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0168A - 장신구 - Google Patents

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0168A
KR20050080168A KR1020050065825A KR20050065825A KR20050080168A KR 20050080168 A KR20050080168 A KR 20050080168A KR 1020050065825 A KR1020050065825 A KR 1020050065825A KR 20050065825 A KR20050065825 A KR 20050065825A KR 20050080168 A KR20050080168 A KR 20050080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body
rotating body
elastic
present
orna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5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팽근성
Original Assignee
(주)에이에스에이쥬얼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에스에이쥬얼리 filed Critical (주)에이에스에이쥬얼리
Priority to KR1020050065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0168A/ko
Publication of KR20050080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016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44C17/0258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rotatably or pivotably arranged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C27/001Materials for manufacturing jewellery
    • A44C27/002Metall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 A44C7/004Ear-clips
    • A44C7/006Ear-clips with a pivotable back clamping a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본체에 회전체 및 탄성체를 결합시킴으로써, 특별한 고정장치없이 착용할 수 있는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신구는 탄성체가 결합되는 탄성 본체; 회전체가 결합되는 회전 본체; 및 상기 탄성 본체와 회전 본체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체에 대한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은 상기 탄성 본체와 상기 회전 본체 간의 위치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신구는 오므라지는 탄성력과 펴지는 복원력을 균등하게 유지시켜 착용에 무리를 주지 않는다. 또한, 소형 장신구의 경우, 해제시 장신구가 튀어나가지 않도록 하는 현저하고도 유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장신구{Accessory}
본 발명은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본체에 회전체 및 탄성체를 결합시킴으로써, 특별한 고정장치없이 착용할 수 있는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액세서리를 대별하면 부속품, 장신구, 트리밍(trimming)의 3가지로 분류되며, 협의로는 장신구만을 가리킨다. 부속품에는 머리에 쓰는 모자류, 목에 두르는 목도리류, 휴대품, 신발류 등이 있고, 장신구에는 머리장식품, 귀고리, 팔찌, 반지, 목걸이 등이 있고, 트리밍에는 브레이드, 리본, 단추, 깃털 장식, 모피류 등이 있다.
또 부대하는 신체 부위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별하는 방법도 있다. 먼저, 두부(頭部)에 부착하는 액세서리로는 모자, 베일, 스카프, 관(冠), 가발, 헤어네트, 헤어핀, 깃털 장식, 리본, 비녀, 빗, 귀고리 등이 있다. 목 부분에 부착하는 액세서리로는 숄, 칼라, 목걸이, 펜던트, 로켓, 브로치, 넥타이, 보 등이 있다. 동부(胴部)의 액세서리로는 벨트, 새시, 버클, 띠 등이 있다. 다리나 발에 착용하는 액세서리로는 구두, 양말, 스파츠(spats:짧은각반), 게트르(긴 각반) 등이 있다. 팔이나 손에 착용하는 액세서리로는 반지, 팔찌, 장갑, 손목시계, 커프스버튼 등이 있다. 휴대용품으로는 우산, 양산, 단장, 부채, 핸드백, 손수건 등이 있다. 마지막으로, 부위에 관계없이 트리밍으로서 사용되는 단추, 지퍼, 모피, 리본, 조화, 구슬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액세서리 중에서 특히 장신구의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 귀고리, 목걸이, 귀걸이, 팔찌 등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 중 종래의 귀고리의 연결구조에 관해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일반적인 귀고리는 보석이 장식되는 몸체와 그 몸체를 귀에 지지시키는 탈착구로 구성되고 상기 탈착구는 귓불에 직접 물리도록 하는 클립식이거나 핀을 사용하여 지지되도록 귓불에 구멍을 뚫거나 탈착구가 힌지로 구성되어 그 탈착구가 귓불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하는 등 다양한 체결구조가 있다.
그러나 클립식의 경우 귓불에 구멍을 뚫을 필요가 없고 탈착이 용이한 장점이 있는 반면에 클립이 귓불을 물게 되는 것에 의해 통증이나 염증을 유발시키게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별도의 핀을 사용할 경우 날카로운 핀에 의해 역시 통증 또는 염증을 유발을 유발시키는 것과 함께 매번 핀을 구비하거나 핀을 분실하게 되거나 안정된 착용을 보장받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몸체 상에 힌지 작동체를 구성할 경우 힌지나 파지구를 용접시켜야 하는 것에 의해 작업성이 저해되는 것과 함께 특히 용접 부위에 의해 몸체와 일체감을 주지 못해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자석을 이용할 경우에도 역시 자석을 설치하는 작업이 까다로와 작업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장식부인 몸체와 그 몸체를 귀에 지지시키는 힌지 작동체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단 개구부 일단 안쪽으로 결합홈이 형성되고 타단에 절개홈이 형성되어 이에 힌지축공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절개홈으로 삽입되어 힌지로 연결되도록 일단에 힌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결합홈으로 결합되도록 타단에 결합단이 형성된 힌지작동체로 이루어진 것이 있으나 이러한 구성에 의한 귀걸이는 착용 시에 힌지 작동체를 젖히면 상기 힌지작동체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벌어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결합단을 귓불에 형성된 구멍으로 관통시킨 후 힌지작동체를 적은 힘으로 누르게 되면 그 결합단은 힌지작동체의 오므라지려는 텐션력이 작용하게 됨으로써 안내홈의 턱을 넘어 그 안쪽의 결합홈으로 들어가 복원력에 의해 안착 결합하게 된다.
