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3965B1 - 연결형 장신용구 - Google Patents

연결형 장신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3965B1
KR101883965B1 KR1020170048071A KR20170048071A KR101883965B1 KR 101883965 B1 KR101883965 B1 KR 101883965B1 KR 1020170048071 A KR1020170048071 A KR 1020170048071A KR 20170048071 A KR20170048071 A KR 20170048071A KR 101883965 B1 KR101883965 B1 KR 101883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jewel
piece
connection
orname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8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용
Original Assignee
허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용 filed Critical 허용
Priority to KR1020170048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39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3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3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5Neckla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결형 장신용구가 개시되는 것으로, 내측에 보석(11)이 수용되어 안착되는 수용면(12)을 갖는 보석수용부(13)가 구비되는 장신구 몸체(10)와; 상기 장신구 몸체(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되 끝단부(21)가 호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장신구 몸체(10)에 수용된 보석(11)측으로 호형지게 구부러져 장신구 몸체(10)에 수용된 보석(11)을 고정하는 복수개의 고정부(20)와; 상기 복수개의 고정부(20) 각각의 하단측과 연결되도록 상기 보석수용부(13)의 수용면(12)에 관통되어 상기 복수개의 고정부(20)를 상기 수용면(12)의 상부측으로 절곡시켜 돌출됨이 용이하도록 하는 호형의 관통구멍(30)과; 상기 장신구 몸체(10)의 하단측으로 연장되는 연결링위치편(41)과 상기 연결링위치편(41)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절곡연결편(42)과 상기 연결링위치편(41)과 상기 절곡연결편(42)을 연결하여 상기 절곡연결편(42)이 상기 보석수용부(13) 하단 내측방향으로 절곡됨이 용이하도록 하는 절곡가이드홈부(43)를 갖는 연결부(40)와; 상기 연결부(40)에 연결되고 원형 또는 호형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링(50)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연결형 장신용구{connecting type accessories}
본 발명은 연결형 장신용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조보석이나 보석이 수용되는 복수개의 장신용구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팔찌, 목걸이, 귀걸이와 같은 악세사리를 구비하는 복수개의 장신용구의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복수개의 장신용구들이 서로에 대해 벌어지거나 모아짐이 가능하도록 하여 착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옷이나 신체에 대한 스크래치를 방지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장신용구의 조립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연결형 장신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석이나 인조보석을 가공하여 목걸이나 반지, 귀걸이 등의 악세사리를 만드는 경우 보석을 수용하는 장신용구를 이용하는 바, 종래 장신용구는, 상부가 개방된 대략 직육면체형상으로서 내부에 다이아몬드와 같은 보석이나 큐빅과 같은 인조보석을 수용하고 상부 모서리에 형성된 4개의 고정편을 구부려 보석이 장신용구로부터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장신용구는, 금속판을 특정형상으로 절단하고 절곡시켜 만드는 것으로 결합공이 형성된 양측면에 절개부가 구비되어 절개부를 내측으로 구부려줌으로써 직육면체의 형상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보석이나 인조보석을 포함하고 있는 장신용구를 복수개 구비한 후 구비된 복수개의 장신용구를 길게 연결해줌으로써 목걸이나 팔찌 등 끈(string) 형태의 장신구를 제조하는 것으로, 이 때, 장신용구와 장신용구를 직접 연결시키거나 또는 장신용구와 장신용구 각각에 구비된 결합공을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별도의 결합바를 끼워 연결하거나 또는 끈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장신용구들을 서로 연결하여 묶어주는 것에 의해 장신용구들을 연결하고 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실용 20-0351597호인 장신구연결체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측면에 연결부가 형성되고 중간에 장식면이 형성된 장식본체의 중간에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공의 상하에는 상하로 돌출된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공내에서 상하에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에 고정되는 장식체가 상기 고정돌기에 고정된 후 상하방향으로 압축고정되는 구조로서 장신구연결체 상에 진주, 에메랄드 등의 보석이나 합성수지로 제조된 인조보석과 같은 장식체를 용이하게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인력이 절감되고 제조가가 저렴하게 되면서도 안전하게 고정되어 고정된 장식체가 분리되지 않고 영구적으로 고정되도록 하고 있다.
