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3779Y1 - 장신구용 보석난집 - Google Patents

장신구용 보석난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3779Y1
KR200443779Y1 KR2020080012668U KR20080012668U KR200443779Y1 KR 200443779 Y1 KR200443779 Y1 KR 200443779Y1 KR 2020080012668 U KR2020080012668 U KR 2020080012668U KR 20080012668 U KR20080012668 U KR 20080012668U KR 200443779 Y1 KR200443779 Y1 KR 2004437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welry
prongs
house
base plat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26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원문
Original Assignee
정원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원문 filed Critical 정원문
Priority to KR20200800126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37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37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37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4Setting gems in jewellery; Setting-too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1/00Watch chains; Ornamental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신구용 보석난집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나의 보석난집에 여러 방향으로 다른 보석난집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서로 연결 배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려하고 다양한 디자인의 장신구를 연출할 수 있는 장신구용 보석난집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본 고안은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테두리에서 밴딩 형성되어 보석의 상면을 감싸듯이 잡아주는 다수의 프롱과, 상기 프롱들 사이의 상기 베이스판 테두리에 그 프롱들과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보석의 밑면을 받치듯이 잡아주는 다수의 지지발을 포함하는 장신구용 보석난집이 개시된다.
보석난집. 프롱, 지지발, 연결부재, 장신구

