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5303B1 - 장신구 - Google Patents

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5303B1
KR101745303B1 KR1020170061485A KR20170061485A KR101745303B1 KR 101745303 B1 KR101745303 B1 KR 101745303B1 KR 1020170061485 A KR1020170061485 A KR 1020170061485A KR 20170061485 A KR20170061485 A KR 20170061485A KR 101745303 B1 KR101745303 B1 KR 101745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ngler
pair
hanger
weight
w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1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문섭
Original Assignee
송문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문섭 filed Critical 송문섭
Priority to KR1020170061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53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5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5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3/00Medals; Badges
    • A44C3/004Medals
    • A44C3/008Suspension loops or rings

Abstract

간단한 구성에 의하여 난집이 쉽게 흔들리도록 하고 그 상태를 오랜 시간 동안 지속하여 상기 난집 결합된 보석의 아름다움을 돋보이게 하도록 한 개인용 장신구가 제공된다. 상기 장신구는 전면에는 이격된 한 쌍의 결합 구멍이 형성되고 이들 사이에 개구가 형성되어 소정의 폭을 갖고 상기 사용자의 신체나 착용구에 매달려 있는 스윙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결합 구멍에 끼워져 전후 이동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결합 로드와, 상기 한 쌍의 결합 로드에 각각 고정되며 원형 또는 원호 형상의 제1, 제2만곡부를 각각 가지는 제1 및 제2행거와; 전면에는 보석을 결합되고 배면 상부에는 소정의 무게를 갖는 중량부가 형성되며, 양 측면의 서로 다른 수직 및 수평 위치에 각각 고정되고 그 단부에 원형 또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제3 및 제4만곡부가 상기 제1 및 제2행거의 내주 면에 접촉하여 흔들일 수 있는 상태로 맞물리는 제1댕글러 및 제2댕글러를 갖는 난집을 구비하며, 상기 난집은 상기 제1 및 제2댕글러의 비대칭 결합 위치와 상기 중량부의 무게에 의하여 중력방향에 대하여 5~40도 만큼 상향 경사진 형태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결합로드가 상기 한 쌍의 결합구멍의 전후 이동에 의해 상기 난집의 보석이 상기 스윙 프레임의 개구를 통해 상기 전면의 위치까지 돌출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장신구{jewelry accessory}
본 발명은 보석이 결합되는 난집(stone prong)이 형성된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간단한 구성에 의하여 장신구 프레임에 결합된 난집이 쉽게 흔들리도록 하고 그 상태를 오랜 시간 동안 지속하여 상기 난집에 결합된 보석의 아름다움을 더욱 돋보이게 하도록 한 개인용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다이아몬드와 같이 원석을 아름답게 가공한 보석 등은 난집에 넣어져 반지, 펜던트 등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보석은 통상 귀금속에 형성된 난집에 넣어지는 형태로 결합되어 견고히 고정되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이다.
보석은 빛이 비추어질 때 반짝여 빛이 나며, 이러한 보석의 반짝이는 빛은 보석의 컷팅 가공정도에 따라 따르나 흔들일 때 더욱 아름답게 돋보인다. 다이아몬드 등의 보석이 흔들리게 되면, 흔들리지 않는 경우에 비해 다이아몬드가 더욱 반짝반짝 빛날 수 있다. 펜던트 내에서 흔들릴 수 있도록 지지된 장신구 유닛의 장식적 효과를 한층 향상시키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의하여 현재, 시중에는 댄싱스톤이라는 명칭으로 고정된 보석을 지지부품에 유지시켜서 흔들리게 하는 반지, 목걸이 등이 판매되고 있다.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댄싱스톤은 아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특허 제1549445호 "장신구"로 등록된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위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종래의 기술은 다이아몬드 등의 보석이 결합된 홀더의 양 측면에서 연장된 접합부의 단부에 각각 형성된 두 개의 스윙 링(swing ring)이 프레임의 배면에 결합된 두 개의 고정 링(fixed ring)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흔들릴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윙 링들은 상기 고정 링에 끼워져 결합되어 상기 홀더에 결합된 다이아몬드의 상면이 중력방향에 대하여 α 각도만큼 상방으로 향하는 자세를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스윙 링의 접합부를 α 각도만큼 뒤틀고 있다.
그리고 스윙 링과 고정 링의 닿는 접점은 다이아몬드가 상기 홀더에 매달려 있는 동안 외력이 상기 홀더에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 모든 중력 중심에 대해 중력방향으로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장신구는 외력이 상기 홀더에 조금만 가해지더라고, 상기 홀더의 스윙 링이 프레임이 고정 링에서 스윙되어 다이아몬드가 반짝인다.