다른 예로, 등록실용 20-0425708호인 장신구용 보석 고정부재가 안출된 바 있으며, 중심에 형성된 오목부로 보석을 장착 고정하고 연결 핀을 통해 다수가 연속되게 연결되는 부재 바디로 이루어진 장신구용 보석 고정부재로서, 부재 바디는 오목부 주변에 그 중심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V형 단면의 홈이 새겨져서 시각적 표현을 나타냄에 따라 오목부로 장착 고정되는 보석을 돋보이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들은 보석이 수용되어 고정되는 장신용구(장식본체, 부재바디)들을 연결함에 있어서 연결작업이 복잡하기 때문에 연결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석이 고정되는 장신용구의 고정편 단부가 보석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마감처리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의 의복이나 신체가 긁히거나 하여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되는 복수개의 장신용구들에 의해 팔찌로 이루어질 경우 복수개의 장신용구들이 서로에 대해 벌어짐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목 둘레를 따라 감아짐이 어렵고 벌어진 상태에서 복수개의 장신용구들이 다시 모아짐이 용이하지 못하며 모아졌을 때 장신용구들이 서로 엉켜 꼬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실용 20-0351597호(2004.05.17. 등록) 대한민국등록실용 20-0425708호(2006.08.30. 등록)
본 발명은 복수개의 장신용구들을 연결하는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연결된 복수개의 장신용구들이 벌어짐과 모아짐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모아졌을 때 장신용구들이 서로에 대해 엉켜 꼬이게 됨을 방지하며, 또한 보석을 고정하는 고정편이 보석측으로 호형으로 구부러진 형태로 고정되도록 하여 고정편의 단부에 의한 스크래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연결형 장신용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연결형 장신용구는, 내측에 보석이 수용되어 안착되는 수용면을 갖는 보석수용부가 구비되는 장신구 몸체와; 상기 장신구 몸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되 끝단부가 호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장신구 몸체에 수용된 보석측으로 호형지게 구부러져 장신구 몸체에 수용된 보석을 고정하는 복수개의 고정부와; 상기 복수개의 고정부 각각의 하단측과 연결되도록 상기 보석수용부의 수용면에 관통되어 상기 복수개의 고정부를 상기 수용면의 상부측으로 절곡시켜 돌출됨이 용이하도록 하는 호형의 관통구멍과; 상기 장신구 몸체의 하단측으로 연장되는 연결링위치편과 상기 연결링위치편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절곡연결편과 상기 연결링위치편과 상기 절곡연결편을 연결하여 상기 절곡연결편이 상기 보석수용부 하단 내측방향으로 절곡됨이 용이하도록 하는 절곡가이드홈부를 갖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고 원형 또는 호형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링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장신구 몸체 측면 하단에는 상기 장신구 몸체의 측면 하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되는 꼬임방지부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복수개의 고정부에는, 상기 보석수용부에 수용된 보석측으로 호형지게 구부러짐에 따라 의복이나 신체에 접촉되더라고 의복이나 신체에 대해 긁힘을 방지하는 굴곡진 긁힘방지면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장신구 몸체 하단에 절곡된 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에 연결링이 연결되는 것에 의해 복수개의 장신구 몸체를 연결하여 팔찌와 같은 악세사리를 연출할 수 있어 장신구 몸체의 연결작업성 향상은 물론 악세사리 제조작업성이 크게 향상되어 생산성 향상 및 생산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연결된 장신구 몸체의 벌어짐이 용이함은 물론 벌어진 장신구 몸체가 모아짐이 용이하여 팔찌와 같은 악세사리를 손목에 착용하거나 손목으로부터 분리함이 용이하며 팔찌나 목걸이는 물론 귀걸이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보석을 고정하는 고정부가 보석측으로 호형지게 구부러져 구비됨에 따라 고정부에 의한 의복이나 신체의 긁힘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벌어진 장신구 몸체가 모아질 때 복수개의 장신구 몸체가 서로에 대해 엉켜 꼬이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연결형 장신용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연결형 장신용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연결형 장신용구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연결형 장신용구의 연결부 절곡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연결형 장신용구의 연결링 연결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연결형 장신용구가 복수개 연결된 평면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연결형 장신용구가 복수개 연결된 저면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연결형 장신용구가 복수개 연결되어 벌어진 상태의 평면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인 연결형 장신용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인 