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3881Y1 - 액세서리용 단속연결고리 - Google Patents
액세서리용 단속연결고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73881Y1 KR200273881Y1 KR2020010040121U KR20010040121U KR200273881Y1 KR 200273881 Y1 KR200273881 Y1 KR 200273881Y1 KR 2020010040121 U KR2020010040121 U KR 2020010040121U KR 20010040121 U KR20010040121 U KR 20010040121U KR 200273881 Y1 KR200273881 Y1 KR 20027388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ng
- accessories
- opening
- accessory
- operating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세서리용 단속연결고리에 관한 것으로서, 고리형상의 판체로 일측에 절취된 개방부가 형성되고 개방부 맞은편에는 양단에 슬라이딩 경사부가 형성된 지지덧살이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몸체 일측에 연결공이 형성된 고정고리와, 일측에 개방부를 갖는 고리형상의 판체로 양측선단은 라운딩 처리된 슬라이딩 안내부가 형성되고 몸체 외주면에는 내측으로 요부 형성된 작동요부가 길게 형성되어 고정고리의 내주연에 끼워져 회동 지지되는 작동고리를 구비하여 간단한 동작으로 쉽게 개방시킬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부주의 또는 무의식적인 동작에 의해서는 손쉽게 개방되지 않아 다른 연결고리나 열쇠 등의 분실의 염려가 전혀 없어 보안성과 사용성이 극히 뛰어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액세서리용 단속연결고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동작으로 쉽게 개방시킬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부주의 또는 무의식적인 동작에 의해서는 손쉽게 개방되지 않아 다른 연결고리나 열쇠 등의 분실의 염려가 전혀 없어 보안성과 사용성이 극히 뛰어난 액세서리용 단속연결고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세서리(accessory)는 본체(本體)의 기능이나 효과를 증대시키거나 변화를 주는 부속품 또는 보조물의 총칭으로, 액세서리는 부대(附帶) 또는 종속(從屬)하는 것이라는 뜻이다.
예를 들어, 드레스 액세서리는 모자 ·백 ·장갑 ·구두 ·장신구를 말하며, 구미(歐美)의 업계에서는 네글리제 ·코르셋 ·란제리 등도 여기에 포함시킨다. 또 카메라 액세서리라고 하면, 교환 렌즈 ·필터 ·어태치먼트 ·릴리스 등 각종 카메라 보조물품을 말한다. 최근에는 카액세서리 ·룸액세서리 등 액세서리의 개념이 넓어졌는데, 단지 액세서리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드레스 액세서리, 즉 복식부속품을 지칭한다.
이런, 액세서리를 대별하면 부속품 ·장신구 ·트리밍(trimming)의 3가지로 분류되며, 협의로는 장신구만을 가리킨다. 부속품에는 머리에 쓰는 모자류, 목에 두르는 목도리류, 휴대품 ·신발류 등이 있고, 장신구에는 머리장식품 ·귀고리 ·팔찌 ·반지 ·목걸이 등이 있고, 트리밍에는 브레이드 ·리본 ·단추 ·깃털 장식 ·모피류 등이 있다.
또, 부대하는 신체 부위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별하는 방법도 있다.
① 두부(頭部)에 부착하는 액세서리: 모자 ·베일 ·스카프 ·관(冠) ·가발 ·헤어네트 ·헤어핀 ·깃털 장식 ·리본 ·비녀 ·빗 ·귀고리 등,
② 목 부분 액세서리: 숄 ·칼라 ·목걸이 ·펜던트 ·로켓 ·브로치 ·넥타이 ·보 등,
③ 동부(胴部)의 액세서리: 벨트 ·새시 ·버클 ·띠 등,
④ 다리나 발에 착용하는 액세서리: 구두 ·양말 ·스파츠(spats:짧은 각반) ·게트르(긴 각반) 등,
⑤ 팔이나 손에 착용하는 액세서리: 반지 ·팔찌 ·장갑 ·손목시계 ·커프스버튼 등,
⑥ 휴대용품: 우산 ·양산 ·단장 ·부채 ·핸드백 ·손수건 등,
⑦ 부위에 관계없이 트리밍으로서 사용되는 단추 ·지퍼 ·모피 ·리본 ·조화 ·구슬 등이다
이중에서 특히, 목걸이(necklace)는 목이나 앞가슴을 장식하는 줄 모양 또는 고리 모양으로 된 장신구로, 목걸이는 미적 효과를 꾀하는 외에, 신앙상의 주술에 의한 것, 목 부분을 보호하기 위한 것, 성별(性別)이나 신분을 표시하기 위한 것 등 여러 가지가 있다.
