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2027Y1 -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이종재료를 결합한 액세서리 - Google Patents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이종재료를 결합한 액세서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2027Y1
KR200292027Y1 KR2020020015938U KR20020015938U KR200292027Y1 KR 200292027 Y1 KR200292027 Y1 KR 200292027Y1 KR 2020020015938 U KR2020020015938 U KR 2020020015938U KR 20020015938 U KR20020015938 U KR 20020015938U KR 200292027 Y1 KR200292027 Y1 KR 2002920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ory
connecting element
hole
adhesive
dissimilar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59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학
Original Assignee
박재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학 filed Critical 박재학
Priority to KR20200200159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20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20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2027Y1/ko

Link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이종재료를 결합한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서, 액세서리 연결소자에 있어서,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형상으로 내측에는 통공이 형성되고 양측단에는 연결고리구멍을 갖는 연결고리가 각각 돌출되게 형성된 액세서리소자와, 이종재료판에서 펀치에 의해 액세서리소자의 통공에 억지끼움되는 이종재료를 구비하여 접착제의 사용 없이도 액세서리의 일측에 이종재료를 완강히 결합시킴으로써 미관이 미려하여 미적 감각을 높일 수 있고 사용중 분실의 우려가 전혀 없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색상대비 및 컬러의 매치가 돋보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이종재료를 결합한 액세서리{accessories coupling element by combining different material without adhesive}
본 고안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이종재료를 결합한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접착제의 사용 없이도 액세서리의 일측에 이종재료를 완강히 결합시킴으로써 미관이 미려하여 미적 감각을 높일 수 있고 사용중 분실의 우려가 전혀 없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색상대비 및 컬러의 매치가 돋보이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이종재료를 결합한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액세서리(accessory)는 본체(本體)의 기능이나 효과를 증대시키거나 변화를 주는 부속품 또는 보조물의 총칭으로, 액세서리는 부대(附帶) 또는 종속(從屬)하는 것이라는 뜻이다.
예를 들어, 드레스 액세서리는 모자 ·백 ·장갑 ·구두 ·장신구를 말하며, 구미(歐美)의 업계에서는 네글리제 ·코르셋 ·란제리 등도 여기에 포함시킨다. 또 카메라 액세서리라고 하면, 교환 렌즈 ·필터 ·어태치먼트 ·릴리스 등 각종 카메라 보조물품을 말한다. 최근에는 카액세서리 ·룸액세서리 등 액세서리의 개념이 넓어졌는데, 단지 액세서리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드레스 액세서리, 즉 복식부속품을 지칭한다.
이런, 액세서리를 대별하면 부속품 ·장신구 ·트리밍(trimming)의 3가지로 분류되며, 협의로는 장신구만을 가리킨다. 부속품에는 머리에 쓰는 모자류, 목에 두르는 목도리류, 휴대품 ·신발류 등이 있고, 장신구에는 머리장식품 ·귀고리 ·팔찌 ·반지 ·목걸이 등이 있고, 트리밍에는 브레이드 ·리본 ·단추 ·깃털 장식 ·모피류 등이 있다.
또, 부대하는 신체 부위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별하는 방법도 있다.
① 두부(頭部)에 부착하는 액세서리: 모자 ·베일 ·스카프 ·관(冠) ·가발 ·헤어네트 ·헤어핀 ·깃털 장식 ·리본 ·비녀 ·빗 ·귀고리 등,
② 목 부분 액세서리: 숄 ·칼라 ·목걸이 ·펜던트 ·로켓 ·브로치 ·넥타이 ·보 등,
③ 동부(胴部)의 액세서리: 벨트 ·새시 ·버클 ·띠 등,
④ 다리나 발에 착용하는 액세서리: 구두 ·양말 ·스파츠(spats:짧은 각반) ·게트르(긴 각반) 등,
⑤ 팔이나 손에 착용하는 액세서리: 반지 ·팔찌 ·장갑 ·손목시계 ·커프스버튼 등,
⑥ 휴대용품: 우산 ·양산 ·단장 ·부채 ·핸드백 ·손수건 등,
⑦ 부위에 관계없이 트리밍으로서 사용되는 단추 ·지퍼 ·모피 ·리본 ·조화 ·구슬 등이다
이중 액세서리 중에서 특히, 목걸이(necklace)는 목이나 앞가슴을 장식하는 줄 모양 또는 고리 모양으로 된 장신구로, 목걸이는 미적 효과를 꾀하는 외에, 신앙상의 주술에 의한 것, 목 부분을 보호하기 위한 것, 성별(性別)이나 신분을 표시하기 위한 것 등 여러 가지가 있다.
