀걸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귀뚫는 귀걸이의 장식구 부분을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분리 성형하여 천공핀과 압입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형상 기억 합금을 이용한 귀 뚫는 귀걸이의 제조 방법 및 그 귀뚫는 귀걸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장식구 만을 분리하여 도금하므로 도금 막의 독성에 의한 부작용을 원천적으로 배제하면서도 장식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도금 피막이 가능한 형상 기억 합금을 이용한 귀 뚫는 귀걸이의 제조 방법 및 그 귀뚫는 귀걸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체결구와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하면서도 체결구를 빼낼 때에는 손쉽게 이탈이 가능한 구조를 부가하여 손톱이 부러지는 등의 손상을 방지 할 수 있도록된 형상 기억 합금을 이용한 귀 뚫는 귀걸이의 제조 방법 및 그 귀뚫는 귀걸이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서 천공침의 소재로 채택하고 있는 형상 기억 합금의 특성을 간단하게 살펴봄으로서 종래 귀걸이의 제한점 및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형상 기억 합금 중에서 티타늄과 니켈을 주 성분으로 하는 형상 기억 합금은 표면 접촉에 의하여는 인체에 독성이 없어 인체와의 친화성이 매우 높은 소재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반대로 형상 기억 합금은 다음과 같은 여러 점의 단점에 의하여 악세사리의 소재로 이용되지 못하고 있다.
즉, 고온에서 초 탄성을 갖게되어 절삭 등 가공시에 마찰열이 상승하면 경도가 높아지고 따라서 가공 공구의 마모가 극심하여 상업적인 대량 생산이 어려워지 점과,
용접이나 연마, 천공 등이 어려워 다향한 가공이 어려운점과,
주조시에는 티타늄 피막이 산화되므로 실질적으로 주조에 의한 제작이 어려운점 등이 있다.
따라서 형상 기억 합금은 주로 와이어 형태로 제작되어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의복 등에 형상 기억 와이어로 삽입되거나 스프링 형태로 감아 사용하는 정도에 지나지 아니하며 결과적으로는 선재 형태로만 이용되고 있는 실정인 것이다.
상기와 같은 이유에 의하여 형상 기억 합금은 악세사리, 특히 귀걸이에 전혀 이용되고 있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재의 성질을 이용하여 귀뚫는 귀걸이의 단점을 해소한 귀걸이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선재의 형상 기억 합금 소재에 일정 형상을 기억시키고 천공침의 선단을 뾰족하게 연마하는 것과, 체결구와 결합을 위한 체결홈을 프레스 가공하는 것과, 필요한 천공침의 길이로 절단해내는 컷팅 공정과, 연마 공정으로 천공침을 분리 성형하는 것과,
장식구를 형성하여 천공침 결합 홈을 가공하는 것과, 연마 후 도금 막을 피착 성형하여 이루고,
상기 천공침과 장식구를 강제 압입시켜 결합하여 완성된 귀뚫는 귀걸이를 이루는 것이다.
상기 천공침에 마련되는 체결구 결합을 위한 체결홈은 단면이 원형인 침의 양단에 180도 대향되도록 체결홈을 형성하여 이루어 체결구와 이탈 시킬 때 90도회전시키면 탄성고리가 천공침의 원주면을 타고 벌어지면서 홈에서 이탈되어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이루는 것에 의한다.
한편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 제 1999-17671호 " 형상기억 합금을 이용한 귀걸이"를 선 출원하여 등록 받은바 있다.
상기 선원에서는 와이어 형태의 형상 기억 합금을 일정한 기하 모양으로 변형되도록 형상 메모리를 하여 귀뚫는 천공과 동시에 형상 기억된 모양으로 변위하여 단순히 귀뚫는 귀걸이에서 악세사리로 곧 바로 기능하도록 된 것이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공정도.