Description

장신구용 보석난집{JEWELRY CASE FOR ACCESSORY}
본 고안은 장신구용 보석난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보석난집에 여러 방향으로 다른 보석난집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서로 연결 배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려하고 다양한 디자인의 장신구를 연출할 수 있는 장신구용 보석난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걸이, 귀걸이, 팔찌, 반지, 시계, 펜던트, 브로치 등의 장신구는 보석과 같은 아이템을 세팅하여 화려함과 심미감을 연출하게 되는데, 특히 보석이외에 보석을 세팅하기 위해 사용되는 보석난집의 형상에 의해 그 미려함과 디자인이 크게 달라질 뿐만 아니라 여러 개의 보석난집을 어떤 패턴으로 배열 연결하는가에 따라서도 제품의 경쟁력 및 차별화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도 1은 이러한 장신구에 사용되는 보석난집의 일례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의 테두리를 따라 보석(J)의 밑면을 받쳐주는 운두부(3)가 형성되어 있고, 그 운두부(3)의 상단에 프롱(Prong)(2)이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그 운두부(3)의 양측 하부에는 별도 연결부재(4)의 걸림홈(6)과 상호 연결을 위한 걸림턱(5)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운두부(3)의 내측에 보석(J)을 안착시킨 후 프롱(2)이 보석(J)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가압함으로써 보석(J)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보석난집에 다른 보석난집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최초 베이스판(1)과 수평한 상태로 제공되는 운두부(3)를 밴딩할 때 연결부재(4)의 양단에 형성된 걸림홈(6) 부분을 걸림턱(5)이 형성되는 위치에 미리 삽입시킨 상태에서 베이스판(1)으로부터 운두부(3)를 일일이 밴딩해야 하므로 연결작업이 매우 불편한 데다 작업공수가 많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극히 떨어질 뿐만 아니라, 보석난집의 양쪽 방향으로만 다른 보석난집을 연결할 수밖에 없으므로 인해 보다 화려하고 다양한 패턴의 장신구 제품을 생산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더욱이 걸림턱(5)과 연결부재(4)의 걸림홈(6) 상호 간의 구조적인 특성상 상하 또는 좌우 양방향으로만 움직이기 때문에 이를 사용한 장신구는 착용 시 외력에 원활하게 대응하지 못해 착용감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감안하여 하나의 보석난집에 여러 방향으로 다른 보석난집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으면서 보석난집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가 사방으로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장신구용 보석난집을 예의 연구하여 왔으며, 그 결과로서 본 고안을 창안하여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나의 보석난집에 여러 방향으로 다른 보석난집을 간단하게 연결 배열할 수 있도록 하는 장신구용 보석난집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연결부재가 사방으로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장신구용 보석난집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베이스판의 테두리에서 밴딩 형성되어 보석의 상면을 감싸듯이 잡아주는 다수의 프롱을 포함하는 보석난집에 있어서, 상기 프롱들 사이의 상기 베이스판 테두리에 그 프롱들과 일정간격의 틈새를 두고 형성되어 다른 보석난집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보석의 밑면을 받치듯이 잡아주는 다수의 지지발을 포함하는 장신구용 보석난집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갖는 본 고안의 보석난집은 보석을 고정하기 위한 프롱 및 지지발들이 일정간격을 두고 베이스판에서 상향으로 밴딩하여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연결부재의 양단에는 프롱과 대응 결합되는 연결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기둥 형태로 세워진 상태의 프롱에 연결부재의 연결구멍을 끼우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연결부재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를 통해 여러 방향으로 다른 보석난집의 연결 배열이 가능하여 화려하고 다양한 패턴의 장신구를 연출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연결부재가 프롱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므로 보석난집이 연결부재에 의해 다수개 연결된 경우 외력이나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각각 개별적으로 자연스럽고 유연하게 유동되어 이를 사용하는 장신구의 착용감을 크게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도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용 보석난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개념과 기술분야에서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고안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용 보석난집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용 보석난집에 연결부재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용 보석난집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 평면도로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 시예에 따른 장신구용 보석난집(100)은 베이스판(10), 다수의 프롱(20), 지지발(30) 및 연결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프롱(20)과 연결부재(40) 각각의 상호 자유회전 가능한 끼워맞춤 결합에 의해 여러 방향으로 다른 보석난집을 간단하게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면서 외력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베이스판(10)은 보석난집의 기초 바닥면을 이루는 것으로, 황동, 동-아연 합금, 아연철판 등과 같은 일정강도를 갖는 금속 재질로 구비될 수 있고, 그 외형은 원형, 타원형, 마름모형, 다각형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롱(Prong)(20)은 보석(J)의 상면 둘레를 감싸면서 밀착되는 것으로, 베이스판(10)의 테두리를 따라 다수의 가느다란 막대가 일정간격을 두고 상향으로 뻗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프롱(20)은 보석의 빛깔과 광택에 의한 장식효과를 증대시키면서 보석의 세팅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그 상단부로 갈수록 점점 가늘어지는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롱(20)의 상단부는 사용과정에서 의류 등이 걸리거나 찢어지는 것은 물론 장신구 착용자의 목, 가슴, 손 등의 신체부위가 긁히는 상해를 입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호형으로 라운딩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프롱(20)은 베이스판(10)과 프레스가공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한 후 베이스판(10)의 테두리에서 상향으로 밴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그 개수는 적어도 3개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발(30)은 보석(J)의 밑면 둘레를 안정적으로 받쳐주는 것으로, 프롱(20)과 마찬가지로 베이스판(10)의 테두리를 따라 다수의 가느다란 막대가 프롱(20)들의 사이에 그 프롱(20)들과 일정간격을 두고 상향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프롱(2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발(30)은 베이스판(10) 및 프롱(20)과 프레스가공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한 후 베이스판(10)의 테두리에서 상향으로 프롱(20)과 함께 밴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그 개수는 프롱(20)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재(40)는 여러 개의 보석난집(100)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프롱(20)에 결합하기 위해 그와 대응 결합되는 형상의 연결구멍(41)이 양단 또는 어느 한쪽에 형성되어 있고, 내측에는 부가적인 장식성을 표출할 수 있도록 독특한 디자인이 가미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부재(40)는 그 양단의 연결구멍(41) 부분이 프롱(20)과 지지발(30) 사이 틈새에서 자유로이 승강 및 회전가능하기 때문에 다른 보석난집(100')을 여러 방향으로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아울러 외력의 발생 시 서로 연결된 보석난집(100')들이 각기 유연하게 유동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하나의 보석난집(100)에 여러 방향으로 다른 보석난집(100')을 연결할 경우에는 연결부재의 연결구멍(41)을 그와 연결하고자 하는 방향에 위치된 프롱(20)에 각각 삽입한 후 보석(J)을 여러 지지발(30)의 내측에 안착시키고 프롱(20)의 상단부를 가압하여 보석(J)의 상면에 밀착시킴으로써 보석(J)이 보석난집(100)에 견고하게 세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보석난집(100)에 여러 방향으로 다른 보석난집(100')을 손쉽게 연결 배열할 수 있어 장신구 제품의 조립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킴은 물론 한층더 화려하면서 세련된 다양한 패턴의 장신구를 연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연결부재(40)가 프롱(20)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외력이나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보석난집(100)들과 연결부재(40)들이 각각 개별적으로 유연하게 유동됨으로 인해 목걸이, 팔찌, 가방장식줄 등과 같은 다양한 물품의 장신구로 가일층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장신구용 보석난집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용 보석난집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용 보석난집에 사방으로 연결부재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신구용 보석난집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요부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베이스판 20: 프롱
30: 지지발 40: 연결부재
41: 연결구멍 J: 보석