목걸이의 발생은 인간의 역사와 더불어 오래되었다. 당초 인류는 물체에 초자연적(超自然的)인 힘이 붙는다는 주물숭배(呪物崇拜)에서, 또 한편으로는 장신(裝身)의 뜻으로, 인체의 중요 부분인 목 부분에 대하여 정성을 들여 가꾸었으리라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목걸이는 인류에 있어서 가장 보편적인 장신구의 하나로, 어느 것이나 연결된 구슬 모양의 것을 기본으로 하여 의복에 앞서서 사용된 경우도 있었다고 추측된다. 기술이 진보됨에 따라 이런 것들은 유리 ·도기 ·호박 기타 보석류로 대치되었고, 나아가서 금속시대(金屬時代)의 도래로 금속류와의 병존과 혼용이 이루어졌다.
특히 고대 이집트 왕조의 제왕(諸王)은 목걸이를 일종의 재산으로 생각하여 터키석 ·마노 ·공작석 등 아름다운 돌로 만든 여러 줄의 목걸이를 걸고 재력과 권력을 과시했다.
이로부터 중세 때까지의 목걸이는 특정 상류층 사람의 신분을 상징하는 데 사용되었다.
그 후 르네상스에 이르러 그 경향은 어느 정도 누그러져서 귀족으로부터 부호(富豪)로, 다시 서민에게로 퍼졌다. 특히, 일찍부터 동방과의 교류가 있었던 이탈리아에서는 금은 세공을 비롯하여 카메오 ·진주 ·유리 등의 정교한 세공기술이 발달하여, 근세를 통하여 유럽의 보석 기술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그 중에서도 카메오와 진주는 근세 목걸이의 대표적인 것이다.
18세기 초에 복장의 간소화와 더불어 일시 침체한 목걸이가 말기에는 단순한 리본을 매는 정도로 바뀌었고, 19세기 말기에 수세공(手細工)에 대한 평가가 높아지면서 다시 각광을 받았으며, 인조보석 등 과학기술이 발달됨에 따라 목걸이는 제2차 세계대전 후에 눈에 띄게 대중화되었다.
이런 목걸이는 형상이나 소재 또는 용도에 따라 종류가 다양하다.
① 카커넷: 귀금속·보석·진주 등을 연결한 것.
② 롱네크리스: 사슬이나 구슬 따위를 길게 연결한 것.
③ 채플릿: 한 줄로 된 비즈 모양의 것이며, 장식용 고리의 총칭이기도 하다.
④ 초커: 같은 크기의 구슬을 연결하여 목에 꼭 맞게 띠 모양으로 된 것.
⑤ 도그 칼라(dog collar): 나비가 좀 넓고 개 목걸이 모양으로 된 것.
⑥ 칼라 서클릿(collar circlet): 비브라고도 한다. 고대 이집트에서 볼 수 있는 옷깃 모양으로 된 것.
⑦ 에스클라바주(esclavage): 단순한 금속 목걸이는 칼라이고, 금속제 사슬이나 실로 연결한 비즈나 보석을 실 꼬듯 꼰 것. 이 말은 목걸이의 고어(古語)로 노예 또는 속박을 의미하기도 하는 프랑스어이다.
⑧ 라발리에르(lavallire): 사슬에 보석을 장식하여 목에서 늘어뜨리는 것.
⑨ 리비에르(rivire): 강이라는 뜻의 프랑스어이다. 다이아몬드나 그 밖의 보석으로 만든 여러 줄로 된 것.
⑩ 펜던트(pendant): 그 수(數)에 관계없이 따로 늘어뜨리는 장식이 달려 있는 것.
⑪ 로켓(locket): 목걸이를 사진 등을 넣을 수 있게 만든 것이 있다.