연결형 장신용구의 다른 실시예를 각각 나타낸 구성도 및 사시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형 장신용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연결형 장신용구는, 장신구 몸체(10)와, 복수개의 고정부(20), 호형의 관통구멍(30), 연결부(40), 연결링(50)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장신구 몸체(10)는, 내측에 보석(11)이 수용되어 안착되는 수용면(12)을 갖는 보석수용부(13)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장신구 몸체(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 사각형, 원형은 물론 육각형, 팔각형과 같은 다각형으로 이루어지거나 호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보석수용부(13)는 상기 수용면(12)이 상기 장신구 몸체(10)의 상단에서 하단측으로 요입되는 것에 의해 형성되는 바, 이와 같이 보석수용부(13)를 요입형성하는 이유는 보석수용부(13)에 수용되고 상기 수용면(12)에 안착되는 보석(11)이 장신구 몸체(10)에 대해 요입되게 구비하여 보석(11)의 하단이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함은 물론, 수용면(12)에 보석(11)의 하단이 안착되어 수용되기 때문에 보석(11)이 보석수용부(13)에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복수개의 고정부(20)는, 상기 장신구 몸체(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되 끝단부(21)가 호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장신구 몸체(10)에 수용된 보석(11)측으로 호형지게 구부러져 장신구 몸체(10)에 수용된 보석(11)을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복수개의 고정부(20) 끝단부(21)를 호형으로 구비하는 이유는, 상기 고정부(20)가 보석(11)측으로 밀착되어 보석(11)을 고정한 후, 팔찌나 목걸이 또는 귀걸이로 사용하는 과정에서 고정부(20)의 끝단부(21)를 날카롭게 형성하지 않음에 따라 사용자의 의복이나 신체에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고정부(20)에는, 상기 보석수용부(13)에 수용된 보석(11)측으로 호형지게 구부러짐에 따라 의복이나 신체에 접촉되더라고 의복이나 신체에 대해 긁힘을 방지하는 굴곡진 긁힘방지면(22)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고정부(20)에 굴곡진 긁힘방지면(22)이 더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부(20)가 사용자의 의복이나 신체에 닿게 되더라도 굴곡진 긁힘방지면(22)에 의해 사용자의 의복에 스크래치가 발생되어 의복이 긁혀 보프레기가 발생되거나 또는 스웨터와 같은 의복의 경우 실이 끊어지거나 또는 신체가 긁혀 스크래치에 의한 상처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호형의 관통구멍(30)은, 상기 복수개의 고정부(20) 각각의 하단측과 연결되도록 상기 보석수용부(13)의 수용면(12)에 관통되어 상기 복수개의 고정부(20)를 상기 수용면(12)의 상부측으로 절곡시켜 돌출됨이 용이하도록 한다.
즉, 상기 장신구 몸체(10)에 먼저 상기 고정부(20)의 둘레부와 호형의 관통구멍(30)을 관통하면 호형의 관통구멍(30)에 의해 고정부(20)의 둘레부에 공간이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바, 자연스럽게 형성된 공간을 이용하여 고정부(20)를 장신구 몸체(10)의 상면측으로 쉽게 절곡시켜 돌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좁은 공간에서의 장신구 몸체(10) 상면으로부터 복수개의 고정부(20)를 용이하게 돌출시킬 수 있어 작업성 및 작업효율성이 크게 향상된다.
본 발명의 연결부(40)는, 상기 장신구 몸체(10)의 하단측으로 연장되는 연결링위치편(41)과 상기 연결링위치편(41)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절곡연결편(42)과 상기 연결링위치편(41)과 상기 절곡연결편(42)을 연결하여 상기 절곡연결편(42)이 상기 보석수용부(13) 하단 내측방향으로 절곡됨이 용이하도록 하는 절곡가이드홈부(43)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링위치편(4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의 돌기형으로 구비됨은 물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신구 몸체(10)의 하단으로부터 수직되게 연장되는 수직형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요입형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연결링(50)은, 상기 연결부(40)에 연결되고 원형 또는 호형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연결부(40)와 연결링(50)을 이용하여 도 6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연결형 장신용구의 장신구 몸체(10)를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 또는 사각방향, 다이아몬드 방향과 같이 다양한 방향으로 서로 연결함에 따라 팔찌, 목걸이, 귀걸이와 같은 악세사리를 연출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40)의 절곡가이드홈부(43)는, 상기 절곡연결편(42)을 상기 장신구 몸체(10)측으로 절곡시킴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으로, 이와 같이 절곡가이드홈부(43)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절곡연결편(42)을 장신구 몸체(10)측으로 여러번 절곡시키더라도 절곡연결편(42)이 끊어지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작업 중 상기 연결부(40)의 절곡을 수정하여 재작업할 수 있다.