목걸이의 발생은 인간의 역사와 더불어 오래되었다. 당초 인류는 물체에 초자연적(超自然的)인 힘이 붙는다는 주물숭배(呪物崇拜)에서, 또 한편으로는 장신(裝身)의 뜻으로, 인체의 중요 부분인 목 부분에 대하여 정성을 들여 가꾸었으리라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목걸이는 인류에 있어서 가장 보편적인 장신구의 하나로, 어느 것이나 연결된 구슬 모양의 것을 기본으로 하여 의복에 앞서서 사용된 경우도 있었다고 추측된다. 기술이 진보됨에 따라 이런 것들은 유리 ·도기 ·호박 기타 보석류로 대치되었고, 나아가서 금속시대(金屬時代)의 도래로 금속류와의 병존과 혼용이 이루어졌다.
특히 고대 이집트 왕조의 제왕(諸王)은 목걸이를 일종의 재산으로 생각하여 터키석 ·마노 ·공작석 등 아름다운 돌로 만든 여러 줄의 목걸이를 걸고 재력과권력을 과시했다.
이로부터 중세 때까지의 목걸이는 특정 상류층 사람의 신분을 상징하는 데 사용되었다.
그 후 르네상스에 이르러 그 경향은 어느 정도 누그러져서 귀족으로부터 부호(富豪)로, 다시 서민에게로 퍼졌다. 특히, 일찍부터 동방과의 교류가 있었던 이탈리아에서는 금은 세공을 비롯하여 카메오 ·진주 ·유리 등의 정교한 세공기술이 발달하여, 근세를 통하여 유럽의 보석 기술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그 중에서도 카메오와 진주는 근세 목걸이의 대표적인 것이다.
18세기초에 복장의 간소화와 더불어 일시 침체한 목걸이가 말기에는 단순한 리본을 매는 정도로 바뀌었고, 19세기 말기에 수세공(手細工)에 대한 평가가 높아지면서 다시 각광을 받았으며, 인조보석 등 과학기술이 발달됨에 따라 목걸이는 제2차 세계대전 후에 눈에 띄게 대중화되었다.
이런 목걸이는 형상이나 소재 또는 용도에 따라 종류가 다양하다.
① 카커넷: 귀금속·보석·진주 등을 연결한 것.
② 롱네크리스: 사슬이나 구슬 따위를 길게 연결한 것.
③ 채플릿: 한 줄로 된 비즈 모양의 것이며, 장식용 고리의 총칭이기도 하다.
④ 초커: 같은 크기의 구슬을 연결하여 목에 꼭 맞게 띠 모양으로 된 것.
⑤ 도그 칼라(dog collar): 나비가 좀 넓고 개 목걸이 모양으로 된 것.
⑥ 칼라 서클릿(collar circlet): 비브라고도 한다. 고대 이집트에서 볼 수있는 옷깃 모양으로 된 것.
⑦ 에스클라바주(esclavage): 단순한 금속 목걸이는 칼라이고, 금속제 사슬이나 실로 연결한 비즈나 보석을 실 꼬듯 꼰 것. 이 말은 목걸이의 고어(古語)로 노예 또는 속박을 의미하기도 하는 프랑스어이다.
⑧ 라발리에르(lavallire): 사슬에 보석을 장식하여 목에서 늘어뜨리는 것.