반대로 귀고리를 풀려고자 할 경우에는 힌지작동체를 젖히면 그 결합단이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몸체의 결합홈으로부터 빠지게 됨으로써 결합 해제되는 동작을 하게 되나, 귀고리를 결합 또는 해제할 경우에 힌지 작동체가 귀고리 몸체로부터 벌어지게 되어 귀고리를 떨어뜨리는 경우가 발생하여 귀고리를 손상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회전체가 결합되는 회전 본체와 탄성체가 결합되는 탄성 본체를 결합수단으로 연결함으로써, 장신구가 오므라지는 탄성력과 펴지는 복원력을 균등하게 유지시키도록 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탄성체가 결합되는 탄성 본체; 회전체가 결합되는 회전 본체; 및 상기 탄성 본체와 회전 본체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체에 대한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은 상기 탄성 본체와 상기 회전 본체 간의 위치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신구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의 일실시예로서, 귀고리(100)를 나타낸 일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귀고리는 탄성체(40)가 결합되는 탄성 본체(20)와 회전체(30)가 결합되는 회전 본체(10)가 결합수단(50)에 의해 결합되어 구성된다.
탄성체(40)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강철, 스테인레스 등의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판스프링으로 구성된다. 판스프링으로 구성되는 탄성체(40)는 지지부(41)로 탄성 본체(20)에 결합된다.
회전체(30)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탄성체(40)의 누르는 힘을 동일한 지지력으로 유지하여 탄성 본체(20)와 회전 본체(10)의 각도를 유지해 준다. 이는 손으로 누르거나 펴는 힘이 전달되지 않을 경우에 탄성 본체(20)와 회전 본체(10)의 각도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회전체(30)의 양단부에는 탄성체(30)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부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회전체(30) 양단부의 돌출된 고정부는 탄성체(30)의 이탈 및 이동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탄성체(40)의 누르는 힘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또한, 회전체(30)는 탄성체(40)와 맞닿는 부분에만 원통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장신구의 다양한 디자인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탄성 본체(20)와 회전 본체(10)는 결합수단(50)에 의해 힌지 결합된다. 결합수단(50)은 핀, 힌지, 다양한 돌출부, 홈 등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탄성체(40) 및 회전체(30)는 사용자가 손으로 누르거나 펴는 힘이 전달되지 않을 경우에는 탄성 본체(20)와 회전 본체(10)의 각도가 변화되지 않으므로 귀에 착용시 최초 압력보다 큰 압력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사용자가 편안한 착용감을 느끼게 된다.
도 2는 회전 본체(10)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회전 본체(1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양단부가 돌출된 고정부를 갖는 회전체(30)가 용접 결합되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체(40)와 맞닿아 회전하는 부분을 원통형으로 구성하고 나머지 부분은 다양하게 변형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회전 본체(10)와 탄성 본체(20)의 회전력 및 복원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귀고리(100)의 분해사시도이다. 탄성체(40)가 지지부(41)에 의해 결합되는 탄성 본체(20)와 회전체(30)가 결합되는 회전 본체(10)가 결합수단(50)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를 볼 수 있다. 지지부(41)는 탄성체(40)를 감싸는 구조 뿐만 아니라 탄성체(40)의 양쪽을 지지하는 구조, 또는 탄성체(40)의 뒷면 일부분을 접합하는 구조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귀고리(100)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귀고리(100)는 손으로 누르거나 펴는 힘이 전달되지 않을 경우에 탄성 본체(20)와 회전 본체(10)의 각도가 유지되며, 도 4에서 볼 수 있는 회전 경로와 같은 형태로 사용자의 귀에 탈부착된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귀고리(100)로서, 본 발명의 핵심 구성요소인 회전체(30), 탄성체(40) 등을 제외한 탄성 본체(20) 및/또는 회전 본체(10)에 다양한 형태의 모양 및 무늬 등이 형성될 수 있음을 볼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난 귀고리(100)의 형태는 상기 탄성 본체(20) 및 회전 본체(10)의 외관에 회전 굴곡을 형성한 것을 나타낸다. 상기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난 형태 외에도 다양하게 변형된 장식이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귀고리(100)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6은 회전 본체(10)의 분해사시도, 도 7은 전체 분해사시도, 도 8은 사용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팔찌(200)를 나타낸 것이다. 귀고리(100)와 마찬가지로 팔찌(200)도 회전체(30)와 탄성체(40)가 핵심 구성요소이며 나머지 탄성 본체(20) 및/또는 회전 본체(10)에 다양한 형태의 모양 및 무늬 등이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의 핵심 구성요소인 회전체(30)와 탄성체(40)의 작용 상태를 나타낸 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는 회전체(30)와 탄성체(40)를 포함하여 각종 장신구에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는 탄성체(40)가 회전체(30)를 누르는 강도를 조절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각종 액세서리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즉, 모자, 베일, 스카프, 관(冠), 가발, 헤어네트, 헤어핀, 깃털 장식, 리본, 비녀, 빗, 귀고리, 귀걸이, 숄, 칼라, 목걸이, 펜던트, 로켓, 브로치, 넥타이, 보, 벨트, 새시, 버클, 띠, 스파츠, 게트르, 반지, 팔찌, 손목시계, 커프스버튼, 우산, 양산, 단장, 부채, 핸드백, 단추, 지퍼, 리본 등에 직접적 및/또는 간접적으로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신구는 회전체가 결합되는 회전 본체와 탄성체가 결합되는 탄성 본체를 구비함으로써, 장신구가 오므라지는 탄성력과 펴지는 복원력을 균등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소형 장신구의 경우, 해제시 장신구가 튀어나가지 않도록 하는 현저하고도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신구의 일실시예,
도 2는 회전 본체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의 다른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 본체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의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의 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회전 본체 20: 탄성 본체
30: 회전체 40: 탄성체
50: 결합수단 100: 귀고리
200: 팔찌