도 1a는 본 발명의 다른 제조 방법을 도시한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귀 뚫는 귀걸이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귀걸이와 고정 클러치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로서의 귀걸이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종래도로서 절삭 가공에 의하여 이루어진 귀걸이를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종래도로서 주조 방식에 의하여 이루어진 귀걸이를 도시한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0a : 귀뚫는 귀걸이 11 : 천공침 12 : 체결홈
14 : 원주면 20, 20a : 장식구 22 : 도금막
24 : 결합홈 26 : 장식홈 28 : 장식부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 본 발명의 제조 공정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귀 뚫는 귀걸이를 천공침과 천공침의 일측에 결합되는 장식구로 분리 성형되어 압입 결합되는 것으로, 형상 기억 합금 소재로 이루어지는 선재를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선재를 직선으로 형상 기억시키는 단계와, 선단부를 연마 가공하여 뾰족한 천공침을 이루는 침 선단 연마 단계와, 천공침의 선단 부근의 일단에 180도 대항된 체결홈을 요입되게 형성하는 프레스 가공 단계와, 가공된 선재에서 소요의 천공침 길이를 절단해내는 컷팅 단계에 의하여 하나의 천공침을 얻고 이 단계를 반복하여 천공침을 이룬다.
상기 컷팅 단계를 통하여 획득된 천공침의 표면을 연마하는 연마 단계와 광택을 내기 위한 광택 연마 단계를 통하여 천공침을 이룬다.
한편, 천공침의 일단에 압입되는 장식구는 절삭, 압출, 주조, 사출 등의 필요한 방식으로 장식구를 성형하는 단계와, 천공침 결합용 홈을 형성하는 홈 가공단계와, 표면 연마 단계 및 광택 연마 단계를 통하여 성형된 장식구의 표면에 소요의 도금을 피착하여 장식구를 이룬다.여기서 소요의 도금을 이루는 도금 단계는 장식구에만 한정되어 실시되므로 인체의 천공 부위에 독성에 의한 부작용의 염려가 없으므로 다양한 도금이 실시될 수 있는바, 금 도금, 은 도금 및 기타 다른 메탈 도금 등이 이루어질 수 있고, 공지된 바와 같이 장식구로서 코팅하여 이루어 질 수도 있으며 이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실시되는 것이다.
상기 장식구의 천공침 결합 홈에 천공핀의 일단을 강제 압입시켜 결합하여 완성된 귀뚫는 귀걸이를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귀뚫는 귀걸이의 천공침은 형상 기억 합금 소재로 이루어져 외부 충격등에 분리되지 아니하는 정도로 장식구에 강제 압입시에도 경도가 유지되어 천공침이 휘어 사용이 불가한 경우가 없으며 예기치 않은 외력에 의하여 휘어지더라도 원래의 형상으로의 복원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하면 장식구를 분리 성형하여 천공침에 결합하므로 장식구의 소재와 제조 방식의 선택이 매우 다양하고 자유로우며 천공침은 도금치 아니하므로 인체의 천공 부위에 도금 막의 독성에 의한 부작용의 우려가 완전히 배제될 수 있다.
한편 도 1a에는 본 발명의 다른 제조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이는 상술한 제조 방법에 있어서 장식구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천공침 결합 홈을 가공하는 단계 이후 표면 연마 단계 전에 상기 장식구의 다른 표면에 장식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장식홈 가공 단계를 부가하고 천공침과 상기 장식구를 압입하는 프레스 결합 단계 이후에 상기 장식홈에 별도로 마련된 통상의 장식부재를 본딩 결합하여 완성품을 이루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귀뚫는 귀걸이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귀뚫는 귀걸이(10)는 천공침(11)과 장식구(20)로 분리 구성되며 천공침(11)은 형상 기억 합금으로 이루어지며 일단을 뾰족하게 연마 가공하고 이 단부에서 수 밀리 이격하여 180도 대향된 체결홈(12)을 가압 형성하여 이루고, 장식구(20)는 적정 크기로 이루어져 장식미를 표현 할 수 있는 메달로 이루어지며 일단의 중심부에 상기 천공침(11)이 압입 되는 결합홈(24)을 요설하고 외부 전체에 도금막(22)을 피착 형성하여 이루어 상기 결합홈(24)에 상기 천공침(11)의 타단을 억지 끼워 맞춤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귀 뚫는 귀걸이는 천공침(11) 상에는 일체의 도금층이 형성되지 아니하며 이에 의하여 인체를 뚫고 들어갔을 때 상처 부위에 도금 물질로 인한 부작용을 방지하며 장식구(20)를 이루는 메달 부분만을 선별적으로 도금 형성하므로 장식적인 여러 표현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귀뚫는 귀걸이(10)는 인체에 착용될 때에는 통상의 방식 대로 체결구(66)를 대향시켜 체결구의 탄성고리(66a)가 상기 천공침(11)의 체결홈(12)에 요입되어 걸려있도록 체결된다.