⑨ 리비에르(rivire): 강이라는 뜻의 프랑스어이다. 다이아몬드나 그 밖의 보석으로 만든 여러 줄로 된 것.
⑩ 펜던트(pendant): 그 수(數)에 관계없이 따로 늘어뜨리는 장식이 달려 있는 것.
⑪ 로켓(locket): 목걸이를 사진 등을 넣을 수 있게 만든 것이 있다.
이러한 각종 목걸이는 얼굴에 가까이 있다는 점에서 장식상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복장의 분위기와 어우러지게 착용한다. 오늘날의 상식으로 본다면, 목걸이를 착용할 때의 기본은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정장을 할 때는 귀금속·보석류·진주 등 세공이 정교한 공예품 등이 좋고, 평상복에는 주물·목각·나무 열매류·조개껍데기·유리·플라스틱 등 소박한 느낌의 이미테이션 등이 적당하다. 중간적 일상복에는 각기 의복의 성격이나 특징에 맞추어 택하면 된다.
이런 액세서리들은 기본적으로 고리나 줄을 반복적으로 이어서 된 것으로 그 선단에는 단속연결고리가 결합되어 하나의 원형으로서 목이나 손목이나 허리 또는 발목에 걸어서 착용하게 된다.
첫째로는 납이나 니켈과 같은 금속을 용광로에 용해시킨 다음, 원심주조기에 장착된 소정의 모양을 갖는 고무몰드(형틀)를 이용하여 액세서리를 얻는 케스팅 주조방법이 있다.
이렇게 주조로 형성된 액세서리 제품은 최초 주조상태에서 여러개가 게이트에 의해 붙어있는 상태이므로 분리하는 작업을 한 다음, 분리된 제품을 연마기에 넣어 가락치기와 같은 다듬질을 하게 된다.
다듬질이 끝난 제품은 세척 후, 건조하여 도금을 실시하는 단계로 액세서리 제품을 완성하게 된다.
둘째로는 자동 체인기계에 철선을 연속적으로 투입하여 고리연결의 체인을 형성하는 방법이 있다.
이런 자동 체인기에 의해 제조되는 체인은 규격에서부터 종류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이렇게 형성된 기본 체인은 원래상태로 사용하기도 하지만, 원래상태로 사용하게 되면 단조롭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에는 기본체인형태의 체인을 비틀거나 휜 상태에서 프레스나 로울러를 이용하여 압축하거나 늘리는 방법 등으로 다양한 무늬모양의 액세서리용 체인을 완성하게 된다.
셋째로는 밴드타입 또는 판재타입의 강판, 즉, 동판, 신주판, 알루미늄판, 주철판, 스테인레스판 등을 금형으로 따낸 다음, 체인상태가 되도록 손으로 조립하는 일명 핸드 메이드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액세서리 제조방법들은 재질이 서로 다른 이종재료(異種材料)사용할 때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서로 접착시키게 되어 일정시간 경과 후에는 접착부위가 떨어져 이종재료가 분리되어 미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사용중 분실되어 다시는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접착제의 사용 없이도 액세서리의 일측에 이종재료를 완강히 결합시킴으로써 미관이 미려하여 미적 감각을 높일 수 있고 사용중 분실의 우려가 전혀 없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색상대비 및 컬러의 매치가 돋보이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이종재료를 결합한 액세서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이종재료를 결합한 액세서리는, 액세서리 연결소자에 있어서;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형상으로 내측에는 통공이 형성되고 양측단에는 연결고리구멍을 갖는 연결고리가 각각 돌출되게 형성된 액세서리소자와;이종재료판에서 펀치에 의해 액세서리소자의 통공에 억지끼움되는 이종재료를 구비하는 특징을 갖는다.상기 액세서리 연결소자의 중심측에 형성된 통공은 모양이 다른 다수개가 형성되는 특징을 갖는다.