즉, 절곡가이드홈부(43)가 구비되지 않을 경우에는 절곡연결편(42)을 장신구 몸체(10)측으로 절곡한 후 다시 펼쳐 재절곡할 때 절곡부분이 끊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어 연결부(40)를 잘못 절곡하였을 때 재수정이 불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절곡가이드홈부(43)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절곡연결편(42)을 장신구 몸체(10)측으로 절곡함이 용이함은 물론 여러 번 절곡하더라도 끊어짐이 방지되어 재수정이 가능하다.
상기 연결부(40)의 연결링위치편(41)은 상기 연결부(40)에 연결되는 연결링(50)이 위치되는 것이다,
즉, 상기 연결부(40)의 절곡연결편(42)을 장신구 몸체(10)측으로 절곡하기 전 먼저 연결링(50)을 상기 연결부(40)에 끼운 후 상기 절곡연결편(42)을 절곡가이드홈부(43)를 이용하여 장신구 몸체(10)측으로 절곡하면 절곡연결편(42)에 의해 상기 연결링(50)의 일측이 덮어지면서 고정된다.
이 때, 연결링(50)의 높이 즉 상기 장신구몸체(10)와 절곡연결편(42) 까지의 높이와 상기 연결링위치편(41)의 높이가 일치되어 절곡연결편(42)을 절곡하였을 때 연결링(50)의 높이에 의해 상기 절곡연결편(43)이 들뜨거나 하지 않고 연결링(50)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연결링(50)을 지지하여 준다.
이와 같이 연결부(40)와 연결링(50)에 의해 서로에 대해 연결되는 복수개의 장신구 몸체(10)를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 또는 사각방향, 다이아몬드 방향과 같이 다양한 방향으로 서로 연결함에 따라 팔찌, 목걸이, 귀걸이와 같은 악세사리를 연출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악세사리로 이용될 수 있으며, 악세사리로 이용되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링(50)에 의해 연결된 복수개의 장신구 몸체(10)가 벌어짐이 가능하여 신체에 착용하거나 신체로부터 분리할 때 용이하여 사용성 및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다.
본 발명의 상기 장신구 몸체(10) 측면 하단에는 상기 장신구 몸체(10)의 측면 하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되는 꼬임방지부(6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꼬임방지부(60)가 장신구 몸체(10) 측면 하단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벌어진 장신구 몸체(10)가 모아지는 과정에서 상기 장신구 몸체(10) 측면 하단 각각에 구비된 꼬임방지부(60)들이 서로 닿게 되어 장신구 몸체(10)들이 서로 엉킴에 따라 꼬이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장신구 몸체 11 : 보석
12 : 수용면 13 : 보석수용부
20 : 고정부 21 : 고정부 끝단부
22 : 긁힘방지면 30 : 관통구멍
40 : 연결부 41 : 연결링위치편
42 : 절곡연결편 43 : 절곡가이드홈부
50 : 연결링 60 : 꼬임방지부

Claims (3)

  1. 내측에 보석(11)이 수용되어 안착되는 수용면(12)을 갖는 보석수용부(13)가 구비되는 장신구 몸체(10)와, 상기 장신구 몸체(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되 끝단부(21)가 호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장신구 몸체(10)에 수용된 보석(11)측으로 호형지게 구부러져 장신구 몸체(10)에 수용된 보석(11)을 고정하는 복수개의 고정부(20)와, 상기 복수개의 고정부(20) 각각의 하단측과 연결되도록 상기 보석수용부(13)의 수용면(12)에 관통되어 상기 복수개의 고정부(20)를 상기 수용면(12)의 상부측으로 절곡시켜 돌출됨이 용이하도록 하는 호형의 관통구멍(30)과, 상기 장신구 몸체(10)의 하단측으로 연장되는 연결부(40)와, 상기 연결부(40)에 연결되고 원형 또는 호형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링(50)으로 구비되어 상기 연결링(50)이 상기 연결부(40)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 장신구 몸체(10)들이 서로 연결되는 연결형 장신용구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40)는,
    상기 장신구 몸체(10)의 하단측으로 연장되는 연결링위치편(41)과;
    상기 연결링위치편(41)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절곡연결편(42)과;
    상기 연결링위치편(41)과 상기 절곡연결편(42)을 연결하여 상기 절곡연결편(42)이 상기 보석수용부(13) 하단 내측방향으로 절곡됨이 용이하도록 하는 절곡가이드홈부(43);
    로 구비되고,
    상기 장신구 몸체(10) 측면 하단에는 상기 연결링(50)에 의해 연결되는 장신구 몸체(10)가 벌어진 후 모아지는 과정에서 장신구 몸체(10)들어 서로 엉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장신구 몸체(10) 측면 하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연장되는 꼬임방지부(60)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형 장신용구.