Claims (8)

  1. 탄성체가 결합되는 탄성 본체;
    회전체가 결합되는 회전 본체; 및
    상기 탄성 본체와 회전 본체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체에 대한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은 상기 탄성 본체와 상기 회전 본체 간의 위치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신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판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장신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강철, 스테인레스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장신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장신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탄성체와 맞닿는 부분이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장신구.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양단부에는 상기 탄성체의 이동을 방지하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장신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본체에는 탄성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장신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핀인 장신구.
KR1020050065825A 2005-07-20 2005-07-20 장신구 KR200500801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825A KR20050080168A (ko) 2005-07-20 2005-07-20 장신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825A KR20050080168A (ko) 2005-07-20 2005-07-20 장신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0168A true KR20050080168A (ko) 2005-08-11

Family

ID=37267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5825A KR20050080168A (ko) 2005-07-20 2005-07-20 장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016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580Y1 (ko) * 2008-03-24 2010-10-13 손광수 장신구
KR200460030Y1 (ko) * 2011-11-07 2012-04-27 한성현 팔찌용 텐션 압착식 연결구
KR101507279B1 (ko) * 2014-06-26 2015-03-30 이승철 장신구 고정용 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580Y1 (ko) * 2008-03-24 2010-10-13 손광수 장신구
KR200460030Y1 (ko) * 2011-11-07 2012-04-27 한성현 팔찌용 텐션 압착식 연결구
KR101507279B1 (ko) * 2014-06-26 2015-03-30 이승철 장신구 고정용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9536B2 (en) Jewelry method and system
US20040020240A1 (en) Multi-function jewelry chain primarily for supporting an upper torso garment
US20080041098A1 (en) Modular jewelry set
US5575161A (en) Dice and craps stick jewelry
US8434327B2 (en) Removable jewelry setting
US20080006288A1 (en) Combined hair clasp and necklace
KR20050080168A (ko) 장신구
US10357085B2 (en) Jewelry enhancer
JP3177051U (ja) チェーンを利用したアクセサリーカップリング
KR20180002696U (ko) 장신구
KR200457632Y1 (ko) 귀금속 장신구용 연결구
KR200274974Y1 (ko) 액세서리용 단속연결구
KR101178433B1 (ko) 장신구용 언록킹구
KR200273881Y1 (ko) 액세서리용 단속연결고리
KR200168567Y1 (ko) 장신구
KR100362990B1 (ko) 몸 치장용 장신구
KR100531179B1 (ko) 장신구용 액세서리 걸이구
KR200304381Y1 (ko) 액세서리줄
KR200338309Y1 (ko) 액세서리줄
KR200273880Y1 (ko) 액세서리용 단속연결고리
WO2006051910A1 (ja) 装飾体、その装飾体付きネックレス及び複合装飾体
KR200434895Y1 (ko) 장신구용 장식물 연결장치
CN110916304B (zh) 一种具有多种搭配方式的首饰扣件装置及更换方法
WO2022230983A1 (ja) 装飾具
KR100985866B1 (ko) 장신구 연결고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