상기 액세서리 연결소자의 통공에 억지끼움된 이종재료는 일측 또는 양측면에 코팅 또는 페인트 도색되는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 일 실시예의 제조작업시 작동모습을 보인 요부발췌 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 일 실시예의 제조작업시 펀칭커터 하강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 2b는 본 고안 일 실시예의 제조작업시 펀칭커터 하강후의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인 액세서리 연결소자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액세서리 연결소자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인 액세서리 연결소자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5a와 도 5b와 도 5c는 본 고안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 연결소자의 변형예.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액세서리 연결소자 10a : 통공
12,13 : 연결고리 12b,13b : 연결고리구멍
14 : 결합고리 20 : 받침대
20a : 정위치홈 20b,20c : 작업평면
20d : 단턱 30 : 고정볼트
40 : 프레스테이블 50 : 이종재료판
50a : 절단선 50b : 이종재료
50c : 코팅면 50d : 페인팅면
60 : 프레스축 70 : 펀칭커터
70a : 단부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일 실시예의 제조작업시 작동모습을 보인 요부발췌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고안 일 실시예의 제조작업시 펀칭커터 하강모습을 보인 측단면도이며, 도 2b는 본 고안 일 실시예의 제조작업시 펀칭커터 하강후의 모습을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인 액세서리 연결소자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이종재료를 결합한 액세서리는 소정의 모양을 가진 금형을 제작하는 금형제작단계와, 액세서리 연결소자를 형성하는 연결소자형성단계와, 액세서리 연결소자를 받침대 상단에 안착시켜 위치를 고정시키는 연결소자안착단계와, 받침대와 액세서리 연결소자의 상단에 이종재료판을 위치시키는 이종재료안착단계와, 프레스축의 펀칭커터를 이종재료판의 상단에서 통공 방향으로 일정압력으로 때리는 이종재료프레싱단계 및 프레스축 펀칭커터의 단부에 의해 절단된 이종재료가 액세서리 연결소자의 통공 내측으로 완강히 억지끼움되는 이종재료결합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고안은 먼저, 소정의 모양을 갖는 금형을 별도로 형성하는 금형제작단계를 거친 후, 그 금형으로 양측단에 연결고리구멍(12b)(13b)이 형성된 연결고리(12)(13)를 갖고 중심에 통공(10a)이 형성된 액세서리 연결소자(10)를 형성시키는 연결소자형성단계를 거친다.
또한,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액세서리 연결소자(10)가 정위치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상단면 중간부에 단턱(20d)을 경계로 높이가 다른 두개의 작업평면(20b)(20c)을 갖고 액세서리 연결소자(10)의 일측면 외주면과 동일한 형태로 높이가 낮은 작업평면(20c)상에서 높이가 높은 작업평면(20b)방향으로 요부로 형성된 정위치홈(20a)을 가진 받침대(20)를 형성한다.
이 받침대(20)는 고정볼트(30)로 견고하게 프레스테이블(40) 상에 완강히 장착 고정된다. 단턱(20d)의 높이는 액세서리 연결소자(10)의 두께와 동일하게 구성시킨다.
이어서, 중심에 통공(10a)이 형성된 액세서리 연결소자(10)의 일측면을 받침대(20)의 정위치홈(20a)에 안착시키는 연결소자안착단계를 거친 다음, 안착된 액세서리 연결소자(10) 상면에 이종재료판(50)을 올려놓는 이종재료안착단계를 거치고, 통공(10a)의 연장선상에 위치된 동일 지름의 펀칭커터(70)를 갖는 프레스축(60)을 액세서리 연결소자(10)의 통공(10a)방향으로 하강시키는 이종재료프레싱단계를 거친다.
프레스축(60)이 가동하게 되면 그 하단부에 입설된 펀칭커터(70)가 하강하게 된다.
이때, 하강하는 펀칭커터(70)의 단부(70a)는 정위치홈(20a)에 의해 액세서리 연결소자(10)의 중심측에 형성된 통공(10a)과 일직선상에 일치되도록 하강하게 된다.