이러한 각종 목걸이는 얼굴에 가까이 있다는 점에서 장식상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복장의 분위기와 어우러지게 착용한다. 오늘날의 상식으로 본다면, 목걸이를 착용할 때의 기본은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정장을 할 때는 귀금속·보석류·진주 등 세공이 정교한 공예품 등이 좋고, 평상복에는 주물·목각·나무 열매류·조개껍데기·유리·플라스틱 등 소박한 느낌의 이미테이션 등이 적당하다. 중간적 일상복에는 각기 의복의 성격이나 특징에 맞추어 택하면 된다.
이런 액세서리들은 기본적으로 고리나 줄을 반복적으로 이어서 된 것으로 그 선단에는 단속연결고리가 결합되어 하나의 원형으로서 목이나 손목이나 허리 또는 발목에 걸어서 착용하게 된다.
이런 종래의 단속연결고리는 손잡이나 돌출부를 눌러서 개방시키는 것이 대부분으로 스프링 탄성에 의해 작동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약간의 손동작만으로 단속연결고리의 연결부위가 쉽게 개방되고 다시 손을 원위치 하면 스프링 탄성에 의해 원위치 되어 단속연결고리를 폐쇄시켜서 연결된 타측 고리가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으로 보통 목걸이나 열쇠고리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단속연결고리는 사용자의 간단한 동작으로 쉽게 개방되고 다시 복원되어 폐쇄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부주의나 무의식적인 동작에 의해 단속연결고리가 쉽게 개방되고 이로 인해, 단속연결고리에 연결되었던 다른 고리나 열쇠 등을 분실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간단한 동작으로 쉽게 개방시킬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부주의 또는 무의식적인 동작에 의해서는 손쉽게 개방되지 않아 다른 연결고리나 열쇠 등의 분실의 염려가 전혀 없어 보안성과 사용성이 극히 뛰어난 액세서리용 단속연결고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액세서리용 연결고리에 있어서;
고리형상의 판체로 일측에 절취된 개방부가 형성되고 개방부 맞은편에는 양단에 슬라이딩 경사부가 형성된 지지덧살이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몸체 일측에 연결공이 형성된 고정고리와;
일측에 개방부를 갖는 고리형상의 판체로 양측선단은 라운딩 처리된 슬라이딩 안내부가 형성되고 몸체 외주면에는 내측으로 요부 형성된 작동요부가 길게 형성되어 고정고리의 내주연에 끼워져 회동 지지되는 작동고리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작동고리는 탄성력이 높고 변형 및 복원력이 뛰어난 재질로 구성시키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일 실시예의 분리상태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일 실시예로 조립되어 폐쇄된 상태의 모습을 보인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일 실시예로 폐쇄시의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평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일 실시예로 개방시의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단속해제구 10 : 고정고리
12 : 지지덧살 13 : 슬라이딩 경사부
14 : 개방부 16 : 연결공
20 : 작동고리 22 : 작동요부
24 : 슬라이딩 안내부 26 : 개방부
30 : 연결링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일 실시예의 분리상태를 보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일 실시예로 조립되어 폐쇄된 상태의 모습을 보인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일 실시예로 폐쇄시의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평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일 실시예로 개방시의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평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액세서리용 단속해제구(1)는 목걸이줄 등의 연결고리(도시않음) 일측 선단을 연결링(30)에 고정시키고 타측단 연결고리를 고정고리(10)와 작동고리(20)에 의해 고정 또는 해제시킬 때 사용하거나, 열쇠고리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금속재질로, 고리형상에서 일부가 절취된 개방부(14)를 갖는 고정고리(10)와, 고정고리(10) 내주연에 끼워져 유동 지지되고 일측에 개방부(26)를 갖는 작동고리(20)와, 고정고리(10)에 연결되는 연결링(30)으로 이루어진다.
고정고리(10)는 고리형상에서 일부가 절취된 모양의 판체로, 일측에는 고리형상에서 일부가 절취된 개방부(14)가 형성되고 개방부(14) 맞은편에는 지지덧살(12)이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지지덧살(12)의 양측단은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완만한 경사로 형성된 슬라이딩 경사부(13)로 형성된다.
