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632Y1 - 귀금속 장신구용 연결구 - Google Patents

귀금속 장신구용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632Y1
KR200457632Y1 KR2020090003879U KR20090003879U KR200457632Y1 KR 200457632 Y1 KR200457632 Y1 KR 200457632Y1 KR 2020090003879 U KR2020090003879 U KR 2020090003879U KR 20090003879 U KR20090003879 U KR 20090003879U KR 200457632 Y1 KR200457632 Y1 KR 2004576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ver
groove
present
precious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38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0020U (ko
Inventor
남승호
Original Assignee
남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승호 filed Critical 남승호
Priority to KR20200900038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632Y1/ko
Publication of KR201000100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0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6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6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2Link constructions
    • A44C5/10Link constructions not extensibl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44C17/0208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removabl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4Setting gems in jewellery; Setting-too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귀금속 장신구용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 목 적 >
이에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는 연결구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핀과 상기 연결핀에 대응되어 형성되는 연결요홈에 의해 다수개의 연결구들이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결합성을 양호하게 하도록 이루어진 귀금속 장신구용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 구 성 >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일측 또는 타측에 서로 대향되어 형성되는 연결핀(110)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핀(110)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결요홈(120)이 형성되는 상부가 개구된 함체 형상의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개구된 상부에 대응되어 형성되되, 중앙부에 관통공(210)이 구비되는 덮개(200)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귀금속 장신구용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덮개(200)는 상기 몸체(100)의 상부 일측 또는 양측에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V홈(130)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몸체(100)와 덮개(200)는 몸체(100)의 상부에 다수개의 접합돌기(140)가 형성되고, 덮개(200)의 외주면에 상기 접합돌기(140)에 대응되어 접합공(220)이 형성되어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몸체(100)의 내측에는 걸림턱(150)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200)의 하부면에는 걸고리(230)가 형성되어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 효 과 >
따라서, 본 고안은 별도의 연결수단 없이 연결구만으로도 결합이 가능하여 제조공정을 단축시키고, 체결성이 양호할 뿐만 아니라, 다수개의 연결구들이 결합되어 외관상으로 마치 물결이 이는 듯한 심미감을 표현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제품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연결구, 연결핀, 연결요홈, 함체, 덮개, 용접, 걸림턱, 걸고리, V홈, 접합돌기