그러나 위 종래의 기술은 프레임의 안쪽에 결합된 두 개의 고정 링에 보석이 결합된 홀더의 양측에서 연장된 접합부의 단부에 형성된 두 개의 스윙 링을 결합함으로써 홀더가 항상 프레임의 안쪽에 위치하게 되어 이에 결합된 다이아몬드 등 보석이 상대적으로 작게 보이고 보석의 반짝임이 외부에서 잘 보이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프레임에 결합된 홀더가 잘 흔들리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홀더의 양 측면에서 연장된 접합부를 기울기 각도 α만큼 뒤트는 작업을 별도로 하여야 함으로써 제작이 그리 간단하지는 않았다.
10-1549448 B1(2015. 08. 27. 등록)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임에 결합되어 외력에 의해 흔들이는 난집(stone prong)에 결합된 보석이 프레임의 표면에 근접하여 노출되도록 하여 보석의 반짝거림을 외부에서 쉽게 볼 수 있도록 하여 흔들리는 장신구 유닛의 장식적 효과를 향상시키는 장신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레임의 내부에 넣어져 흔들거리게 결합되는 난집의 위치를 프레임의 전면과 동일선상까지 이동시켜 외력에 의해 흔들리는 난집에 결합된 보석을 더욱 돋보이게 할 수 있도록 한 장신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 신체의 일부분이나 사용자가 착용하는 착용구의 일부분에 매달리는 개인용 장신구로서, 전면에는 이격된 한 쌍의 결합 구멍이 형성되고 이들 사이에 개구가 형성되어 소정의 폭을 갖고 상기 사용자의 신체나 착용구에 매달려 있는 스윙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결합 구멍에 끼워져 전후 이동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결합 로드(coupling rod)와, 상기 한 쌍의 결합 로드에 각각 고정되며 원형 또는 원호 형상의 제1, 제2만곡부를 각각 가지는 제1 및 제2행거(hanger)와; 전면에는 보석을 결합되고 배면 상부에는 소정의 무게를 갖는 중량부(weight component)가 형성되며, 양 측면의 서로 다른 수직 및 수평 위치에 각각 고정되고 그 단부에 원형 또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및 제2행거의 내주 면에 접촉하여 흔들일 수 있는 상태로 맞물리는 제1댕글러(dangler) 및 제2댕글러를 갖는 난집을 구비하며, 상기 난집은 상기 제1 및 제2댕글러의 비대칭 결합 위치와 상기 중량부의 무게에 의하여 중력방향에 대하여 5~40도 만큼 상향 경사진 형태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결합로드가 상기 한 쌍의 결합구멍의 전후 이동에 의해 상기 난집의 보석이 상기 스윙 프레임의 개구를 통해 상기 전면의 위치까지 돌출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른 난집에 결합된 보석의 표면이 스윙 프레임의 전면의 수직한 위치로 이동시켜 흔들릴 수 있게 함으로, 흔들리는 장신구의 난집에 결합된 보석의 장식적 효과가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장신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신구의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장신구의 배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장신구의 분해 사시도.
도 5a와 도 5b 및 도 5c는 도 5에 도시된 난집의 정면도, 배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결합 로드와 난집의 결합 상태를 측면에서 표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난집과 결합 로드 간의 실시 예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결합 로드와 난집의 결합 상태를 측면에서 표현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 내지 도 7은 스윙 프레임(10)의 상단에 체인이 끼워지는 결합구(도시되지 않았음)가 용접으로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 장신구를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면, 스윙 프레임(10)의 상단에 체인이 끼워질 수 있는 결합구가 용접으로 부착되는 경우, 사용자의 목에 착용된 체인에 매달려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신구(1)는 난집(38)이 스윙 프레임(10)의 내부에서 흔들일 수 있는 상태로 세트되는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윙 프레임(10)의 외형은 장미꽃을 형상화한 예를 들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스윙 프레임(10)은 전면(12)과, 상기 전면(12)의 테두리 부분에서 수평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는 측면(14)을 갖는다. 필요에 따라서는 측면의 일측에는 중앙이 개구된 형태의 금속판이 결합되어 뒷면을 커버하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스윙 프레임(10)의 전면(12)의 수평축 부분이나 이와 유사한 위치에는 두 개, 즉, 한 쌍의 결합구멍(18a, 18b)이 이격되어 형성되며, 정중앙부분은 일정한 크기로 개구(16)되어 있다. 상기 스윙 프레임(10)의 전면(12) 개구(16)는 그 내부에서 흔들리게 설치되는 보석(30)이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을 형성한다.