특히, 지지덧살(12) 주변부에서의 슬라이딩 이동을 원활히 유도하기 위해서는 고정고리(10) 내주연에 각진 부분이 없어야 됨은 물론이다.
작동고리(20)는 고리형상으로 고리몸체(10)의 내주연에 삽입되어 개방부(14)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것으로, 외주연에는 내측으로 고정고리(10)가 끼워지는 작동요부(22)가 길게 형성된다.
작동고리(20)의 양단은 고정고리(10)의 지지덧살(12)을 원활하게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라운딩 처리된 슬라이딩 안내부(24)가 형성된다.
특히, 작동고리(20)는 고정고리(10)의 내측에 끼워져 회동 지지되는 것인 바, 그 재질이 변형과 복원이 뛰어난 탄성력 높은 재질로 구성시킴이 바람직하다.
이런, 고정고리(10)와 작동고리(20)는 녹이 슬지 않고 탄성력이 높으며 무게가 가벼운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금속판체로 형성시킴이 바람직하지만, 탄성력이 높고 가벼운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연결링(30)은 고정고리(10)의 연결공(16)에 끼워져 결합 고정되는 링체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단속해제구(1)의 고정고리(10) 연결공(16)에 목걸이줄의 일측 연결고리(도시않음)를 연결시킨 다음, 단속해제구(1)에 목걸이줄의 타측 연결고리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단속해제구(1)의 고정고리(10) 내주연에 결합된 작동고리(20)를 고정고리(10)의 내주연상에서 미끄럼 회동시켜 고정고리(10)의 개방부(14)와 작동고리(20)의 개방부(26)를 일치시키면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고정고리(10) 내주연에 끼움 결합된 작동고리(20)를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작동요부(22) 내에 고정고리(10)를 끼우고 회동되는 작동고리(20)의 선단부인 슬라이딩 안내부(24)는 고정고리(10)의 슬라이딩 경사부(13)를 타고 슬라이딩되어 지지덧살(12) 상에 위치된다.
이때, 탄성력이 높은 작동고리(20)는 탄성 변형되어 일측 선단부가 고정고리(10)의 내측방향으로 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힘을 계속 가하여 시계반대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작동고리(20) 선단의 슬라이딩 안내부(24)는 고정고리(10)의 지지덧살(12)을 거쳐 계속 회동되는데, 사용자가 고정고리(10)의 개방부(14)에 작동고리(20)의 개방부(26)가 서로 일치된 상태에서 작동고리(20)의 회동을 정지시키면 된다.
이 상태는 고정고리(10)의 지지덧살(12)이 작동고리(20)의 작동요부(22) 상에서 작동고리(20)를 내측으로 계속 압박하는 상태로, 지지덧살(12) 부위의 작동고리(20)는 탄성 변형되어 완만하게 휘어진 상태이기 때문에 사용자는 약간의 힘을 더 부여하면서 작동고리(20)를 회동시켜야 작동고리(20)가 고정고리(10) 내측에서 원활히 회동된다.
이때, 만일 사용자가 고정고리(10)의 지지덧살(12)이 작동고리(20)의 작동요부(22) 내에서 작동고리(20)를 내측으로 미는 힘보다 적은 힘으로 작동고리(20)를 회동시키려면 작동고리(20)는 마찰력으로 인해 고정고리(10)에서 회동되지 않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고정고리(10)의 개방부(14)와 작동고리(20)의 개방부(26)를 서로 일치시켜 목걸이줄의 타측 연결고리를 고정고리(10)와 작동고리(20)의 내측에 걸려 놓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작동고리(20)를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작동고리(20)는 고정고리(10) 내주연 상에서 계속 회동되어 마침내, 작동고리(20)의 개방부(26) 사이에 고정고리(10)의 지지덧살(12)이 위치되고 고정고리(10)의 개방부(14)는 작동고리(20)에 의해 폐쇄된다.