Description

귀금속 장신구용 연결구{Connector for precious metals accessory}
본 고안은 귀금속 장신구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구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핀과 상기 연결핀에 대응되어 형성되는 연결요홈에 의해 다수개의 연결구들이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결합성을 양호하게 하도록 이루어진 귀금속 장신구용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신구(액세서리)라 부대(附帶) 또는 종속(從屬)하는 것이라는 뜻이다. 예를 들면 드레스 액세서리는 모자 ·백 ·장갑 ·구두 ·장신구를 말하며, 구미(歐美)의 업계에서는 네글리제 ·코르셋 ·란제리 등도 여기에 포함시킨다. 또 카메라 액세서리라고 하면, 교환 렌즈 ·필터 ·어태치먼트 ·릴리스 등 각종 카메라 보조물품을 말한다. 최근에는 카액세서리 ·룸액세서리 등 액세서리의 개념이 넓어졌는데, 단지 액세서리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드레스 액세서리, 즉 복식부속품을 지칭한다.
액세서리를 대별하면 부속품 ·장신구 ·트리밍(trimming)의 3가지로 분류되 며, 협의로는 장신구만을 가리킨다. 부속품에는 머리에 쓰는 모자류, 목에 두르는 목도리류, 휴대품 ·신발류 등이 있고, 장신구에는 머리장식품 ·귀고리 ·팔찌 ·반지 ·목걸이 등이 있고, 트리밍에는 브레이드 ·리본 ·단추 ·깃털 장식 ·모피류 등이 있다.
또 부대하는 신체 부위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별하는 방법도 있다. ① 두부(頭部)에 부착하는 액세서리:모자 ·베일 ·스카프 ·관(冠) ·가발 ·헤어네트 ·헤어핀 ·깃털 장식 ·리본 ·비녀 ·빗 ·귀고리 등, ② 목 부분 액세서리:숄 ·칼라 ·목걸이 ·펜던트 ·로켓 ·브로치 ·넥타이 ·보 등, ③ 동부(胴部)의 액세서리:벨트 ·새시 ·버클 ·띠 등, ④ 다리나 발에 착용하는 액세서리:구두 ·양말 ·스파츠(spats:짧은각반) ·게트르(긴 각반) 등, ⑤ 팔이나 손에 착용하는 액세서리:반지 ·팔찌 ·장갑 ·손목시계 ·커프스버튼 등, ⑥ 휴대용품:우산 ·양산 ·단장 ·부채 ·핸드백 ·손수건 등, ⑦ 부위에 관계없이 트리밍으로서 사용되는 단추 ·지퍼 ·모피 ·리본 ·조화 ·구슬 등이 있다.
이러한 장신구(액세서리) 중 특히 목걸이, 팔찌, 귀걸이 등과 같은 장신구는 주로 체인, 링 또는 연결구등이 연결되어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의 목걸이, 팔찌, 귀걸이의 경우 연결구 또는 연결편 등을 연결하기 위해 별도의 결합부재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팔찌는 제작공정이 어렵고 복잡하게 되어 제품의 가격을 상승시킬 뿐만 아니라, 여러번의 용접으로 인해 제품이 균일하지 못하거나 심미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연결구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핀과 상기 연결핀에 대응되어 형성되는 연결요홈에 의해 다수개의 연결구들이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고 결합성을 양호하게 하도록 이루어진 귀금속 장신구용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일측 또는 타측에 서로 대향되어 형성되는 연결핀(110)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핀(110)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결요홈(120)이 형성되는 상부가 개구된 함체 형상의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개구된 상부에 대응되어 형성되되, 중앙부에 관통공(210)이 구비되는 덮개(200)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귀금속 장신구용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덮개(200)는 상기 몸체(100)의 상부 일측 또는 양측에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V홈(130)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삭제
또한, 상기 몸체(100)와 덮개(200)는 몸체(100)의 상부에 다수개의 접합돌기(140)가 형성되고, 덮개(200)의 외주면에 상기 접합돌기(140)에 대응되어 접합공(220)이 형성되어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몸체(100)의 내측에는 걸림턱(150)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200)의 하부면에는 걸고리(230)가 형성되어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삭제
따라서, 본 고안은 별도의 연결수단 없이 연결구만으로도 결합이 가능하여 제조공정을 단축시키고, 체결성이 양호할 뿐만 아니라, 다수개의 연결구들이 결합되어 외관상으로 마치 물결이 이는 듯한 심미감을 표현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제품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일측 또는 타측에 서로 대향되어 형성되는 연결핀(110)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핀(110)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결요홈(120)이 형성되는 상부가 개구된 함체 형상의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개구된 상부에 대응되어 형성되되, 중앙부에 관통공(210)이 구비되는 덮개(200)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몸체(100)의 재질은 금 또는 은과 같은 귀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통공(210)은 다이아몬드, 큐빅, 지르코니아, 진주 등의 소형보 석들이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덮개(200)는 상기 몸체(100)의 상부 일측 또는 양측에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V홈(130)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V홈(130)은 몸체(100)와 덮개(200)가 일체로 형성된 연결구를 조립함에 있어서, 상기 덮개(200)를 손쉽게 구부리기 위함이다.
이러한 연결구는 주물성형으로 제작할 시 제품이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제작 공정이 단축되어 생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몸체(100)와 덮개(200)는 몸체(100)의 상부에 다수개의 접합돌기(140)가 형성되고, 덮개(200)의 외주면에 상기 접합돌기(140)에 대응되어 접합공(220)이 형성되어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접합돌기(140)와 접합공(220)은 용접부위를 최소화하여 용접으로 인한 제품외관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체결을 견고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의 내측에는 걸림턱(150)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200)의 하부면에는 걸고리(230)가 형성되어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연결구는 체결을 견고하게 할 뿐만 아니라, 체결방법을 간단하게 하 여 제조공정이 단축되고 생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는 평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연결구의 다양한 모양을 연출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취향에 따라 취사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귀금속 장신구용 연결구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귀금속 장신구용 연결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귀금속 장신구용 연결구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귀금속 장신구용 연결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귀금속 장신구용 연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몸체 110 ... 연결핀
120 ... 연결요홈 130 ... V홈
140 ... 접합돌기 150 ... 걸림턱
200 ... 덮개 210 ... 관통공
220 ... 접합공 230 ... 걸고리