이렇게 액세서리 연결소자(10)의 통공(10a)과 일직선상에서 일치하는 상태로 하강하는 펀칭커터(70)는 그 단부(70a)가 이종재료판(50)의 상단을 하측방향으로 때리는 순간, 하단부(70a)와 통공(10a)이 상호 절단 작용하는 관계가 되어 이종재료판(50)의 절단선(50a)부분을 절단하게 된다.
즉, 펀칭커터(70)의 단부(70a)가 하강하여 액세서리 연결소자(10) 위에 얹혀진 이종재료판(50)을 상부에서 하부로 일정압력으로 때리면서 단부(70a)가 액세서리 연결소자(10)의 통공(10a) 내주면과 일치하게 되므로 결국, 단부(70a)와 통공(10a) 내주면은 서로 작두와 같은 작용을 하면서 이종재료판(50)의 절단선(50a) 부분을 절단하게 된다.
이렇게 이종재료판(50)에서 절단된 이종재료(50b)는 절단과 동시에 위에서 때리는 일정압력을 갖는 펀칭커터(70)에 눌러서 액세서리 연결소자(10)의 통공(10a) 속으로 억지끼움 형태로 강압적인 힘에 의해 끼워지게 되므로 이렇게 억지끼움으로 결합된 이종재료(50b)와 액세서리 연결소자(10)는 서로 분리되지 않고 견고하게 완강히 결합되는 이종재료결합단계를 거쳐서 이종재료(50b)가 완강히 결합된 액세서리 연결소자(10)가 완성되는 것이다.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액세서리 연결소자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로, 액세서리 연결소자(10)의 재질을 황금색의 신주판으로 형성시킬 때, 액세서리 연결소자(10)의 통공(10a)에 억지끼움된 이종재료(50b)의 재질은 광택이 흐르는 은색의 스테인레스를 사용함으로써 투톤의 효과를 보인 것이다.
또한, 액세서리 연결소자(10)의 재질을 황금색의 신주판으로 형성시킬 때, 액세서리 연결소자(10)의 일측 통공(10a)에 억지끼움된 이종재료(50b)의 재질은 광택이 흐르는 은색의 스테인레스를 사용하고, 타측 통공(10a)에 억지끼움된 이종재료(50b)의 재질은 황금색의 황동을 사용함으로써 한 개의 액세서리 연결소자(10)에서 일명 쓰리컬러의 효과를 보일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인 액세서리 연결소자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로, 모양이 서로 다른 각각의 액세서리 연결소자(10)에 한개 또는 두개 이상의 모양이 다른 통공(10a)을 각각 형성하고, 각각의 통공(10a)에 이종재료(50b)를 억지 결합시킨 것이다. 각각의 액세서리 연결소자(10)는 결합고리(14)에 의해서 서로 연결 결합된다.
즉, 각각 액세서리 연결소자(10)의 재질을 황금색의 신주판으로 형성시킬 때, 다른 액세서리 연결소자(10)의 통공(10a)에 억지끼움된 이종재료(50b)의 재질은 광택이 흐르는 은색의 스테인레스를 사용하고, 또 다른 액세서리 연결소자(10)의 통공(10a)에 억지끼움된 이종재료(50b)의 재질은 황금색의 황동을 사용함으로써 세개의 액세서리 연결소자(10)로 일명 쓰리컬러의 효과를 보인 것이다.
도 5a는 본 고안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 연결소자의 변형예로, 액세서리연결소자(10)의 통공(10a)에 억지끼움된 이종재료(50b)는 양면 즉, 상단면과 하단면에 액세서리 연결소자(10)와 현저히 구분되는 코팅면(50c) 또는 페인팅 도색한 모습을 보인 것이다.
도 5b는 본 고안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 연결소자의 변형예로, 액세서리 연결소자(10)의 통공(10a)에 억지끼움된 이종재료(50b)는 상단면이나 하단면 중 일측면에만 액세서리 연결소자(10)와 현저히 구분되는 코팅 또는 페인팅 도색한 페인팅면(50d)의 모습을 보인 것이다.