이로서, 목걸이줄(도시않음)은 일측 연결고리가 고정고리(10)의 연결링(30)에 연결 고정되고, 타측 연결고리는 단속해제구(1)의 고정고리(10)와 작동고리(20)에 의해 완강히 폐쇄되어 외부 충격이나 부주의에 의해 단속해제구(1)에서 목걸이줄의 연결고리가 이탈되는 경우가 전혀 없게 되고 이에 따른 분실의 염려도 전혀 없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단속해제구(1)는 고정고리(10)의 연결링(30)에는 걸고리부재(도시않음)를 결합시키고 고정고리(10)와 작동고리(20)에는 다수 개의 열쇠(도시않음)를 걸어서 사용함으로써 열쇠고리로서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렇게 단속해제구(1)에 의해 체결된 목걸이줄 연결고리이나 열쇠고리들은 필요시 고정고리(10) 내측의 작동고리(20)를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동시켜 개방부(14)(26)를 서로 일치시켜 꺼내면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간단한 동작으로 쉽게 개방시킬 수 있고 부주의 또는 무의식적인 동작에 의해 손쉽게 개방되지 않아 다른 연결고리나 열쇠 등의 분실의 염려가 전혀 없어 보안성과 사용성이 극히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2)
- 액세서리용 연결고리에 있어서;고리형상의 판체로 일측에 절취된 개방부(14)가 형성되고 개방부 맞은편에는 양단에 슬라이딩 경사부(13)가 형성된 지지덧살(12)이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몸체 일측에 연결공(16)이 형성된 고정고리(10)와일측에 개방부(26)를 갖는 고리형상으로 양측선단은 라운딩 처리된 슬라이딩 안내부(24)가 형성되고 몸체 외주면에는 내측으로 요부 형성된 작동요부(22)가 길게 형성되어 고정고리(10)의 내주연에 끼워져 회동 지지되는 작동고리(2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용 단속연결고리.
- 제 1 항에 있어서;작동고리(20)는 탄성력이 높고 변형 및 복원력이 뛰어난 재질로 구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용 단속연결고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40121U KR200273881Y1 (ko) | 2001-12-26 | 2001-12-26 | 액세서리용 단속연결고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40121U KR200273881Y1 (ko) | 2001-12-26 | 2001-12-26 | 액세서리용 단속연결고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73881Y1 true KR200273881Y1 (ko) | 2002-04-27 |
Family
ID=73071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40121U KR200273881Y1 (ko) | 2001-12-26 | 2001-12-26 | 액세서리용 단속연결고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73881Y1 (ko) |
-
2001
- 2001-12-26 KR KR2020010040121U patent/KR20027388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479536B2 (en) | Jewelry method and system | |
US7406840B2 (en) | Multi-function jewelry chain primarily for supporting an upper torso garment | |
US10278459B2 (en) | Adjustable loop for fashion accessories | |
US20150027166A1 (en) | Interchangeable Jewelry Assembly | |
US20080041098A1 (en) | Modular jewelry set | |
US3094754A (en) | Jewelry clasp | |
US11109653B2 (en) | Jewelry ornament with clasp mechanism | |
US5575161A (en) | Dice and craps stick jewelry | |
US20080006288A1 (en) | Combined hair clasp and necklace | |
US20050208267A1 (en) | Ornamentation device | |
KR200273881Y1 (ko) | 액세서리용 단속연결고리 | |
KR200274974Y1 (ko) | 액세서리용 단속연결구 | |
KR200273880Y1 (ko) | 액세서리용 단속연결고리 | |
US20050247079A1 (en) | Jewelry ornament | |
KR20050080168A (ko) | 장신구 | |
KR200295939Y1 (ko) | 액세서리 컵스톤의 연결바 | |
KR200292027Y1 (ko) |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이종재료를 결합한 액세서리 | |
KR200457632Y1 (ko) | 귀금속 장신구용 연결구 | |
Croom | Personal ornament | |
KR200168567Y1 (ko) | 장신구 | |
US20180140059A1 (en) | Interchangeable Jewelry Bail and Clasp System | |
KR20040016550A (ko) | 액세서리 컵스톤의 연결바 | |
US20060010914A1 (en) | Flora ornaments | |
KR200384692Y1 (ko) | 액세서리 펜던트 | |
KR200343199Y1 (ko) | 장신구용 길이조절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0419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