Claims (3)

  1. 베이스판(10)의 테두리에서 밴딩 형성되어 보석의 상면을 감싸듯이 잡아주는 다수의 프롱(20)을 포함하는 보석난집에 있어서,
    상기 프롱(20)들 사이의 상기 베이스판(10) 테두리에 그 프롱(20)들과 일정간격의 틈새를 두고 형성되어 다른 보석난집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보석의 밑면을 받치듯이 잡아주는 다수의 지지발(30);
    을 포함하는 장신구용 보석난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은,
    원형, 타원형, 마름모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인 장신구용 보석난집.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롱과 자유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구멍이 양단에 형성된 연결부재;
    를 더 포함하는 장신구용 보석난집.
KR2020080012668U 2008-09-19 2008-09-19 장신구용 보석난집 KR2004437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668U KR200443779Y1 (ko) 2008-09-19 2008-09-19 장신구용 보석난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668U KR200443779Y1 (ko) 2008-09-19 2008-09-19 장신구용 보석난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3779Y1 true KR200443779Y1 (ko) 2009-03-12

Family

ID=41347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2668U KR200443779Y1 (ko) 2008-09-19 2008-09-19 장신구용 보석난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377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5546A (ko) 2015-01-08 2016-07-18 김현정 장신구
KR101883965B1 (ko) * 2017-04-13 2018-08-01 허용 연결형 장신용구
KR20220007925A (ko) 2020-07-13 2022-01-20 김민주 보석 세팅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보석 제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5546A (ko) 2015-01-08 2016-07-18 김현정 장신구
KR101883965B1 (ko) * 2017-04-13 2018-08-01 허용 연결형 장신용구
KR20220007925A (ko) 2020-07-13 2022-01-20 김민주 보석 세팅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보석 제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0095B1 (en) Jewelry method and system
EP2627209B1 (en) Decorative system with fasteners and interchangeable connectors
KR101745303B1 (ko) 장신구
KR200443779Y1 (ko) 장신구용 보석난집
JP6209246B1 (ja) 宝飾用宝石
JP2007268242A (ja) 装飾石の固着方法および宝飾品
KR200418686Y1 (ko) 귀고리
JP7075736B2 (ja) 装身具
KR200468937Y1 (ko) 보석체의 움직임이 가능한 장신구용 보석난집
KR200457632Y1 (ko) 귀금속 장신구용 연결구
KR200462603Y1 (ko) 장신구 모듈
KR200468169Y1 (ko) 의류에 사용하는 장식물
KR200462604Y1 (ko) 장신구 모듈
JP3140698U (ja) 装飾部材の係止構造及びその係止構造を有する装飾品
JP3145208U (ja) 和服用装身具
WO2012066584A1 (en) Ring with interchangeable interlocking elements
KR100767212B1 (ko) 다기능 장신구
KR200476010Y1 (ko) 보석의 보호 및 외관이 개선된 장신구용 난집
KR200456842Y1 (ko) 귀걸이
KR200193482Y1 (ko) 치장품용 보석 고정구조
KR101883965B1 (ko) 연결형 장신용구
KR200391064Y1 (ko) 흔들장신구
KR200328407Y1 (ko) 장신구용 보석고정구조
KR200336056Y1 (ko) 장식용 체인
JP3050946U (ja) ネックレス等連結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