도 5c는 본 고안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서리 연결소자의 변형예로, 액세서리 연결소자(10)의 통공(10a)에 억지끼움된 이종재료(50b)는 상단면과 하단면에 액세서리 연결소자(10)와 현저히 구분되는 도색을 하지 않은 모습을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접착제의 사용 없이도 액세서리의 일측에 이종재료를 완강히 결합시킴으로써 미관이 미려하여 미적 감각을 높일 수 있고 사용중 분실의 우려가 전혀 없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색상대비 및 컬러의 매치가 돋보이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6)

  1. 액세서리 연결소자에 있어서;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형상으로 내측에는 통공(10a)이 형성되고 양측단에는 연결고리구멍(12a)(13a)을 갖는 연결고리(12)(13)가 각각 돌출되게 형성된 액세서리소자(10)와;
    이종재료판(50)에서 펀치에 의해 액세서리소자(10)의 통공(10a)에 억지끼움되는 이종재료(50b)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이종재료를 결합한 액세서리 연결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액세서리 연결소자(10)의 중심측에 형성된 통공(10a)은 모양이 다른 다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이종재료를 결합한 액세서리 연결소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액세서리 연결소자(10)의 통공(10a)에 억지끼움된 이종재료(50b)는 일측 또는 양측면에 코팅 또는 페인트 도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이종재료를 결합한 액세서리 연결소자.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20020015938U 2002-05-24 2002-05-24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이종재료를 결합한 액세서리 KR2002920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938U KR200292027Y1 (ko) 2002-05-24 2002-05-24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이종재료를 결합한 액세서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938U KR200292027Y1 (ko) 2002-05-24 2002-05-24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이종재료를 결합한 액세서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8872A Division KR20030090971A (ko) 2002-05-24 2002-05-24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이종재료를 결합한 액세서리연결소자의 제조방법과 그 제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2027Y1 true KR200292027Y1 (ko) 2002-10-14

Family

ID=73123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5938U KR200292027Y1 (ko) 2002-05-24 2002-05-24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이종재료를 결합한 액세서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202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2008B1 (ko) 2016-01-25 2016-04-12 문병중 이종재질로 이루어진 장신구용 연결편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2008B1 (ko) 2016-01-25 2016-04-12 문병중 이종재질로 이루어진 장신구용 연결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3357B1 (en) Interchangeable jewelry method using individual beaded links
US11109653B2 (en) Jewelry ornament with clasp mechanism
KR200292027Y1 (ko)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이종재료를 결합한 액세서리
US20050208267A1 (en) Ornamentation device
CN214127319U (zh) 一种可调节项链长度的吊坠
KR20030090971A (ko)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이종재료를 결합한 액세서리연결소자의 제조방법과 그 제품
KR200295939Y1 (ko) 액세서리 컵스톤의 연결바
KR102056318B1 (ko) 악세서리 및 그 제조방법
KR200457632Y1 (ko) 귀금속 장신구용 연결구
KR101191352B1 (ko) 모피 장식물의 제조방법
KR200384692Y1 (ko) 액세서리 펜던트
KR20040016550A (ko) 액세서리 컵스톤의 연결바
JP3929055B2 (ja) ネック服飾品
CN206760950U (zh) 一种吊坠结构
KR200273881Y1 (ko) 액세서리용 단속연결고리
KR200273880Y1 (ko) 액세서리용 단속연결고리
KR200274974Y1 (ko) 액세서리용 단속연결구
CN217885280U (zh) 一种用于服装或首饰的组合装饰组件
CN210158139U (zh) 一种可转换状态的多功能饰品
US11019892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rnament made of precious metal and ornament manufactured thereby
Vynnychuk et al. Artistic and stylistic features of modern brooches
CN210988575U (zh) 一种可旋转首饰
CN216822076U (zh) 一种可拆卸的组合式宝石项链
CN210611255U (zh) 一种旗袍式吊坠
KR200338309Y1 (ko) 액세서리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