Claims (5)

  1. 삭제
  2. 일측 또는 타측에 서로 대향되어 형성되는 연결핀(110)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핀(110)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결요홈(120)이 형성되는 상부가 개구된 함체 형상의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개구된 상부에 대응되어 형성되되, 중앙부에 관통공(210)이 구비되는 덮개(200)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귀금속 장신구용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덮개(200)는 상기 몸체(100)의 상부 일측 또는 양측에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V홈(130)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금속 장신구용 연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와 덮개(200)는
    몸체(100)의 상부에 다수개의 접합돌기(140)가 형성되고, 덮개(200)의 외주면에 상기 접합돌기(140)에 대응되어 접합공(220)이 형성되어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금속 장신구용 연결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내측에는 걸림턱(150)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200)의 하부면에는 걸고리(230)가 형성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금속 장신구용 연결구.
  5. 삭제
KR2020090003879U 2009-04-03 2009-04-03 귀금속 장신구용 연결구 KR2004576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879U KR200457632Y1 (ko) 2009-04-03 2009-04-03 귀금속 장신구용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3879U KR200457632Y1 (ko) 2009-04-03 2009-04-03 귀금속 장신구용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020U KR20100010020U (ko) 2010-10-13
KR200457632Y1 true KR200457632Y1 (ko) 2011-12-28

Family

ID=44200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3879U KR200457632Y1 (ko) 2009-04-03 2009-04-03 귀금속 장신구용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63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35569B1 (fr) * 2015-04-30 2018-05-18 Hermes Sellier Article de bijouterie et/ou de joaillerie
IT201700075665A1 (it) * 2017-07-05 2019-01-05 Francesco Bianchi Dispositivo di assemblaggio di semilavorati, particolarmente per oreficeria, argenteria e bigiotteria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939Y1 (ko) * 2002-08-19 2002-11-23 박재학 액세서리 컵스톤의 연결바
JP2004313630A (ja) * 2003-04-18 2004-11-11 Peace:Kk 装身具用宝石の連結機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5939Y1 (ko) * 2002-08-19 2002-11-23 박재학 액세서리 컵스톤의 연결바
JP2004313630A (ja) * 2003-04-18 2004-11-11 Peace:Kk 装身具用宝石の連結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020U (ko) 2010-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3357B1 (en) Interchangeable jewelry method using individual beaded links
US20150027166A1 (en) Interchangeable Jewelry Assembly
US9943123B2 (en) Swimsuit assembly
KR200457632Y1 (ko) 귀금속 장신구용 연결구
US20130067954A1 (en) Interchangeable Scarf Pendant Accessory
US20210068506A1 (en) Modular Jewelry System
KR200443779Y1 (ko) 장신구용 보석난집
JP3177051U (ja) チェーンを利用したアクセサリーカップリング
CN206760950U (zh) 一种吊坠结构
KR200295939Y1 (ko) 액세서리 컵스톤의 연결바
KR101241052B1 (ko) 팔찌 겸용 목걸이
KR200292027Y1 (ko)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이종재료를 결합한 액세서리
KR20050080168A (ko) 장신구
KR200434895Y1 (ko) 장신구용 장식물 연결장치
CN108236166A (zh) 一种模块化装饰体佩戴连接方法及首饰组件
CN216822076U (zh) 一种可拆卸的组合式宝石项链
KR200304381Y1 (ko) 액세서리줄
TWM564372U (zh) Jewelry jewellery piercing structure
JP2005253761A (ja) ネック服飾品
KR200338309Y1 (ko) 액세서리줄
KR200384692Y1 (ko) 액세서리 펜던트
US20230078786A1 (en) Clothing with Retention Means for Jewelry, Necklaces, and Neckwear
JP3230027U (ja) 鼻緒飾り
KR20090011613A (ko) 코디 귀걸이
KR200456842Y1 (ko) 귀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