이후 사용자의 필요에 의하여 상기 귀걸이를 일시적으로 빼내고자 하면 상기 체결구(66)를 분리 이탈시킨 후에 귀걸이(10)를 뽑아내야 하는데 이때 본 발명은 체결구(66)를 천공침(11)을 중심으로 어느 일방으로 회전시키면 체결홈(12)에 걸려있던 탄성고리(66a)는 원주면(14)을 타면서 상기 체결홈(12)으로부터 빠져나와 동일 직경의 원주면을 타고 잡아빼면 힘들이지 아니하고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작용에 의하여 여성들의 손톱이 깨지는 등의 폐해를 방지할 수 있게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니켈과 티타늄을 주 소재로 하는 형상 기억 합금을 천공침으로 이용함에 있어서 천공침에 코팅치 아니하고도 색상 부여하여 할 수 있어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데 이는 섭씨 300℃ ~ 600℃에서 파란색, 보라색, 갈색 등의 여러 색상으로 발색되는 것에 의하여 가능하며 이러한 발색은 도금의 부작용을 방지하면서도 다양한 컬러의 상품 생산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천공침(11)과 장식구(20)의 결합은 이탈이 불가 할 정도의 억지 끼워 맞춤을 이루는 것에 의하여 결합시 직경 1mm 이내의 침이 휘어질 수 있으나 천공침은 형상 기억 합금 소재로 이루어 직선으로 형상 메모리가 되어 있으므로 휘어지더라도 직선 형태로의 형상 복원이 가능하며 동시에 소재의 강성으로 휘어짐은 극히 드물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귀뚫는 귀걸이는 귀에 구멍을 뚫기 위한 인체의 안전성을 최 우선으로 고려하고 있기는 하지만 장식적인 미를 부여하도록 도 4의 발명과 같이 변형 실시될 수도 있다.
즉, 장식구(20a)에는 결합홈(24)과 대향면으로 원추형 요홈으로 이루어지는 장식홈(26)을 요입 형성하여 이루어 도금막(22)을 피착 형성하고 별도의 장식 부재(28)를 본딩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제조하는 과정에서는 천공침(11)과 완성된 장식구(20a)를결합하게 되면 장식구가 손상을 받게 되므로 장식홈(26)에 치합되는 형상의 돌기(32)를 갖는 결합 지그(30)를 형성하여 지그상에 장식구(20a)를 올려놓고 천공침(11)을 억지 끼워 맞춤으로서 압입되는 손상을 장식홈(26)에 국한되게하고 이후 장식홈(26)에 장식 부재(28)를 결합하여 악세사리로 기능하는데 문제가 없도록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흠집을 은폐되게 한다.
상기 장식구(20a)에 접합되는 장식 부재(28)는 다양하게 컷팅된 큐빅이 주로 활용 될 수 있으며, 기타 아크릴 등의 다른 장식용 부재, 금속 부재 등등이 다양하게 선정되어 결합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인체에 유해성이 없는 니켈과 티타늄을 주 성분으로하는 금속재를 선정하여 무독성의 귀뚫는 귀걸이를 가능하게하는 효과가 있으며, 귀뚫는 귀걸이의 장식구 부분을 절삭 가공하거나 주조 성형, 압출 성형 등의 다양한 제조 방식으로 여러 형상의 구성을 이루어 분리 성형하여 천공핀과 압입 결합하여 이루어지므로 귀 뚫는 귀걸이의 형태가 다양하게되어 귀뚫는 용도 뿐만이 아니라 곧 바로 장식적인 귀걸이로 기능하는 효과를 갖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식구 만을 분리하여 도금하므로 천공침 부위에 형성되는 도금 막의 독성에 의한 부작용을 원천적으로 배제하면서도 장식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도금 피막이 가능한 효과를 갖으며, 체결구와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하면서도 체결구를 빼낼 때에는 손쉽게 이탈이 가능한 구조를 부가하여 사용자의 손톱이 부러지는 등의 손상을 방지 할 수 있으며 손 쉽게 분리 이탈이 가능한 여러 효과를 갖는 매우 우수한 발명인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청구 범위 기술 사상은 반드시 귀뚫는 귀걸이에 국한 되는 것은 아니고 이러한 귀뚫는 귀걸이는 상시 착용하는 일반 귀걸이에도 동일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또는 인체의 다른 천공 용도에도 전용이 가능하며 이러한 전용은 본 청구 범위 기술 구성에 의하여 극히 용이한 것에 해당하므로 본 특허 범위에 귀속됨을 밝혀둔다.