상기 한 쌍의 결합 구멍(18a, 18b)의 아래 부분에는 소정 크기로 전면으로 튀어져 나온 돌출부(4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41)는 상기 스윙 프레임(10)의 내부에 흔들리게 설치된 보석(30)이 표면(12)에 근접할 경우, 보석(30)이 결합된 난집(38)의 양측에 형성된 제1, 제2댕글러(36a, 36b)와 상기 표면(12)간의 접촉 간섭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한 쌍의 결합구멍(18a, 18b)에는 제1 및 제2행거(24a, 24b)에 형성된 결합로드(20a, 20b)의 일측이 각각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제1 및 제2행거(24a, 24b)는 상기 결합로드(20a, 20b)의 타측 하단에 원형 또는 원호 형상의 제1, 제2만곡부(22a, 22b)를 갖는다.
상기 제1행거(24a)의 제1만곡부(22a)의 일측은 상기 결합로드(20a)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결합로드(20a)에 이격된 위치에 있는 핑거로드(23a)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만곡부(22a)의 상부 일측은 개구되어져 있게 된다.
또한, 제2행거(24b)의 제2만곡부(22b)의 일측은 상기 결합로드(20b)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결합로드(20b)에 이격된 위치에 있는 핑거로드(23b)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만곡부(22b)의 상부 일측은 개구되어져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결합로드(20a, 20b)의 길이를 비교적 짧게 도시하였으나, 이보다 훨씬 긴 길이로 형성한 후, 보석의 세팅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절단되어 상기 스윙 프레임(10)의 전면(12)의 결합구(18a, 18b)에 각각 용접될 수 있다.
다이아몬드 등과 같은 보석(30)은 난집(38)의 중앙부분에 고정된다. 상기 난집(38)은 이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포크(prong)로 보석(30)을 고정시켜 보석(30)의 상면(30a)을 외부로 노출시킨다.
상기 난집(38)은 수평축의 양측 부위에 동그란 형상으로 만들어진 제1댕글러(36a)와 제2댕글러(36b)가 연결부(37a, 37b)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난집(38)과 제1, 제2댕글러(36a, 36b) 및 제1, 제2연결부(37a, 37b)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에를 들면, 주조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난집(38)의 뒷면 상단부에는 소정의 무게를 갖는 중량부(39)가 덧붙여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일측에 제1 및 제2댕글러(36a, 36b)가 연결되고 상기 난집(38)의 수평축의 양측 부분에 타측이 연결된 제1 및 제2연결부(37a, 37b)는 도 5a 내지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난집(38)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된 제1연결부(37a)는 제2연결부(37b)의 비하여 D1만큼 높거나 낮은 위치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연결부(37a)의 전면부는 제2연결부(37b)의 전면부 대비 D2만큼 보석(30)의 후방 또는 전방으로 위치된 곳에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간격 D, D2는 "D1《D2"의 관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D1의 간격이 D2의 간격보다 짧으면, 상기 난집(38)의 전면(30a)가 경사각이 작아지기 때문에 좋지 않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제1연결부(37a)와 제2연결부(37b)의 단부에 형성된 제1댕글러(36a)와 제2댕글러(36b)는 비대칭적인 위치에 각각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난집(38)의 양측면에 동그란 환형으로 형성된 제1댕글러(36a)와 제2댕글러(36b)는 제1 및 제2행거(24a, 24b)의 제1 및 제2만곡부(22a, 22b)의 개구를 통해 끼워져 교차 접점에서 서로 흔들릴 수 있도록 결합된다.
상기 제1 및 제2만곡부(22a, 22b)에 제1 및 제2댕글러(36a, 36b)가 끼워져 결합되면, 제1 및 제2만곡부(22a, 22b)의 타측에 연결된 핑거로드(23a, 23b)를 상부로 젖혀 제1 및 제2만곡부(22a, 22b)의 상부 개구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상기 제1 및 제2댕글러(36a, 36b)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난집(38)의 양측면에 연결된 제1연결부(37a)와 제2연결부(37b)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비대칭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결합로드(20a)의 제1만곡부(22a)에 끼워져 결합된 제1행거(36a)의 교차 접점과, 상기 결합로드(20a)와 완전히 평행하게 놓여진 결합로드(20b)의 제2만곡부(22b)에 끼워져 결합된 제2행거(36b)의 교차 접점은 중력방향에서 서로 다른 위치(도면에서 수직한 방향)에 놓여지게 되므로, 난집(38)과 그에 결합된 보석(30)의 표면(30a)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기 각도(ag) 만큼 상향 경사진 상태로 조립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난집(38)의 배면 상부에는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크기의 중량추(3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량추(39)가 난집(38)의 배면 상부를 중력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므로, 상기 난집(38)의 기울기 각도(ag)의 크기를 크게 할 있다.