  2. 삭제
  3. 삭제
KR1020170048071A 2017-04-13 2017-04-13 연결형 장신용구 KR101883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071A KR101883965B1 (ko) 2017-04-13 2017-04-13 연결형 장신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071A KR101883965B1 (ko) 2017-04-13 2017-04-13 연결형 장신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3965B1 true KR101883965B1 (ko) 2018-08-01

Family

ID=63227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8071A KR101883965B1 (ko) 2017-04-13 2017-04-13 연결형 장신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39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8331Y1 (ko) * 2022-05-25 2024-09-05 박명남 보석 난집과 고정받침 판재를 사용한 보석 세팅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5422B1 (ko) * 1988-06-14 1991-07-29 디. 스바로프스키 앤드 컴퍼니 금속장식판 구성체
JP3020787U (ja) * 1995-07-19 1996-02-06 信和宝飾工芸株式会社 装飾用宝石の取付構造
KR200351597Y1 (ko) 2004-02-25 2004-05-28 최순성 장신구연결체
KR200425708Y1 (ko) 2006-06-21 2006-09-13 코아쥬얼리 주식회사 장신구용 보석 고정부재
KR200443779Y1 (ko) * 2008-09-19 2009-03-12 정원문 장신구용 보석난집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5422B1 (ko) * 1988-06-14 1991-07-29 디. 스바로프스키 앤드 컴퍼니 금속장식판 구성체
JP3020787U (ja) * 1995-07-19 1996-02-06 信和宝飾工芸株式会社 装飾用宝石の取付構造
KR200351597Y1 (ko) 2004-02-25 2004-05-28 최순성 장신구연결체
KR200425708Y1 (ko) 2006-06-21 2006-09-13 코아쥬얼리 주식회사 장신구용 보석 고정부재
KR200443779Y1 (ko) * 2008-09-19 2009-03-12 정원문 장신구용 보석난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8331Y1 (ko) * 2022-05-25 2024-09-05 박명남 보석 난집과 고정받침 판재를 사용한 보석 세팅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3357B1 (en) Interchangeable jewelry method using individual beaded links
US20200170360A1 (en) Jewelry Device
JPH0731695Y2 (ja) 装身具
US8499582B1 (en) Interchangeable jewelry strand
JP4333882B2 (ja) 宝石の不可視嵌合
US6324868B1 (en) Customizable pendant
JP5990339B2 (ja) 略環状装身具
US20040154143A1 (en) Magnetic clasp
US11382393B2 (en) Jewelry piece with a spring closure for an interchangeable ornament
US8359883B2 (en) Gemstone setting
KR101883965B1 (ko) 연결형 장신용구
KR200443779Y1 (ko) 장신구용 보석난집
JP5089937B2 (ja) 宝石用台座
KR200488793Y1 (ko) 장식용 팬던트 기구
KR200193482Y1 (ko) 치장품용 보석 고정구조
KR20130115662A (ko) 난집형 난발 보석세팅방법 및 그 구조물
JP3203493U (ja) 身飾品
US12042028B2 (en) Jewelry piece with a magnetic closure for an interchangeable ornament
KR200450533Y1 (ko) 악세사리의 인조보석 연결함체
US20230371660A1 (en) Wearable decorative element
JP2007167395A (ja) 宝石の支持構造
KR101973714B1 (ko) 유동 반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558989B1 (ko) 귀금속용 악세사리의 보석체 고정구조.
KR200348877Y1 (ko) 장신구
KR20150059814A (ko) 장신구용 장식알 고정구조 및 이를 구비한 장신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