Claims (5)

  1. 귀뚫는 귀걸이를 성형하기 위하여 이루어지는 귀뚫는 귀걸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형상 기억 합금 소재로 이루어지는 선재를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선재를 직선으로 형상 기억시키는 단계와,
    상기 선재의 선단부를 연마 가공하여 뾰족한 천공침을 이루는 침 선단 연마 단계와,
    상기 연마된 천공침의 선단 부근의 일단에 180도 대항된 체결홈을 요입되게 형성하는 프레스 가공 단계와,
    상기 가공된 선재에서 소요의 천공침 길이를 절단해내는 컷팅 단계로의 반복에 의하여 천공침을 형성하는 것과,
    상기 컷팅 단계를 통하여 획득된 천공침의 표면을 연마하는 연마 단계와 광택을 내기 위한 광택 연마 단계를 통하여 천공침을 성형하는 단계;
    상기 천공침의 일단에 압입되는 장식구를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천공침 결합용 홈을 형성하는 홈 가공단계와,
    상기 장식구의 표면 연마 단계 및 광택 연마 단계를 통하여 성형된 장식구의 표면에 소요의 도금을 피착하는 단계에 의하여 장식구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장식구의 천공침 결합 홈에 천공핀의 일단을 강제 압입시켜 결합하여 완성된 귀뚫는 귀걸이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기억 합금을 이용한 귀 뚫는 귀걸이의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식구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천공침 결합 홈을 가공하는 단계 이후 표면 연마 단계 전에 상기 장식구의 다른 표면에 장식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장식홈 가공 단계를 부가하는 것과,
    상기 천공침과 상기 장식구를 압입하는 프레스 결합 단계 이후에 상기 장식홈에 별도로 마련된 장식부재를 본딩 결합하여 완성품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기억 합금을 이용한 귀 뚫는 귀걸이의 제조 방법.
  3. 일단에는 뾰족한 침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장식구가 형성되어 체결구와 결합되는 귀뚫는 귀걸이에 있어서,
    귀뚫는 귀걸이(10)는 천공침(11)과 장식구(20)로 분리 구성되며,
    상기 천공침(11)은 형상 기억 합금으로 이루어지며 일단을 뾰족하게 연마 가공하고 이 단부에서 수 밀리 이격하여 180도 대향된 체결홈(12)을 가압 형성하여 이루고,
    상기 장식구(20)는 적정 크기로 이루어져 장식미를 표현 할 수 있는 메달로 이루어지며 일단의 중심부에 상기 천공침(11)이 압입 되는 결합홈(24)을 요설하고 외부 전체에 도금막(22)을 피착 형성하여 이루어 상기 결합홈(24)에 상기 천공침(11)의 타단을 억지 끼워 맞춤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기억 합금을 이용한 귀 뚫는 귀걸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장식구에는 결합홈(24)과 대향면으로 원추형 요홈으로 이루어지는 장식홈(26)을 요입 형성하여 이루어 도금막(22)을 피착 형성하고 별도의 장식 부재(28)를 본딩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장식구(20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기억 합금을 이용한 귀뚫는 귀걸이.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장식구(20, 20a)를 이루는 메달 부분만에만 제한적 선별적으로 도금막(22)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기억 합금을 이용한 귀뚫는 귀걸이.