또한, 상기 중량추(39)의 크기는 보석(30)의 크기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량추(39)는 절삭 공구를 이용하여 깎아 내는 것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도(ag)는 쉽게 조절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조에 의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댕글러(36a)와 제2댕글러(36b)는 난집(38)의 양측에 고정되므로, 상면(30a)은 전술한 사용상태 및 외력이 난집(38)에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중력방향에 대해 약 5도 내지 40 도의 각도 ag만큼 상부를 향하고 있다.
각도 ag의 소정의 범위는 여성의 가슴의 경사각 및 전방에 위치하는 관찰자의 눈의 각도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결정된다. 예를 들면, 각도 ag는 15도이다.
장신구(1)를 착용하게 되면, 스윙 프레임(10)의 내부에 결합된 난집(38)의 전면(30a)이 여성의 가슴의 흔들림에 따라 위쪽을 향해 기울어진다. 본 실시 예에서, 상면(30a)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각도 ag를 갖는다. 따라서 정면에 있는 사람의 눈의 위치로부터 보았을 때, 눈의 위치와 다이아몬드 등과 같은 보석(30)의 상면(30a)이 거의 직교하게 되며, 심미감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스윙 프레임(10)의 전면(12)과 동일한 수직선상 또는 그 보다 조금 앞선 수직선상으로 보석(30)의 상면(30a)이 노출될 수 있도록 난집(38)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보석(30)의 아름다움을 더욱 돋보이게 할 수 있다.
상기 난집(38)의 위치조절은 스윙 프레임(10)의 전면(12)의 결합구(18a, 18b)에 결합된 제1, 제2행거(24a, 24b)의 결합로드(20a, 20b)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키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절에 의해 보석(30)의 상면(30a)이 스윙 프레임(10)의 전면(12)의 위치까지 이동되어도, 제1 및 제2댕글러(36a, 36b)와 상기 전면(12)간의 간섭을 일어나지 않는다.
왜냐하면, 상기 전면(12)에 형성된 결합구멍(18a, 18b)의 하부에는 소정 크기의 돌출부(19)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행거(24a)의 제1만곡부(22a)와 제2행거(24b)의 제2만곡부(22b)는 난집(38)의 제1댕글러(36a) 및 제2댕글러(36b)에 고정되고, 상기 제1, 제2만곡부(22a, 22b)와 제1, 제2댕글러(36a, 36b)간의 교차 접점이 흔들리지 않는 상태에서 중력방향에서 난집(38)과 보석(30)은 모두 난집(38)의 중력 중심에 대해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보석(30)의 상면(7a)은 사용자의 전방 측부를 향해 안정적인 자세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사용 상태 및 외력이 난집(37)과 보석(30)에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만곡부(22a)와 제1댕글러(36a)간의 교차 접점과 상기 제2만곡부(22b)와 제2댕글러(36b)간의 교차 접점은 난집(38)과 보석(30) 모두의 중력 중심에 대해 중력방향에 위치한다.
이때, 흔들리는 특성을 고려하면, 상기 제1만곡부(22a)와 제1댕글러(36a)간의 교차 접점과 상기 제2만곡부(22b)와 제2댕글러(36b)간의 교차 접점은 난집(38)의 수평중심축선의 상부에 놓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구성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전방 측부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제1만곡부(22a)와 제1댕글러(36a)간의 교차 접점과 상기 제2만곡부(22b)와 제2댕글러(36b)간의 교차 접점을 연결하는 수평축은 보석(30)의 상면(30a) 에 위치하게 되며, 보석(30)은 수평축상 주위에서 흔들릴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보석(30)의 반짝거림이 흔들림에 의해 더 증가되어 멋있는 모습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만곡부(22a)와 제1댕글러(36a)간의 교차 접점과 상기 제2만곡부(22b)와 제2댕글러(36b)간의 교차 접점은 상기한 수직 위치에서 보석(30)의 중심으로부터 이동된 위치에 놓이게 된다.