KR10-2000-0026102A 2000-05-16 2000-05-16 형상 기억 합금을 이용한 귀 뚫는 귀걸이의 제조 방법 및그 귀 뚫는 귀걸이 KR100371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6102A KR100371550B1 (ko) 2000-05-16 2000-05-16 형상 기억 합금을 이용한 귀 뚫는 귀걸이의 제조 방법 및그 귀 뚫는 귀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6102A KR100371550B1 (ko) 2000-05-16 2000-05-16 형상 기억 합금을 이용한 귀 뚫는 귀걸이의 제조 방법 및그 귀 뚫는 귀걸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4892A KR20010104892A (ko) 2001-11-28
KR100371550B1 true KR100371550B1 (ko) 2003-02-06

Family

ID=45813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6102A KR100371550B1 (ko) 2000-05-16 2000-05-16 형상 기억 합금을 이용한 귀 뚫는 귀걸이의 제조 방법 및그 귀 뚫는 귀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155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151B1 (ko) 2007-05-08 2008-07-03 임영일 부작용이 없는 귀걸이
KR20160001492A (ko) 2014-06-27 2016-01-06 (주) 엠투다이아몬드 귀걸이 뒷장식부재
KR101766683B1 (ko) * 2017-06-13 2017-08-09 (주)테라리제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귀걸이핀의 결합구조
KR102167817B1 (ko) * 2019-05-03 2020-10-20 (주)골드팡 천공부가 구비된 피어싱 핀
KR200492804Y1 (ko) * 2019-06-25 2020-12-14 오순록 피어싱 장신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3800A (ko) * 2002-06-18 2002-07-05 정일조 귀고리핀 자동 가공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151B1 (ko) 2007-05-08 2008-07-03 임영일 부작용이 없는 귀걸이
KR20160001492A (ko) 2014-06-27 2016-01-06 (주) 엠투다이아몬드 귀걸이 뒷장식부재
KR101766683B1 (ko) * 2017-06-13 2017-08-09 (주)테라리제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귀걸이핀의 결합구조
KR102167817B1 (ko) * 2019-05-03 2020-10-20 (주)골드팡 천공부가 구비된 피어싱 핀
KR200492804Y1 (ko) * 2019-06-25 2020-12-14 오순록 피어싱 장신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4892A (ko) 2001-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30909B2 (ja) 中空ダイヤモンドカット縄状チェーン及びその製造方法
US6928734B1 (en) Jewelry r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6470571B1 (en) Method for producing a decorated adjuster for a necklace or choker
KR100371550B1 (ko) 형상 기억 합금을 이용한 귀 뚫는 귀걸이의 제조 방법 및그 귀 뚫는 귀걸이
KR101811772B1 (ko) 피어싱 결합구조를 갖는 장신용 구슬의 제조방법
US2747259A (en) Method of forming a ring having embedded metal inserts therein
US2458645A (en) Imbedded metal band
US6594901B2 (en) Metal ornamentation technique
JP2001286313A (ja) 装飾具用ワイヤ
JP2023070520A (ja) 装身具部品製造方法、装身具製造方法、装身具の部品及び装身具
KR102023327B1 (ko) 마찰식 압입구조의 초경량 라이트 장식볼을 갖는 장식줄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한 장식줄
KR0121744B1 (ko) 여러가닥의 철사를 엮어서 내부가 관통되게 형성하는 관통와이어와 그 관통와이어로 형성한 장신용 악세사리
EP3133952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rnament made of precious metal and ornament manufactured thereby
CN220174626U (zh) 一种新型穿刺首饰
Harrington Iroquois silverwork
JPH08322615A (ja) 月甲丸の耳飾り
KR200242650Y1 (ko) 귀걸이
JP3152795U (ja) 装身具用の貴金属製中空丸玉
KR101508340B1 (ko) 연마 장식 표면을 가지는 장신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292027Y1 (ko)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이종재료를 결합한 액세서리
KR100444207B1 (ko) 액세서리의 보석알 고정방법
KR20090033736A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귀뚫는 귀걸이
Tănase The Tools
JP2895106B2 (ja) 刻印付き装身具用部品とその刻印形成方法
KR100313035B1 (ko) 귀걸이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30814

Effective date: 20050601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30705

Effective date: 200506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