그에 의해 상기 제1만곡부(22a)와 제1댕글러(36a)간의 교차 접점과 상기 제2만곡부(22b)와 제2댕글러(36b)간의 교차 접점을 연결하는 수평측선 상기한 바와 같은 수직 및 수평으로 대칭인 패턴인 보석(30)의 전방 측부의 중심위치로부터 벗어나 있으며, 따라서 비대칭 밝기 패턴이 만들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다이아몬드 등의 보석(30)은 반짝거리고 흔들리며 상하로 떨리는 것에 의해 멋있는 모습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도 3, 도 6 및 도 7에 상기 제1만곡부(22a)와 제1댕글러(36a)간의 교차 접점과 상기 제2만곡부(22b)와 제2댕글러(36b)간의 교차 접점은 수평측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보석(30)의 측면의 중심위치에 대해 전방 측부 상에 위치된다. 즉, 보석(30)의 상면(30a)과 요동의 중심 간의 거리가 짧아지며, 상면(30a), 즉 전방 측부가 흔들릴 수 있으며, 그 결과 높은 심미감이 얻어질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난집(38)의 구성을 보인 것으로, 제2실시예에 따른 난집(38)의 양측에 연결된 제1연결부(37a)와 제2연결부(37b)은 상기 난집(38)의 수직중심 축선상을 기준으로 완전한 대칭을 이룬다.
도 5a~도 5c와의 차이점은, 난집(38)에 외력이 가하여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난집(38)과 보석(30)이 상향 경사지게 놓여지도록 제1댕글러(36a)의 측면에 하향 경사지게 중량감 있는 중량추(40)를 매달아 놓은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제2실시예에 따른 난집(38)의 제1댕글러(36a)와 제2댕글러(36b)를 스윙 프레임(10)의 결합구(18a, 18b)에 끼워진 결합 로드(20a, 20b)의 하부에 형성된 제1만곡부(37a)와 제2만곡부(37b)에 결합하면, 난집(38) 배면 상부에 형성된 중량부(39) 및 중량추(40)의 자중에 의해 난집(38)과 상면(30a)는 소정 경사각을 가지고 상향 경사지게 결합된다.
또한,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난집(38)의 양측에 형상된 제1댕글러(36a)와 제2댕글러(36b)가 제1만곡부(22a) 및 제2만곡부(22b)의 교차 접점에서 난집(38)이 수평, 수직 이동되면, 중량추(40)의 무게의 자중에 의해 상하로 흔들린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게 난집(38)은 스윙 프레임(10)에서 흔들린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또는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서,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의 구성요소에 관한 다양한 변경, 결합, 부결합, 및 대체를 할 수 있다.
팬던트는 상술한 실시예의 개인용 장신구로서 예시된 것이며, 본 발명은 사용자의 소정의 위치(예를 들면, 귀) 에서 사용되는 개인용 장신구 또는 사용자가 걸어서 착용하는 소정의 부품의 또다른 형태에 적용될 수 있다.
1 ; 장신구
10 : 스윙 프레임, 12 : 표면,
14 : 측면, 16 : 개구
18a, 18b : 결합 구멍, 19 : 돌출부
20a, 20b : 결합 로드,
22a : 제1만곡부, 22b : 제2만곡부
24a : 제1행거, 24b : 제2행거,
30 : 보석,
36a : 제1댕글러, 36b : 제2댕글러,
37a : 제1연결부, 37b : 제2연결부,
38 : 난집, 39 : 중량부,
40 : 중량추, 41 : 돌출부,

Claims (3)

  1. 사용자 신체의 일부분이나 사용자가 착용하는 착용구의 일부분에 매달리는 개인용 장신구에 있어서,
    전면에는 이격된 한 쌍의 결합 구멍이 형성되고 이들 사이에 개구가 형성되어 소정의 폭을 갖고 상기 사용자의 신체나 착용구에 매달려 있는 스윙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결합 구멍에 끼워져 전후 이동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결합 로드와, 상기 한 쌍의 결합 로드에 각각 고정되며 원형 또는 원호 형상의 제1, 제2만곡부를 각각 가지는 제1 및 제2행거와;
    전면에는 보석이 결합되고 양 측면의 서로 다른 수직 및 수평 위치에 각각 고정되며 그 단부에 원형 또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행거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흔들일 수 있는 상태로 맞물리는 제1댕글러 및 제2댕글러를 가지며 뒷면 상부에는 일정한 무게를 갖는 중량부가 형성된 난집을 구비하며,
    상기 난집은 상기 제1 및 제2댕글러의 비대칭 결합 위치와 상기 중량부의 무게에 의하여 중력방향에 대하여 5~40도 만큼 상향 경사진 형태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결합로드가 상기 한 쌍의 결합구멍의 전후 이동에 의해 상기 난집의 보석이 상기 스윙 프레임의 개구를 통해 상기 전면의 위치까지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집과 상기 제1댕글러 사이에 연결된 제1연결부와, 상기 난집과 상기 제2댕글러 사이에 연결된 제2연결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연결부는 제2연결부의 수평축의 비하여 높거나 낮은 위치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연결부의 전면부는 제2연결부의 전면부 대비 상기 보석의 후방또는 전방으로 위치된 곳에 결합되어 상기 난집의 양측에 결합된 제1댕글러와 제2댕글러는 비대칭적으로 결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행거 및 제2행거의 제1 및 제2만곡부는 상부의 일부가 개구되고,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댕글러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KR1020170061485A 2017-05-18 2017-05-18 장신구 KR101745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485A KR101745303B1 (ko) 2017-05-18 2017-05-18 장신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485A KR101745303B1 (ko) 2017-05-18 2017-05-18 장신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1725A Division KR101745300B1 (ko) 2017-03-14 2017-03-14 장신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5303B1 true KR101745303B1 (ko) 2017-06-09

Family

ID=59220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1485A KR101745303B1 (ko) 2017-05-18 2017-05-18 장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530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20151A (zh) * 2018-05-08 2018-08-21 深圳市百富隆珠宝有限公司 一种灵动挂坠
KR101946998B1 (ko) * 2018-08-27 2019-02-12 백효정 장식의 유동성이 개선된 펜던트
KR101961361B1 (ko) * 2017-05-19 2019-03-22 가부시키가이샤 크로스포 장신구
KR102036460B1 (ko) * 2018-11-22 2019-10-24 안성주 합성수지재 패킹에 고리가 장치되는 장식부재
KR102276786B1 (ko) * 2021-01-29 2021-07-13 뭄무컴퍼니 보석의 난반사율을 향상시킨 보석난집
CN116098355A (zh) * 2021-11-09 2023-05-12 株式会社歌思福 装饰品部件、装饰品以及装饰品部件和装饰品的制造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1361B1 (ko) * 2017-05-19 2019-03-22 가부시키가이샤 크로스포 장신구
CN108420151A (zh) * 2018-05-08 2018-08-21 深圳市百富隆珠宝有限公司 一种灵动挂坠
KR101946998B1 (ko) * 2018-08-27 2019-02-12 백효정 장식의 유동성이 개선된 펜던트
KR102036460B1 (ko) * 2018-11-22 2019-10-24 안성주 합성수지재 패킹에 고리가 장치되는 장식부재
KR102276786B1 (ko) * 2021-01-29 2021-07-13 뭄무컴퍼니 보석의 난반사율을 향상시킨 보석난집
CN116098355A (zh) * 2021-11-09 2023-05-12 株式会社歌思福 装饰品部件、装饰品以及装饰品部件和装饰品的制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9448B1 (ko) 장신구
KR101745303B1 (ko) 장신구
CN210642854U (zh) 身体装饰品
KR101824940B1 (ko) 반지용 유동형 난집구조
JP3738279B2 (ja) 装身具用ペンダント
JP5536482B2 (ja) 揺動装身具
KR20190077511A (ko) 장식용 부품 및 이를 구비한 물품
KR20210044726A (ko) 장신구
KR101745300B1 (ko) 장신구
KR101971178B1 (ko) 착용 위치 변경만으로 다양한 형태로 연출 가능한 장신구
KR200418686Y1 (ko) 귀고리
JP4891551B2 (ja) 装身具用ペンダント
JPWO2002065868A1 (ja) 装身具
WO2019159910A1 (ja) 複数軸心による可動装飾具
JP2005058371A (ja) 揺動式装身具
KR102036460B1 (ko) 합성수지재 패킹에 고리가 장치되는 장식부재
JP3774815B2 (ja) 装身具用ペンダント
CN217906617U (zh) 一种饰品和首饰
JP7130886B1 (ja) 揺動装身具用吊り下げ具及びこれを用いた揺動装身具
JP3095572U (ja) 装身具類における宝飾体の保持構造
CN211483221U (zh) 一种首饰
KR101973714B1 (ko) 유동 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325072Y1 (ko) 목걸이의 연결고리
WO2015052746A1 (ja) 身飾品
KR200391064Y1 (ko) 흔들장신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